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427Y1 - 거푸집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427Y1
KR200393427Y1 KR20-2005-0015294U KR20050015294U KR200393427Y1 KR 200393427 Y1 KR200393427 Y1 KR 200393427Y1 KR 20050015294 U KR20050015294 U KR 20050015294U KR 200393427 Y1 KR200393427 Y1 KR 200393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member
tie rod
formwork
concret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화
Original Assignee
정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화 filed Critical 정용화
Priority to KR20-2005-0015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4Plug means for tie-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04G17/0751One-piece elements
    • E04G17/0754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벽면 등을 시공할 때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거푸집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거푸집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투입하면 그 하중에 의해 타이 로드의 용접부가 이탈되거나 콘부재가 파손될 뿐만 아니라 타이 로드의 절단 작업시 공구가 마모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거푸집의 내, 외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타이 로드(20)와, 상기 타이 로드(20)에 결합되어 거푸집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외측에는 다각형 형성부(32)가 형성된 콘부재(30)와, 상기 콘부재(30)의 일측에 위치된 와셔(40)를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타이 로드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구멍의 일부가 직선부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투입 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용접부가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콘부재의 외측면이 다각형 형성부로 되어 타이 로드의 절단시 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콘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와셔는 탄성부를 가지게 되어 작업중 하중이 콘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및 완충함으로써 콘부재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절개부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부재 및 와셔가 일체로 되며, 이에 따라 콘부재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 구조{Structure of fixing a form}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거푸집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벽 등의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10)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거푸집(11)(12)이 세워 설치되며, 이 거푸집(11)(12)은 횡방향으로 설치된 로드(13)에 의해 일정 간격이 유지된다.
상기 로드(13)는 일측에 거푸집(12)의 외측에서 고정핀(14)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핀 삽입구멍(13a)이 일단이 용접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거푸집(11)의 외측에 설치된 수평 및 수직부재(15)(16)를 관통한 후 고정부재(17)에 고정되고 이후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11)의 내측에는 콘크리트 재질의 콘부재(18)가 거푸집(11)을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로드(13)의 외측에 삽입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와셔(19)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된 거푸집(11)(12)에 횡방향으로 로드(13)가 설치되고, 이 로드(13)의 내측에서 상기 거푸집(11)을 지지하기 위하여 콘부재(18) 및 와셔(19)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13)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구멍(13a)에는 고정핀(14)이 삽입되고, 그 반대 측에는 공구 삽입부(13b)가 수평 및 수직부재(15)(16)를 관통한 후 고정부재(17)에 고정됨으로써 거푸집(11)(12)의 고정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푸집(11)(12)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일정 시간 후 양생되면 공구 삽입부(13b)에 공구를 이용하여 로드(13)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분리한 후 거푸집(11)(12)을 해체함으로써 콘크리트 벽(10)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콘부재(18)가 원추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로드(13)의 절단 작업시 로드(13)와 함께 회전되어 벽면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로드(13)가 절단된 후에는 벽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벽면에 콘크리트 등의 충전재를 충전시키는 작업을 필요로 함으로써 인건비가 상승되고 공기가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콘부재(18)의 일측에 결합된 와셔(19)는 시공 중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콘부재(18)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게 되어 콘부재(18)가 쉽게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콘부재가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로드의 절단에 의한 벽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타이 로드의 절단 작업 후 콘부재가 벽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비를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거푸집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 구조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거푸집의 내, 외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타이 로드와, 상기 타이 로드에 결합되어 거푸집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외측에는 다각형 형성부가 형성된 콘부재와, 상기 콘부재의 일측에 위치된 와셔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타이 로드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구멍의 일부가 직선부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투입 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용접부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콘부재의 외측면이 다각형 형성부로 되어 타이 로드의 절단시 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콘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와셔는 탄성부를 가지게 되어 시공 중에 가해지는 충격이 콘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및 완충함으로써 콘부재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절개부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부재 및 와셔가 일체로 되며, 이에 따라 콘부재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간격 유지구는 금속재의 타이 로드(20)와, 이 타이 로드(20)의 중간에 삽입된 콘크리트 재질의 콘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콘부재(30)의 일측에는 금속재의 와셔(4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타이 로드(20)는 일측 선단에 고정핀을 삽입하기 위한 고정핀 삽입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콘크리트 양생 후 타이 로드(20)의 일부분을 절단하기 위하여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 로드(20)의 중간에는 복수 개의 압착부(23)(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 삽입구멍(21)은 타이 로드(20)와 일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21a)를 가지며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후 선단은 타이 로드(20)의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압착부(23)(24)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거푸집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콘부재(30) 및 와셔(4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공구 삽입부(22)는 단면 형상이 오각형, 사각형 등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콘부재(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이 로드(20)의 외측에 관통되도록 관통구멍(31)이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양생된 콘크리트의 내측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 다각형 형성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각형 형성부(32)는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다각형 형성부(32)는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 형성되는데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콘부재(30)의 일측에 위치된 와셔(40)는 상기 콘부재(30)의 반대측으로 볼록하게 원호상을 이루면서 형성된 탄성부(41)와, 가장자리에 중심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개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부(4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41)는 콘크리트(C)의 충전시 가해지는 하중이나 조립 타공시 가해지는 충격이 콘부재(3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며, 상기 절개부(42)는 와셔(40)의 내측으로 콘크리트(C)를 유입시켜 콘크리트(C)가 벽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40)의 중앙에는 상기 타이 로드(2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 구조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거푸집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타이 로드(20)가 설치되고, 상기 타이 로드(20)의 일측은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면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C)를 투입한 후 양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거푸집의 사이에 투입된 콘크리트(C)는 자체의 압력에 의해 와셔(40)에 형성된 절개부(42)를 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되고, 이 절개부(42)를 통하여 유입된 콘크리트(C)는 와셔(40)와 콘크리트(C)가 일체로 양생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C)가 투입될 때 전달되는 하중이나 조립 타공시 등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와셔(40)에 형성된 탄성부(41)에 의해 흡수 및 차단되어 콘부재(30)로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력이 최소화되어 상기 콘부재(30)의 손상이나 균열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지나 콘크리트(C)가 양생된 후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벽면에 돌출된 타이 로드(20)의 일부를 절단한 후 양측에 설치된 거푸집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절단 작업시 절단되는 타이 로드(20)의 일부가 회전될 때 상기 콘부재(30)는 외측면에 다각형으로 형성된 다각형 형성부(32)가 구비됨에 따라 회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벽면이나 콘부재(30)의 손상이 방지되며, 와셔(40)의 절개부(42)를 통하여 투입된 콘크리트(C)가 상기 와셔(40)의 내부에서 양생됨으로써 상기 콘부재(30)의 손상이 더욱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이 로드(20)는 고정핀 삽입구멍(21)의 일측이 일직선으로 형성된 직선부(21a)를 가짐으로써 콘크리트(C)의 투입에 따른 하중에도 충분히 견디는 강성을 가지게 되며, 공구 삽입부(22)는 오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구 및 공구 삽입부(22)의 마모가 방지되어 타이 로드(20)의 절단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타이 로드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구멍의 일부가 직선부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투입 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용접부가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콘부재의 외측면이 다각형 형성부로 되어 타이 로드의 절단시 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콘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와셔는 탄성부를 가지게 되어 콘크리트 하중이나 조립 타공시의 충격력이 콘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및 완충함으로써 콘부재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절개부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부재 및 와셔가 일체로 되며, 이에 따라 콘부재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 고정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고정 구조의 콘부재 및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타이 로드 21: 고정핀 삽입부
21a: 직선부 30: 콘부재
32: 다각형 형성부 40: 와셔
41: 탄성부 42: 절개부

