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560Y1 - 안전문 - Google Patents

안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560Y1
KR200393560Y1 KR20-2005-0016878U KR20050016878U KR200393560Y1 KR 200393560 Y1 KR200393560 Y1 KR 200393560Y1 KR 20050016878 U KR20050016878 U KR 20050016878U KR 200393560 Y1 KR200393560 Y1 KR 200393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ll
support rod
tak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원철
Original Assignee
노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원철 filed Critical 노원철
Priority to KR20-2005-0016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지봉에 수용되며 탄성적으로 회전지지되는 권취롤로부터 권출된 연질부재를 여닫이문에 고정함으로써, 문의 급격한 개폐를 방지하고 문틈을 폐쇄하여 소음을 감소시키고 사용수명을 연장하며 문틈에 손가락이 끼는 등의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문틀과 문짝의 사이에 구비된 경첩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여닫이문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지지되는 권취롤과; 문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롤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권취롤을 감싸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권취롤에 감겨지며, 자유단이 지지봉의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권출되어 문짝에 고정되는 연질부재; 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전문{SAFETY DOOR}
본 고안은 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과 여닫이문의 틈새를 폐쇄하고 문이 부드러우면서도 천천히 개폐되도록 하여 소음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Door Hinge)은 안팎으로 밀거나 당겨서 여는 문이나 창을 말하며, 문틀(문설주)과 문짝의 가장자리에 쇠로 만든 암수 경첩(돌쩌귀)를 박고 이 경첩을 회전축으로 해서 안팎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연다.
보통 회전축 역할을 하는 경첩 2~3쌍을 달아 문을 떠받치고 경첩을 단 문 가장자리의 맞은편 가장자리의 중간쯤에 안팎으로 손잡이를 달게 되며, 힘이 작용하는 손잡이와 회전축인 경첩의 거리가 멀수록 문이 잘 열린다.
이것은 한옥의 대문과 방문에 많이 사용되며 대부분 바깥에서 열 때는 앞으로 잡아당기고 안쪽에서 열 때는 밖으로 밀어내는 형태를 취하는데, 예외적으로 안쪽으로 열리는 문도 있다.
여닫이문이 하나인 것을 외여닫이문이라 하고 여닫이 2개가 좌우대칭으로 마주해 가운데서 좌우 바깥으로 열리는 여닫이문을 쌍여닫이문이라 하며, 좌우로 밀어서 열고닫는 미닫이문과 대별된다.
그런데, 경첩만이 설치된 채로 미닫이문을 사용하는 경우에 문이 급격하게 개폐되어 소음이 심할 뿐만 아니라 잦은 사용시 내구력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문짝의 상부에 별도의 완충기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완충기의 구성이 간단치 않으며 설치비용도 부담이 된다.
한편, 문이 열린 상태일 때 형성되는 문틀(문설주)과 문짝 사이의 공간에 손가락 등이 끼인 상태로 문이 닫히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며, 특히 일반가정에서 주의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유아의 경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급격한 개폐를 방지하여 소음을 감소하고 내구력을 향상시키며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함은 물론, 문틈을 막음으로써 유아에게 우려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안전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문은 문틀과 문짝의 사이에 구비된 경첩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여닫이문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지지되는 권취롤과;
문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롤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권취롤을 감싸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권취롤에 감겨지며, 자유단이 지지봉의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권출되어 문짝에 고정되는 연질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질부재는 연질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권취롤은 중심축을 따라 천공된 중공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밴드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연질부재는 연질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권취롤은 중심축을 따라 천공된 중공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수용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의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권출되는 연질부재의 자유단에는 연질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고정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봉과 고정바는 문틀과 문짝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삽입되면서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문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문은 여닫이문으로서, 경첩(1)에 의해 문틀(2)로부터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문짝(3)에 더하여, 이 문틀(2)과 문짝(3) 사이에 개재되는 권취롤(10), 지지봉(20) 및 연질부재(30) 등으로 구성된다.
