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700Y1 -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Google Patents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2700Y1 KR200392700Y1 KR20-2005-0013887U KR20050013887U KR200392700Y1 KR 200392700 Y1 KR200392700 Y1 KR 200392700Y1 KR 20050013887 U KR20050013887 U KR 20050013887U KR 200392700 Y1 KR200392700 Y1 KR 2003927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hand
- glove
- insert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에 관한 것으로, 사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거울부를 손등에 대응되는 손 삽입부의 외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인라인이나 자전거를 탈 때 좌우나 뒤쪽의 사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을 제공한다. 이때 거울부의 거울로서 볼록 거울을 사용함으로써, 육안으로 멀리 있는 사물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거울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를 구비함으로써, 거울을 사용하지 않을 때 거울의 반사면이 외부환경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거울부에 탈착 수단을 개재하여 손 삽입부에 탈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거울부를 갖지 않는 장갑에도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라인이나 자전거를 탈 때 착용하는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라인이나 자전거를 탈 때 좌우 및 뒤를 확인할 수 있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이나 자전거는 빠른 속도로 주행이 가능한 레포츠 중의 하나로서, 인라인이나 자전거를 탈 때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해서 안전장구를 착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구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갑(400)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갑(400)은 손이 삽입되는 손 삽입부(310)와, 손 삽입부(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손 삽입부(310)가 손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320)로 구성되며, 고정부(320)는 손목 부분이나 손등 부분에 대응되는 손 삽입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라인이나 자전거를 탈 때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속도로 달리기 때문에, 주행시 시선은 주로 앞쪽을 향하며, 좌우나 뒤쪽의 사물의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개를 돌려서 직접 확인해야 한다.
물론 거울이 장착된 자전거의 경우 뒤쪽 사물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인라인이나 거울이 장착되지 않은 자전거의 경우는 직접 고개를 돌려 뒤쪽의 사물을 확인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주행시 고개를 돌려서 좌우의 사물을 확인하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지만, 180도 가까이 고개를 돌려서 뒤쪽의 사물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리고 인라인이나 자전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뒤쪽의 사물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도리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인라인이나 자전거를 탈 때 좌우나 뒤쪽의 사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거울의 반사면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덮개를 구비한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이 삽입되는 손 삽입부와; 손등에 대응되는 상기 손 삽입부의 외측면에 설치된 거울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울부는, 손등에 대응되는 상기 손 삽입부의 외측면에 설치된 거울과; 상기 거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울을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갑에 있어서, 거울부는 거울에 대해서 개폐된 덮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때 고정 수단으로는 단추 또는 벨크로 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갑에 있어서, 손 삽입부에 거울부를 탈착할 수 있는 탈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갑에 있어서, 탈착 수단은 손 삽입부의 외측면에 삽입되는 더미 손 삽입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탈착 수단으로 손 삽입부와 거울부 사이에 개재된 단추 또는 벨크로 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장갑에 있어서, 거울로는 멀리 있는 사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볼록 거울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30)를 갖는 장갑(1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울부의 덮개(34)가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갑(100)은 인라인이나 자전거를 탈 때 좌우나 뒤쪽의 사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손등에 대응되는 손 삽입부(10)의 외측면에 거울부(3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인라인이나 자전거를 탈 때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갑(100)을 착용함으로써, 좌우나 뒤쪽의 사물을 거울부(30)를 통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30)를 갖는 장갑(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이 삽입되는 손 삽입부(10)와, 손등에 대응되는 손 삽입부(10)의 외측면에 설치된 거울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손 삽입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손 삽입부(10)가 손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20)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20)는 손목 부분이나 손등 부분에 대응되는 손 삽입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손 삽입부(10)와 고정부(20)는 통상적인 장갑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아울러 제 1 실시예에 개시된 손 삽입부(10)와 고정부(20)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거울부(30)는 손등에 대응되는 손 삽입부(10)의 외측면에 설치된 거울(32)과, 거울(32)의 일측에 결합되어 거울(32)을 보호하는 덮개(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울(32)은 육안으로 사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반사체의 일종으로서, 멀리 있는 사물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볼록 거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34)는 거울(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거울(32)을 사용할 때는 오픈하여 사용하고, 거울(32)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거울(32)을 덮어 거울(32)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반사면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때 거울부(30)는 덮개(34)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36)을 더 포함한다. 