Claims (3)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거푸집의 내, 외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타이 로드(20)와, 상기 타이 로드(20)에 결합되어 거푸집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외측에는 다각형 형성부(32)가 형성된 콘부재(30)와, 상기 콘부재(30)의 일측에 위치된 와셔(40)를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40)는 중앙에 형성된 탄성부(41)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절개부(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로드(20)는 일단에 직선부(21a)를 가진 고정핀 삽입구멍(2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측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공구 삽입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 구조.
KR20-2005-0015294U 2005-05-30 2005-05-30 거푸집 고정 구조 KR200393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94U KR200393427Y1 (ko) 2005-05-30 2005-05-30 거푸집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94U KR200393427Y1 (ko) 2005-05-30 2005-05-30 거푸집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427Y1 true KR200393427Y1 (ko) 2005-08-22

Family

ID=4369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294U KR200393427Y1 (ko) 2005-05-30 2005-05-30 거푸집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4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703B1 (ko) 탄성체결편이 구비된 거푸집 체결핀
KR200393427Y1 (ko) 거푸집 고정 구조
US2997769A (en) Tie rod assembly for concrete wall form panels
KR102062843B1 (ko) 폼타이에 결합되는 거푸집 고정구
KR20180032152A (ko)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및 보강용 볼트
US20050082899A1 (en) Cutting tool for breaking mineral and artificial materials
EP3173632B1 (de) Betonanker, betonankersystem, befestig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efestigungsanordnung
KR200469168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사이드 타이
KR200186906Y1 (ko) 거푸집 제거용 치구
JP3221160U (ja) コンクリート型枠組立て用具
JP6465646B2 (ja) 軸力柱の柱頭・柱脚構造
JP2005188722A (ja) ドリフトピン
KR200335574Y1 (ko) 거푸집 패널 설치용 고정핀
US20040020160A1 (en) Concrete forming system
KR200393426Y1 (ko) 거푸집 고정 구조
JP201802820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組立て用具
EP3278752B1 (en) Bone plate system with inserts for contacting an adjacent bone surface
JP4248851B2 (ja) 遊技機島への遊技機の取付け構造
JP2006326659A (ja) 中子を有する鋳造金型構造
KR101921310B1 (ko)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및 보강용 볼트
KR200397582Y1 (ko) 건축용 거푸집 간격유지구
KR200408509Y1 (ko) 거푸집 고정 구조
JP2006225877A (ja) 組積造構造物の補強構造
KR100799609B1 (ko) 폼 후크
US20070235628A1 (en) Concrete tie with reusable we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