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334Y1 -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334Y1
KR200392334Y1 KR20-2005-0009362U KR20050009362U KR200392334Y1 KR 200392334 Y1 KR200392334 Y1 KR 200392334Y1 KR 20050009362 U KR20050009362 U KR 20050009362U KR 200392334 Y1 KR200392334 Y1 KR 200392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dhesive composition
layer
composition lay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석
Original Assignee
한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석 filed Critical 한진석
Priority to KR20-2005-0009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9J1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masking tape for pa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에 있어서, 특히 특수가공처리된 부틸고무계와 구마론 수지를 적절히 혼합한 후 공냉법으로 상온에서 냉각 형성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 70중량%, 접착성 강화용 프로세스 오일 5중량%, 구마론 수지 10중량%, 탄산칼슘 10중량%, 폴리부텐 5중량%로 이루어지는 점착 조성물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하부에 부착되어 조성물층을 임시보호토록 종이 또는 실리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지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상부에 부착되며, 점착 조성물을 보호하며, 동시에 무광 또는 야광의 흰색 컬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A Tape for Traffic Lane}
본 고안은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수가공처리된 부틸고무계와 구마론 수지를 적절히 혼합한 후 공냉법으로 상온에서 냉각 형성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주행방향을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간부에 도색되어 있는 중앙선과, 차량의 진행 구간을 분리하기 위한 주행차선이 있으며, 이는 차량 탑재용 도색장치를 이용하여 도색을 실시한다. 또한, 도로에는 사람들의 도로 횡단지역을 표시하는 횡단보도와 넓은 도로의 중앙 또는 일측에 도색되는 안전지대등도 있으며 이는 주로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를 사용하여 도색을 실시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료는 주제와 경화제를 일정비율로 섞은 상태에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분사되는 도료는 통상적으로 30분 - 50분이 지나야 경화가 이루어지며, 따라서 차량의 소통을 위해서는 최소한 30분 이상이 지나야 가능하므로, 작업속도가 매우 느리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차량 통제 등에 신경을 써야 하므로 전체적인 도로환경을 나쁘게 만들게 되며,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매우 증가하였다.
또한, 이에 발전된 형태로서 도색에 사용되는 주재료로서 유로프라스트가 사 용하고, 상기 유라프로스트는 반응형 아크릴 레진의 상온건조 2액형 플라스틱 제품으로 자체에 글라스비스를 포함하고 백색 및 황색 그리고 여려가지 색상이 있으며 경화제를 100:0.7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재료배합 비율도 장시간의 응고 시간이필요로 하였다.
결국, 상기와 같은 재료가 사용되는 도로용 도색작업은 경화시간이 최소 30분 이상 소요됨으로서 도색작업의 시간이 오래 걸리고 차량 통제 시간이 많아 운전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점착성 조성물을 이용한 테이프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프를 부착하는 간단한 시공방법에 의해서 도로의 차선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 70중량%, 접착성 강화용 프로세스 오일 5중량%, 구마론 수지 10중량%, 탄산칼슘 10중량%, 폴리부텐 5중량%로 이루어지는 점착 조성물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하부에 부착되어 조성물층을 임시보호토록 종이 또는 실리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지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상부에 부착되며, 점착 조성물을 보호하며, 동시에 무광 또는 야광의 흰색 컬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 70중량%, 접착성 강화용 프로세스 오일 5중량%, 구마론 수지 10중량%, 탄산칼슘 10중량%, 폴리부텐 5중량%로 이루어지는 점착 조성물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하부에 부착되어 조성물층을 임시보호토록 종이 또는 실리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지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상부에 부착되며, 점착 조성물을 보호하며, 동시에 무광 또는 야광의 황색 컬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점착 조성물층은 2.0 - 2.5mm 이고, 박리지층은 0.05 - 0.1mm 이며, 컬러층은 0.05 - 0.1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선 테이프용 점착 조성물 제조방법 플로우 챠트.
