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847Y1 - 판재 측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측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847Y1
KR200394847Y1 KR20-2005-0017447U KR20050017447U KR200394847Y1 KR 200394847 Y1 KR200394847 Y1 KR 200394847Y1 KR 20050017447 U KR20050017447 U KR 20050017447U KR 200394847 Y1 KR200394847 Y1 KR 200394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tting
belt
bas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20-2005-0017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8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27B25/02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with feed and pressu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02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 B27B5/06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for dividing plates in parts of determined size,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3/00Arrangements for removing bark-zones, chips, waste, or dust,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wood-working machine or in wood-working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재의 측면을 전문으로 가공하는 판재 측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의 측면을 절단하고, 상기 절단면에 장식띠를 부착시켜 완성되는 판재를 기계 한대의 가공공정에서 모두 작업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가공시간의 단축 및 작업인원의 감축, 그리고 작업기계의 축소화로 인한 작업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켜 고품질의 판재를 저렴하게 제작함은 물론, 대량으로 생산하여 많은 이익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판재 측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측에는 판재를 공급하는 공급부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자동으로 조적되는 조적부가 설치되며, 공급부와 조적부의 사이에 판재의 측면을 가공하는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판재 측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베이스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설치되고, 그 상부에 양측에 롤러가 구비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하측과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공급받아 순환하는 밸트와; 상기 밸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밸트의 상부에 올려진 판재를 눌러주는 다수개의 누름롤러가 구비된 누름부와; 상기 플래이트의 입구측 양측에 설치되고,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초절삭날과 완전절삭날이 구비되어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판재의 양 측면을 설정치수에 맞추어 절단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접착제부착롤러와 회전롤러의 사이로 장식띠뭉치에서 풀려진 장식띠를 공급받아 장식띠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롤러에 의해 절삭부에서 절단된 판재의 측면에 장식띠를 부착하는 띠부착부와; 상기 띠부착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띠부착부에서 부착된 장식띠의 상·하측 여유부분을 상·하측절단칼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단부에서 절단된 장식띠와 판재의 접합부분에 남아있는 접착제가 제거되도록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하부다듬질솔을 이용하여 다듬질하는 다듬질부와; 상기 절삭부와 띠부착부 및 절단부와 다듬질부의 각 하부에 형성된 구조판과; 상기 각 구조판과 베이스의 결합위치에 설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대의 기계에 판재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는 모든 작업부를 설치하되, 상기 작업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판재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공시간의 단축 및 작업인원의 감축, 그리고 작업기계의 축소화로 인한 작업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켜 고품질의 판재를 저렴하게 제작함은 물론, 대량으로 생산하여 많은 이익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판재 측면 가공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A Board Lateral}
본 고안은 판재의 측면을 전문으로 가공하는 판재 측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의 측면을 절단하고, 상기 절단면에 장식띠를 부착시켜 완성되는 판재를 기계 한대의 가공공정에서 모두 작업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가공시간의 단축 및 작업인원의 감축, 그리고 작업기계의 축소화로 인한 작업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켜 고품질의 판재를 저렴하게 제작함은 물론, 대량으로 생산하여 많은 이익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판재 측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에 사용되는 단위부재는, 원목이나 집성목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가구의 원가 절감을 위해 비싼 원목 대신에 집성목을 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집성목은, 목분(木粉)과 종이 및 점착제를 혼합하여 집성한 MDF나, 목분과 점착제를 혼합하여 집성한 PB 로 나뉘어지고, 가구용 판재에 무늬를 형성하는 작업은, 판재의 전면부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 또는 모양을 조각하고 형상의 보존과 가구의 외관을 좀 더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PVC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시트지를 점작체를 이용하여 판재의 표면에 덮어 씌우는 작업인 래핑작업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판재의 측면에도 장식띠를 부착하여 미려함을 강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판재의 측면에 장식띠를 부착함에 있어, 다양한 기계들을 사용하여 가공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많은 작업공간 및 작업자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 판재의 측면을 가공하는 기계는 각각의 공정마다 각각의 기계가 사용되고 있음은 자명하다. 