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276Y1 -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276Y1
KR200393276Y1 KR20-2005-0010595U KR20050010595U KR200393276Y1 KR 200393276 Y1 KR200393276 Y1 KR 200393276Y1 KR 20050010595 U KR20050010595 U KR 20050010595U KR 200393276 Y1 KR200393276 Y1 KR 200393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enger wire
optical cable
triangular
vis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태
Original Assignee
김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태 filed Critical 김상태
Priority to KR20-2005-0010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을 댁내에 인입하고자 할 때 메신저 와이어를 고정할 때 사용되는 와이어 클램프의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광케이블의 안전하고 신속한 설치와 이전 및 편리한 유지보수가 가능한 광케이블 설치공법의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는,
종래의 원추형 몸체에 반원형 바이스를 내장한 와이어 클램프가 광케이블설치 시 광케이블에 부가된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여야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광케이블의 버팀줄인 와이어의 절단으로 광케이블이 매우 불안정하게 설치되고 설치 후에도 이전 목적의 재설치가 불가능한 구조와는 달리,
일측면에 절개된 메신저 와이어 통로가 형성되고 타일측면에는 강도증가를 위한 늑골홈을 가지며 양측면부에 걸이링 삽입구를 가진 사다리형 몸체와,
이러한 구조의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1조의 삼각형 바이스에 있어서,
각각의 직선면에 원호형 톱니가 형성되고 좁은 일측부 각각에는 와이어 삽입가이드가 구비되며 넓은 타일측부 각각에 스프링 가이드가 설치되고,
이러한 1조의 삼각형 바이스의 넓은 타일측부 각각에 설치된 1조의 탄성부재, 몸체의 양측면부의 2개의 걸이링 삽입구에 끼움 고정되는 걸이 링으로 구성되어,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 신속한 설치와 해제가 용이하며 광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Opticalcable Messenger wire Clamp}
본 고안은 최근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FTTH(Fiber to the Home) 즉 댁내 광가입자 망에 필요한 광케이블을 댁내에 인입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와이어 클램프의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고정하고 탈착 또한 매우 용이하게 하여 광케이블을 편리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 와이어 클램프는 원추형 몸체에 2개의 원추형 바이스를 내장한 종래의 와이어 클램프에 있어서,
즉 도4b를 참조하여 1조의 원추형바이스가 원추형 몸체에 내장되고 이러한 원추형 바이스에는 각각에는 2열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여 몸체 하부의 원추공에 삽입하고 원추형바이스 사이를 통과하면 원추형 상부에 가압되는 탄성부재의 탄성으로 조여지는 구조의 종래의 와이어 클램프를 사용하여 광케이블을 설치하고자 할 때,
광케이블에 부가된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한 끝단부를 사용하여야만 하고 피복을 제거한 후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은 고소의 통신전주 위에서 행하여지는데 강철재질의 메신저 와이어의 절단이 용이하지 않고,
이러한 메신저 와이어 절단과 설치과정에서 광케이블의 굴곡 등으로 유리섬유인 광케이블에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수명을 단축시키고 광코아(Optical Core)의 절단사고까지 일어날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 시 세심한 주의를 요하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가 증가하고 작업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있으며,
