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455Y1 -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 Google Patents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455Y1
KR200392455Y1 KR20-2005-0015223U KR20050015223U KR200392455Y1 KR 200392455 Y1 KR200392455 Y1 KR 200392455Y1 KR 20050015223 U KR20050015223 U KR 20050015223U KR 200392455 Y1 KR200392455 Y1 KR 200392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support
ship
cen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명자
Original Assignee
주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자 filed Critical 주명자
Priority to KR20-2005-0015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4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4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 B60P3/109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by suspending the boat, e.g. straddle trucks or 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8Trailers with more than two axles or more than fou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태풍이나 해일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방파제 주변의 소형 선박을 크레인으로 들어 본 고안에 싣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구성]
후방부가 개방된 "⊃" 형태의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에 구성되어 경운기나 트랙터, 자동차 등에 연결시켜 전체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 연결장치와; 상기 하부 프레임 위에 위치하며 역시 후방부가 개방된 "⊃" 형태의 상부 프레임(30)과;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30)의 사이에 구성되어 소형 선박을 상부 프레임(30) 위에 싣고 내릴 때 상부 프레임(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최소 4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와;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후방 쪽 개방된 부분에 횡 방향으로 구성되어 선박을 실을 때는 잠궈서 상부 프레임(30)의 후방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선박의 선수부 바닥이 얹히도록 하여 지지하는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와;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중앙부에 횡 방향으로 구성되어 선박의 바닥 중앙부가 얹히도록 하여 지지하는 최소 1개 이상의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쇠(71) 및 상기 지지쇠(71)와 고정되는 보스(72)의 내부에 조립된 베어링(73)에 의해 지지되는 축(74)과 연결된 전후의 바퀴(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Transporter for small ship}
본 고안은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방파제 주변의 소형 선박을 크레인으로 들어 본 고안에 싣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태풍이나 해일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기 전 방파제 주변에 정박시켜 둔 소형 선박들은 육지의 안전한 장소로 이동을 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소형 선박을 방파제 위로 이동시킬 수 있는 크레인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사실이 있다. 그런데,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을 방파제 위로 이동을 시키고 이를 육지의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을 시키기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장치가 없어 대형 트럭을 이용하여 선박을 이동시키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대형 손수레를 2개 혹은 3개씩 묶어 연결시킨 후 트럭의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여건도 되지 않는 어촌에서는 방파제 위로 선박을 올려놓기만 할 뿐 육지의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태풍이나 해일 등에 의해 재산상의 손실을 크게 입는 것은 물론 이는 나아가 국가적인 손실을 야기 시키고 있는 모순에 처해져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트럭이나 대형 손수레를 이용하여 선박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후자의 경우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작업성이 극히 저조하며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등의 폐단이 있어 결코 권장할 만한 방법이 되지 못하는 것이고, 트럭을 이용할 경우는 손수레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약간 안전하고 작업성이 다소 우수하다고는 볼 수 있으나 이 역시 위험하고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가 