이에 따라 판재의 측면을 절단하는 기계와, 측면이 절단된 판재의 측면에 모양을 형성하는 기계와, 판재의 측면에 장식띠를 부착하는 기계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하나의 판재 측면을 가공하여 장식띠를 부착하는 공정까지 완료하는데 많은 기계가 사용되고, 이에 따라 각 기계들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됨과 함께 많은 작업인력이 소요되었던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0-10953호(가구용 단위부재의 맴브레인 방법 및 장치)는 가구용 단위부재를 성형함에 있어서, 한번의공정으로 가구용 단위부재의 둘레면 및 표면에 무늬나 모양등의 가공 및 그 가공된 모양을 보호하기 위해 가구용 단위부재의 둘레면에 피복층을 씌움에 있어서, 시트지를 피복하는 방법과 열전사지에 의한 열전사방법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는 가구용 단위부재의 맴브레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시트지가 권취된 권취로울러와, 이 권취로울러에 권취된 시트지가 이송됨에 따라 이 시트지에 도포되는 점착제 및 이 점착제가 도포된 시트지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히팅하는 수단인 히터가 포함된 도포단계와, 시선단측으로부터 목재가 투입되어 이송로울러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측면가공작업, 측면샌딩작업, 평면가공작업, 평면샌딩작업, 브러쉬청소 및 소재예열작업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가구용 단위부재의 평면 또는 둘레면에 무늬 및 모양을 가공하는 가공단계와, 상기 가공단계에서 가공된 단위부재가 상기 도포단계로부터 이송되는 시트지와 접함된 후, 이송로울러에 의해 이송되어 진행됨에 따라 히팅작업, 평면로라작업, 1차회타로울러작업, 히팅작업 및 2차회타로울러작업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시트지 점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판재의 측면 및 평면을 가공하는 장치로서, 본원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판재의 측면을 전문으로 가공하는 장치가 아니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판재의 측면을 전문을 가공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은 판재의 측면 및 평면을 동일한 시트지로 점착시켜 구성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판재의 측면을 가공하는 구성과는 상이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판재의 측면을 전문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여 가공시간의 단축 및 작업인원의 감축, 그리고 작업기계의 축소화로 인한 작업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켜 고품질의 판재를 저렴하게 제작함은 물론, 대량으로 생산하여 많은 이익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판재 측면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측에는 판재를 공급하는 공급부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자동으로 조적되는 조적부가 설치되며, 공급부와 조적부의 사이에 판재의 측면을 가공하는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판재 측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베이스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설치되고, 그 상부에 양측에 롤러가 구비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하측과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공급받아 순환하는 밸트와; 상기 밸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밸트의 상부에 올려진 판재를 눌러주는 다수개의 누름롤러가 구비된 누름부와; 상기 플래이트의 입구측 양측에 설치되고,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초절삭날과 완전절삭날이 구비되어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판재의 양 측면을 설정치수에 맞추어 절단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접착제부착롤러와 회전롤러의 사이로 장식띠뭉치에서 풀려진 장식띠를 공급받아 장식띠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롤러에 의해 절삭부에서 절단된 판재의 측면에 장식띠를 부착하는 띠부착부와; 상기 띠부착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띠부착부에서 부착된 장식띠의 상·하측 여유부분을 상·하측절단칼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단부에서 절단된 장식띠와 판재의 접합부분에 남아있는 접착제가 제거되도록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하부다듬질솔을 이용하여 다듬질하는 다듬질부와; 상기 절삭부와 띠부착부 및 절단부와 다듬질부의 각 하부에 형성된 구조판과; 상기 각 구조판과 베이스의 상부에 설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기초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세워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양 고정부를 관통하며 설치 고정되어, 핸들에 의해 자전하고, 양 고정부의 사이 부분에 숫나사가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각 구조판의 하부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나사축의 숫나사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된 플랜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절삭부와 띠부착부의 사이에 판재의 측면에 다양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모양날이 구비된 모양절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식띠의 표면에 코팅띠를 더 부착시키기 위해 다듬질부의 후방에 코팅띠뭉치로 부터 풀려진 코팅띠를 부착롤러가 가압하여 장식띠의 표면에 코팅띠를 코팅시키는 코팅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와 도 1b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고안 판재 측면 가공장치(G)에 의해 가공된 판재(P)의 측면에는 장식띠(A)가 부착되어 그 외관이 화려하고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 판재 측면 가공장치(G)는, 베이스(1)의 중앙에 기초부(2)가 형성되고, 상기 기초부(2)의 상부에 설치된 플래이트(3)의 양측에 절삭부(40)와, 모양절삭부(50), 띠부착부(60), 절단부(70), 다듬질부(80) 등이 설치된 기계로서 판재(P)의 측면을 가공하는 모든 공정을 한번에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공장치(G)의 입구측에는 판재(P)가 공급되는 다수개의 롤러(H1)가 구비된 공급부(H)가 설치되고, 상기 가공장치(G)의 출구측에는 판재(P)가 조적되는 다수개의 롤러(L1)가 구비된 조적부(L)가 설치된다.
