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401Y1 - 계란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계란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401Y1
KR200393401Y1 KR20-2005-0013403U KR20050013403U KR200393401Y1 KR 200393401 Y1 KR200393401 Y1 KR 200393401Y1 KR 20050013403 U KR20050013403 U KR 20050013403U KR 200393401 Y1 KR200393401 Y1 KR 200393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egg
forced
conveyo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선
Original Assignee
김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선 filed Critical 김재선
Priority to KR20-2005-0013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4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 B65G17/0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the belt having loops forming load-receiving p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08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계란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이송장치는 안내부재를 구비한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전방에 구비되며 다수의 이송편이 체인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방식으로 구동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편에 수용된 계란을 배출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재는 다수의 경사가이드날개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직상부에 설치된 강제이송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계란이송장치{omitted}
본 고안은 계란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부재의 사이에 계란유입기를 포함시켜서 계란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전하기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계란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는 계란들을 집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목적으로 계란의 집란에서부터 최종의 계란 집하장으로 이송하는 모든 작업을 자동화한 계란이송장치가 설치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계란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란이송장치는 정렬기에 공급된 계란을 정렬하여 이송컨베이어에 공급하고, 공급된 계란은 상면을 개구한 요(凹)자 형상의 안내부재(100)의 내부에 수용하여 통로를 따라 이송시켜 체인 컨베이어 형태로써 연결한 이송부재(200)의 상승 회전에 따라 계란을 집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송장치는 안내부재(100)에 공급되는 계란을 이송할 때 체인 스프로킷에 축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축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안내부재(100)에 근접하게 설치된 갈쿠리(202)가 상부로 승강되면서 계란을 들어 이송한다. 이때, 안내부재(100)의 끝단에는 상기 갈쿠리(202)가 통과하면서 계란을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갈쿠리(202)의 통과가 가능하고 계란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받혀질 수 있는 받침대(204)를 형성하여 이송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갈쿠리(202)의 타측에는 계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재가 설치된다.
하지만, 기존의 계란이송장치는 계란을 이송하기 위한 갈쿠리(202)가 그 재질을 경질의 재질로 단순히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한 후, 복수개로 길게 축설 한 것에 불과하여 안내부재(100)로 이송되는 계란을 이송할 때 계란에 닭털이나 액체가 묻어있을 때 계란과 받침대가 들어 붙거나 또는 받침대에 이물질이 붙어 있을 때 계란을 들어올리기가 쉽지 않아 충격에 의한 계란의 손상이 야기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5488호에서는 자체 탄력을 갖는 클립식 이송부재를 복수개로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계란의 이송도중 충격에 의하여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교환이 간편한 장점을 갖는 계란이송장치의 이송부재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등록 고안은 이송부재의 타측에 마련된 배출부재(선등록 고안의 도 2에 도시되어 있음.)가 단순히 경사진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이러한 배출부재와 계란간의 마찰 또는 계란의 불규칙적인 위치에 따라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의 계란이송장치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출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원활한 계란의 배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계란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안내부재를 구비한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전방에 구비되며, 다수의 이송편이 체인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방식으로 구동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편에 수용된 계란을 배출하는 배출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재는 다수의 경사가이드날개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직상부에 설치된 강제이송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이송장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강제이송기는 회전축에 소정간격을 두고 축결합된 한 조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강제이송봉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강제이송봉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4방향에 각,각 2개의 개수로 설치되며, 상기 2개의 개수로 설치된 강제이송봉은 적어도 계란이 얹혀질 수 있는 간격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계란이송장치(1)는 안내부재(21)를 구비한 이송컨베이어(2)와, 이 이송컨베이어(2)의 전방에 구비된 이송부재(3)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와 상기 이송부재(3)의 사이공간에 설치된 계란유입기(5)와, 상기 이송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는 별도의 정렬기에서 공급된 계란을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이송컨베이어(2)에는 계란을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안내부재(21)가 마련된다.
상기 이송부재(3)는 다수의 이송편(31)이 체인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방식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은 이송부재(3)의 각 이송편(31)은 소정간격, 적어도 그 내부에 수용되는 계란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계란유입기(5)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와 상기 이송부재(3)의 사이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계란을 상기 이송부재에 안전하게 수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출부재(4)는 다수의 경사가이드날개(411)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부재(41)와, 이 가이드부재(41)의 직상부에 설치된 강제이송기(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41)의 각 경사가이드날개(411)는 상기한 이송부재(3)의 각 이송편(31)과 엇갈리게 위치되도록 배열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강제이송기(42)는 회전축(422)에 소정간격을 두고 축결합된 한 조의 베이스플레이트(421)와, 이 베이스플레이트(421)의 사이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강제이송봉(4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강제이송봉(423)은 상기 회전축(422)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4방향에 각,각 2개의 개수로 설치되며, 상기 2개의 개수로 설치된 강제이송봉(423)은 적어도 계란이 얹혀질 수 있는 간격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강제이송봉(423)은 계란을 강제이송할 때 계란에 가해지는 타격력을 최소화하기 위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이송장치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이송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컨베이어와 계란유입기를 통해 계란을 공급받은 이송부재(3)의 이송편(31)은 체인 컨베이어를 타고 승강/하강작동된 후 가이드부재(41)의 각 경사가이드날개(411)상에 계란을 안착한다. 이때에는 이송부재(3)의 이송편(31)과 가이드부재(41)의 각 경사가이드날개(411)가 엇갈리는 형태로 배열됨에 따라서 이송편(3)이 가이드부재(41)를 지날때 각 경사가이드날개(411)상에 계란이 얹혀지며, 이와 동시에 계란(E)은 경사가이드날개(411)가 갖는 경사각도에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전방으로 이동되는 계란(E)은 회전하는 강제이송기(42)의 강제이송봉(423)에 얹혀지는 형태로 맞닿게 된 후 강제이송봉(423)에 가이드되어 경사가이드날개(411)의 중앙부까지 이동하고, 이후에는 또 다른 강제이송봉(423)이 계란을 미는 형태로 이동시켜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계란이송장치(1)는 가이드부재(41)와 강제이송기(42)를 조합한 배출부재(4)를 구비하여 계란(E)을 이송부재(3)로 부터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되풀이동작을 통해 지속적인 계란의 배출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이송장치는 가이드부재와 강제이송기를 조합한 배출부재를 구비하여 계란을 이송부재로 부터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계란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이송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란이송장치 2 : 이송컨베이어
3 : 이송부재 4 : 배출부재
5 : 계란유입기 41 : 가이드부재
42 : 강제이송기 E : 계란