권취롤(10)은 원통형태로 중심축을 따라 중공부(11)가 천공되며 회전지지되는데, 스프링(40)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지지되는 경우에 스프링(40)은 밴드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형태로서 상기 중공부(11)의 상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50)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40)은 권취롤(10)과 문짝(3)의 무게를 감안하여 문짝(3)이 서서히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지지력을 가지도록 회전축(5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11)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된 회전축(50)의 둘레에는 회전축(5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베어링(60)이 설치되며, 이 때 상기 스프링(40)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스프링(40)과 베어링(60)은 별도로 구비된 커버(8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지지봉(20)은 문틀(2)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이나 사각기둥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 권취롤(1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권취롤(10)를 감싼다.
이 지지봉(20)은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개방구(21)가 형성되며,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플랜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봉(20)은 상기 플랜지(22)에 형성된 체결공(22a)을 통해 문틀(2)에 착탈가능하도록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봉(20)의 설치높이는 유아의 손이 문틀(2)과 문짝(3)의 틈새에 끼지 않도록 다소 낮은 높이에 설치하거나 기타 문틀(2)을 따라 상하 여러 개로 설치할 수 있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틀(2)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완전히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틀(2)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개방구(71)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70)에 지지봉(20)의 플랜지(22)가 위로부터 삽입되면서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봉(20)의 플랜지(22)는 자유단 일부가 두꺼워서 단턱을 이루거나 자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여 슬라이딩부재(7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구(71)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지지봉(20)의 플랜지(22)에 별도의 체결공(22a)이 불필요하며, 슬라이딩부재(70)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지지봉(20)의 플랜지(22)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형성한다.
연질부재(30)는 상기 권취롤(10)에 감겨지는 것으로서 연질플라스틱이나 기타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권취롤(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권취되고 타측단인 자유단은 지지봉(20)에 형성된 개방구(21)를 통해 외부로 권출되어 문짝(2)에 고정된다.
상기 연질부재(30)의 자유단에는 이 자유단을 문짝(3)에 고정하기 위해 연질부재(30)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고정바(31)가 구비되는데, 이 고정바(31)는 지지봉(20)의 개방구(21)로 삽입되지 않도록 개방구(21)보다 두껍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부재(30)의 자유단은 고정바(31)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여 끼우거나 기타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연질부재(30)에는 미감을 고취시키는 여러 가지 그림이 인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바(31)에 체결공(31a)을 형성하는 경우 고정바(31)는 이 체결공(22a)을 통해 문짝(3)에 착탈가능하도록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짝(2)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개방구(71)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70)에 고정바(31)가 위로부터 삽입되면서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바(31)는 자유단 일부가 두꺼워서 단턱을 이루거나 자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여 슬라이딩부재(7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구(71)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바(31)에 별도의 체결공(31a)이 불필요하며, 슬라이딩부재(70)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고정바(31)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 지지봉에 수용되며 (탄성적으로) 회전지지되는 권취롤로부터 권출된 연질부재의 구성은 여닫이문에만 적용되었지만, 기타 창틀에 설치되는 방충망이나 미닫이문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전문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본 고안의 안전문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먼저 지지봉(20)의 플랜지(22)에 형성된 체결공(22a)을 이용하여 지지봉(20)을 문틀(2)(문설주)에 볼트체결한다.
그리고, 지지봉(20)의 개방구(21)를 통해 연장된 연질부재(30)의 자유단에 결합된 고정바(31)에 형성된 체결공(31a)를 이용하여 연질부재(30)를 문짝(3)에 볼트체결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봉(20)의 플랜지(22)와 연질부재(30)의 자유단에 결합된 고정바(31)를 문틀(2)과 문짝(3)에 설치된 슬라이딩부재(70)에 각각 위로부터 삽입하는 방식으로도 체결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문짝(3)을 여닫으면 회전축(50)에 장착된 스프링(40)에 의해 권취롤(10)과 연질부재(30)가 탄성적으로 회전하면서 문짝(3)이 서서히 부드럽게 개폐된다.
따라서, 문짝(3)이 급격한 속도로 개폐되는 것이 방지되어 소음이 줄어들고, 문틀(2)과의 격심한 충격이 없어져서 내구력이 향상되어 보수없이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틀(2)과 문짝(3)의 틈새를 지지봉(20)과 연질부재(30)가 완벽하게 막음으로써, 틈새에 유아의 손가락이 끼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전문은 문의 급격한 개폐를 방지하여 소음을 감소하고 내구력을 향상시켜 사용수명을 연장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문틈을 막음으로써 문틈에 손가락이 끼는 등 유아에게 우려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문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경첩 2:문틀
3: 문짝
10: 권취롤 11: 중공부
20: 지지봉 21: 개방구
22: 플랜지 22a: 체결공
30: 연질부재 31: 고정바
31a: 체결공 40: 스프링
50: 회전축 60: 베어링
70: 슬라이딩부재 71: 개방구
80: 커버

