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152Y1 - 붙박이장문 힌지 - Google Patents

붙박이장문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152Y1
KR200279152Y1 KR2020020006520U KR20020006520U KR200279152Y1 KR 200279152 Y1 KR200279152 Y1 KR 200279152Y1 KR 2020020006520 U KR2020020006520 U KR 2020020006520U KR 20020006520 U KR20020006520 U KR 20020006520U KR 200279152 Y1 KR200279152 Y1 KR 200279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built
folding
shaf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준표
Original Assignee
홍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준표 filed Critical 홍준표
Priority to KR2020020006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1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152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붙박이장 양갓문의 절첩문과 문틀사이에 설치사용하는 붙박이장문 힌지에 관한 것으로 종전에 고가의 호차만으로 설치 이용되던 것을 힌지로 대치이용하도록 하고 또 합성수지재로 된 상하부케이스에 플랜지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접합되게 결합하고 상하부케이스 내의 삽입실에 코일스프링과 축핀을 삽입 결합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축핀 및 플랜지에서 회동이 원활하여 고장없이 안전하게 저가로 이용되게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붙박이장문 힌지 {Hinge for a fixed in cabinet door}
본 고안은 붙박이장의 좌,우측 문틀과 절첩문 상부사이에 설치사용되는 붙박이장문 힌지에 관한 것으로 붙박이장의 양갓 절첩문을 본 고안의 힌지로 장착하여중간부가 접어지게 되는 절첩문이 레일을 따라 이동개폐 될때 회동작용이 원활하고 고장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될수 있고 특히 간단한 구조로 저가로 이용될수 있게한 붙박이장문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박이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의 문틀로 되고 그 문틀의 상하틀에는 각각 호차레일을 부착하고 또 중간부가 접어지도록 절첩을 부착한 절첩문 4개∼5개로 조립 설치되고 각 절첩문 뒷면의 상하부에는 각각 도 4에서와 같은 호차를 각각 설치하여 문틀의 상하틀에 부착시킨 호차레일를 따라 이동개폐 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붙박이장의 절첩문은 양갓문의 상하부에 까지 고가의 호차를 부착하므로 모두 4개의 호차가 추가 설치되는 결과가 되어 결국 고가의 호차 추가 설치로 인하여 붙박이장 설치비용이 가중되어 고가의 붙박이장을 사용하게 되는 폐단이 있을뿐더러 절첩문을 접어 이동개폐 시킬때 절첩문 상하부가 각각 유동하게 되어 뒷면에 부착시킨 호차가 어긋나고 이탈되며 고장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양갓문(절첩문)을 양측문틀에 절첩으로 부착하여 양갓문이 절첩으로 인하여 일측이 고정되게 설치한 구조도 있으나 절첩문의 개폐시 당기는힘과 절첩문의 무게에 의하여 나사못이 잘빠지고 또 고가의 절첩을 사용하게 되므로 고가로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에서와 같은 폐단과 결함을 해소하고 간단한 구조로 저가로 이용될수 있도록 개선한 것으로서 붙박이장 양갓문의 상하부와 문틀 사이에 본 고안의 힌지로서 절첩문을 설치하도록 하므로 양갓문은 힌지에 의하여 고정되어져서 개폐시 사용이 편리하고 고장이 없고 저가로 장착사용 할수 있어 붙박이장의 염가제공에 도움이 되도록 착안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붙박이장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설치한 위치를 보인 붙박이장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케이스 2 : 상부케이스 3,3′: 플랜지
4,4′: 삽입실 5 : 코일스프링 6 : 축핀
11,11′: 문틀 12 : 절첩문
본 고안은 기장이 긴구조의 하부케이스(1)와 상부케이스(2) 모두가 합성수지재로 되고 하부케이스(1)는 상부에 플랜지(3)를 형성한 중심부로 삽입실(4)을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하여 코일스프링(5)을 삽입실(4)에 삽입시킨 위에 금속재 축핀(6)의 일단을 삽입조립하고 그 위에는 하부케이스(1)의 플랜지(3)와 같은 사이즈의 플랜지(3′)을 형성한 상부케이스(2)의 삽입실(4′)에 축핀(6) 상단이 삽입 결합되어 상,하부케이스(1)(2)의 플랜지(3)(3′)가 서로 접합하도록 힌지(H)를 구성 하였다. 또한 상,하부케이스(1)(2)의 외면 둘래에는 줄돌기(8)(8′) 다수개를 형성하여 붙박이장(10) 상하의 문틀(11)(11′)과 양갓문인 절첩문(12) 상하부에 뚫은 조립구멍 (13)(13′)에 힌지(H)를 삽입 장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조립구멍(13′)에는 외부캡(15)을 끼운후 상부케이스(2)를 삽입 조립하고 하부케이스(1) 일측에는 장공(14)을 형성하여 장공(14)을 통하여 송곳을 넣어서 코일스프링(5)을 수축시키므로 금속재 축핀(6)이 상부케이스(2)의 삽입실(4′)에서 빠져나와 상,하부케이스 (1)(2)가 서로 분리될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힌지(H)는 각종 가구 및 찬장문에도 설치 사용이 가능한 구성이다.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하부케이스(1)가 절첩문(12)에 설치되고 상부케이스(2)는 상하의문틀(11)(11′)에 설치하여도 가능하므로 설치에는 무관하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1)와 상부케이스(2)는 합성수지재로 되고 그의 내부인 삽입실(4) 및 삽입실(4′)에 삽입 결합되는 코일스프링(5)과 축핀(6)은 금속으로 되므로 축핀(6)에서 서로 마찰 회동시에는 소음이 없고, 가볍게 회동작용되므로 붙박이장의 절첩문(12) 개폐를 손쉽게 할수 있어 사용중 고장이 없고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들 구성은 상,하부케이스(1)(2) 내에 코일스프링 (5) 및 축핀(6)의 결합으로 되는 구조이므로 부품이 간단하고 또 분해조립이 용이하므로 저가로 제작 제공될수 있고 문틀(11)(11′)과 절첩문(12)에 파낸 조립구멍 (13)(13′)에 삽입조립하므로 절첩문(12)의 일측 고정설치가 되므로 힌지(H)의 설치 사용이 간편하고 저가로 이용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붙박이장의 문틀(11)(11′)과 절첩문(12)에 형성한 조립구멍(13)(13′)에 삽입 조립하게 된 힌지(H)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된 하부케이스(1)와 상부케이스(2)에 플랜지(3)(3′)를 형성하여 서로 접합되게 하고 상,하부케이스(1)(2)의 삽입실(4)(4′)에는 코일스프링(5)을 하부케이스(1)의 삽입실(4)로 삽입함과 동시에 축핀(6) 일단을 삽입하여 상부케이스(2) 삽입실(4′)에 타단이 삽입되어 탄력을 받게 결합 구성한 붙박이장문 힌지.
KR2020020006520U 2002-03-06 2002-03-06 붙박이장문 힌지 KR200279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520U KR200279152Y1 (ko) 2002-03-06 2002-03-06 붙박이장문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520U KR200279152Y1 (ko) 2002-03-06 2002-03-06 붙박이장문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152Y1 true KR200279152Y1 (ko) 2002-06-21