즉, 가공될 판재(P)가 공급부(H)에 올려지면 공급부(H)의 롤러(H1)에 의해 판재(P)가 가공장치(G)로 공급되고, 상기 가공장치(G)의 입구측에는 고정구(30)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31)가 판재(P)의 설정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준 후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31)는 고정구(3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이동하며 고정되어, 판재(P)의 크기에 맞추어 가이드(31)를 고정구(30)에 고정하면 다양한 크기의 판재(P)를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31)를 통과하는 판재(P)는, 플래이트(3)의 양측에 형성된 롤러(3a)와 플래이트(3)의 상부를 순환하는 밸트(6)가 판재(P)의 하부를 지지하고, 밸트(6)의 상측에 설치된 누름부(4)에 구비된 누름롤러(5)가 판재(P)의 상부를 눌러주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모터(8)에 의해 순환하는 밸트(6)에 의해 판재(P)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트(6)의 상면과 플레이트(3)에 결합된 롤러(3a)의 상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밸트(6)는 모터(8)에 결합된 회전기어(9)와 순환되는 밸트(6)의 내측면에 구비된 기어(7)의 치합에 의해 모터(8)의 회전력에 의해 밸트(6)가 순환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밸트(6)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밸트(6)의 순환되는 내부의 다수개소에는 롤러(미도시)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절삭부(40)와 모양절삭부(50) 및 띠부착부(60), 절단부(70), 다듬질부(80) 등의 하부에는 각각 구조판(20)이 결합되고, 상기 구조판(20)과 베이스(1)는 위치이동수단(G)으로 결합되어 베이스(1)의 상부에서 판재(P)의 크기에 맞추어 구조판(20)이 이동하여 고정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베이스(1)의 상면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양측에 고정부(1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a)를 관통하며 설치되고 일측에 형성된 핸들(10)에 의해 자전하며 고정부(1a)와 고정부(1a)의 사이 부분에 숫나사(11a)가 형성된 나사축(11)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a)와 고정부(1a)의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나사축(11)과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부(22)가 형성된 플랜지부(21)가 구조판(2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일 예로서 핸들(10)을 좌측으로 돌리게 되면, 나사축(11)이 자전하게 되고, 나사축(11)의 숫나사(11a)와 체결된 암나사부(22)가 형성된 플랜지부(21)는 나사축(11) 방향으로 전진하며 구조판(20)이 기초부(2)와 가깝게 위치됨으로서, 작은 크기의 판재(P)를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10)을 우측으로 돌리게 되면, 자전하는 나사축(11)의 숫나사(11a)와 체결된 암나사부(22)가 형성된 플랜지부(21)가 나사축(11) 방향으로 후진하며 구조판(20)이 기초부(2)와 멀어지게 위치됨으로서, 큰 크기의 판재(P)를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판재(P)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구조판(20) 하부에 설치된 핸들(10)을 회전시키면 각각의 구조판(20)의 위치가 용이하게 변경되므로 다양한 판재(P)의 크기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조판(20)을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구조판(20) 상부에 각각의 작업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한꺼번에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해도 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어 밸트(60)에 의해 이송되는 판재(P)는 절삭부(4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절삭부(40)에 설치된 기초절삭날(41)과 완전절삭날(42)에 의해 판재(P)의 측면이 설정치수만큼 절삭된다.