없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2종류의 작업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어렵사리 선박을 육지의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을 시켰다고 하더라도 그 장소에 크레인이 없으면 선박을 신속히 육지에 안착시킬 방법이 없고, 무리를 하여 인력으로 선박을 트럭이나 손수레로부터 내릴 경우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높아짐과 아울러 선박이 파손될 우려도 매우 높기 때문에 사실상 90% 이상의 어촌에서는 태풍이나 해일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기 전 선박을 방파제 위로 끌어 올려서 두는 방법 이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큰 문제에 봉착되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를 안출하여 실용신안으로 선 등록(등록 제0377762호)을 받은 사실이 있는 바, 본 출원인은 상기 선 등록된 고안의 미비점이라 지적할 수 있는 부분을 개량시킨 것이다. 즉, 구조를 더욱 간단히 개량시키고 내구성을 더욱 상승시켰으며, 본 고안과 견인수단과의 연결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진보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선박 대피에 따른 문제와 폐단 및 선 등록된 고안의 미비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후방부가 개방된 "⊃" 형태의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에 구성되어 경운기나 트랙터, 자동차 등에 연결시켜 전체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 연결장치와; 상기 하부 프레임 위에 위치하며 역시 후방부가 개방된 "⊃" 형태의 상부 프레임(30)과;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30)의 사이에 구성되어 소형 선박을 상부 프레임(30) 위에 싣고 내릴 때 상부 프레임(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최소 4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와;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후방 쪽 개방된 부분에 횡 방향으로 구성되어 선박을 실을 때는 잠궈서 상부 프레임(30)의 후방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선박의 선수부 바닥이 얹히도록 하여 지지하는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와;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중앙부에 횡 방향으로 구성되어 선박의 바닥 중앙부가 얹히도록 하여 지지하는 최소 1개 이상의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쇠(71) 및 상기 지지쇠(71)와 고정되는 보스(72)의 내부에 조립된 베어링(73)에 의해 지지되는 축(74)과 연결된 전후의 바퀴(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견인수단 연결장치는, 하부 프레임(10)의 개방부 반대쪽에 고정되는 중앙대(21) 및 이 중앙대(21)를 좌우에서 지지하는 보조대(22)와, 상기 중앙대(21) 및 보조대(22)를 상기 하부 프레임(10)에 연결시키는 힌지(21a)(22a)와, 상기 중앙대(21)의 끝에 고정핀(25)으로 연결된 채 경운기나 트랙터, 자동차 등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쇠(23) 및 그 연결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키는 결속핀(24)으로 구성된 견인수단 연결장치(2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는, 하부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전후 2개 1조의 유압실린더(61)와, 상기 유압실린더(61)의 피스톤 로드(62)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부프레임(30)에 고정되는 전후 2개 1조의 지지쇠(63)와, 상기 지지쇠(63)와 피스톤 로드(62)를 고정시키는 너트(64)와, 상기 유압실린더(61)의 상하에 연결된 유압호스(65)(67)의 끝에 각기 조립되어 견인을 위한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유압장치에 연결시켜 유압실린더(61)로 유압 동력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잭(66)(68)으로 구성된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는, 상부 프레임(30)의 후방 쪽 양단부에 고정되는 버팀쇠(41)와, 상기 버팀쇠(45) 사이에 걸려서 선박이 얹힌 상부 프레임(30)이 좌우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로프(42)로 구성된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4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는, 상부 프레임(30)의 한쪽 상면에 고정된 채 고정핀(52)을 통해 벨트(53)의 끝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쇠(51)와, 역시 상부 프레임(30)의 상면이면서 상기 지지쇠(51)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채 벨트(53)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지지핀(55) 및 제2 지지핀(56)을 가지는 지지쇠(54)와, 벨트 끝(53a)을 상기 제2 지지핀(56)의 위에서 아래로 감듯이 통과시켜 제1 지지핀(55)의 위쪽을 지나도록 함으로서 선박이 얹혔을 때 그 중량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벨트(53)로 구성된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및 작용을 살핀다.