도 2는 본 고안의 차선 테이프 제조방법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고안의 테이프 적층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완성된 테이프 형태도로서,
먼저, 본 고안의 조성물 비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점착성 조성물은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 70중량%, 접착성 강화용 프로세스 오일 5중량%, 구마론 수지 10중량%, 탄산칼슘 10중량%, 폴리부텐 5중량%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주요재료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부틸고무는 이소부틸렌과 소량의 이소프렌을 낮은 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이온중합한 고무로서, 순도 99% 이상의 이소부틸렌에 1.5∼4.5%의 이소프렌 혼합물과 순수한 메틸클로라이드를 넣고 촉매제로 무수염화알루미늄을 넣은 뒤 중합반응기에 넣어 약 -100℃의 낮은 온도에서 중합하여 만들며, 불포화도와 무늬점도 및 오염이 있고 없음에 따라 할로겐화부틸고무와 폴리이소부틸렌 등 여러 종류로 나뉜다.
그리고, 기후의 변화에 잘 견디고 불포화결합이 적어 열이나 오존산화제에 강하고, 또 전기절연성이 뛰어나고 충격을 잘 흡수하여 충격방지제로도 쓸모가 있으며, 탄성체가 잘 결정화하지 않으므로 -5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유연성이 있고, 천연고무에 비해 기체투과성이 매우 작아서 주로 이너튜브(자동자나 자전거 타이어 속에 있는 공기를 넣는 고무관)로 쓰고 전선이나 공업용 건축재료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부텐은 화학식 C4H8이고, 특이한 냄새가 나는 무색 기체로, 분자량은 56.11이다. 가압이나 냉각에 의하여 쉽게 액화(液化)한다. α-부틸렌, β-부틸렌, 이소부틸렌의 세 이성질체가 있는데, β-부틸렌은 다시 시스형과 트랜스형의 기하이성질체를 가지고 있다. 한편, α-부틸렌과 β-부틸렌을 n-부틸렌(노르말부틸렌)이라 하며, 단지 부틸렌이라고 할 때는 이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석유의 크래킹으로 생기는 기체에서 회수하는 C4유분(溜分)속에 부타디엔과 함께 함유되어 있어, 이것에서 부타디엔을 분리시킨 다음, 황산흡수법에의하여 이소부틸렌을 분리시키고, 다시 추출 및 증류에 의하여 α-부틸렌과 β-부틸렌을 분리시킨다. 또, n-부탄에서 부타디엔을 제조할 때 중간생성물로서 얻을 수도 있다. 황산을 촉매로 하여 물을 첨가하면 n-부틸렌은 2-부탄올(제2부틸알코올)이 되고, 이소부틸렌은 3-부탄올이 된다. 이 밖에 n-부틸렌은 메틸에틸케톤, 부틸렌클로로히드린, 부틸렌옥시드, 말레산무수물, 부타디엔 등의 원료가 된다. 또 이소부틸렌은 이소프렌 부틸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원료로서 중요하다.
상기 구마론 수지는 배합제로서, 배합물 표면의 점착성을 증대 시켜주는 약품으로 고무재료와 상용성이 좋아야 하고, 점착성이 장시간 유지되어야 하며, 점착부여제 종류로는 구마론-인덴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계 수지, 크실렌-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테르핀 수지, 석유계 탄화수소 수지, 로진 에스테르등이 있는바, 특히 구마론 수지는 SBR, NBR, CR, EPDM의 점착부여제로 많이 활용되며, 무독성, 내산-내알칼리성, 내수성, 전기절연성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탄산의 칼슘으로서, 염이라는 것은 소금같은 물질을 말한다. 상기 탄산칼슘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염중에서 가장 많으며, 대리석, 석회석, 조개껍질, 달갈껍질, 산호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색이 없는 결정이거나 흰색의 고체로 825도에서 분해가 되고, 탄산칼슘을 가열하면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생석회(CaO)를 얻을 수 있어서 공업적으로 사용되며, 탄산칼슘은 값이 싸서 공업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즉, 석회석 대리석으로서 시멘트의 주원료, 산화칼슘(생석회)의 원료, 제철 건축재료 등의 각종 중화제(중화제: 산과 염기가 만나서 중성이 되게하는 물질)로서 사용된다. 흰색의 안료(안료: 색을 입히는 물질) ·수성도료(물에 녹는 안료) 에, 침강 탄산칼슘은 안료, 도료, 치약 등에 사용되며, 고무에도 보강제로서 배합된다
구체적인 점착성 조성물의 제조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로서, 교반기를 150 - 160도로 가열하는바, 가열하는바, 상기와 같이 150℃ - 160℃의 온도범위를 채택한 이유는 상기 온도범위 이하이면 혼합이 재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온도범위 이상이면 혼합물의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후, 본 고안에서는 교반기에 각종 재료를 혼합하는데, 이때 교반기에 들어가는 재료는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 70중량%, 접착성 강화용 프로세스 오일 5중량%, 구마론 수지 10중량%, 폴리부텐 5중량%이다.