즉,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 가공장치의 절삭부를 보인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도면과 같이 절삭부(40)의 판재(P)가 진입하는 방향에는 모터(41a)에 의해 회전하는 기초절삭날(41)이 설치되어, 판재(P)의 절삭부분에 약간의 홈을 형성하여 완전절삭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절삭날(41)에 의해 홈이 형성된 후에는, 모터(42a)에 의해 회전하는 완전절삭날(42)을 판재(P)가 통과하며 절삭부분이 완전히 절삭된다. 이때 상기 기초절삭날(41)을 설치하지 않고 완전절삭날(42) 만을 설치하여 판재(P)의 절삭부분을 완전히 절삭해도 되지만, 완전절삭날(42) 하나만을 이용하여 판재(P)의 측면을 절삭하면 판재(P)의 절삭면이 거칠어짐은 물론, 절삭시 부하가 많이 발생되어 판재(P)가 삐뚤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기초절삭날(41)과 완전절삭날(42)을 함께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삭시에는 분진이 많이 발생되는 바, 상기 절삭부(40)의 외주연을 덮는 케이스(43)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43)의 상부에는 펌프에 의해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44)이 결합되어 절삭시 발생되는 모든 분진을 전량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 가공장치의 모양절삭부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양절삭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판재의 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모양절삭부(50)에는 판재(P)의 측면에 모양을 형성하는 모양날(51)이 하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며 판재(P)의 측면에 모양을 형성하게 되는 바, 우선 판재(P)의 측면을 평탄하게 다듬는 모양날(51)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모양날(51)을 부착하여 판재(P)의 측면에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 가공장치의 띠부착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판재(P)의 측면에는 다양한 장식이 표현된 장식띠(A)가 부착되는 바, 상기 베이스(1)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축(68)이 설치된 공급판(67)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판(67)의 상부에는 축(68)에 결합되어 자유회전되는 장식띠뭉치(A1)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띠뭉치(A1)에서 풀려진 장식띠(A)는 다수개의 안내롤러(61)를 지나 회전롤러(63)와 접착제부착롤러(62)의 사이에 압지되어, 회전롤러(63)의 회전에 의해 장식띠(A)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부착롤러(62)의 외주면에는 접착제가 표면에 내포되어 장식띠(A)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고, 회전롤러(63)의 회전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장식띠(A)가 공급되는 판재(P)의 측면에 접하며 판재(P)와 함께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판재(P)와 장식띠(A)가 접한 상태로 이송되다가 띠부착부(60)에 설치된 압착롤러(66)를 통과하며 장식띠(A)가 판재(P)의 측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롤러(63)와 압착롤러(66)의 사이에는 절삭실린더(64)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칼날(64a)과 받침구(64b)가 설치되는 바, 상기 칼날(64a)과 받침구(64b)의 사이로 장식띠(A)가 통과하도록 하여 하나의 판재(P)에 장식띠(A)가 부착된 후에는 절삭실린더(64)가 동작하여 장식띠(A)를 절단함으로서, 장식띠(A)의 과다사용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띠부착부(60)에는 센서(65)가 설치되어 판재(P)의 유무에 따라 회전롤러(63)와 절삭실린더(64)의 동작을 제어하여 장식띠(A)의 과다사용 및 판재(P)에 적당한 길이의 장식띠(A)가 부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장식띠뭉치(A1)가 결합된 공급판(67)을 띠부착부(60) 즉, 베이스(1)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시키되, 그 이격되는 거리는 하나의 판재(P) 측면에 부착되는 장식띠(A)의 길이보다 1.5배 이상 이격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장식띠뭉치(A1)에서 띠부착부(60)가 가깝도록 설치하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가공장치(G)에 의해 장식띠뭉치(A1)의 마지막 장식띠(A) 부분이 끝나는 시점을 체크하지 못하여 판재(P)의 측면 일부분에만 장식띠(A)가 부착되어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장식띠뭉치(A1)를 띠부착부(60)에서 일정거리(하나의 판재 측면에 부착되는 장식띠 길이의 1.5배 이상) 이격되도록 설치하면, 장식띠(A)의 마지막 부분이 체크되어도 하나의 판재(P)를 더 가공할 수 있는 길이가 되므로, 마지막 판재(P)를 가공한 후에 가공장치(G)를 멈추고, 새로운 장식띠뭉치(A1)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7의 띠부착부에서 장식띠가 부착된 상태의 판재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 가공장치의 절단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과 같이, 상기 판재(P)의 측면에 장식띠(A)가 부착되면 판재(P)의 두께보다 장식띠(A)의 넓이가 넓어 장식띠(A)의 여유분을 절단부(70)에서 절단하게 되는 바, 상기 절단부(70)는 상·하측절단칼(71)(72)이 판재(P)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상·하부에 설치되어 판재(P)가 이송되며 자연스럽게 상·하측절단칼(71)(72)에 의해 장식띠(A)의 여유분이 절단된다.
