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732Y1 -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732Y1
KR200391732Y1 KR20-2005-0014145U KR20050014145U KR200391732Y1 KR 200391732 Y1 KR200391732 Y1 KR 200391732Y1 KR 20050014145 U KR20050014145 U KR 20050014145U KR 200391732 Y1 KR200391732 Y1 KR 200391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main body
injection
chair
re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20-2005-0014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면부에 걸림고리와 고정핀들이 돌출 형성되도록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배면테와; 상기 배면테의 걸림고리와 고정핀들에 주연부가 걸려져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본체부의 사출 성형시 상기 배면테와 본체부 사이에 주연부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망체와; 사출 금형내로 인서트되는 상기 배면테의 전면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망체의 주연부를 고정시켜 주는 연질의 본체부;로 구성하되, 상기 배면테와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될시 문양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는 다양한 칼라를 갖는 우레탄이나 사출고무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구성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생산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인건비 및 생산시간의 저하를 통해 제품의 생산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다양한 칼라 및 문양의 창출을 통해 제품의 품질과 외관상 미려함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Net fixing structure for the net backrest of chair}
본 고안은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기성과 탄성력이 좋도록 망체로 형성하는 의자용 등받이를 성형할 때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배면테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고리와 고정핀들에 망체를 탄력적으로 걸어 1차 고정시킨 후 상기 배면테를 2차 사출 금형내에 장착하고 다양한 칼라를 갖는 연질의 우레탄이나 사출고무(TPR 등)를 금형내로 주입하여 배면테의 전면부에 탄성형 본체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할 때 망체의 끝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배면테의 접촉부 사이에서 일체로 인서트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생산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품질과 외관상 미려함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지면상에 지지되는 다리와, 다리의 상단부에서 착석자의 둔부를 안락하게 지지하도록 수평 결합된 좌판 또는 시트부와, 상기 좌판 또는 시트부 후방 저면에 결합되어 수직 연장 형성된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등부위를 안락하게 지지하는 등받이로 구성되어 있고, 일부 의자의 경우 상기 등받이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가 더 구비된 것도 있다.
현대인의 생활 문화가 점차 서구화되면서 좌식 생활 문화의 보급으로 인해 의자에 앉아 생활하게 되는 시간이 점차 많아지게 되고 사무직 근로자나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아 보내게 됨으로써 의자의 기능적 중요성이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현재 생산되고 있는 의자에 있어서 외형의 디자인 못지 않게 착석자가 편안하게 앉아 생활할 수 있는 기능적 요소가 점차 크게 부각되고 각 의자마다 다양한 안락감을 제공하거나 착석자의 둔부와 등부위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조로 형성된 많은 의자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의자에 있어서 좌판과 등받이 및 헤드레스트 즉, 신체 받침부재는 통상 스폰지 등으로 구성되는 쿠션부재의 외측으로 외피를 감싸지게 하여 부착 설치한 본체부와; 다리부나, 수직 지지대 및 등받이 자체 등에 신체 고정부재들을 각각 고정시켜 주기 위한 인서트물(즉, 각종 볼트나 너트 등)이 고정 설치된 형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인서트물 설치판과; 신체 받침부재의 배면이 미려하도록 하고 의자의 각부에 신체 받침부 본체부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상기 인서트물 설치판의 배면부에 설치되는 배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들어서는 의자의 등받이에 대한 통풍성과 탄력성이 좋도록 하는 망사형 등받이가 개발되어 의자에 채택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에 수개의 나사 결합용 리브(21)가 돌출 형성되도록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링 형태의 본체부(2) 외측으로 쿠션형 외피(4)를 감싸아 스테플러용 철침(5)을 통해 상기 본체부(2)에 외피(4)를 고정 설치하고, 일정한 탄성력을 갖도록 팽팽하게 당겨진 망체(3)의 외주면을 스테플러용 철침(5)을 통해 상기 본체부(2)에 후면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나사 결합용 리브(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크류 통과공(11)이 형성되도록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링 형태의 배면테(1)를 상기 본체부(2)의 후면부에 스크류(6)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망체 고정구조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본체부(2)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신체와의 접촉시 부드러움을 주기 위하여 쿠션형 외피(4)를 외측으로 감싼 후 그 단부를 당기면서 스테플러용 철침(5)을 통해 상기 본체부(2)에 고정 설치시켜야만 하고, 또 망체(3)를 설치할 때 역시 자체적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망체(3)의 단부를 지그나 손 등을 이용하여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그 외주면을 스테플러용 철침(5)을 통해 상기 본체부(2)에 후면에 고정 설치해야 하며, 또한 상기 외피(4) 및 망체(3)의 고정부위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본체부(2)의 후면부에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별도의 배면테(1)를 위치시켜 본체부(2)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나사 