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296Y1 -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 Google Patents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296Y1
KR200395296Y1 KR20-2005-0016193U KR20050016193U KR200395296Y1 KR 200395296 Y1 KR200395296 Y1 KR 200395296Y1 KR 20050016193 U KR20050016193 U KR 20050016193U KR 200395296 Y1 KR200395296 Y1 KR 200395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frame
planting
space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엽
Original Assignee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6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이나 호서, 해안 등의 경사면이나 물가에 시공하여 호안의 침식 및 수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방틀에 식물을 식재하여 주변의 경관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한 식생방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틀에 부력을 갖는 식재수단을 장착시키고 이러한 식재수단은 계절 변화에 따른 수위의 변동 시 방틀의 상,하로 이동되어 저 수위가 되는 갈수기 때에도 식물에의 물 흡수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식물의 고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식생방틀은 내공간을 수직격벽에 의하여 중량체 수납공간과 식생공간으로 구분토록 하고, 식생공간에 부력을 갖는 식재수단을 장착하여 수위의 변동에 따라 식재수단이 식생공간의 상,하로 이동토록 함으로서 식재수단이 항상 수면과 접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a spur dike to planting the plants}
본 고안은 하천이나 호서, 해안 등의 경사면이나 물가에 시공하여 호안의 침식안정 및 수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방틀에 식물을 식재하여 주변의 경관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한 식생방틀에 관한 것으로, 계절의 변화에 따른 수위의 변동에 대한 대처 방안이 강구되어 저 수위가 되는 갈수기 때에도 식물이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방틀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의 형태로 제공되는 철 구조물이나 목재 구조물로 이루어진 후레임(100)을 고정장치(200)를 사용하여 수평,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시켜 내공간(300)을 갖는 구조체로 형성시키고, 내공간(300)에는 자갈, 골재, 쇄석 등 무게가 나가는 중량체(400)를 채워 하천이나 호서, 해안가 등의 사면에 시공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틀은 단지 호안의 침식안정 및 수변보호의 기능만이 있을 뿐이어서, 최근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400)가 채워진 부분의 상측으로 식생매트나 코이어롤을 식물(500)의 식재수단(600)으로 고정시켜 식물(500)의 식생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성장된 식물에 의한 호안의 주변 경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의 뿌리로 부터 흡수되는 영양물질의 소비로 수질정화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한 식생방틀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생방틀은 방틀의 구조 상, 식물(500)이 방틀의 상단에만 식생토록 되어 갈수기 때 물이 빠지게 되어 저수위가 되면 식재된 식물이 고사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식생방틀의 설치 공사는 주로 홍수의 우려가 있는 풍수기를 피해서 갈수기 때에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이때 방틀을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의 높이는 풍수기때 평균 수위가 방틀의 상단 높이로 정하여 시공하고 있기 때문에 식재수단(600)의 하부까지 물이 빠지게 되는 일수가 거의 대부분인 갈수기 때에는 식생된 식물(500)이 물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하천의 특성 상, 풍수기와 갈수기 때의 수위 변동 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러한 식물의 고사 현상의 발생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식생방틀은 식물의 고사 현상은 오히려 주변 경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고사된 식물 자체가 해변의 오염물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식생방틀 자체의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식생방틀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식생방틀의 내공간을 수직격벽에 의하여 중량체 수납공간과 식생공간으로 분리토록 하고, 식생공간에는 부력을 갖는 식재수단이 수위의 변동에 따라 식생공간의 상,하로 이동토록 함으로서 항상 수면 위에 떠 있도록 함으로서 식물에의 물 공급이 갈수기 때에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생방틀은 하천, 호수, 해안 등의 수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바(bar)의 형태로 제공되는 철 구조물이나 목재 구조물로 이루어진 후레임(1)을 고정장치(2)를 사용하여 평,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시켜 내공간을 갖는 구조체로 이루어진 방틀(10)에 식물의 식재가 가능토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틀(10)의 내공간은 수직격벽(11)에 의하여 자갈이나 쇄석 등의 중량체(3)를 채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량체 수납공간(12)과, 식물(4)을 식재하여 식생토록 하기 위한 식물체 식생공간(13)으로 구획되고, 상기 식생공간(13)에는 부력을 갖는 식재수단(20)이 장착되어 수위의 변화 폭에 따라 상,하 이동토록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중량체 수납공간(12)은 중량체(3)의 수납을 위하여 상부는 전면 개구되게 후레임(1)을 연결시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과 하부는 수납된 중량체(3)가 방틀(10)의 외부로 빠져 나가 유실되지 않도록 차단되게 후레임(1)을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수납된 