이때, 상기 장식띠(A)의 넓이를 판재(P)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면, 절단부(70)를 삭제하여 가공장치(G)를 구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고안 가공장치의 다듬질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과 같이, 상기 판재(P)의 측면에 장식띠(A)가 부착되고, 장식띠(A)의 여유분이 절단되면 장식띠(A)와 판재(P)의 측면 접착부분에는 접착제부착롤러(62)에 의해 도포된 접착제가 남아있게 되므로, 다듬질부(80)에서는 각각의 모터(82)(84)에 의해 회전하며 판재(P)의 측면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부다듬질솔(83)(81)이 남아있는 접착제를 없애고 장식띠(A)와 판재(P)가 더욱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다듬질하여 준다.
이와 같이, 상기 다듬질부(80)에서의 공정까지 완료된 판재(P)는 조적부(L)의 롤러(L1)로 이송되어 자동조적되어 포장 및 출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고안 가공장치에 부설되는 코팅부를 보인 평면도로서, 상기 조적부(L)로 판재(P)가 이송되기 전에 판재(P)의 측면에 부착된 장식띠(A)의 표면에 코팅띠(C)를 더 부착하도록 가공장치(G)의 출구측에 코팅부(90)를 더 구성하여, 코팅띠(C)에 의해 장식띠(A)를 보호함은 물론, 고급스러움을 한층 더 부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즉, 상기 코팅부(90)는 판재(P)의 이송방향 전방측에 설치된 공급부(91)의 축(91a)에 코팅띠뭉치(C1)가 자유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코팅띠뭉치(C1)에서 풀려진 코팅띠(C)는 다수개의 이송롤러(93)를 지나 부착케이스(94)의 내부에 설치된 부착롤러(95)를 통과하게 되고, 다시 다수개의 이송롤러(93)를 지나서 축(92a)에 의해 감기는 감김부(92)로 다시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감김부(92)의 회전에 의해 코팅띠뭉치(C1)에서 코팅띠(C)가 풀어지게 되며, 판재(P)가 이송되어 오면, 감김부(92)의 축(92a)이 회전하며 코팅띠(C)를 풀어줌과 동시에 부착롤러(95)가 판재(P)의 측면, 즉 장식띠(A) 표면을 압착하며 장식띠(A) 표면에 코팅띠(C)를 부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코팅띠(C)는 코팅면과 가이드면으로 이루어져 코팅면과 가이드면이 함께 코팅띠뭉치(C1)에서 풀려진 상태로 이송롤러(93)를 통해 부착롤러(95)로 공급되고, 상기 부착롤러(95)에서 판재(P)의 장식띠(A) 표면을 압착하며 코팅띠(C)를 눌러주어 장식띠(A) 표면에 코팅면이 코팅되고 가이드면은 그대로 통과되어 이송롤러(93)를 통해 감김부(92)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코팅띠(C)는 현재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에 의한 코팅띠(C)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코팅띠(C)가 부착된 판재(P)는 조적부(L)로 이송되어 자동으로 조적되어 포장 및 출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띠부착부(60)에만 센서(65)를 설치하여 센서(65)의 감지에 의해 주변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센서(65)는 절삭부(40)와 모양절삭부(50) 및 다듬질부(80)와 코팅부(90)에 각각 설치하여 판재(P)가 이송되었을 경우에만 각각의 공정이 진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래이트(3)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부들을 설치하여 판재(P)의 양 측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으나, 판재(P)의 일측면 만을 가공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3)의 일측에만 작업부들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공하는 종류에 따라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부들 중 특정 작업부만을 설치하여 판재(P)의 일측면이나 양측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 판재 측면 가공장치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대의 기계에 판재의 측면을 가공할 수 있는 모든 작업부를 설치하되, 상기 작업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판재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공시간의 단축 및 작업인원의 감축, 그리고 작업기계의 축소화로 인한 작업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켜 고품질의 판재를 저렴하게 제작함은 물론, 대량으로 생산하여 많은 이익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b에서와 같이 본 고안 절삭부의 기초절삭날과 완전절삭날은 판재의 