결합용 리브(21)에 스크류(6)를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배면테(1)를 본체부(2)에 고정시켜 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망사형 의자의 등받이를 생산할 때 외피를 포함하여 망체를 스테플러용 철침을 이용하여 본체부에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본체부에 배면테를 고정 설치해야 함에 따른 생산 공정수가 많음은 물론 생산 자동화가 불가능하여 작업자가 일일히 고정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인건비 및 생산능율 저하는 물론 구성 부품수가 많아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또 동일한 제품을 계속해서 생산할 수 없어 제품의 품질 저하에 의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쿠션형 외피의 사용을 배제하는 대신 본체부를 전면부에 문양부가 구비되는 연질의 우레탄이나 사출고무(TPR)로 성형하여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함과 동시에 의자의 등받이를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배면테의 전면에 걸림고리와 고정핀들을 돌출 형성시켜 망체를 탄력적으로 걸어 1차 고정시킨 후 상기 배면테를 2차 사출 금형내에 장착하고, 다양한 칼라를 갖는 연질의 우레탄이나 사출고무를 금형내로 주입하여 배면테의 전면부에 탄성형 본체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망체의 끝단부가 상기 본체부와 배면테의 접촉부 사이에서 일체로 인서트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자동화를 통한 인건비 및 생산시간의 저하를 통해 제품의 생산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제품의 품질과 외관상 미려함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면부에 걸림고리와 고정핀들이 돌출 형성되도록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배면테와; 상기 배면테의 걸림고리와 고정핀들에 주연부가 걸려져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본체부의 사출 성형시 상기 배면테와 본체부 사이에 주연부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망체와; 사출 금형내로 인서트되는 상기 배면테의 전면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망체의 주연부를 고정시켜 주는 연질의 본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면테와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될시 문양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본체부는 다양한 칼라를 갖는 우레탄이나 사출고무로 형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의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등받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실시된 의자의 등받이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면부에 걸림고리(12)와 고정핀(13)들이 돌출 형성되도록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배면테(1)와;
상기 배면테(1)의 걸림고리(12)와 고정핀(13)들에 주연부가 걸려져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본체부(2)의 사출 성형시 상기 배면테(1)와 본체부(2) 사이에 주연부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망체(3)와;
사출 금형내로 인서트되는 상기 배면테(1)의 전면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면서 상기 망체(3)의 주연부를 고정시켜 주는 연질의 본체부(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배면테(1)와 본체부(2)의 외주면에는 문양부(14)(22)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2)는 다양한 칼라를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는 우레탄이나 사출고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문양부(14)(22)는 배면테(1) 및 본체부(2)를 성형하는 사출 금형을 제작할 때 그들의 외주면이 위치할 금형의 내면에 각각 부식을 통한 문양홈 또는 문양돌기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배면테(1) 및 상기 배면테(1) 및 망체(3)에 일체로 본체부(2)를 사출 성형할 때 그들의 외주면에 각각 음각 또는 양각의 문양부(14)(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7은 다리이고, 8은 좌판이며, 9는 등받이가 고정 설치되도록 좌판(8)의 후방부에서 상방를 향하도록 절곡 설치한 등받이 설치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면테(1)는 등받이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망체(3)의 탄성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질의 합성수지로 사출 금형을 통해 성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배면테(1)의 전면부에는 다수개의 걸림고리(12)와 고정핀(13)들을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시켜 배면테(1)와 같은 형태로 절단된 망체(3)의 주연부를 이들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서 걸림고리(12)들은 쇄기형으로 형성시켜 이들에 끼워져 걸려진 망체(3)가 배면테(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림고리(12)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핀(13)들은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시켜 상기 걸림고리(12)들에 의해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망체(3)의 주연부들이 이들에 의해 걸려져 균형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출 성형된 배면테(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외곽 형상이 상기 배면테(1)의 형상과 대응되게 절단된 망체(3)를 고정 설치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망체(3) 자체가 탄성력을 갖도록 강한 힘으로 잡아당기면서 그 주연부를 상기 배면테(1)에 돌출 형성된 걸림고리(12)들과 고정핀(13)들에 끼워 걸어 주어 망체(3) 자체가 배면테(1)의 전면부에 팽팽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망체(3)가 결합된 상기 배면테(1)는 인서트 사출금형내로 안착시킨 후 우레탄 또는 사출고무 등과 같은 재료의 투입을 통해 본체부(2)가 사출 성형될 때 본체부(2)와 상호 일체가 되는데, 이 때 상기 망체(3)의 주연부는 상기 배면테(1)와 본체부(2)의 접합부 사이에서 인서트된 형태로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배면테(1)와 본체부(2)의 접촉부 사이에서 맞물려 일체로 