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213Y1 -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213Y1
KR200394213Y1 KR20-2005-0016004U KR20050016004U KR200394213Y1 KR 200394213 Y1 KR200394213 Y1 KR 200394213Y1 KR 20050016004 U KR20050016004 U KR 20050016004U KR 200394213 Y1 KR200394213 Y1 KR 200394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nveyor
magnetic roller
hollow
magne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준길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엘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엘에스
Priority to KR20-2005-0016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8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s being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의 마그네틱 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반력에 의하여 마그네틱 부재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그네틱 부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중공이 관통 형성된 마그네틱 부재;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1 중공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제1 중공에 삽입될 수 있는 몸체와, 몸체의 일단에 마그네틱 부재의 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랜지부 및,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1 나사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제1 나사부와 체결됨으로써 마그네틱 부재의 측면과 접하여 마그네틱 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고, 고정 부재를 샤프트에 고정하는 제1 너트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Magnetic roller for conveyor}
본 고안은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의 마그네틱 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반력에 의하여 마그네틱 부재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그네틱 부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소정 거리 사이에서 화물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장치이다. 컨베이어는 산업 형태가 분업화, 자동화됨에 따라 공장이나 유통 단지 등에서 제품의 운송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12) 및, 구동 샤프트(12)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종동 샤프트(18)를 포함한다.
구동 샤프트(12)는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된다. 구동 샤프트(12)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제1 마그네틱 롤러(1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마그네틱 롤러(13)는 마그네틱 부재(14)와, 마그네틱 부재(14)에 삽입되는 연결 부재(15) 및, 연결 부재(15)에 삽입되는 슬리브 부재(16)를 포함한다.
마그네틱 부재(14)는 자력을 가진 부재로서, 종동 샤프트(18)에 설치된 제2 마그네틱 롤러(19)의 마그네틱 부재와 인력 및 반력을 서로 작용하며 회전력을 전달한다.
연결 부재(15)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연결 부재(15)는 그 내면에 형성된 돌기(15a) 및, 소정 구간에 형성된 제1 형합부(15b)를 포함한다.
슬리브 부재(16)는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탄성부(16a)와, 돌기(15a)와 형합하도록 탄성부(16a)에 형성된 요홈(16b) 및, 제1 형합부(15b)와 대응되도록 탄성부(16a)에 형성된 제2 형합부(16c)를 포함한다.
슬리브 부재(16)가 연결 부재(15)에 삽입되면, 요홈(16b)에 돌기(15a)가 삽입되고, 제1 형합부(15b)와 제2 형합부(16c)가 서로 형합하여 헛도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부(16a)는 구동 샤프트(12)와 슬리브 부재(16)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종동 샤프트(18)는 구동 샤프트(12)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종동 샤프트(18)는 그 끝단에 설치된 제2 마그네트 롤러(19)를 구비한다. 제2 마그네트 롤러(19)는 제1 마그네틱 롤러(13)의 상부에 설치된다. 즉, 제1,2 마그네틱 롤러(13)(19)의 인력과 반력에 의하여 구동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제2 마그네틱 롤러(19)는 마그네틱 부재와, 마그네틱 부재에 삽입되는 연결 부재 및, 연결 부재에 삽입되는 슬리브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 부재와 연결 부재 및 슬리브 부재는 전술한 제1 마그네틱 롤러(13)의 마그네틱 부재(14)와 연결 부재(15) 및 슬리브 부재(16)와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마그네틱 롤러(13)(19)를 이용하면 인력과 반력에 의한 비접촉 방식으로 구동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분진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10)는 LCD 기판, PDP, PCB, 반도체 부품의 운반 등과 같이 먼지 발생이 허용되지 않는 작업 공간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마그네틱 롤러(13)(19)는 연결 부재(15)와 슬리브 부재(16)에 의한 고정력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마그네틱 부재(14)가 임의로 이동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제1 