KR200395294Y1 -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 Google Patents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294Y1
KR200395294Y1 KR20-2005-0016190U KR20050016190U KR200395294Y1 KR 200395294 Y1 KR200395294 Y1 KR 200395294Y1 KR 20050016190 U KR20050016190 U KR 20050016190U KR 200395294 Y1 KR200395294 Y1 KR 200395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getation
water
inner space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엽
Original Assignee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6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2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호서, 해안 등의 사면이나 물가에 시공하여 호안의 침식 및 수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방틀에 식물을 식재하여 식생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주변의 경관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한 식생방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틀에 흡수체를 충진시킨 유공관을 장착시켜 유공관의 모세관 현상 및 흡수체를 이용한 물의 흡수력으로 방틀 상단에 식재된 식물에의 물 공급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계절에 따른 수위 변동으로 저 수위가 되는 갈수기때 발생될 수 있는 식물의 고사 현상을 ㅂ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A spur dike to planting the plants}
본 고안은 하천, 호서, 해안가 등의 사면에 시공하여 호안의 침식 및 수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방틀에 식물을 식재하여 식생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주변의 경관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한 식생방틀에 관한 것으로, 계절에 따른 수위 변동의 차로 저 수위가 되는 갈수기때에도 식재된 식물의 물 흡수가 가능토록 하여 식물의 고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호안의 침식 및 수변 보호를 위하여 하천, 호서, 해안가 등에 시공되었던 일반적인 방틀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레임(100)과 후레임(100)의 내공간(300)에 채워지는 중량체(400)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길죽한 바(bar)의 형태로 제공되는 철 구조물이나 목재 구조물을 수평,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시켜 내공간(300)을 갖는 후레임(100)을 형성토록 하고, 이러한 후레임(100)의 내공간(300)에 자갈, 골재, 쇄석 등 무게가 나가는 중량체(400)를 채워 하천이나 호서, 해안가 등의 사면에 시공토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틀은 단지 호안의 침식안정 및 수변보호의 기능만이 있을 뿐이어서, 최근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400)가 채워진 부분의 상측으로 식생매트나 코이어롤을 식물의 식재수단(600)으로 고정시켜 식물(500)의 식생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식물에 의한 호안의 주변 경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식재된 식물(500)의 뿌리를 통한 수중의 영양물질 소비로 수질정화효과를 동시에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 식생방틀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생방틀은 방틀의 구조 상, 식재수단(600)이 중량체(400)의 상측에 위치되어 방틀의 상단에서만 식물(500)이 식생토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갈수기 때 물이 빠지게 되어 저수위가 장기간 동안 지속될 경우, 식재된 식물이 고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식물의 고사 현상은 통상 식생방틀의 설치 공사가 주로 홍수의 우려가 있는 풍수기를 피해서 갈수기 때에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이때 방틀은 풍수기때의 평균 수위를 방틀상단의 높이로 정하여 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갈수기 때에는 식재수단(600)의 하부까지 물이 빠지게 됨으로서 식물(500)의 물 흡수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고, 특히, 우리나라의 하천은 계절적 특성 상 풍수기와 갈수기 때의 수위 변동 폭이 심하기 때문에 이러한 식물의 고사 현상은 빈번히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의 고사 현상은 결국, 오히려 주변의 경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고사한 식물 자체가 환경오염물질의 발생원으로서 주변의 수질을 오염시킴은 물론 부패로 인한 심한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통상의 방틀 내공간에 흡수체가 충진된 유공관을 수직으로 장착시키고 여분의 공간에 중량체를 채워 시공토록 함으로서 유공관의 모세관 현상 및 흡수체의 물 흡수력을 이용하여 저 수위가 되는 갈수기 때에도 방틀 하층의 물이 상측으로 흡수되어 식물에의 물 공급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식물의 고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방틀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길죽한 바(bar)의 형태를 갖는 철 구조물이나 목재 구조물이 수평,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되어 내공간(2)을 갖는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후레임(1)의 내공간(2)에 자갈, 쇄석 등 무게가 나가는 중량체(3)가 채워지고, 상기 중량체(3)의 상측에는 식생매체(4)가 형성되어 식물(5)의 식재가 가능토록 된 공지의 식생방틀에 있어서, 상기 내공간(2)에는 흡수체(6)가 내부에 충진된 유공관(7)이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유공관(7)은 후레임(1)의 여분 공간에 채워지는 중량체(3)에 의하여 지지토록 되어 상기 유공관(7)의 모세관 현상 및 흡수체(6)에 의한 물 흡수력을 이용한 식물의 고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유공관(7)은 식생매체(4)에의 균일한 수분 공급을 위하여 가능한 후레임(1)의 내공간(2) 전체면에 균일한 폭과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보다 우수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유공관(7)의 장착 수량이 많을수록 물의 흡수력이 우수한 것이나, 유공관(7)의 수량 증가에 따라 중량체(3)의 장착 수량이 적어지게 됨으로서 시공 상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후레임(1)의 내공간(2) 넓이에 따라 적정 수량의 유공관(7)을 장착시켜야 하는 것으로, 적어도 후레임(1)의 네 모서리부에 대응되게 장착시키는 것이 중량체(3)와 후레임(1)에 의한 유공관(7)의 견고한 고정 및 식생매체(4)에의 균일한 수분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내공간(2)의 넓이에 따라 유공관(7)을 적정한 위치에 추가로 장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공관(7)은 표면 전체에 다수의 구멍(7a)을 형성시켜 구멍(7a)을 통한 흡수체(6)에의 수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경량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여도 가능하고 중량감 있는 금속재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이때 중량감이 있는 금속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공관(7) 자체만으로도 상기 중량체(3)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체(3)를 채우지 않고 유공관(7)만으로 내공간(2)을 채워 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공간(2)에는 중량체(3)의 상측으로 표면의 무수한 기공의 형성으로 단위 면적당 차지하는 표면적이 넓은 다공성 소결골재(8)를 일부 포함시켜 시공토록 함으로서 미생물의 서식 공간 확충에 따른 수질정화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공관(7)에 충진되는 흡수체(6)는 액상의 흡수력이 우수하고, 미세한 통기 조직에 의한 우수한 통풍력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수지필터나 스폰지 등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이후 우수한 흡수력을 갖는 소재가 제공될 경우 이것을 적용하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식생매체(4)로는 야자섬유를 매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시킨 것을 사용하여도 가능하고, 야자섬유 매트를 말아서 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시킨 것을 사용하여도 가능한 것으로, 식물(5)의 식생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식생매체(4)로서 롤의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식생매체(4)의 내부에 상기 다공성소결골재(8)를 채움으로서 다공성소결골재(8)를 이용한 수질정화효율을 보다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식생방틀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수기 때 후레임(1)의 저면까지 수위가 낮아질 경우에도, 후레임(1)에 장착된 유공관(7)의 모세관 현상 및 유공관(7) 내부에 충진된 흡수체(6)에 의하여 후레임(1)의 상측까지 물 흡수가 이루어져 식생매체(4)로의 물 침투가 가능토록 되기 때문에 갈수기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식생매체(4)에 식재되어진 식물(5)에의 물 공급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공관(7)을 통하여 식생매체(4)로 침투되는 물은 식생매체(4)의 좌우에 위치되는 또 다른 식생매체(4)로의 물 침투가 가능하게 됨으로서 내공간(2)에 부분적으로 유공관(7)을 장착시켜도 식생매체(4) 전체면으로의 물 흡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적어도 내공간(2)의 네 모서리부에 유공관(7)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식생매체(4) 전체로의 균일한 수분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중량감 있는 금속재의 유공관(7)을 장착시킬 경우, 유공관(7)이 중량체(3)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유공관(7) 수량 증가에 따른 우수한 흡수력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식생방틀은 계절 변동에 따른 저 수위가 지속되는 갈수기 때에도 식물의 물 흡수가 가능하여 식물의 고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종래의 식생방틀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식생방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식생방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식생방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 7은 종래 방틀의 외관 사시도.
도 8은 종래 식생방틀의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후레임 2: 내공간
3: 중량체 4: 식생매체
5: 식물 6: 흡수체
7: 유공관