또한 설치 후, 광케이블 이전사유가 발생할 경우 이미 절단된 메신저 와이어 외에 다른 부위의 메신저 와이어를 2차 절단하게 되므로, 케이블 인입 시 발생하는 가설 장력으로부터 광케이블을 보호하지 못하여 통신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메신저 와이어의 절단여부는 광케이블의 성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클램프의 몸체와 메신저 와이어를 잡아 주는 바이스를 특수 형태로 설계하여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고정하고 탈착 또한 매우 용이하게 하여 광케이블의 수명을 보장하고 편리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메신저와이어 클램프의 구성을 도 1과 도 2,3 그리고 도 5a, 5b, 5c, 5d 또한 도 6a, 6b, 6c, 6d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는 사다리형 판재를 앞뒤 두겹으로 구성하되, 양면 사이에 같은 꼴의 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은 밀폐하되 전면에 적정한 넓이의 직선형 절개부인 와이어통로(15)를 마련하여 메신저 와이어(11)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되며 몸체(1) 뒷면에 3개의 늑골 홈(8)을 형성하여 하부의 짧은 늑골 홈(8)은 삼각형 바이스(2)의 좁은 부분을 감싸는 몸체(1)의 강도를 보강하고, 중간 길이의 늑골 홈(8)은 삼각형 바이스(2)의 상부를 감싸는 몸체(1)의 강도를 보강하며, 가장 긴 늑골 홈(8)은 걸이 링(6)의 인장력으로 몸체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몸체(1)에서 이러한 메신저 와이어 통로(15)의 형성은 몸체(1)의 강도를 떨어뜨리므로, 늑골 홈(8)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몸체(1)는 내부의 협지부에 1조의 삼각형 바이스(2)가 직선면을 중앙으로 하여 대칭으로 삽입되는데, 이 때 삼각형 바이스(2)의 각각의 경사면은 몸체(1)의 좌우 외측 경사면과 평행을 이룬다. 삼각형 바이스(2)의 직선면에는 고정할 메신저 와이어(11)의 단면이 원형이므로 조임 시 찌그러짐을 감안하여 이를 고정하기위한 원호형 톱니(5)가 형성되고 좁은 일측단부에는 와이어 삽입가이드(4)가 구비되어 메신저 와이어(1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넓은 타일측단부에 스프링 가이드 판(9)이 설치되며 이렇게 몸체(1)에 삽입 내장되는 1조의 삼각형 바이스(2)의 구성은 상호 동일하다.
또한,
1개의 삼각형 바이스(2) 윗면에는 1개의 팽창스프링(3)이 설치되며 팽창스프링(3)의 타 일측부는 몸체(1) 윗면의 스프링 가이드 홈(10) 둘레에 설치되며,삼각형 바이스(2)의 윗면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가이드 판(9)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1조의 팽창스프링(3)이 상기 1조의 삼각형 바이스(2)와 취합되어 각각의 삼각형 바이스(2)는 각각의 팽창스프링(3)의 탄성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3)를 취부하는 것은 메신저 와이어(11)가 몸체(1)의 메신저 와이어 통로(15)를 통하여 삼각형 바이스(2)의 양쪽 원호형 톱니(5) 사이에 위치하였을 때 탄성 부재(3)는 삼각형 바이스(2)의 상면에 항상 탄성을 줌으로서 삼각형 바이스(2)는 사다리꼴 몸체(1) 좁은 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삼각형 바이스(2)의 경사면은 몸체(1)의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결국 1조의 삼각형 바이스(2)는 몸체(1)의 중심선을 향해 접근하므로 삽입된 메신저 와이어(11)를 조여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메신저 와이어(11)가 고정된 몸체(1)를 통신전주와 댁내 건물에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걸이 링(6)에 있어서,
반 타원형으로 구성된 걸이 링(6)의 양 끝단은 몸체(1) 넓은 면 좌우 측면에 형성된 걸이 링 고정구(7)를 통과하여 구부러짐으로 걸려 헐거움 고정된다.
또한 팽창 스프링(3)과 스프링 가이드 홈(10), 스프링 가이드 판(9)에 있어서,
1조의 팽창 스프링(3)이 몸체(1) 넓은 윗면 내부와 1조의 삼각형 바이스(2) 윗면 사이에 위치하여 탄성을 주고 이 때 팽창 스프링(3)은 스프링 가이드 홈(10), 스프링 가이드 판(9)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며. 이 탄성에 의해 삼각형 바이스(2)를 몸체(1)의 하부 좁은 부분으로 항상 밀리고 있다.