그리고, 상기 재료를 혼합한 후에 200 - 210도로 2시간 가열한다.
상기와 같이 200℃ - 210℃로 온도범위를 채택한 이유는 상기 온도범위 이하일 경우 고무의 혼합이 원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상기 온도범위 이상일 경우 고무의 성질 변화로 합지가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일정온도로 가열하면서 가열시간을 2시간으로 설정하는데 이는 고무와 수지가 충분히 잘 혼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단계가 완료되면 다른 탱크로 이송한 후 탄산칼슘 10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탄산칼슘은 조성물의 신축성을 보완하여 쿠션작용을 일으키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와 같은 제조순서를 이용하여 조성물을 완성하면 이를 이용하여 도로 차선 또는 중앙차선에 적용되는 테이프(100)를 생산하는바, 상기 테이프(100)는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점착 조성물층(20)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20) 하부에 부착되어 조성물층을 임시보호토록 종이 또는 실리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지층(30)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20) 상부에 부착되며, 점착 조성물을 보호하고 동시에 색깔을 형성하여 차도를 구분짓도록 하는 컬러층(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층(20)은 2.0 - 2.5mm 이고, 박리지층(30)은 0.05 - 0.1mm 이며, 컬러층(10)은 0.05 - 0.1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 한바, 이는 조성물의 두께는 도로에서 튀어나오면 안되므로 2.0 - 2.5mm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고, 박리지층(30) 및 컬러층(10)은 0.05 - 0.1mm 정도가 적합하다. 이는 박리지층(30) 및 컬러층(10)은 최소한의 두께를 유지하면 되기 때문이며 상기 박리지층(30)은 도로에 부착하기전에 떼어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2.6mm 이하의 두께로 차선 테이프(100)가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층(10)은 흰색 P.P 직포나 황색 P.P 직포 또는 폴리에스터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차선을 구분짓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차량에 미끌림이 없이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토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차선 테이프(100)의 전체적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50℃ - 160℃정도로 교반기를 가열하는 교반기 예비가열단계와;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 70중량%, 접착성 강화용 프로세스 오일 5중량%, 구마론 수지 10중량%, 폴리부텐 5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200 - 210℃로 가열하는 제 1 가열단계와;
탄산칼슘 10중량%를 혼합하여 200℃로 30분 내지 1시간정도 가열하는 제 2 가열단계와;
200℃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출기에서 분사하는 분사단계와;
상기 분사단계와 동시에 하부에 실리콘 박리지를 부착하는 실리콘 박리지 부착 단계와;
상기 분사단계와 동시에 상부에 무색 야광이나 흰색 또는 황색의 P.P 직포 또는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합지하는 단계와;
상온 공냉법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압출기는 적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열수단과 고압의 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압축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부수적으로 온도 및 압력 조절장치와 시간 조절장치가 부가되어 있어 적절한 온도와 압력으로 점착 조성물을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점착 조성물은 고형의 상태 이므로 상기 점착 조성물 위로는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합지하고 아래로는 박리지를 부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적절한 길이로 생산하여 상온 건조시킨 다음에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이후, 상기 흰색 컬러층은 도로의 갓길과 같이 흰색 차선이 적용되는 곳에 테이핑하여 사용하고, 황색 컬러층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주차금지 구역등과 같이 황색 차선이 적용되는 곳에 테이핑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탁월한 내구성을 갖는 차선 테이프를 제공하게 되어 유연성과 탄성이 최대한 유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넓은 감온성은 내한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저온에서 부러지거나 고온에서 흘러내리지 않아 온도변화가 큰 국내 기후 조건에 가장 적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우수한 탄성 및 신장력은 일반 가황고무처럼 탄성이 우수하며 외부의 물리적 침해에 대한 복원력이 빠르며 우수한 신장력으로 구조물의 변화에 높은 순응도를 보임으로써 계절변화에 따른 도로상태에 내구성을 최대한 보완한다.