중량체(3)로의 미생물 부착을 유도하기 위하여 물의 유입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관통부(14)를 형성시켜 부착 미생물을 이용한 수지정화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관통부(14)는 후레임(1)을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하여 후레임(1) 사이의 간격만큼 관통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생공간(13)은 상,하부가 개구토록 하여 식생공간(13)의 개구된 상부로는 식재수단(20)에 식재된 식물(4)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로는 식물(4)의 뿌리를 통한 물 흡수가 가능토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생공간(13)에는 식재수단(20)의 상,하 이동 폭을 제한토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15)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수단(15)은 식생공간(13)이 위치되는 방틀(10)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시켜 상단에 형성된 고정수단(15)은 풍수기 때 식재수단(20)이 식생공간(13)의 높이 이상으로 떠 올라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체로 작용토록 하고, 하단에 형성된 고정수단(15a)은 갈수기 때 물의 고갈로 인하여 식재수단(20)이 하천 바닥면까지 내려와 지속될 경우 식물(4)의 뿌리가 바닥면에 박혀진 상태로 고정되지 않도록 하여 갈수기의 경과 후 식재수단(20)이 다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천 바닥면으로부터의 이격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체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생공간(13)의 전방으로는 개구부(16)를 형성시켜 방틀(10)의 제작을 위하여 소모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방틀(10)에는 상기 개구부(16)의 형성에 따른 식재수단(20)의 전방 이동에 따른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18)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고정수단(18)은 개구부(16)의 양측단에 식재수단(13)의 전방 양측이 걸려져 고정토록 하기 위한 걸림턱의 형태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공간(14)이 마련되는 부분의 방틀(10) 양측벽에 수직홈(19)을 형성시키고, 상기 식재수단(20)의 양측단에는 방틀(10)의 수직홈(19)에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걸림수단(23)을 형성시켜도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방틀(10)의 수직홈(19)에는 식재수단(20)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위하여 베어링 등이 장착된 이동레일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식재수단(20)은 발포체(21a)를 이용하여 부력을 갖도록 한 식재틀(21)과, 상기 식재틀(21)에 결합되어 식물(4)이 식재되어지는 식생매트(2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식재틀(21)은 발포체(21a)를 소정 면적의 판상체로 형성시켜 식생매트(22)의 하단에 층상 구조로 결합시켜도 가능하고, 소정 부피를 갖는 롤체로 형성시켜 식생매트(22)의 테두리에 결합시켜도 가능하고, 발포체(21a)를 파이프나 관 등의 후레임(21b)에 수납시켜 가로 세로로 연결하여 상기 식생매트(2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재틀(21)로 마련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22)는 야자섬유를 엮어서 짠 것을 사용토록 함으로서 식생매트 의 조직 사이로 식물(4)을 꽂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식재수단(20)에 식재되는 식물(4)은 씨앗 상태가 아니고 뿌리와 줄기가 어느 정도 성장한 모종 상태의 것을 식재하여 식재수단(20)의 하측으로는 식물(40)의 뿌리가 내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재수단(20)의 비중은 식재수단(20)에 식재되어 성장하였을 때의 식물(4) 중량을 고려하여 식물(4)이 최대로 성장했을 때에도 식재수단(20)이 물에 떠 있을 정도의 비중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재수단(20)의 식재틀(21) 하측면에는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식재된 식물(2)의 뿌리가 하측으로 곧게 뻗어 활착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경사유도판(23)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것은 식물(4)의 뿌리가 하측으로 곧게 뻗어 성장될 경우, 갈수기 동안 성장된 뿌리가 식생방틀이 시공된 하천 등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풍수기 때 수위 상승에 의한 식재수단(20)의 이동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식생방틀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을 갖는 식재수단(20)의 형성으로 하천 등의 물 수위가 높아지는 풍기기 때에는 방틀(10)의 상측으로 식재수단(20)이 이동되어 수면 위에 떠 있게 되고, 도 9에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등의 물 수위가 낮아지는 갈수기 때에는 방틀(10)의 하측으로 식재수단(20)이 이동되어 수위 변화에 따른 식물(4)의 식생 위치가 조절토록 되어 극심한 가뭄 또는 장기간의 가뭄이 지속되지 않은 한 식재수단(20)이 수면과 접하게 됨으로서 식물(4)에의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식생방틀은 수위 변화에 따른 식물의 식생 위치가 조절되어 식물이 식재된 식재수단이 항상 수면에 떠 있게 되어 갈수기 때 발생하는 식물의 고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후레임 연결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이 시공된 상태에서의 풍수기때를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본 고안이 시공된 상태에서의 갈수기때를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종래 방틀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11은 종래 식생방틀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중량체 2: 식물체
10: 후레임 11: 수직격벽
12: 중량체 수납공간 13: 식물체 식생공간
14: 식재수단 15: 고정수단
16: 관통구 17: 개구부
18: 고정수단 19: 수직홈

Claims (7)