메신저 와이어(11)가 와이어 양측의 삽입가이드(4)사이에 진입하여 삼각형 바이스(2)의 원호형 톱니(5)에 접촉하여 밀어 올리면 삼각형 바이스(2)도 메신저 와이어(11)에 밀려 팽창 스프링(3)의 탄성을 이기고 몸체의 넓은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스프링 가이드 판(9)은 팽창 스프링(3)의 이탈로 인하여 서로 엉킴을 방지하고, 메신저 와이어 통로(15)를 침범하여 메신저 와이어(11)의 삽입을 방해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상기 1조의 삼각형 바이스(2)의 스프링 가이드 판(9)에 있어 일실시 예로서,
상기 스프링 가이드 판(9)을 스프링 가이드 바(20)로 대체하여 삼각형 바이스(2) 넓은 상면중앙에 구성하여 스프링 가이드 홈((10)과의 사이에 팽창 스프링(3)을 설치함으로서 팽창 스프링(3)의 이탈로 인하여 서로 엉킴을 방지하고 메신저 와이어 통로(15)를 침범하여 메신저 와이어(11)의 삽입을 방해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작용을 도 3, 7a, 7b, 7c 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품으로 조립된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로서 1조의 삼각형 바이스(2)는 몸체(1)의 협지부에 상호 대칭으로 삽입되고 삼각형 바이스(2)상부와 몸체(1)내부의 넓은 상부 사이에 1조의 팽창스프링(3)이 설치되어 항상 탄성을 미치고 있어 이 탄성에 의하여 몸체(1) 내부에 위치한 1조의 삼각형 바이스(2)는 몸체(1)의 협지부 방향으로 항상 밀리고 있다.
이러한 탄성이 삼각형 바이스(2)의 경사면과 몸체(1)의 경사면이 상호 미끄러지게 하므로 삼각형 바이스(2)의 원호형 톱니(5)들은 항상 서로 맞닿아 접촉된다.
이와 같이 준비된 메신저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에 광케이블을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먼저, 메신저 와이어(11)의 피복(17)을 원호형 톱니(5) 길이보다 길게 제거한 다음, 걸이 링(6) 쪽의 광케이블(12)과 메신저 와이어(11)를 같이 손으로 잡고 광케이블(12)에 부가된 메신저 와이어(11)만을 와이어 삽입가이드(4) 개구부의 사이로 도 7a 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 올린다.
메신저 와이어(11)는 원호형 톱니(5)에 부딪히지만 당겨 올리는 힘이 팽창스프링(3)의 탄성을 이기고 원호형 톱니(5)와 함께 삼각형 바이스(2)를 도 7b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진다.
메신저 와이어(11)가 원호형 톱니(5) 사이에 원호형 톱니(5) 길이만큼 삽입되어 당겨 올리기를 중단하면 팽창스프링(3)의 탄성은 다시 삼각형 바이스(2)에 미치게 되고 동시에 원호형 톱니(5)는 메신저 와이어(11)에 접촉된다.(도 7c 참조)
이 때 걸이 링(6) 반대쪽의 광케이블(12)과 메신저 와이어(11)를 함께 잡고적당한 힘으로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당겨주면 원호형 톱니(5)가 메신저 와이어(11)를 조여 잡아주게 된다.
설치 된 후에는 메신저 와이어에 바람 등 장력이 미치면 그만큼 강력하게 조여 고정된다.
