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409Y1 -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409Y1
KR200392409Y1 KR20-2005-0013925U KR20050013925U KR200392409Y1 KR 200392409 Y1 KR200392409 Y1 KR 200392409Y1 KR 20050013925 U KR20050013925 U KR 20050013925U KR 200392409 Y1 KR200392409 Y1 KR 200392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portion
support rod
tongs
rotatio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익 박
Original Assignee
성익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익 박 filed Critical 성익 박
Priority to KR20-2005-0013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 1 및 제 2집게부가 갖추어져 조리음식물을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기 위한 작업에 유리하게 사용가능한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방용 조리보조기구는 제 1집게유니트의 제 1파지부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회동결합돌기와 제 2집게유니트의 제 2파지부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돌기수납요홈이 체결되고 상기 제 1파지부의 내측과 상기 제 2파지부의 내측에 탄성스프링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에 형성된 회전지지로드는 상기 제 2파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회동지지로드관통공을 통해 수납되며, 상기 제 2파지부의 선단 내측 양벽면에 형성된 가이드요홈에는 상기 회동지지로드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일자형 회동지지로드탄성지지편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로드탄성지지편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회동지지로드의 하단부분이 끼워지는 개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지지로드 외측에는 자유회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파지부의 선단에는 상기 자유회동방지돌기가 수용되는 자유회동방지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주방용 조리보조기구{NIPPER-TYPE KITCHEN EQUIPMENT}
본 고안은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에 유용한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조의 제 1 및 제 2집게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조리음식물을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기 위해 적절하게 사용되는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조리음식물을 뒤집어주거나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집어내고 또는 음식물을 휘저어주거나 섞어주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예컨대 프라이팬에 의해 계란(계란)을 프라이요리하는 경우 상/하면이 균일하게 익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에서 뒤집어주어야만 되는 바, 대개는 단면(單面)의 조리기구를 계란프라이의 하측에 넣고서 뒤집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그 단면의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란프라이가 흘러내리거나 파열되어 버리게 된다.
또, 야채라든지 채소 및/또는 여타의 식료품을 튀김조리하는 경우에도 튀김용기에서 집어내거나 휘저어주기 위한 작업도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바, 대개는 일정한 길이의 젓가락을 사용하게 되지만, 튀김조리물의 양이 상당히 많은 경우에는 그 젓가락으로 튀김조리물을 안전하게 집어내기란 상당히 어려운 일이고, 그 때문에 음식물의 조리시간도 불필요하게 연장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조리음식물을 안전하면서도 정확하게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기 위한 주방용 조리보조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방식의 제 1집게부를 갖춘 제 1집게유니트와 방향전환이 가능한 제 2집게부를 갖춘 제 2집게유니트가 탄성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조리음식물을 쉽게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도록 설계하여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용도의 주방용 조리보조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파지부의 선단에 결합된 제 1집게부를 갖춘 제 1집게유니트와 제 2파지부의 선단에 결합된 회전부재에 연결된 제 2집게부를 갖춘 제 2집게유니트로 이루어진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1파지부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회동결합돌기와 상기 제 2파지부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돌기수납요홈이 체결되고 상기 제 1파지부의 내측과 상기 제 2파지부의 내측에 탄성스프링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에 형성된 회전지지로드는 상기 제 2파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회동지지로드관통공을 통해 수납되며, 상기 제 2파지부의 선단 내측 양벽면에 형성된 가이드요홈에는 상기 회동지지로드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일자형 회동지지로드탄성지지편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로드탄성지지편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회동지지로드의 하단부분이 끼워지는 개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지지로드 외측에는 자유회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파지부의 선단에는 상기 자유회동방지돌기가 수용되는 자유회동방지돌기수용홈이 형성된 주방용 조리보조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 2파지부에 형성된 장공에는 슬라이드방식의 로크부재가 장착되고, 그 로크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고리편이 상기 제 1파지부에 형성된 걸림편에 대해 착탈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초월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집게유니트를 로크/로크해제시키게 된다.