먼저 가로와 세로가 최소 100mm 이상의 치수를 가지고 두께 10mm 이상이 되는 사각 바(bar) 형의 금속제를 사용하여 후방부가 "⊃" 형태로 개방된 하부 프레임(10)을 제작하는데, 상부 프레임(30)의 경우도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후방부가 개방된 이유는, 육지의 안전한 장소로 선박을 이동시키고 선박의 저면에 받침대 혹은 받침목을 받힌 다음 본 고안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받침대나 받침목에 간섭을 받지 않고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전방에는 도1과 같이 경운기나 트랙터, 자동차 등에 연결시켜 전체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 연결장치(20)를 구성시키는데, 이는 하부 프레임(10)의 개방부 반대쪽에 고정되는 중앙대(21) 및 이 중앙대(21)를 좌우에서 지지하는 보조대(22)와, 상기 중앙대(21) 및 보조대(22)가 하부 프레임(10)에 연결된 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힌지(21a)(22a)와, 상기 중앙대(21)의 끝에 고정핀(25)으로 고정되어 역시 중앙대(21)의 끝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 경운기나 트랙터, 자동차 등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쇠(23) 및 그 연결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키는 결속핀(24)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통상적인 기술로 제작될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견인수단 연결장치(20)는, 상술한 선 등록된 고안의 경우 중앙대(21) 및 보조대(22)가 하부 프레임(10)에 연결된 채 상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된 완전 고정식이었고, 연결쇠(23) 역시 중앙대(21)의 끝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없는 고정식이어서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견인수단과의 연결작업에 다소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연결 상태가 다소 불안전한 점을 개량한 특징이 있는데, 본 고안과 같이 중앙대(21)와 보조대(22) 그리고 연결쇠(23)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견인수단과의 연결작업이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며 연결 상태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다음, 상기 하부 프레임(10) 위에 위치하며 역시 후방부가 "⊃" 형태로 개방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30)을 제작하는데, 이 역시 후방부는 개방이 되어 있어서 하부 프레임(10)의 경우와 같이 육지의 안전한 장소의 선박을 이동시키고 선박의 저면에 받침대 혹은 받침목을 받힌 다음 본 고안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받침대나 받침목에 간섭을 받지 않고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후술하는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40)의 로프(42)를 상부 프레임(30)으로부터 한쪽을 분리시킨 다음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30)의 사이에 구성되어 소형 선박을 상부 프레임(30) 위에 싣고 내릴 때 상부 프레임(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최소 4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60)를 도5와 같이 구성시키는데, 이는 하부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61)와, 유압실린더(61)의 피스톤 로드(62)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30)에 고정되는 지지쇠(63)와, 상기 지지쇠(63)와 피스톤 로드(62)를 고정시키는 너트(64)와, 상기 유압실린더(61)의 상하에 연결된 유압 호스(65)(67)의 끝에 각기 조립되어 견인을 위한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유압장치에 연결시켜 유압실린더(61)로 유압 동력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잭(66)(68)으로 구성된다. 이 역시 통상의 기술로 제작이 될 수 있는 것이므로 기술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6은 도5의 상태와 비교하여 볼 때 유압호스(65)(67)의 끝에 연결잭(66)(68)을 조립하여 경운기나 트랙터의 유압동력을 이용하는 대신에 가정의 전기를 수급할 수 있는 전선(69b)이 연결되어 있는 모타(69a) 및 이것과 연결된 채 작동하는 유압펌프(69)를 사용하여 경운기나 트랙터의 유압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60) 또는 제2 실시예의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60a)의 유압실린더(61)(61a)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단순한 응용 실시에 해당된다 할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6과 같은 동력발생 구성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6의 기술은 도5의 기술에 비하여 특별히 상승되는 작용이나 효과는 없기 때문에 도5의 기술에 예속되어 결국 본 고안의 권리범주에 속하는 것이라 아니 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후방 쪽 개방된 부분에 횡 방향으로 구성되어 선박을 실을 때는 양측의 버팀쇠(41)에 로프(42)를 걸어서 선박의 하중이 가해진 상태의 상부 프레임(30)의 후방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선박의 선수부 바닥이 얹히도록 하여 지지하는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40)를 구성시키는데, 이는 상부 프레임(30)의 후방 양단부에 고정된 버팀쇠(41)와 로프(42)에 의해 간단히 실시된다. 여기서 상기 로프(42)는 체인이나 벨트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술한 선 등록된 고안은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의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중량이 무거워서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발견되었던 바, 본 고안은 이를 간단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구조로 바꾼 특징이 있다.