또한, 몸체(1)의 후면에 형성 된 늑골 홈(8)에 있어서,
상기의 조임과 고정작용으로 1조의 삼각형 바이스(2)는 상호 몸체(1) 외측 경사면 방향으로 서로 밀어내는 추력이 발생하고 이 추력은 상기 몸체(1)에 전달되어 절개부인 메신저 와이어 통로(15)가 넓어지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후면의 늑골 홈(8)들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조임과 고정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늑골 홈(8)의 다른 일실시 예로서
상기 메신저 와이어(11)의 가설 장력이 증가되는 대형 광케이블과 일상적이지 않은 비교적 먼 거리의 광케이블 포설 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몸체(1)의 강도를 더욱 증가할 필요가 있으므로 3개 이상의 늑골홈(8)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삼각형 바이스(2)의 고정수단인 원호형 톱니(5)의 다른 일 실시 예로서,
도 7d를 참조하여, 상기 삼각형 바이스(2)의 원호형 톱니(5)의 잇날 높이를 메신저 와이어 피복(17) 두께보다 높게 구성하고, 잇날을 메신저 와이어 피복(17)을 벨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하면 잇날은 피복(17)을 잇날 사이에 수용하면서 파고들어가서 용이하게 와이어에 접근하므로 피복을 제거하지 않고도 상기 절차에 따라 신속하고 단단하게 메신저 와이어(11)를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부가하여,
상기 삼각형 바이스(2)의 고정수단인 원호형 톱니(5)의 또 다른 일실시 예로서,
고정수단인 원호형 톱니(5) 부분을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으로 대체하되, 도 8a 와 8b, 8c, 그리고 8d를 참조하여 다심형 메신저 와이어(11)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최근의 다심형 메신저 와이어(11)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꼬아서 만들어, 각 와이어 사이에는 긴 요철홈(Groove)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삼각형 바이스(2)의 원호형 톱니(5) 부분을 다심형 메신저 와이어(11)의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에 맞는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으로 대체하여 1조의 삼각형 바이스(2)가 다심형 메신저 와이어(11)의 요철부를 감싸도록 구성한 후, 메신저 와이어(11)의 피복(17)만을 긴 홈(Groove)의 길이보다 길게 제거하고 상기와 동일한 삽입 고정 방법으로 설치한다.
역시, 메신저 와이어(11)의 장력이 증가 할수록 삼각형 바이스(2)의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과 메신저 와이어(11)의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이 상호 파고들어 더욱 강하게 조여 주게 된다.
이렇게 조여진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는 몸체에 부착된 걸이 링(6)을 이용하여 통신전주상의 케이블 인입 클램프와 댁내 건물의 단자함 인입벽철의 고리에 걸어 설치가 완료된다.
또 다시
상기 삼각형 바이스(2)의 고정수단인 원호형 톱니(5)의 또 다른 일실시 예로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삼각형 바이스(2)의 원호형 톱니(5)를 돌출형 톱니(21)로 대체하되, 각각의 삼각형 바이스(2)에 상하로 2열을 배열하여 도합 4열의 돌출형 톱니(21)로 구성하여 메신저 와이어(11)를 설치하면,
삼각형 바이스(2)의 조임 압력이 돌출형 톱니(21)에 집중적으로 가압되어 즉,
1조의 삼각형 바이스(2)에 형성 된 4열의 돌출형 톱니(21)가 4방향에서 가압 된 힘으로서 메신저 와이어(11)를 조이게 되는 것이다.
또 다시 추가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삼각형바이스(2)의 고정수단인 원호형 톱니(5)에 있어서,
삼각형 바이스(2)의 원호형 톱니(5)를 톨출형 톱니(21)로서 상하로 배열하되,
설치되는 메신저 와이어(11)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조임의 수단을 강화하기 위하여 톨출형 톱니(21)를 각각의 삼각형 바이스(2)에 3열 이상으로 배열하여 도합 6열 이상의 돌출형 톱니(21)를 상하로 형성하여 직경이 큰 메신저 와이어(11)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삼각형 바이스(2)와 팽창스프링(3)이 상기 몸체(1)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메신저 와이어(11)를 절단하지 않고, 와이어 삽입가이드(4), 메신저 와이어 통로(15)를 통과하여 팽창스프링(3)의 탄성을 받은 원호형 톱니(5)가 형성 된 삼각형 바이스(2) 에 의해 조임 작용을 하되 삼각형 바이스(2)와 몸체(1)의 경사면의 상호 미끄럼 작용으로 메신저 와이어(11)에 장력이 많이 미칠수록 더욱 견고하게 메신저 와이어(11)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탈착이 용이하고 