  1. 내공간을 갖는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방틀(10)에 식물의 식재가 가능토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틀(10)의 내공간에는 수직격벽(11)에 의한 중량체(3)의 수납공간(12)과, 식물(4)의 식생공간(13)으로 구획되고, 상기 식생공간(13)에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수면에 떠 있도록 되는 부력을 갖는 식재수단(2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13)에는 식재수단(20)의 상,하 이동 폭을 제한토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15)(15a)이 방틀(10)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틀(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수단(15a)은 하천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이격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측으로 올라온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13)의 전방으로는 개구부(16)가 형성되고, 개구부(16)의 양측단으로 식재수단(13)의 양측이 걸려져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간(13)이 마련되는 방틀(10) 양측벽에 수직홈(19)을 형성시키고, 식재수단(14)의 양측단에는 방틀(10)의 수직홈(19)에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걸림수단(14c)을 형성시켜 유실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수단(20)은 발포체(21a)를 이용하여 부력을 갖도록 한 식재틀(21)과, 상기 식재틀(21)에 결합되어 식물(4)이 식재되어지는 식생매트(2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수단(20)의 식재틀(21) 하측면에는 뿌리의 직립 방지를 위한 경사유도판(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KR20-2005-0016193U 2005-06-07 2005-06-07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KR200395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93U KR200395296Y1 (ko) 2005-06-07 2005-06-07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193U KR200395296Y1 (ko) 2005-06-07 2005-06-07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016A Division KR100580941B1 (ko) 2005-06-03 2005-06-03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296Y1 true KR200395296Y1 (ko) 2005-09-12

Family

ID=4369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193U KR200395296Y1 (ko) 2005-06-07 2005-06-07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29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21B1 (ko) * 2005-09-13 2007-03-27 주식회사 시내 & 들 침수방틀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71717B1 (ko) 2008-04-23 2008-12-05 (주)평강이엔씨 농축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용 생태방틀
KR100891738B1 (ko) * 2007-09-04 2009-04-03 조수원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897827B1 (ko) 2008-07-04 2009-05-15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자연친화형 기능성 생태목틀을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KR101215823B1 (ko) 2012-11-05 2012-12-27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하천 및 수변 공사용 방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21B1 (ko) * 2005-09-13 2007-03-27 주식회사 시내 & 들 침수방틀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91738B1 (ko) * 2007-09-04 2009-04-03 조수원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871717B1 (ko) 2008-04-23 2008-12-05 (주)평강이엔씨 농축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용 생태방틀
KR100897827B1 (ko) 2008-07-04 2009-05-15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자연친화형 기능성 생태목틀을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KR101215823B1 (ko) 2012-11-05 2012-12-27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하천 및 수변 공사용 방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941B1 (ko)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CN201777934U (zh) 一种连续可调式沉水植物种植网床
KR101034132B1 (ko) 물순환 및 조경기능을 갖는 다기능 생태정화 식물섬
CN201999795U (zh) 一种连续沉降式沉水植物生态网床
KR200395296Y1 (ko) 수위변동 대처형 다기능성 식생방틀
KR100545142B1 (ko)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CN211547604U (zh) 一种水利挡土墙
KR101742191B1 (ko) 인공 생태섬
CN109778776B (zh) 隐藏式结构的水利护坡
CN116240908A (zh) 一种边坡生态修复装置
CN213508299U (zh) 一种水利用的生态护坡
CN213625473U (zh) 一种生态护岸型式
KR200395294Y1 (ko) 흡수체를 이용한 다기능성 식생방틀
CN207652978U (zh) 一种植被养护结构
CN204540104U (zh) 外挂式水生植物种植槽
CN108755715B (zh) 水土保持用生态护坡
CN112761113A (zh) 一种装配式生态框格结构及岸坡防护结构
JPH10276598A (ja) 浮きプランター及びその固定方法
KR20130034340A (ko) 투수성 호안블록
CN201228353Y (zh) 带桩式防浪结构的生态护岸
CN1641109A (zh) 一种生态护岸
CN218508480U (zh) 一种兼具蓄水功能的挡土墙
CN208733561U (zh) 一种复合式河道生态护岸结构
CN216218985U (zh) 一种多生态位水生植物群落构建装置
CN211547643U (zh) 一种用于土地整治的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