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259Y1 -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 Google Patents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259Y1
KR200444259Y1 KR2020080014774U KR20080014774U KR200444259Y1 KR 200444259 Y1 KR200444259 Y1 KR 200444259Y1 KR 2020080014774 U KR2020080014774 U KR 2020080014774U KR 20080014774 U KR20080014774 U KR 20080014774U KR 200444259 Y1 KR200444259 Y1 KR 200444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body portion
front wall
river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봉
Original Assignee
태흥산업 주식회사
청구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흥산업 주식회사, 청구산업(주) filed Critical 태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4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2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토사와 골재가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며 하천의 사면에 설치되는 식생 철망 바구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비닐,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물 받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접힌 상태로 배치되며 코코넛 섬유 또는 마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부직포 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 벽면과, 상기 전방 벽면에 근접한 덮개부의 일부분과, 상기 물 받이부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하천을 향하는 전방 벽면이 볼록하게 라운드지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 벽면을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 벽면, 후방 벽면 및 상기 덮개부를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보다 높도록 형성시키거나 상기 몸체부의 전방 벽면에 보조 철망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에 의하면, 하천 수위가 식생 철망 바구니가 설치된 위치보다 아래에 있는 저수위 또는 중수위 상태에서도 부직포 부재가 물 받이부에 담겨진 빗물 등을 흡수하여 젖어있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부재에 뿌려진 씨앗에 수분을 제공하여 씨앗을 발아시켜 하천 사면을 녹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철망 바구니, 물 받이부, 부직포 부재