또, 상기 제 1집게부 및/또는 제 2집게부에는 스테인레스제 망이 부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가능한 제 2집게부의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보조기구는 1조의 제 1 및 제 2집게유니트(10A,10B)가 탄성개폐작용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집게유니트(10A)는 실제 조리음식물을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기 위한 제 1집게부(12)와 그 제 1집게부(1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파지부(把持部)(14)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집게유니트(10B)도 동일하게 상기 제 1집게부(12)와 연동적으로 실제 조리음식물을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기 위한 제 2집게부(16)와 그 제 2집게부(16)를작동시키기 위한 제 2파지부(18)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집게유니트(10A)와 상기 제 2집게유니트(10B)는 상기 제 1파지부(14)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회동결합돌기(20)가 상기 제 2파지부(18)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돌기수납요홈(22)에 체결됨과 더불어 그 제 1파지부(14)의 내측과 상기 제 2파지부(18)의 내측에 탄성스프링(도 3과 도 4에서 24 참조)이 고정설치됨에 따라 상호 탄성적인 개폐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제 1파지부(14)의 후단에는 연설부(26)가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고, 그 연설부(26)에는 해당하는 주방용 조리보조기구를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구(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파지부(14)의 외면에는 파지가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선단에 형성된 집게고정홈(30)에 상기 제 1집게부(12)의 하단(32)이 고정결합된다.
그에 대해, 상기 제 2파지부(16)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장공(34)에는 슬라이드방식의 로크부재(36)가 제공되는 바, 그 로크부재(36)의 저면에는 상기 제 1파지부(12)의 내측 소정위치에 형성된 걸림편(도시는 생략)에 대해 로크/로크해제되는 로크고리편(38)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 2파지부(16)의 선단에는 상기 제 2집게부(1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재(38)가 결합되고, 그 회전부재(38)의 선단에 형성된 집게결합홈(40)에는 상기 제 2집게부(16)의 하단(42)이 고정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38)의 하측에는 일정한 길이의 회동지지로드(44)가 연설되고, 그 외측에는 1조의 자유회동방지돌기(46)가 형성된다.
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 2파지부(16)의 선단에는 상기 회동지지로드(44)가 관통수납되는 회동지지로드관통공(48)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자유회동방지돌기(46)에 대응하는 자유회동방지돌기수용홈(5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파지부(16)의 선단 내측 양벽면에는 가이드요홈(52)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요홈(52)에는 상기 회동지지로드(44)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회동지지로드탄성지지편(54)이 삽설되는 바, 그 회동지지로드탄성지지편(54)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회동지지로드(44)의 하단부분(44a)이 끼워지는 개방요홈(56)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조리보조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집게유니트(10A,10B)의 제 1 및 제 2파지부(14,18)가 탄성스프링(24)에 의해 상호 외측으로 힘을 받게 되는 상태에서 조리음식물을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기 위한 악력이 가해지게 되면 그 탄성스프링(24)의 탄성력을 초월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집게부(12,16)가 상호 인접한 위치로 되거나 밀착되어지고, 그에 따라 조리음식물을 집어내거나 또는 뒤집거나 하기 위한 작업이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하는 주방용 조리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집게부(12,16)가 밀착된 상태로 힘을 가하고서 상기 제 2파지부(18)에 형성된 슬라이드방식의 로크부재(36)를 밀어주게 되면 그 로크부재(36)의 로크고리편(38)이 대응하는 제 1파지부(14)의 내측에 갖추어진 걸림편에 걸려지게 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집게유니트(10A,10B)는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28)를 사용하여 걸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예컨대 튀김조리물을 집어내는 작업을 위해 상기 회전부재(38)를 일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회동지지로드(44)의 외측에 형성된 자유회동방지돌기(46)가 상기 제 2파지부(18)의 선단에 형성된 자유회동방지돌기수용홈(50)으로부터 이탈되어지면서 그 회전부재(38)가 회동되고, 그 회전부재(3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집게부(16)는 상기 제 1집게부(12)와 대향하도록 180°회전되어지며, 그 회전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는 상기 탄성편(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자유회동방지돌기(46)가 재차 자유회동방지돌기수용홈(50)에 재차 수용되어 임의적인 자유회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보조기구는 조리음식물을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기 위한 안정된 작업이 별도의 조리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주방용 조리보조기구는 전체적으로 도 1에 대응하지만 미세한 조리음식물을 집거나 하기 위한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 1집게부(12) 및/또는 제 2집게부(16)에 예컨대 스테인레스제 망(60)이 추가적으로 갖추어진다.