Family

ID=7311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520U KR200279152Y1 (ko) 2002-03-06 2002-03-06 붙박이장문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1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670B1 (ko) 폴딩도어 회전장치
US7814621B1 (en) Stay-closed hinge
US7543409B2 (en) Door pull and sash window having the door pull
US20140069019A1 (en) Door Seal Apparatus
CA2583451A1 (en) Sliding window assembly
KR200279152Y1 (ko) 붙박이장문 힌지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KR10071293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US20110120021A1 (en) Door Assembly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CN111561801B (zh) 一种自动开门冰箱
KR100782371B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KR200440296Y1 (ko) 접이문용 주행체
KR20090118351A (ko) 유리도어 결합용 힌지 프레임을 갖는 샤워부스
JP6955727B2 (ja) 折戸の振止め金具
KR102659277B1 (ko) 문의 안전장치
KR200334594Y1 (ko) 안전 도어 힌지 및 도어
JP3082909B2 (ja) 折戸用二軸蝶番
KR200387010Y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KR102582609B1 (ko) 기능성 폴딩 도어
KR200422091Y1 (ko) 주방찬장 절첩문의 문레일 및 문호차
KR101195214B1 (ko) 도어에 매설되는 경첩
KR200246029Y1 (ko) 가구의 여닫이문용 자동닫힘식 힌지
KR100590630B1 (ko) 붙박이장용 문레일과 문호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