광케이블의 유지보수가 편리하여 광통신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일실시 예와 또 다른 일 실시 예들을 들어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에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 있어 그 제한을 두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는 종래의 원추형 몸체에 반원형 바이스를 내장한 와이어 클램프가 광케이블에 부가된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고 고정하게 됨으로서 광케이블이 불안정하게 설치되며 이전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혀 다른 광케이블의 설치공법을 창출한 것으로서,
몸체의 넓은 일측면에 절개된 메신저 와이어 통로가 형성되고 늑골홈을 가지며 양측면부에 걸이 링 삽입구를 가진 사다리형 몸체와, 몸체에 내장되는 삼각형 바이스에는 각각의 직선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좁은 일측부 각각에는 와이어 삽입가이드가 구비되며 넓은 타일측부 각각에 스프링 가이드가 설치되며, 탄성부재와 몸체의 양측면부의 걸이링 삽입구에 끼움 고정되는 걸이 링으로 구성되어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으므로 광케이블을 가설 장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의 일실시 예에 의하여,
스프링 가이드 판을 스프링 가이드 바(Bar)로 대체하여 삼각형 바이스의 넓은 상면중앙에 구성함으로서 팽창 스프링 이탈로 인하여 서로 엉킴을 방지하고 메신저 와이어 통로를 침범하여 메신저 와이어의 삽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의 일실시 예에 의하여,
늑골 홈의 3개 이상의 추가 구성으로 몸체의 강도를 더욱 증가하도록 구성하여 대형 광케이블과 일상적이지 않은 설치거리에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의 다른 일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되 원호형 톱니의 잇날만을 높고 날카롭게 형성하여 메신저 와이어의 피복을 제거하지 않고도 메신저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 삼각형 바이스(2)에 있어서
고정수단인 원호형 톱니(5) 부분만을 다심형 메신저 와이어의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메신저 와이어 피복을 적절한 길이로 제거 한 후 상호 긴 요철홈으로 결합토록 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추가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삼각형 바이스의 원호형 톱니를 돌출형 톱니로 대체하되, 각각의 삼각형 바이스에 상하로 2열을 배열하여 도합 4열의 돌출형 톱니로 구성하여 메신저 와이어를 설치하여
삼각형 바이스의 조임 압력이 돌출형 톱니에 집중적으로 가압되게 함으로서 즉,
1조의 삼각형 바이스에 형성 된 4열의 돌출형 톱니가 4방향에서 가압 된 힘으로서 메신저 와이어를 조이게 되는 효과와,.
또 다시 추가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삼각형 바이스의 원호형 톱니를 톨출형 톱니로서 상하로 배열하되,
설치되는 메신저 와이어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조임의 수단을 강화하기 위하여 톨출형 톱니를 각각의 삼각형 바이스에 3열 이상으로 배열하여 도합 6열 이상의 돌출형 톱니를 상하로 형성함으로서 6방향 이상에서 집중적으로 가압된 힘으로 직경이 큰 메신저 와이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효과와,
상기에서와 같이 모두의 구성으로 광케이블 설치 시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 메신저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가설 장력을 견디며, 신속한 설치와 해제가 용이하게 광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는 새로운 설치공법의 창출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나타낸 설치단면도
도 2 는 구성품의 조립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상세하게 분해한 사시도
도 4a 는 종래의 바이스 클램프의 단면도
도 4b 는 종래의 바이스 클램프의 몸체와 원추형바이스 사시도
도 5a 는 본 고안의 몸체 전면도
도 5b 는 본 고안의 몸체 상면도
도 5c 는 본 고안의 몸체의 측면도
도 5d 는 본 고안의 몸체의 후면도
도 6a 는 본 고안의 삼각형 바이스 사시도
도 6b 는 본 고안의 삼각형 바이스에 메신저 와이어가 설치된 상면도
도 6c 는 본 고안의 삼각형 바이스의 원호형 톱니 정면도
도 6d 는 본 고안의 삼각형 바이스의 원호형 톱니 확대 부분사시도
도 7a 는 본 고안의 메신저 와이어의 삽입도
도 7b 는 본 고안의 메신저 와이어 삽입 시 삼각형 바이스 작동도
도 7c 는 본 고안의 메신저 와이어 고정 시 삼각형 바이스 작동도
도 7d 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로서 바이스의 원호형 톱니가 메신저 와이 어 피복을 통과하여 와이어 강연선을 고정하는 작동도