Claims (3)

  1. 안내부재를 구비한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전방에 구비되며, 다수의 이송편이 체인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방식으로 구동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편에 수용된 계란을 배출하는 배출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재는 다수의 경사가이드날개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직상부에 설치된 강제이송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이송기는 회전축에 소정간격을 두고 축결합된 한 조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강제이송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강제이송봉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각선 4방향에 각,각 2개의 개수로 설치되며, 상기 2개의 개수로 설치된 강제이송봉은 적어도 계란이 얹혀질 수 있는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이송장치.
KR20-2005-0013403U 2005-05-12 2005-05-12 계란이송장치 KR200393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03U KR200393401Y1 (ko) 2005-05-12 2005-05-12 계란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03U KR200393401Y1 (ko) 2005-05-12 2005-05-12 계란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401Y1 true KR200393401Y1 (ko) 2005-08-22

Family

ID=4369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403U KR200393401Y1 (ko) 2005-05-12 2005-05-12 계란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4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51U (ko) 2015-11-03 2017-05-12 고상용 집란용 버킷 엘리베이터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51U (ko) 2015-11-03 2017-05-12 고상용 집란용 버킷 엘리베이터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4512B2 (en) Printer for printing deformable flat supports and its loader
US20050166999A1 (en) 360 Degree rotatable lifter arm for log singulator
KR960034032A (ko) 제2컨베이어의 알이 뾰족측이 일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JP2009148234A (ja) サトウキビ積込装置
KR200402072Y1 (ko) 견과류 박피장치
KR200393401Y1 (ko) 계란이송장치
FI80429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parallellriktning av traestammar, saosom stockar eller props.
KR101259832B1 (ko) 리프트형 판유리 방향 전환장치
KR101270423B1 (ko) 양파 탈피장치
EP3584583B1 (en) Automatic alignment and label attaching apparatus for test tube
KR200391274Y1 (ko) 계란이송장치
JP2011019472A (ja) 養鶏用多段ケージシステムにおける集卵装置
KR100707928B1 (ko) 캡 선별 장치
CN206580237U (zh) 一种机械加工自动送料机构
CN209792877U (zh) 一种旋转式送料全自动激光打标机
JP5608473B2 (ja) リング状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リング状ワーク搬送方法
KR102364179B1 (ko) 계란 자동 정렬 및 이송장치
CN208054386U (zh) 球类工件自动落料机构
US1694263A (en) Cherry-pitting machine
CN211802403U (zh) 一种销轴筛选机
KR100668703B1 (ko) 캡 선별 장치
CN219751019U (zh) 一种方便上料的定量给料机
CN108328303A (zh) 一种球类工件自动落料机构
KR102065254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클리닝장치
KR20090049042A (ko) 용기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