하부측에서 가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나, 종래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초절삭날은 판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완전절삭날은 판재의 상부에서 가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분진이 상하부에서 발생되어 분진 흡수장치를 본 고안에서와 같이 설치하더라도, 전량 흡수되지 않고 작업공간으로 펴지게 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를 최대한으로 예방하기 위해 각각의 작업기계를 덥는 천막을 각각 치고, 천막의 내부에서 작업공간 외부로 분진을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설치하여 분진에 의해 피해를 줄였으나, 천막에 의해 작업공간의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분진이 다소 작업공간으로 배출되어 이또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라 기초절삭날과 완전절삭날을 판재의 하부에서 가공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서, 분진이 발생되는 부분이 통일화되어 작은 케이스를 이용해도 발생되는 분진 전량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이롭게 하는 매우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a와 도 1b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 가공장치의 절삭부를 보인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가공장치의 모양절삭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양절삭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판재의 측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 가공장치의 띠부착부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띠부착부에서 장식띠가 부착된 상태의 판재 도면,
도 9는 본 고안 가공장치의 절단부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 가공장치의 다듬질부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 가공장치에 부설되는 코팅부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코팅부에 의해 가공된 상태의 판재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판재 A - 장식띠
G - 가공장치 H - 공급부
L - 조적부 W - 위치이동수단
1 - 베이스 3 - 플래이트
6 - 밸트 11 - 나사축
20 - 구조판 30 - 고정구
40 - 절삭부 50 - 모양절삭부
60 - 띠부착부 70 - 절단부
80 - 다듬질부 90 - 코팅부

Claims (4)

  1. 일측에는 판재(P)를 공급하는 공급부(H)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자동으로 조적되는 조적부(L)가 설치되며, 공급부(H)와 조적부(L)의 사이에 판재(P)의 측면을 가공하는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판재 측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베이스(1)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설치되고, 그 상부에 양측에 롤러(3a)가 구비된 플레이트(3)가 설치되는 기초부(2)와;
    상기 기초부(2)의 하측과 플레이트(3)의 상면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모터(8)에 의해 회전력을 공급받아 순환하는 밸트(6)와;
    상기 밸트(6)의 상부에 설치되어 밸트(6)의 상부에 올려진 판재(P)를 눌러주는 다수개의 누름롤러(5)가 구비된 누름부(4)와;
    상기 플래이트(3)의 입구측 양측에 설치되고, 각각의 모터(41a)(42a)에 의해 회전하는 기초절삭날(41)과 완전절삭날(42)이 구비되어 공급부(H)에 의해 공급된 판재(P)의 양 측면을 설정치수에 맞추어 절단하는 절삭부(40)와;
    상기 절삭부(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접착제부착롤러(62)와 회전롤러(63)의 사이로 장식띠뭉치(A1)에서 풀려진 장식띠(A)를 공급받아 장식띠(A)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롤러(66)에 의해 절삭부(40)에서 절단된 판재(P)의 양측면에 장식띠(A)를 부착하는 띠부착부(60)와;
    상기 띠부착부(60)의 후방에 설치되어, 띠부착부(60)에서 부착된 장식띠(A)의 상·하측 여유부분을 상·하측절단칼(71)(72)로 절단하는 절단부(70)와;
    상기 절단부(7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단부(70)에서 절단된 장식띠(A)와 판재(P)의 접합부분에 남아있는 접착제가 제거되도록 각각의 모터(84)(82)에 의해 회전하는 상·하부다듬질솔(83)(81)을 이용하여 다듬질하는 다듬질부(80)와;
    상기 절삭부(40)와 띠부착부(60) 및 절단부(70), 다듬질부(80)의 각 하부에 형성된 구조판(20)과;