그러한 구조의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에 의해서는 예컨대 튀김조리시 작은 크기의 튀김조리물을 집어내거나 다른 용기로 옮기는 작업이 용이해지게 되고, 조리음식물을 뒤집거나 하는 작업도 보다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에 의하면 제 1집게부와 제 2집게부를 동일한 방향에서 탄성개폐시키면서 조리음식물을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는 조리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 2집게부를 180°회전시켜 제 1집게부와 대향되도록 해서 조리음식물을 집어내거나 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도 조리음식물을 뒤집거나 집어내고 섞어주기 위한 별도의 조리보조기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 제 1집게부 및/또는 제 2집게부에 스테인레스 망을 부가하면 작은 크기의 음식물을 옮기거나 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의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가능한 제 2집게부의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보조기구를 형성하는 제 1집게부에 연결되는 제 2파지부와 제 2집게부에 연결되는 제 2파지부의 탄성개폐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제 1, 제 2집게유니트, 12: 제 1집게부,
14: 제 1파지부, 16: 제 2집게부,
18: 제 2파지부, 24: 탄성스프링,
36: 로크부재, 38: 회전부재,
54: 탄성편, 60: 스테인레스제 망.

Claims (3)

  1. 제 1파지부의 선단에 결합된 제 1집게부를 갖춘 제 1집게유니트와 제 2파지부의 선단에 결합된 회전부재에 연결된 제 2집게부를 갖춘 제 2집게유니트로 이루어진 주방용 조리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1파지부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회동결합돌기와 상기 제 2파지부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돌기수납요홈이 체결되고 상기 제 1파지부의 내측과 상기 제 2파지부의 내측에 탄성스프링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에 형성된 회전지지로드는 상기 제 2파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회동지지로드관통공을 통해 수납되고, 상기 제 2파지부(16)의 선단 내측 양벽면에 형성된 가이드요홈에는 상기 회동지지로드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일자형 회동지지로드탄성지지편이 설치되며, 상기 회동지지로드탄성지지편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회동지지로드의 하단부분이 끼워지는 개방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지지로드 외측에는 자유회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파지부의 선단에는 상기 자유회동방지돌기가 수용되는 자유회동방지돌기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파지부에 형성된 장공에는 슬라이드방식의 로크부재가 장착되고, 그 로크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고리편이 상기 제 1파지부에 형성된 걸림편에 대해 착탈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초월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집게유니트를 로크/로크해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집게부 및/또는 제 2집게부에는 스테인레스제 망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KR20-2005-0013925U 2005-05-18 2005-05-18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KR200392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925U KR200392409Y1 (ko) 2005-05-18 2005-05-18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925U KR200392409Y1 (ko) 2005-05-18 2005-05-18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409Y1 true KR200392409Y1 (ko) 2005-08-17

Family

ID=4369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925U KR200392409Y1 (ko) 2005-05-18 2005-05-18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4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7388C1 (ru) Съемная руч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варочных пищевых емкостей
JP6626511B2 (ja) 洗浄機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6742409B2 (ja) カム蓋アセンブリ
US20150305570A1 (en) Flipper tong assembly
JP2004203486A (ja) 貯蔵容器
US20060162128A1 (en) Removable gripping handle for grilling tools
KR200392409Y1 (ko) 주방용 조리보조기구
KR200463179Y1 (ko) 냄비
JP7011974B2 (ja) 食器具携帯用ケース
US9149157B2 (en) Universal pot l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US10076212B2 (en) Tongs utensil with spatula member
KR200389937Y1 (ko) 주방용 조리기구
CN205234346U (zh) 手柄可折叠的锅具
KR200439892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US1143484A (en) Detachable handle for receptacles.
KR200454958Y1 (ko) 양면 후라이팬
KR200365825Y1 (ko) 주방 조리기구
KR101593377B1 (ko)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KR200439944Y1 (ko) 냄비 손잡이
US116330A (en) Improvement in pan-lifters
KR200334318Y1 (ko) 걸림수단이 장착된 양면 후라이팬
KR101394170B1 (ko) 기름유출방지 양면 프라이팬
KR200367612Y1 (ko) 조리용기의 손잡이 착탈구조
CN220089298U (zh) 一种可用于烫煮类食物的开合漏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