마그네틱 롤러(13)의 마그네틱 부재(14)는 제2 마그네틱 롤러(19)의 마그네틱 부재와의 상호 작용 즉, 인력과 반력으로 인하여 구동 샤프트(12)를 따라 임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롤러(13)(19)는 연결 부재(15)와 마그네트 부재(14)가 서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연결 부재(15)와 마그네트 부재(14) 사이에서 구동 샤프트(12)의 회전력이 손실되어 LCD 기판, PDP 등을 정확하게 이송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마그네틱 롤러(13)(19)는 구동 샤프트(12)과 슬리브 부재(16) 사이에서도 회전력이 손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탄성부(16a)의 탄성력이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탄성부(16a)와 구동 샤프트(12)가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틱 롤러(13)(19)를 구동 샤프트(12) 또는 종동 샤프트(18)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연결 부재(15)를 마그네틱 부재(14)의 중공부(14a)에 삽입한 후, 슬리브 부재(16)를 연결 부재(15)에 삽입하여야 한다. 이 때, 돌기(15a)가 요홈(16b)에 삽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마그네틱 롤러(13)(19)를 샤프트(12)(18)에 설치하기 위한 공정이 단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그네틱 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반력에 의하여 마그네틱 부재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그네틱 부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설치 공정이 단순하고 간편한,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중공이 관통 형성된 마그네틱 부재;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제1 중공에 삽입될 수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마그네틱 부재의 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1 나사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나사부와 체결됨으로써 마그네틱 부재의 측면과 접하여 마그네틱 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고, 고정 부재를 샤프트에 고정하는 제1 너트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나사부; 및, 상기 제2 나사부와 체결됨으로써 고정 부재를 샤프트에 고정하는 제2 너트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나사부는 원형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편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나사부는 원형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편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탄성편은 상기 몸체 쪽에서부터 그 끝단을 향하여 테이퍼진다.
또한, 상기 제1 중공의 내주면에는 소정구간의 제1 평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평탄부와 대응되는 제2 평탄부가 형성되며, 제1,2 평탄부에 의하여 마그네틱 부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마그네틱 롤러가 구동 샤프트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마그네틱 롤러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마그네틱 롤러(100)는 컨베이어(50)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컨베이어(5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100)는 마그네틱 부재(20)와, 마그네틱 부재(20)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30) 및, 고정 부재(30)와 체결되어 마그네틱 부재(20)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너트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 롤러(100)는 구동 샤프트(51) 및/또는 종동 샤프트(57)에 설치된다. 구동 샤프트(51)는 구동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고, 종동 샤프트(57)는 구동 샤프트(51)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구동 샤프트(51)에는 마그네틱 롤러(100)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종동 샤프트(57)에는 그 끝단에 마그네틱 롤러(100)가 설치된다. 즉, 종동 샤프트(57)의 마그네틱 롤러(100)가 구동 샤프트(51)의 마그네틱 롤러(100) 상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마그네틱 롤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샤프트(51) 및/또는 종동 샤프트(57)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그네틱 롤러(100)가 구동 샤프트(51)에 설치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 부재(20)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중공(22)을 포함한다. 마그네틱 부재(20)는 인력과 반력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51)의 회전력을 종동 샤프트(57)에 전달한다.
상기 고정 부재(30)는 몸체(31)와, 몸체(31)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35) 및, 몸체(31)의 타단에 형성된 제1 나사부(37)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1)는 제1 중공(22)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제1 중공(22)에 삽입된다. 몸체(3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중공(32)이 관통 형성된다. 제2 중공(32)에는 구동 샤프트(51)가 삽입된다.