즉 고정 수단(36)은 덮개(34)를 거울(32)에 대하여 개폐하여 사용할 때, 개폐된 덮개(34)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수단(36)은 덮개(34)의 일측을 거울(32)에 근접한 손 삽입부(10)에 고정하는 제 1 고정 수단(37)과, 거울(32)을 덮는 덮개(34)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 2 고정 수단(38)과, 거울(32)에서 분리되는 덮개(34)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 3 고정 수단(3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수단(36)으로는 단추 또는 벨크로 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덮개(34)의 일측은 손 삽입부(10)의 외측면에 제 1 고정 수단(37)으로 고정 설치되어 제 1 고정 수단(37)을 축으로 덮개(3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거울(32)을 개폐하게 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덮개(34)를 손 삽입부(10)의 외측면 위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제 1 고정 수단(37)이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덮개(34)를 손 삽입부(10)의 외측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제 1 고정 수단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고정 수단(37, 38)으로 단추가 사용되고, 제 3 고정 수단(39)으로 벨크로 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서는 거울부(30)가 손 삽입부(10)에 직접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거울부(130)를 갖는 장갑(200)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거울부(230)를 갖는 장갑(300)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갑(200)은 손 삽입부(110)에 거울부(130)를 탈착할 수 있는 탈착 수단(140)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탈착 수단(140)은 손 삽입부(110)의 외측면에 삽입되는 더미 손 삽입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갑(200)은 손 삽입부(110)의 외측면에 거울부(130)가 설치된 더미 손 삽입부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된다. 더미 손 삽입부는 손가락의 일부가 노출되는 장갑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장갑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130)를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탈착 수단(140)으로 제 2 실시예에서는 더미 손 삽입부를 예시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수단(240)으로 손 삽입부(210)와 거울부(230)에 사이에 단추 또는 벨크로 파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조를 따르면 사물을 확인할 수 있는 거울부를 손등에 대응되는 손 삽입부의 외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인라인이나 자전거를 탈 때 좌우나 뒤쪽의 사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거울부의 거울로서 볼록 거울을 사용함으로써, 육안으로 멀리 있는 사물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거울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를 구비함으로써, 거울을 사용하지 않을 때 덮개로 거울의 반사면을 덮어 외부환경에 의해 거울의 반사면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거울부에 탈착 수단을 구비시켜 손 삽입부에 탈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거울부를 갖지 않는 장갑에도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사용되는 거울은 볼록거울을 사용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거울로도 먼거리의 사물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울부의 덮개가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장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110, 210 : 손 삽입부 20 : 고정부
30, 130, 230 : 거울부 32 : 거울
34 : 덮개 36 : 고정 수단
100, 200, 300 : 장갑 140, 240 : 탈착 수단
Claims (7)
- 손이 삽입되는 손 삽입부를 포함하는 장갑에 있어서,상기 손 삽입부에서 손등에 해당되는 외측면에 설치된 거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는 상기 손등에 해당되는 외측면에 설치된 거울과, 상기 거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울을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는 상기 거울에 대해서 개폐된 상기 덮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수단은 단추 또는 벨크로 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 삽입부에 상기 거울부를 탈착할 수 있는 탈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손 삽입부의 외측면에 삽입되는 더미 손 삽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손 삽입부와 상기 거울부 사이에 개재된 단추 또는 벨크로 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볼록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3887U KR200392700Y1 (ko) | 2005-05-17 | 2005-05-17 |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3887U KR200392700Y1 (ko) | 2005-05-17 | 2005-05-17 |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2700Y1 true KR200392700Y1 (ko) | 2005-08-17 |
Family
ID=4369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3887U KR200392700Y1 (ko) | 2005-05-17 | 2005-05-17 |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270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0834Y1 (ko) | 2009-11-17 | 2012-06-11 | 이 이 첸 | 글러브 |
KR101315620B1 (ko) | 2011-12-02 | 2013-10-08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후방 감시 장갑 |
-
2005
- 2005-05-17 KR KR20-2005-0013887U patent/KR20039270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0834Y1 (ko) | 2009-11-17 | 2012-06-11 | 이 이 첸 | 글러브 |
KR101315620B1 (ko) | 2011-12-02 | 2013-10-08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후방 감시 장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51374B2 (en) | Ski, outdoor activity or tactical goggle protective covering | |
US20220079282A1 (en) | Protective helmet | |
EP3366153B1 (en) |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 |
JP4775659B2 (ja) | ゴーグル | |
US9204997B2 (en) | Goggle lens engagement system | |
JP5418814B2 (ja) | ゴーグル | |
US8656521B2 (en) | Goggle lens cover | |
JP3961320B2 (ja) | バングルタイプバンドを備えた腕装着型携帯装置 | |
JP2009535079A5 (ko) | ||
US10736374B2 (en) | Type variable helmet | |
US7770237B1 (en) | Baby garment for accessing and protecting the umbilical cord | |
US10828200B2 (en) | Automatic shading googles | |
KR200392700Y1 (ko) | 후방 관측이 가능한 장갑 | |
US10561902B2 (en) | Goggles | |
US20040181841A1 (en) | Combination eye and ear protection apparatus | |
JP2005292750A (ja) | 遮光用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及びサングラス | |
KR101436374B1 (ko) | 헬멧 쉴드용 렌즈 조립체 | |
JP3726128B2 (ja) | 防護マスク | |
US20110047681A1 (en) | Protective eyewear device with lateral eye access | |
JP3097571U (ja) | 眼鏡保護カバー | |
JP3107145U (ja) | ゴーグル構造 | |
JP6547051B1 (ja) | 防塵用メガネ体 | |
JPH07300709A (ja) | 手 袋 | |
JP2005128463A (ja) | インナーゴーグル付き眼鏡及びサングラス | |
KR20210115990A (ko) | 고글 마스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