Claims (4)

  1.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후레임(1)의 내공간(2)에 중량체(3)가 채워지고, 상기 중량체(3)의 상측으로 식물(5)의 식재를 위한 식생매체(4)가 형성토록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내공간(2)에 흡수체(6)가 내부에 충진된 유공관(7)이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유공관(7)은 여분의 공간에 채워지는 중량체(3)에 의하여 지지토록 되어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7)은 적어도 후레임(1) 내공간(2)의 네 모서리부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7)은 중량감을 갖는 소재로 형성시켜 내공간(2) 전체면에 장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공간(2)에는 중량체(3)의 상측으로 다공성소결골재(8)가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KR20-2005-0016190U 2005-06-07 2005-06-07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KR200395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90U KR200395294Y1 (ko) 2005-06-07 2005-06-07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90U KR200395294Y1 (ko) 2005-06-07 2005-06-07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013A Division KR100545142B1 (ko) 2005-06-03 2005-06-03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294Y1 true KR200395294Y1 (ko) 2005-09-12

Family

ID=4369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190U KR200395294Y1 (ko) 2005-06-07 2005-06-07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2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21B1 (ko) * 2014-10-08 2015-04-17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블록
CN111074838A (zh) * 2020-01-07 2020-04-28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基于水生生物对水文条件需求的河道生态修复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21B1 (ko) * 2014-10-08 2015-04-17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블록
CN111074838A (zh) * 2020-01-07 2020-04-28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基于水生生物对水文条件需求的河道生态修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142B1 (ko)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JP4545979B2 (ja) 貯留緑化給水システム
KR100580941B1 (ko)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CN213476523U (zh) 一种园林用渗水路面
KR20090003912A (ko) 수상 부유 정원
KR200395294Y1 (ko)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KR200395296Y1 (ko)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CN111305345A (zh) 高效渗水吸水自循环下沉式绿地及其施工方法
CN207452823U (zh) 一种生态型护岸海堤
KR101189260B1 (ko) 다벽면 및 베란다 녹화 시스템
JP3628521B2 (ja) 舗装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透水性舗装構造
JP4473196B2 (ja) 路面冷却道路構造
KR100821351B1 (ko)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JP5108225B2 (ja) 緑化容器
KR200444259Y1 (ko)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JP2006241812A (ja) 環境温度低減装置
KR101221496B1 (ko) 식재기반조성 구조
KR101001290B1 (ko) 식생용 목재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틀
CN201003170Y (zh) 蓄水排水板
CN212138514U (zh) 一种河流硬质护坡绿化系统
JPH11166217A (ja) 護岸構造
CN206380348U (zh) 一种桥梁专用蓄水绿化箱
CN203416668U (zh) 组合式绿墙结构
JP3739498B2 (ja) 護岸構造
KR200217115Y1 (ko) 옥상용 야채 재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