특히, 본 고안은 테이프를 이용한 간편한 시공때문에 경제성을 확보함은 물론 시공기간 및 시공인원을 최소화하여 최저의 시공비로 도로의 차선을 구분짓는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선 테이프용 점착 조성물 제조방법 플로우 챠트.
도 2는 본 고안의 차선 테이프 제조방법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고안의 테이프 적층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완성된 테이프 형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폴리에스터 부직포층, P.P직포
20: 점착성 조성물층
30: 박리지층
100: 테이프

Claims (3)

  1.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 70중량%, 접착성 강화용 프로세스 오일 5중량%, 구마론 수지 10중량%, 탄산칼슘 10중량%, 폴리부텐 5중량%로 이루어지는 점착 조성물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하부에 부착되어 조성물층을 임시보호토록 종이 또는 실리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지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상부에 부착되며, 점착 조성물을 보호하며, 동시에 무광 또는 야광의 흰색 컬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틸고무를 이용한 도로 차선용 테이프.
  2.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 70중량%, 접착성 강화용 프로세스 오일 5중량%, 구마론 수지 10중량%, 탄산칼슘 10중량%, 폴리부텐 5중량%로 이루어지는 점착 조성물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하부에 부착되어 조성물층을 임시보호토록 종이 또는 실리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지층과;
    상기 점착 조성물층 상부에 부착되며, 점착 조성물을 보호하며, 동시에 무광 또는 야광의 황색 컬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차선용 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층은 2.0 - 2.5mm 이고, 박리지층은 0.05 - 0.1mm 이며, 컬러층은 0.05 - 0.1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차선용 테이프.
KR20-2005-0009362U 2005-04-06 2005-04-06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KR200392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62U KR200392334Y1 (ko) 2005-04-06 2005-04-06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62U KR200392334Y1 (ko) 2005-04-06 2005-04-06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128 Division 2005-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334Y1 true KR200392334Y1 (ko) 2005-08-17

Family

ID=4369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62U KR200392334Y1 (ko) 2005-04-06 2005-04-06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09B1 (ko) * 2005-02-02 2006-07-11 한진석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09B1 (ko) * 2005-02-02 2006-07-11 한진석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0069B1 (en) Puncture-resisting tire composition and its coating method
KR101363894B1 (ko)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조성물,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1116662B1 (ko) 고분자 합성고무 및 폐플라스틱의 중합과 극성이 부여된 자착식 방수시트
EP1533108A3 (en) Pneumatic tire with built-in colored sealant layer
KR101527913B1 (ko) 장기접착성ㆍ내열성ㆍ내한성ㆍ내마모성ㆍ내충격성을 갖는 융착식 도로노면 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1052664A (zh) 可用于安装车窗的基于聚氨酯预聚物的高模量绝缘粘合剂
KR100740296B1 (ko)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32038B1 (ko) 미끄럼 방지용 바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77185B1 (ko) 내오염성, 내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융착식 플라스틱 노면표지용 도료
CN102959031A (zh) 在粘合剂和密封剂中作为增塑剂的对苯二甲酸2-乙基己基·甲基酯
KR101037033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및 과속방지턱 제조용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200392334Y1 (ko) 부틸고무를 이용한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KR100545236B1 (ko) 부틸고무를 이용한 도로균열 보수용 점착 조성물 제조방법
KR100605003B1 (ko) 도로균열 보수용 점착 조성물과 테이프와 조성물 및테이프 제조방법
CN202703195U (zh) 汽车玻璃防雾保护膜
KR101607560B1 (ko) 폴리우레아 수지 주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KR200388789Y1 (ko) 부틸고무를 이용한 도로균열 보수용 테이프
KR20120015069A (ko) 내크랙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1206309B1 (ko) 도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69531A (ko)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의 노면 표시용 조성물
CN110079138A (zh) 一种高致密性抗污标线涂料
KR101182672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0598609B1 (ko) 중앙 및 도로 차선용 테이프 및 제조방법
KR102188192B1 (ko) 도로용 자착식 탄성 테이프 및 그 조성물
KR200383834Y1 (ko) 도로균열 보수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