Claims (5)

  1. 문틀과 문짝의 사이에 구비된 경첩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여닫이문에 있어서,
    회전지지되는 권취롤과;
    문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롤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권취롤을 감싸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권취롤에 감겨지며, 자유단이 지지봉의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권출되어 문짝에 고정되는 연질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재는 연질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권취롤은 중심축을 따라 천공된 중공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밴드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재는 연질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권취롤은 중심축을 따라 천공된 중공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수용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문.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권출되는 연질부재의 자유단에는 연질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고정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과 고정바는 문틀과 문짝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개방구가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삽입되면서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문.
KR20-2005-0016878U 2005-06-13 2005-06-13 안전문 KR200393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78U KR200393560Y1 (ko) 2005-06-13 2005-06-13 안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78U KR200393560Y1 (ko) 2005-06-13 2005-06-13 안전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195A Division KR100758671B1 (ko) 2006-07-26 2006-07-26 안전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560Y1 true KR200393560Y1 (ko) 2005-08-22

Family

ID=4369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878U KR200393560Y1 (ko) 2005-06-13 2005-06-13 안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5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215A3 (en) * 2008-07-18 2010-06-03 Jae Hyo Hwang The safety device for a door
KR101985626B1 (ko) 2018-09-14 2019-06-03 정연설 안전문
EP3693531A1 (de) * 2019-02-05 2020-08-12 Planet GDZ AG Fingerschutzvorrichtung für eine tü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215A3 (en) * 2008-07-18 2010-06-03 Jae Hyo Hwang The safety device for a door
KR100997937B1 (ko) 2008-07-18 2010-12-07 황재효 문의 안전장치
KR101985626B1 (ko) 2018-09-14 2019-06-03 정연설 안전문
EP3693531A1 (de) * 2019-02-05 2020-08-12 Planet GDZ AG Fingerschutzvorrichtung für eine tür
WO2020161095A1 (de) * 2019-02-05 2020-08-13 Planet Gdz Ag Fingerschutzvorrichtung für eine tü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560Y1 (ko) 안전문
KR20190068701A (ko)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US7194785B2 (en) Buffer bar fastening structure
KR100758671B1 (ko) 안전문
KR102005842B1 (ko)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KR20210017667A (ko) 문의 안전장치
KR20080076475A (ko) 스윙 도어
KR20039877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KR20050094932A (ko) 폴딩도어장치
JP3559240B2 (ja) 巻取式網戸
KR200398773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KR200419330Y1 (ko) 방충망의 현수롤러블록
KR200202028Y1 (ko) 커텐용 권취로울러
JPH09273359A (ja) 両扉同時開閉可能な観音開き扉
JP2003138869A (ja) 横引き式網戸
KR200369692Y1 (ko) 출입문 안전장치
KR100441254B1 (ko) 여닫이문의 안전장치 설치구조
KR200407162Y1 (ko) 도어용 경첩
KR200298366Y1 (ko) 도어의 닫힘방지장치
KR200462535Y1 (ko) 공기압 조절 장치
KR200389240Y1 (ko) 문 고정장치
KR200216469Y1 (ko) 창틀에 설치할 수 있게 한 이중창
KR19990012222U (ko) 통유리를, 채용할수 있는 붙박이 창문
KR200279152Y1 (ko) 붙박이장문 힌지
JPH08209746A (ja) 建設機械用キャブの前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