Description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Pro-Environmentally Vegetational gabion with basket}
본 고안은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갈수기에도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환경에 친화적이며, 하천의 유량과 유속의 급격한 상승 변화에 대해서도 적용성이 우수한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등에는 강물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수로를 유지하기 위해 제방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방, 특히 인위적으로 시공된 제방에는 견고성 및 안전성을 위해 블록, 석재,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축조하여서 보강하여 주는데, 특히 돌(잡석) 등을 이용할 때에는 하나하나 쌓아서 축조하는 것은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려 거의 불가능한 바 그 돌들을 담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망 바구니(Gabion)가 필요하다.
이하, 종래의 철망 바구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철망 바구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의 전, 후판(11,12) 및 측판(13)으로 구성되며 상면이 개구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주는 덮개부(20)로 구성되며, 상기 전, 후판 및 측판을 구성하는 철망은 소정의 굵기를 갖는 와이어를 사각형 등의 망목(網目)이 형성되도록 교차시켜 제작된다.
이러한 철망 바구니는 하천의 사면 보강을 위해 그 내부에 잡석 및 토사 등의 골재가 채워진 상태로 하천의 사면에 다수로 횡배열 및 적층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철망 바구니에서는 내부에 골재 이외의 식생이 가능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수분이 자연배수되게 되고 이로 인해 식물의 식생이 불가능하게 되고 자연환경과 친화적이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하천 생태계의 파괴, 자연미의 손상, 하천정화능력의 상실 등 환경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갈수기에도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환경에 친화적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토사와 골재가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며 하천의 사면에 설치되는 식생 철망 바구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비닐,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물 받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접힌 상태로 배치되며 코코넛 섬유 또는 마 섬유로 이루어지고 씨앗이 부착된 부직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물 받이부의 높이는 상기 몸체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 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 벽면과, 상기 전방 벽면에 근접한 덮개부의 일부분과, 상기 물 받이부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하천을 향하는 전방 벽면이 볼록하게 라운드지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 벽면을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 벽면, 후방 벽면 및 상기 덮개부를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보다 높도록 형성시키거나 상기 몸체부의 전방 벽면에 보조 철망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에 의하면, 하천 수위가 식생 철망 바구니가 설치된 위치보다 아래에 있는 저수위 또는 중수위 상태에서도 부직포 부재가 물 받이부에 담겨진 빗물 등을 흡수하여 젖어있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부재에 뿌려진 씨앗에 수분을 제공하여 씨앗을 발아시켜 하천 사면을 녹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 철망 바구니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방 벽면이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직강하천에 설치 시 또는 하천의 유량 및 유속의 상승 변화 시, 흐름 저항을 감소시켜 식생 철망 바구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천수가 볼록하게 라운드진 부분에 부딪히면서 기포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질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 철망 바구니의 전방 벽면의 부직포 부재에 의해 잡석 및 토사 등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고 낙석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 철망 바구니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방 벽면이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씨앗이 발아하여 어느 정도 성장하기 전까지 하천 사면의 외 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덮개부(200), 물 받이부(300) 및 부직포 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이하, '식생 바구니'라 한다)는 하천 주변의 흙 또는 자갈 등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홍수에 의해 제방이 붕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형성한 하천의 사면(500)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사면(500)에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와 덮개부(200)는 다수의 와이어를 엮어서 형성된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망에는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망목(網目)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는 아연도금 철선과 같이 수분에 의해 쉽게 부식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용공간에는 잡석과 토사 등이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0)는 내부가 채워진 몸체부(100)의 상측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0)와 별도의 와이어를 통한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벽면 중에서 이웃하여 횡 배열되는 식생 바구니(G)의 몸체부에 마주하는 양측 벽면(120,121)이나 배면 토사를 마주하는 후방 벽면(130)이 아닌 외부에 보이는 면 즉, 하천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방 벽면(110)을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는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 벽면(120,121), 후방 벽면(130) 및 상기 덮개부(200)를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보다 높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잡석 및 토사 등이 전방 벽면(11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하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철망의 망목 조밀도를 조절하는 일례로는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 벽면을 구성하는 철망을 몸체부(100)의 양측 벽면 및 후방 벽면을 구성하는 철망과 별개로 적용하되, 몸체부(100)의 전방 벽면을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가 몸체부(100)의 양측 벽면 및 후방 벽면을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보다 높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 벽면(110), 양측 벽면(120,121) 및 후방 벽면(130)을 모두 동일한 망목을 가지는 철망으로 적용하고, 몸체부(100)의 전방 벽면(110)에 하나 이상의 보조 철망(미도시)을 더 덧붙여서 몸체부(100)의 전 방 벽면 망목 조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벽면 중에 외부에 노출되는 전방 벽면(110)은 하천을 향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식생 바구니(G)를 직강하천에 설치 시 또는 하천의 유량 및 유속이 급격하게 상승 변화 시, 하천수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식생 바구니로 구성되는 호안의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하천 유량 및 유속의 급격한 상승 변화시에도 강물의 흐름과 식생 바구니(G)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체 흐름상의 저항을 감소시켜 강물이 라운드진 부분을 따라 원활히 흐르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전방 벽면(110)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물 받이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몸체부(100)의 수용공간 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물 받이부(300)는 몸체부(100) 내부에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일정 이상의 연성을 가지며 장기간 후에도 토사 속에 포함된 미생물에 의해 쉽게 썩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물 받이부(300)는 비닐, 플라스틱 합성수지 및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정 이상의 연성을 가지며 쉽게 썩지 않는 다른 재질로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물 받이부(300)는 하천 수위가 물 받이부(300)가 설치된 위치보다 아래에 있는 저수위 또는 중수위 상태에서도, 강우에 의한 빗물 등이 그 내부에 담겨지도록 하여 후술하는 부직포 부재(400)가 물 받이부(300) 내부의 물을 흡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너무 많은 물이 수용된 상태일 필요는 없고 적절한 양의 물이 수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 받이부(300)의 높이(h)는 상기 몸체부(100)의 높이(H)보다 작게 형성되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그 높이(h)는 2 ~ 7cm 사이로 적용된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한 수치에 한정되지는 않고 지역적으로 건기가 오래 지속되는 지역에서는 물 받이부(300)의 높이(h)가 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우기가 오래 지속되는 지역에서는 물 받이부(300)의 높이(h)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부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벽면 중에 외부에 노출되는 전방 벽면(110)과 상기 전방 벽면(110)과 근접한 상기 덮개부(200)의 일부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즉,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잡석 및 토사와 철망의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 부재(400)는 상기 잡석 및 토사의 전방 벽면(110)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몸체부(100) 내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전방 벽면(110)을 구성하는 철망과 별도의 결속부재를 통한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재는 철망을 구성하는 철선 등의 와이어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200)의 일부분이라 함은 식생 바구니(G)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설치시 이웃하여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식생 바구니(G)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덮개부(200) 부분을 말한다.
한편, 상기 부직포 부재(400)의 하단은 상기 물 받이부(300) 내에 위치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물 받이부(300)의 수용공간 저면에 접하도록 한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 부재(400)가 물 받이부(300) 내부의 고인 물에 잠긴 상태가 되도록 하여 그 물을 흡수하여 젖어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 부재(400)에는 식물의 씨앗 등이 뿌려지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그 씨앗 등이 발아될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을 제공하게 되고 아울러, 하천 수위가 상기 식생 바구니(G)가 설치된 장소보다 하측에 있더라도 가능한 오래도록 수분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씨앗이 성장하여 어린 묘목 등으로 성장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직포 부재(400)를 코코넛 섬유 또는 마 섬유의 천연 식물성 섬유로 제조하여 씨앗의 발아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부직포 부재(400)는 식생 바구니(G)의 철망 망목을 통하여 잡석 및 토사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씨앗을 발아시켜 어린 식물로의 생장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생 철망 바구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G: 식생 바구니 100: 몸체부
110: 전방 벽면 120: 양측 벽면
121: 양측 벽면 130: 후방 벽면
200: 덮개부 300: 물 받이부
400: 부직포 부재 500: 사면