도 8a 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로서 원호형 긴 홈(Groove)을 적용한 삼각 형 바이스의 사시도
도 8b 는 상기 8a의 삼각형 바이스에 메신저 와이어가 설치된 상면도
도 8c 는 7a의 원호형 긴 홈(Groove)의 정면도
도 8d 는 다심형 메신저 와이어의 긴 홈(Groove)과 단면도
도 9 는 삼각형 바이스의 돌출형 톱니 배열과 설치도

Claims (8)

  1. 메신저 와이어가 부가된 댁내 광가입자용 광케이블을 설치 고정하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에 있어서,
    사다리형 판재를 앞뒤 두겹으로 구성하되, 양면 사이에 같은 꼴의 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은 밀폐하되 전면에 적정한 넓이의 직선형 절개부인 와이어통로를 마련하여 메신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메신저 와이어를 절단하지 않고도 삽입이 용이하며 양측단부에 걸이 링 고정구를 가진 몸체와,
    각각의 직선면에 원호형 톱니가 형성되고 좁은 일측부 각각에는 와이어 삽입가이드가 구비되며 넓은 타일측부 각각에 스프링 가이드가 설치된 고정수단인 2조각의 삼각형 바이스와,
    삼각형 바이스 상면과 몸체의 상부 내부면에 위치하여 삼각형 바이스에 탄성을 미치어 몸체의 경사면과 삼각형 바이스의 경사면이 항상 미끄럼 접촉하게 하는 한조의 탄성부재와.
    몸체의 좌우 측단의 걸이 링 고정구에 끼움 고정되어 전주와 건물의 고리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이 링으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스프링 가이드 판을 스프링 가이드 바(Bar)로 대체하여 삼각형 바이스의 넓은 상면중앙에 구성함으로서 팽창 스프링 이탈로 인하여 서로 엉킴을 방지하고 메신저 와이어 통로를 침범하여 메신저 와이어의 삽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사다리형 몸체의 메신저 와이어 통로의 타일측면에 강도증가를 위한 3개의 늑골홈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몸체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메신저와이어의 인장력과 걸이 링의 인장력으로 몸체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가설 장력이 증가되는 대형 광케이블과 먼 거리의 광케이블 포설 시, 몸체의 강도를 증가할 필요에 따라 사다리형 몸체의 메신저 와이어 통로의 타일측면에 강도증가를 위한 3개 이상의 늑골홈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몸체의 강도를 보강하고 메신저와이어의 인장력과 걸이 링의 인장력으로 몸체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삼각형 바이스의 원호형 톱니의 잇날 높이를 메신저 와이어 피복 두께보다 높게 구성하고, 잇날을 메신저 와이어 피복을 벨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하여 피복을 제거하지 않고도 메신저 와이어를 단단하게 고정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6. 제 1항에 있어서,
    삼각형 바이스의 원호형 톱니 부분을 다심형 메신저 와이어의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에 맞는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으로 대체하여 1조의 삼각형 바이스의 긴 요철홈이 다심형 메신저 와이어(11)의 요철부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메신저 와이어(11)의 장력이 증가 할수록 삼각형 바이스의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과 메신저 와이어의 꼬여진 긴 요철홈(Groove)이 상호 파고들어 더욱 강하게 조여 주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7. 제 1항에 있어서,
    삼각형 바이스의 원호형 톱니를 돌출형 톱니로 대체하되, 각각의 삼각형 바이스에 상하로 2열을 배열하여 도합 4열의 돌출형 톱니로 구성하여 조임 압력이 돌출형 톱니에 집중적으로 가압되게 함으로서 즉,
    1조의 삼각형 바이스에 형성 된 4열의 돌출형 톱니가 4방향에서 가압 된 힘으로서 메신저 와이어를 조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8. 제 1항에 있어서
    삼각형 바이스의 원호형 톱니를 돌출형 톱니로 대체하여 상하로 배열하되,
    설치되는 메신저 와이어의 직경이 커짐에 따른 조임의 수단을 강화하기 위하여 톨출형 톱니를 각각의 삼각형 바이스에 3열 이상으로 배열하여 도합 6열 이상의 돌출형 톱니를 상하로 형성함으로서 큰 직경의 메신저 와이어를 6방향 이상에서 가압된 힘으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KR20-2005-0010595U 2005-04-18 2005-04-18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KR200393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95U KR200393276Y1 (ko) 2005-04-18 2005-04-18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95U KR200393276Y1 (ko) 2005-04-18 2005-04-18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544 Division 2005-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276Y1 true KR200393276Y1 (ko) 2005-08-22