상기 플랜지부(35)는 마그네틱 부재(20)의 측면(23)에 접할 수 있도록 몸체(31)의 일단에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플랜지부(35)는 후술하는 제1 나사부(37) 및 제1 너트부재(40)와 함께 마그네틱 부재(20)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나사부(37)는 몸체(31)의 타단에 형성된다. 제1 나사부(37)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나사부(37)는 제1 너트부재(40)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나사부(37)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탄성편(38)이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나사산은 제1 탄성편(38)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제1 탄성편(38)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탄성편(38)에 제1 너트부재(40)가 체결되면 제1 탄성편(38)은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51)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51)의 회전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탄성편(38)은 몸체(31) 쪽에서부터 그 끝단을 향하여 테이퍼진다. 제1 탄성편(38)의 끝단이 몸체(31) 쪽보다 얇게 형성되면 제1 탄성편(38)의 탄성력이 커지기 때문에 구동 샤프트(51)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너트부재(40)는 제1 나사부(37)와 체결되면 마그네틱 부재(20)의 측면(24)과 접하게 되어 마그네틱 부재(20)의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너트부재(40)는 제1 나사부(37)와 체결되어 고정부재(30)를 구동 샤프트(51)에 고정한다. 제1 너트부재(40)에는 제1 나사부(37)의 나사산과 형합되는 나사산이 그 내주면에 형성된다. 제1 너트부재(40)의 내주면은 테이퍼진 제1 나사부(37)와 상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중공(22)의 내주면에는 소정 구간의 제1 평탄부(도 7의 26)가 형성되고, 몸체(30)의 외주면에는 제1 평탄부(26)와 대응되는 제2 평탄부(3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30)가 제1 중공(22)에 삽입되면 제1 평탄부(26)와 제2 평탄부(39)가 서로 형합된다. 즉, 제1,2 평탄부(26)(39)는 마그네틱 부재(2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미설명 참조부호 90은 이송되는 화물이고, 58은 종동 샤프트(57)에 설치되어 화물(90)을 지지하며 이송하는 로울러이며, 59는 이송되는 화물(90)을 측면에서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상기 마그네틱 롤러(100a)는 마그네틱 부재(20)와, 마그네틱 부재(20)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30a) 및, 고정 부재(30a)에 체결되는 제1,2 너트부재(40)(40a)를 포함한다. 마그네틱 부재(20)와 제1 너트부재(40)는 전술한 실시예의 마그네틱 부재(20) 및 제1 너트부재(40)와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 부재(30a)는 몸체(31)와, 몸체(31)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35)와, 몸체(31)의 타단에 형성된 제1 나사부(37) 및, 플랜지부(35)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나사부(37a)를 포함한다. 몸체(31)와, 플랜지부(35) 및, 제1 나사부(37)는 상술한 바 있다.
상기 제2 나사부(37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나사부(37a)는 제2 너트부재(40a)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나사부(37a)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탄성편(38a)이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나사산은 제2 탄성편(38a)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탄성편(38a)은 몸체(31) 쪽에서부터 그 끝단을 향하여 테이퍼진다. 제2 탄성편(38a)의 끝단이 몸체(31) 쪽보다 얇게 형성되면 제2 탄성편(38a)의 탄성력이 커지기 때문에 구동 샤프트(51)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너트부재(40a)는 제2 나사부(37a)와 체결되어 마그네틱 롤러(100a)를 구동 샤프트(51)에 고정한다. 제2 너트부재(40a)에는 제2 나사부(37a)의 나사산과 형합되는 나사산이 그 내주면에 형성된다. 제2 너트부재(40a)의 내주면은 테이퍼진 제2 나사부(37a)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100)를 구동 샤프트(51)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마그네틱 부재(20)의 제1 중공(22)에 고정부재(30)의 몸체(31)를 삽입한다. 이 때, 제1 평탄부(26)와 제2 평탄부(39)가 서로 대응되도록 삽입한다.