다음,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중앙부에 도면과 같이 횡 방향으로 구성되어 선박의 중앙부가 얹히도록 하여 지지하는 최소 1개 이상의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50)를 구성시키는데, 이는 상부 프레임(30)의 한쪽 상면에 고정된 채 고정핀(52)을 통해 벨트(53)의 끝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쇠(51)와, 역시 상부 프레임(30)의 상면이면서 상기 지지쇠(51)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채 벨트(53)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지지핀(55) 및 제2 지지핀(56)을 가지는 지지쇠(54)로 구성되고, 벨트 끝(53a)을 상기 제2 지지핀(56)의 위에서 아래로 감듯이 통과시키고 연이어 제1 지지핀(55)의 위쪽을 지나도록 함으로서 선박이 얹혔을 때 그 중량에 의해 벨트 끝(53a)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풀리지 않도록) 하는 벨트(53)로 구성된다. 이것의 작용은 도3을 보면 간단히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쇠(71) 및 상기 지지쇠(71)와 고정되는 보스(72)의 내부에 조립된 베어링(73)에 의해 지지되는 축(74)과 연결된 바퀴(70)를 하부 프레임(10)의 전후에 조립시키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완성이 된다. 여기서 선 등록된 고안에서는 2개의 바퀴만을 사용하여 다소 상하부 프레임에 무리가 가해지고 이동이 썩 용이하지 못하였던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은 4개의 바퀴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이어서고안의 사용 요령을 살핀다.
먼저 경운기나 트랙터에 견인수단 연결장치(20)의 연결쇠(23)를 끼우고 결속 핀(24)을 삽입시켜 안전하게 연결을 시키는데 이때 중앙대(21)와 보조대(22)가 힌지(21a)(22a)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고 연결쇠(23) 역시 중앙대(21)의 끝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서 결국 2단 꺾임이 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견인수단의 높낮이가 차이가 나거나 견인수단의 종류가 달라져도 언제든지 안전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연결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7과 같이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60)를 작동시켜 상부 프레임(30)이 최고의 위치로 상승하도록 한 후 선박을 크레인으로 들어서 선수 부분이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40) 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부 프레임(30) 위에 안착시키기 시작한다. 이때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40)는 도1과 같이 채워져 있어야 하며 선박의 선수부가 도7과 같이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40)의 로프(42) 위에 얹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로프(42)에 의해 상부 프레임(30)은 선박에 의한 하중을 받아도 벌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선박의 중앙부 저면 양측 부분이 상부 프레임(30)에 거의 근접할 때 도3의 상태에서 벨트 끝(53a)을 아래로 당겨서 벨트(53)가 선박의 중앙부 바닥에 접촉되도록 하는데, 도1을 기준하면 3군데의 벨트(53)를 모두 당겨 주어야 한다. 이어서 선박을 상부 프레임(30) 위에 안착을 시키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선박의 중량이 벨트(53)에 가해지기 때문에 도3 기준하여 볼 때 벨트(53)의 우측은 강한 압력을 받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벨트(53)가 이완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벨트 끝(53a)은 선박을 다시 상승시키지 않는 한 다시 풀려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선박이 상부 프레임(30) 위에 완전히 안착이 되면 경운기나 트랙터를 운전하여 육지의 안전한 장소까지 본 고안을 이동시킨 다음, 선박의 중앙부 저면이면서 상기 벨트(53)의 사이사이에 받침대나 받침목을 고아서 선박이 안전하게 얹혀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60)를 작동시켜 상부 프레임(30)이 하부 프레임(10)과 가장 근접하도록 하강시킴에 따라 느슨해진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40)의 로프(42)의 한쪽을 버팀쇠(41)로부터 이탈시켜 도2와 같이 개방을 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야만 하부 프레임(10)과 함께 상부 프레임(30)이 전방으로 빠져나갈 때 상부 프레임(30)의 후방이 개방이 되어 있기 때문에 선저 중앙부를 받히고 있는 받침대나 받침목에 간섭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동시에 상부 프레임(30)의 하강으로 인하여 느슨해진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50)의 벨트(53)를 지지쇠(54)로부터 풀어서 상기 로프(42)와 같이 개방시켜야 함은 당연한 이치이다.