Family

ID=4369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595U KR200393276Y1 (ko) 2005-04-18 2005-04-18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27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50B1 (ko) * 2015-12-09 2016-09-06 김규중 쐐기형 인장 클램프
CN108594392A (zh) * 2018-07-04 2018-09-28 江苏亨通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8字形光缆用组合式楔形金具
KR20200072489A (ko) * 2017-10-06 2020-06-22 퀵 피팅, 인크. 케이블 고정 장치
JP2022009969A (ja) * 2017-05-30 2022-01-14 京セラ株式会社 ワイヤガイ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電極
KR20220151904A (ko) * 2021-05-07 2022-11-15 조진숙 지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50B1 (ko) * 2015-12-09 2016-09-06 김규중 쐐기형 인장 클램프
JP2022009969A (ja) * 2017-05-30 2022-01-14 京セラ株式会社 ワイヤガイ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電極
KR20200072489A (ko) * 2017-10-06 2020-06-22 퀵 피팅, 인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261299B1 (ko) 2017-10-06 2021-06-07 퀵 피팅 홀딩 컴퍼니, 엘엘씨 케이블 고정 장치
CN108594392A (zh) * 2018-07-04 2018-09-28 江苏亨通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8字形光缆用组合式楔形金具
KR20220151904A (ko) * 2021-05-07 2022-11-15 조진숙 지지 장치
KR102562235B1 (ko) * 2021-05-07 2023-07-31 조진숙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276Y1 (ko) 광케이블 메신저 와이어 클램프
US6011218A (en) U-shaped universal grounding clamp
US5617501A (en) Shield bond strain connector for fiber optic closure
EP1753660B1 (en) Low tension flush cut-off cable tie installation tool
US7367534B2 (en) Drop wire clamp
US5590234A (en) Fiber optic splice organizers
US5758004A (en) Closure with cable strain relief
US5553186A (en) Fiber optic dome closure
EP4243228A2 (en) Cable strain relief clamp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200453855Y1 (ko) 케이블 행거
CN100341200C (zh) 自动楔形电连接器
US6517052B1 (en) Installation tool system for pole-mounted communication cables
KR101700919B1 (ko) 전주에 케이블을 인장하여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고정 클램프
KR102104667B1 (ko) 전선케이블 고정클램프
WO2009040566A1 (en) Cable termination clamp with inclined gripping means
JP4458538B2 (ja) 光ケーブル接続具
US7234669B2 (en) Clamp
WO2010052677A1 (en) Optical fiber fixing device, optical fiber fixing device assembly and method for fixing optical fiber
KR100892657B1 (ko) 인장재의 정착구
KR101873114B1 (ko) 강연선 연결용 커플러
AU2013100238A4 (en) Cable clamp assembly and method for a flat fiber optic cable
KR102315612B1 (ko) 조립이 용이한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WO2008085692A1 (en) Cable clamping hardware and cable connection box having same
JP4458539B2 (ja) 光ケーブル接続具
CN216901061U (zh) 一种耐弯曲圆型引入光缆耐张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