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012Y1 -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 - Google Patents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012Y1
KR200395012Y1 KR20-2005-0012046U KR20050012046U KR200395012Y1 KR 200395012 Y1 KR200395012 Y1 KR 200395012Y1 KR 20050012046 U KR20050012046 U KR 20050012046U KR 200395012 Y1 KR200395012 Y1 KR 200395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door
open
indicat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Priority to KR20-2005-0012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0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operated by the opening or closing of doors, e.g. shop door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화장실 부스의 사용여부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하면서, 화장실 도어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시키지 않고도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화장실 도어의 잠금장치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잠금장치가 Close(잠김)되었을 경우, 사용 중임을 표시하고, 잠금장치가 Open(열림)되었을 경우, 사용 가능함을 표시하도록 된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에 있어서, 상기 표시구에 손가락으로 당겨서 열수 있도록 하는 노브(Kno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는 화장실 부스의 사용여부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함은 물론, 입실 표시구 본체에 포함된 노브에 손가락을 넣고 당겨서 손쉽게 열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실 도어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시키지 않고도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등 기능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Open-close displayer of a toilet booth}
본 고안은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 부스의 도어 잠금장치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면서 "사용 가능한지 사용 중인지"를 표시하도록 된 입실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부스의 도어 내측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도어의 외부에는 입실표시구가 구비된다.
전술한 잠금장치의 손잡이를 돌리게 되면, 회전축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래치가 일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전방벽면 내측에 설치된 걸림구의 통공으로 인서트됨으로써, 도어가 벽면에 대해 고정되어 잠기게 된다.
이때, 전술한 입실표시구는 잠금장치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표시판의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표시판에 표시된 내용을 본체의 표시창으로 외부에 나타내도록 한다.
이와같은 종래 입실 표시구는 화장실 내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는 유용하나, 별도의 도어 손잡이를 화장실 도어에 부설해야 하므로 이에 드는 비용이 과다하여 화장실 도어 설치 공사의 부담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개선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화장실 도어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시키지 않고서도 화장실 입실표시 및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표시구에 손가락으로 당겨서 화장실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노브를 형성 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실도어(40)의 잠금장치(20)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잠금장치(20)가 잠기게 되었을 경우 사용중임을 표시하고, 잠금장치(20)가 열리게 되었을 경우 사용가능함을 표시하도록 된 화장실의 입실표시구(10)에 있어서, 상기 입실표시구(10)의 본체(11) 하방에 전방으로 경사턱(11A)을 형성하여 경사턱(11A) 내측에 노브(12)가 형성되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1)는 본체(11)의 표시창(13) 내측에 표시판(15)이 대응되게 위치되고, 표시판(15)의 회전축(16)을 케이싱(Casing)(14)의 통공(14A)에 끼우되, 회전축(16)의 머리부(16A)는 상기 본체(11)의 통공(11B)에 끼워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16)의 일단은 케이싱(14)의 통공(14A)을 통과하여 잠금장치(20)의 회전축(22)과 결합되게 된다. 이때 잠금장치(20)와 본체(11) 사이에 도어(40)가 위치하며 나사 연결핀(24)에 의해 결합된다.
도면중 21은 잠금장치의 손잡이, 23은 래치, 30은 걸림구, 31은 통공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화장실 내부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1)를 돌려 개폐장치(20)를 개폐함에 따라 걸림구(30)의 통공(31)에 잠금장치(20)의 래치(23)가 걸리거나 해제되게 되는데, 도 6에서와 같이 표시판(15)의 "열림"문자가 표시창(13)에 표시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노브(12)에 손가락을 넣어 걸은 다음 당기게 되면 도어(40)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화장실 도어(40)에 별도의 손잡이(노브)를 부설하지 않고서도 도어(40)의 개폐가 가능한 입실표시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인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는 화장실 부스의 사용여부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함은 물론, 입실 표시구 본체에 포함된 노브에 손가락을 넣고 당겨서 손쉽게 열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실 도어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시키지 않고도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등 기능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과 잠금장치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과 잠금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입실 표시구 11 : 본체
11A : 경사턱 12 : 노브(Knob)
13 : 표시창 14 : 케이싱(Casing)
15 : 표시판 16 : 회전축
20 : 잠금장치 21 : 손잡이
22 : 회전축 23 : 래치(Latch)
24 : 나사연결핀 30 : 걸림구
31 : 통공 40 : 도어

Claims (1)

  1. 화장실도어(40)의 잠금장치(20)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잠금장치(20)가 잠기게 되었을 경우 사용중임을 표시하고, 잠금장치(20)가 열리게 되었을 경우 사용가능함을 표시하도록 된 화장실의 입실표시구(10)에 있어서, 상기 입실표시구(10)의 본체(11) 하방에 전방으로 경사턱(11A)을 형성하여 경사턱(11A) 내측에 노브(12)가 형성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
KR20-2005-0012046U 2005-04-29 2005-04-29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 KR200395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46U KR200395012Y1 (ko) 2005-04-29 2005-04-29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46U KR200395012Y1 (ko) 2005-04-29 2005-04-29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012Y1 true KR200395012Y1 (ko) 2005-09-07

Family

ID=4369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046U KR200395012Y1 (ko) 2005-04-29 2005-04-29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0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012Y1 (ko) 화장실의 입실 표시구
KR200290648Y1 (ko) 화장실용 도어록
US7159909B1 (en) Cabinet enclosure handle
JP2007332658A (ja) 非表示型打掛錠の非常解錠構造
KR100918234B1 (ko) 잠금장치
JP2007056602A (ja) ローラー締りの施錠機構
JP4884952B2 (ja) 面付錠の外装構造
JP2008031666A (ja) 錠装置付引手
AU2010202147B2 (en) Window winder
AU2018271405B2 (en) Window winder
JP4390380B2 (ja) 打掛け錠
KR20040080059A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의 록킹 구조
CN210948037U (zh) 一种插销锁的面板拉手固定结构
JP4415289B2 (ja) 戸体の引手装置
KR200322510Y1 (ko) 표시기구를 가지는 도어잠금장치
KR100422190B1 (ko) 자물쇠뭉치의 좌,우 선택설치가 용이한 전자식도어록장치
JP4506589B2 (ja) 施錠表示装置
JP2015132098A (ja) 施解錠表示機能付きシリンダー錠
JP3164514B2 (ja) 錠の非常解錠装置
KR200447447Y1 (ko)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KR200277659Y1 (ko) 여닫이식 창문의 잠금장치
JP2002295088A (ja) ロック装置を備えた園児用トイレブース
EP3453819A1 (en) A grip assembly for a sliding door and the sliding door having the grip assembly
JP2003064924A (ja) 施錠方法及び施錠装置
KR200200455Y1 (ko) 미세기창의 창문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