따라서 본 고안 전체가 전방으로 빠져나갈 때는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40)와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50)는 모두 개방되어 상기 받침대나 받침목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다시 본 고안을 방파제로 이동시켜 다른 선박을 상부 프레임(30) 위로 상술한 바와 같은 요령에 따라 얹은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며, 종래와 같이 육지의 안전한 장소에 별도의 크레인이 필요없이 선박을 받힐 수 있는 받침대나 받침목만 있으면 선박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내려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육지로 대피시킨 선박을 다시 방파제로 이동시킨 후 바닷물에 띄울 때에는 견인수단에 연결된 본 고안을 선박에 접근시키고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53)와 로프(42)를 상부 프레임(30)으로부터 개방시킨 후 본 고안을 선박의 밑으로 이동시키고 상부 프레임(30)을 상승시킨 다음, 다시 로프(42)와 벨트(53)를 단단히 고정시켜 선박의 바닥에 접촉되게 하고 받침목이나 받침대를 제거시킨 후 방파제를 향하여 이동을 하면 되는 것이다. 이어서 방파제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을 본 고안으로부터 들어 올린 다음 바닷물에 띄울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방파제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을 상부 프레임 위에 안착시킨 후 육지의 안전한 장소로 선박을 신속하고 안전하며 편리하게 그리고 적은 인원을 동원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육지의 안전한 장소에 별도의 크레인이 없이도 선박의 저면에 받침대나 받침목만 고이고 본 고안 전체를 간단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전방으로 빼 낼 수가 있는 대차를 제공함으로서, 본 고안의 대차만 준비가 되면 어떤 장소에서든 가장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신속 정확한 선박의 대피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어 종래 비롯되었던 큰 폐단과 문제들이 일시에 해소될 수 있는 바, 선주는 물론 나아가 국가적으로 태풍이나 해일로 인한 선박 피해를 거의 제로화 할 수 있어 막대한 재산 손실과 인명 피해를 거의 없앨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선 등록된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의 내구성 저하, 이동의 불편함, 견인작업의 불편함, 견인수단과의 다소 불안전한 결속,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결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2는 본 고안의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를 나타낸 참고도.
도3은 본 고안의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를 나타낸 참고도.
도4는 본 고안의 바퀴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5는 본 고안의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를 나타낸 참고도.
도6은 도5의 변형예를 타나낸 참고도.
도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선박 이송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 프레임 20: 견인수단 연결장치
30: 상부 프레임 40: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
50: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 60: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
70: 바퀴

Claims (5)

  1. 후방부가 개방된 "⊃" 형태의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방에 구성되어 경운기나 트랙터, 자동차 등에 연결시켜 전체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 연결장치와;
    상기 하부 프레임 위에 위치하며 역시 후방부가 개방된 "⊃" 형태의 상부 프레임(30)과;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30)의 사이에 구성되어 소형 선박을 상부 프레임(30) 위에 싣고 내릴 때 상부 프레임(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최소 4개 이상의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와;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후방 쪽 개방된 부분에 횡 방향으로 구성되어 선박을 실을 때는 잠궈서 상부 프레임(30)의 후방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선박의 선수부 바닥이 얹히도록 하여 지지하는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와;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중앙부에 횡 방향으로 구성되어 선박의 바닥 중앙부가 얹히도록 하여 지지하는 최소 1개 이상의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와;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쇠(71) 및 상기 지지쇠(71)와 고정되는 보스(72)의 내부에 조립된 베어링(73)에 의해 지지되는 축(74)과 연결된 전후의 바퀴(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견인수단 