이어서, 몸체(31)의 제2 중공(32)에 구동 샤프트(51)를 삽입한 후, 몸체(31)와 마그네틱 부재(20)를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제1 너트부재(40)를 제1 나사부(37)와 체결시킨다. 제1 너트부재(40)가 제1 나사부(37)에 체결되면, 제1 너트부재(40)가 마그네틱 부재(20)의 측면(24)과 접하게 됨으로써 마그네틱 부재(20)의 이동이 방지되고, 고정 부재(30)와 구동 샤프트(51)가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그네틱 롤러(100)는 구동 샤프트(51)에 설치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마그네틱 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반력에 의하여 마그네틱 부재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마그네틱 부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구동 샤프트 또는 종동 샤프트에 설치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간편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틱 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그네틱 롤러가 구동 샤프트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그네틱 롤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마그네틱 롤러가 구동 샤프트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마그네틱 롤러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20 : 마그네틱 부재 30 : 고정 부재
40 : 제1 너트부재 50 : 컨베이어
90 : 화물 100 :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Claims (6)

  1. 길이 방향으로 제1 중공이 관통 형성된 마그네틱 부재;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중공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제1 중공에 삽입될 수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마그네틱 부재의 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1 나사부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나사부와 체결됨으로써 마그네틱 부재의 측면과 접하여 마그네틱 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고, 고정 부재를 샤프트에 고정하는 제1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나사부; 및,
    상기 제2 나사부와 체결됨으로써 고정 부재를 샤프트에 고정하는 제2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는 원형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편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부는 원형을 이루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편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탄성편은 상기 몸체 쪽에서부터 그 끝단을 향하여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의 내주면에는 소정구간의 제1 평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평탄부와 대응되는 제2 평탄부가 형성되며, 제1,2 평탄부에 의하여 마그네틱 부재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KR20-2005-0016004U 2005-06-03 2005-06-03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KR200394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004U KR200394213Y1 (ko) 2005-06-03 2005-06-03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004U KR200394213Y1 (ko) 2005-06-03 2005-06-03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213Y1 true KR200394213Y1 (ko) 2005-09-01

Family

ID=4369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004U KR200394213Y1 (ko) 2005-06-03 2005-06-03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2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04B1 (ko) 2006-12-29 2008-02-05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KR100833881B1 (ko) * 2007-02-20 2008-06-02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KR20220015140A (ko) 2020-07-30 2022-02-08 김태형 마그네틱 이송롤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04B1 (ko) 2006-12-29 2008-02-05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KR100833881B1 (ko) * 2007-02-20 2008-06-02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KR20220015140A (ko) 2020-07-30 2022-02-08 김태형 마그네틱 이송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213Y1 (ko)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롤러
JP6414168B2 (ja) 仮締め工具
JP2006076301A5 (ko)
JPH04358606A (ja) ローラーコンベア
KR20130000764U (ko) 마그네틱 기어의 축 결합구조
KR200394212Y1 (ko) 오링 부재를 구비하는 로울러 및 그 설치 구조
KR100814337B1 (ko) 컨베이어용 마그네틱 홀더
JP2016138000A5 (ko)
JP2010089937A (ja) 搬送ローラ、及びこれを備えた基板搬送部材
KR20000035442A (ko) 전자 부품 이송장치
KR20110004377U (ko) 이송장치의 롤러
TW201405015A (zh) 鎖固組件
JP2006089148A (ja) 基板搬送用ローラー
JP4665256B2 (ja) パネル用アンカー
KR100519791B1 (ko) 모터고정장치
KR102516929B1 (ko) 2축 구동 장치
CN219135606U (zh) 中间接驳装置及输送系统
US9193054B2 (en) Pneumatic impact tool with a spindle positioning device
KR100625312B1 (ko) 기판 이송에 이용되는 롤러 어셈블리
JP2022143018A (ja) 仮締め工具
KR200452298Y1 (ko) 초정밀 위치결정 스테이지
JP2010208785A (ja) ワーク送り搬送装置、プーリ
KR20160046765A (ko) 엘이디칩 홀딩용 지그
KR20010026348A (ko) 공작물 선형 이송장치
JP2008261378A (ja) ネジの抜け止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