    상기 각 구조판(20)과 베이스(1)의 결합위치에 설정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W)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측면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수단(W)은,
    상기 베이스(1)의 기초부(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세워설치되는 고정부(1a)와;
    상기 양 고정부(1a)를 관통하며 설치 고정되어, 핸들(10)에 의해 자전하고, 양 고정부(1a)의 사이 부분에 숫나사(11a)가 형성된 나사축(11)과;
    상기 각 구조판(20)의 하부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나사축(11)의 숫나사(11a)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부(22)가 구비된 플랜지(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측면 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40)와 띠부착부(60)의 사이에 판재(P)의 측면에 다양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모양날(51)이 구비된 모양절삭부(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측면 가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띠(A)의 표면에 코팅띠(C)를 더 부착시키기 위해 다듬질부(80)의 후방에 코팅띠뭉치(C1)로 부터 풀려진 코팅띠(C)를 부착롤러(95)가 가압하여 장식띠(A)의 표면에 코팅띠(C)를 코팅시키는 코팅부(9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측면 가공장치.
KR20-2005-0017447U 2005-06-17 2005-06-17 판재 측면 가공장치 KR200394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447U KR200394847Y1 (ko) 2005-06-17 2005-06-17 판재 측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447U KR200394847Y1 (ko) 2005-06-17 2005-06-17 판재 측면 가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159A Division KR20060132066A (ko) 2005-06-17 2005-06-17 판재 측면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847Y1 true KR200394847Y1 (ko) 2005-09-07

Family

ID=4369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447U KR200394847Y1 (ko) 2005-06-17 2005-06-17 판재 측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8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2066A (ko) 판재 측면 가공장치
US8002943B2 (en) Manufacturing process and system for floor tile
KR100719998B1 (ko) 천연무늬목을 이용한 화장판 및 마루판의 제조 방법
CN113103393B (zh) 一种v型槽木饰面折弯成型工艺
US3011932A (en) Adhesive-bearing veneer strip material, process of making same and process of applying same to plywood panel edges
ITMO20090235A1 (it) Metodo e apparato per preparare alla bordatura un pannello
USRE46070E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grooved substrate
KR200394847Y1 (ko) 판재 측면 가공장치
ITMO20090298A1 (it) Apparato e metodo di incollaggio
CN102390064A (zh) 一种复合涂装木制品的生产方法
KR102185546B1 (ko) 상부면 에지턱에 전사지가 형성된 mdf 양각 판재
ITMO20070245A1 (it) Dispositivo
JPH0329542B2 (ko)
KR200320292Y1 (ko) 접착매개액 도포수단을 갖는 열전사기
KR200215517Y1 (ko) 천연목재를 이용한 래핑시트 및 우드롤
KR101935496B1 (ko) 접착제 임시저장부를 구비하는 에지밴딩기의 접착제 도포장치
KR20000038190A (ko) 목재패널 가공방법
CN211662251U (zh) 一体化横向竹蔑帘全自动设备
KR20050077448A (ko) 목재패널의 에지가공장치
KR100226188B1 (ko) 돗자리 제조방법
JPH072325B2 (ja) 突板を使用した化粧材の製造方法
KR20000030519A (ko) 가구용 단위부재의 맴브레인 방법 및 장치
KR100621987B1 (ko) 가구용 판재의 가공방법 및 가구용 판재
US20150041041A1 (en) Manufacturing millwork components
KR20150045824A (ko) 표면에 입체적인 무늬가 형성된 가구용 판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