연결장치는, 하부 프레임(10)의 개방부 반대쪽에 고정되는 중앙대(21) 및 이 중앙대(21)를 좌우에서 지지하는 보조대(22)와, 상기 중앙대(21) 및 보조대(22)를 상기 하부 프레임(10)에 연결시키는 힌지(21a)(22a)와, 상기 중앙대(21)의 끝에 고정핀(25)으로 연결된 채 경운기나 트랙터, 자동차 등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쇠(23) 및 그 연결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키는 결속핀(24)으로 구성된 견인수단 연결장치(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는, 하부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전후 2개 1조의 유압실린더(61)와, 상기 유압실린더(61)의 피스톤 로드(62)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30)에 고정되는 전후 2개 1조의 지지쇠(63)와, 상기 지지쇠(63)와 피스톤 로드(62)를 고정시키는 너트(64)와, 상기 유압실린더(61)의 상하에 연결된 유압호스(65)(67)의 끝에 각기 조립되어 견인을 위한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유압장치에 연결시켜 유압실린더(61)로 유압 동력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잭(66)(68)으로 구성된 상부 프레임 승강장치(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4. 제1항에 있어서,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는, 상부 프레임(30)의 후방 쪽 양단부에 고정되는 버팀쇠(41)와, 상기 버팀쇠(45) 사이에 걸려서 선박이 얹힌 상부 프레임(30)이 좌우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로프(42)로 구성된 선수부 바닥 지지장치(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5. 제1항에 있어서,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는, 상부 프레임(30)의 한쪽 상면에 고정된 채 고정핀(52)을 통해 벨트(53)의 끝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쇠(51)와, 역시 상부 프레임(30)의 상면이면서 상기 지지쇠(51)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채 벨트(53)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지지핀(55) 및 제2 지지핀(56)을 가지는 지지쇠(54)와, 벨트 끝(53a)을 상기 제2 지지핀(56)의 위에서 아래로 감듯이 통과시켜 제1 지지핀(55)의 위쪽을 지나도록 함으로서 선박이 얹혔을 때 그 중량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벨트(53)로 구성된 선박 중앙부 지지장치(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선박 이송용 대차.
KR20-2005-0015223U 2005-05-26 2005-05-26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KR200392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23U KR200392455Y1 (ko) 2005-05-26 2005-05-26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23U KR200392455Y1 (ko) 2005-05-26 2005-05-26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455Y1 true KR200392455Y1 (ko) 2005-08-17

Family

ID=4369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223U KR200392455Y1 (ko) 2005-05-26 2005-05-26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4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9910A (en) Vehicle mounted self-loading and carrying apparatus
US6648578B1 (en) Trailer and lift assembly for same
CN204488862U (zh) 一种带拉马装置的轮胎装卸运输车
US3894643A (en) Loading hoist for boats
US4640660A (en) Recovery and towing vehicle
US3145857A (en) Mobile lift crane and vehicle tow hoist
US9011073B2 (en) Truck loading device
US3908842A (en) Tow truck
US5007792A (en) Vehicle-mounted load hoisting device
KR200392455Y1 (ko)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KR200419393Y1 (ko) 소형선박 이동용 대차
CN204526956U (zh) 船只拖运装置
KR101059011B1 (ko) 요트 인양 크레인
CN209208911U (zh) 车架翻转装置
KR200377762Y1 (ko) 소형 선박 이송용 대차
CN211470529U (zh) 一种南极车起吊装置
US10744923B2 (en) Extendible boom suspended vehicle towing
CN218403413U (zh) 一种分体式冲锋舟吊运装置
CN204847994U (zh) 一种平坦场地风机设备卸车专用装置
KR200441263Y1 (ko) 소형 선박 이송용 다목적 자동(自動)식 대차
CN218929309U (zh) 一种用于运输冲锋舟和皮划艇的集成拖车
CN209507154U (zh) 一种高效型装载货车的辅助装置
WO1987005568A1 (en) A loading and transporting arrangement
GB2351708A (en) Trailer having means to facilitate loading
CN210103332U (zh) 一种救助艇起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