Claims (1)

  1.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토사와 골재가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200)로 이루어지며 하천의 사면에 설치되는 식생 철망 바구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비닐,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물 받이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접힌 상태로 배치되며 코코넛 섬유 또는 마 섬유로 이루어지고 씨앗이 부착된 부직포 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물 받이부(300)의 높이는 상기 몸체부(10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 부재(4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 벽면(110)과, 상기 전방 벽면(110)에 근접한 덮개부(200)의 일부분과, 상기 물 받이부(300)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100)는 하천을 향하는 전방 벽면(110)이 볼록하게 라운드지며,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 벽면(110)을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는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 벽면(120,121), 후방 벽면(130) 및 상기 덮개부(200)를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보다 높도록 형성시키거나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 벽면(110)에 보조 철망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KR2020080014774U 2008-11-05 2008-11-05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KR200444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74U KR200444259Y1 (ko) 2008-11-05 2008-11-05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74U KR200444259Y1 (ko) 2008-11-05 2008-11-05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217 Division 2008-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259Y1 true KR200444259Y1 (ko) 2009-04-22

Family

ID=4134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774U KR200444259Y1 (ko) 2008-11-05 2008-11-05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2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512B1 (ko) * 2016-10-14 2017-01-13 청구산업(주) 수분배출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라운드 식생바구니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바구니 시공방법
KR101694502B1 (ko) * 2016-10-14 2017-01-13 강경실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식생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식생 개비온 시공방법
CN108643118A (zh) * 2018-04-02 2018-10-12 河海大学 一种阶梯式生态护岸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512B1 (ko) * 2016-10-14 2017-01-13 청구산업(주) 수분배출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라운드 식생바구니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바구니 시공방법
KR101694502B1 (ko) * 2016-10-14 2017-01-13 강경실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식생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식생 개비온 시공방법
CN108643118A (zh) * 2018-04-02 2018-10-12 河海大学 一种阶梯式生态护岸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898B2 (ja) 河川護岸及び法面保護用植生マット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固定装置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927393B1 (ko) 생태블록
CN212896401U (zh) 一种生态边坡防护挡墙
CN209260733U (zh) 一种公路土质边坡绿化排水挡墙
KR20060098353A (ko) 식생게비온판넬 및 식생게비온판넬 설치공법
KR200444259Y1 (ko)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KR100889378B1 (ko) 식생주머니가 결합된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하천 곡선부호안의 호안블록 시공방법
KR100644413B1 (ko) 식생 녹화블록
KR100886746B1 (ko)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
CN212052816U (zh) 一种水利施工用护坡装置
SK50582008A3 (sk) Vegetačná strecha, najmä sklonitá a spôsob jej výroby
KR100821351B1 (ko)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20160012390A (ko)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CN207295630U (zh) 一种河道生态护岸
CN207525721U (zh) 一种生态排水沟结构
KR100910736B1 (ko) 식생관을 이용하여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KR101229757B1 (ko) 생태 수로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101191099B1 (ko) 식생 호안블럭
CN206635806U (zh) 一种挡土墙
KR200408274Y1 (ko) 하상(수중)보호용 식생복원 장치
KR100648957B1 (ko) 하천 제방 보호용 생태법면블록 설치구조
JP2005200953A (ja) 法面緑化用擁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