인서트 고정되는 상기 망체(3)의 외주면 인서트폭은 상기 배면테(1)와 본체부(2) 폭의 2/3 정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망체(3)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망체(3)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본체부(2) 및 배면테(1)가 의자 등받이 전체 폭에 비해 적으로므로 망체(3)가 걸림고리(12) 및 고정핀(13)에 걸려 적당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본체부(2)와 배면테(1)의 접착부 사이에 인서트 고정된 상기 망체(3)의 단부가 그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2)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연질의 우레탄이나 사출고무는 탄성력이 매우 좋음은 물론 다양한 칼라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체부(2)가 인체와 접촉될 때 부드러움을 줄 수 있고, 또한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전면부가 되는 상기 본체부(2)의 색상을 다양하게 창출할 수 있어 제품의 외관이 매우 미려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면테(1) 및 본체부(2)를 사출 성형하는 금형을 제작할 때 상기 배면테(1) 및 본체부(2)의 외주면이 위치할 금형의 내면에 각각 부식을 통한 문양홈 또는 문양돌기를 형성시켜 주어 이들 금형을 통해 배면테(1) 및 본체부(2)를 사출 성형할 때 그들의 외주면에 각각 음각 또는 양각의 문양부(14)(22)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외피를 사용하지 않고도 문양부(14)(22)의 형성을 통해 배면테(1) 및 본체부(2)의 외관을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은 주로 의자의 등받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망체를 사용하는 침대 시트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망체형 의자용 등받이를 생산할 때 경질의 배면테에 돌출 형성된 걸림고리와 고정핀들에 망체를 걸어 팽팽하게 설치한 후 배면테를 인서트 사출금형에 장착하고 연질의 본체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망체의 주연부가 배면테와 본체부의 접착부 사이에 일체로 인서트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부 및 배면테의 외주면 자체에 문양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쿠션형 외피의 사용 배제를 통한 부품수및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자동화를 통한 인건비 및 생산시간의 저하를 통해 제품의 생산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칼라 및 문양의 창출을 통해 제품의 품질과 외관상 미려함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의자의 등받이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등받이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의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등받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실시된 의자의 등받이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면테
2 : 본체부
3 : 망체
12 : 걸림고리
13 : 고정핀
14,22 : 문양부

Claims (6)

  1. 전면부에 걸림고리와 고정핀들이 돌출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된 배면테와;
    상기 배면테의 걸림고리와 고정핀들에 주연부가 걸려져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본체부의 사출 성형시 상기 배면테와 본체부 사이에 주연부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망체와;
    사출 금형내로 인서트되는 상기 배면테의 전면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면서 상기 망체의 주연부를 고정시켜 주는 연질의 본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면테 또는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문양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다양한 칼라를 갖는 우레탄 또는 사출고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면테와 본체부의 접촉부 사이에서 맞물려 일체로 인서트 고정되는 상기 망체의 외주면 인서트 폭은 상기 배면테와 본체부 폭의 2/3이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는 배면테 및 본체부를 사출 성형하는 금형의 내면에 각각 부식을 통해 형성한 문양홈 또는 문양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는 쇄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KR20-2005-0014145U 2005-05-19 2005-05-19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KR200391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145U KR200391732Y1 (ko) 2005-05-19 2005-05-19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145U KR200391732Y1 (ko) 2005-05-19 2005-05-19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732Y1 true KR200391732Y1 (ko) 2005-08-08

Family

ID=4369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145U KR200391732Y1 (ko) 2005-05-19 2005-05-19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7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07B1 (ko) 2009-09-21 2011-06-28 김선환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07B1 (ko) 2009-09-21 2011-06-28 김선환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1920A (en) Shell chair construction
WO2003061434A1 (en) Cellular chair construction
KR20130002985A (ko) 의자용 씌우개의 인장 설치 구조
US20200352331A1 (en) User Changeable Display Panel Apparatus and Method for Furniture
WO2011130201A1 (en) Chair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fore
KR20150004485U (ko)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KR200391732Y1 (ko) 망사형 의자용 등받이의 망체 고정구조
US10477972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support device of a chair
JP2007533385A5 (ko)
JP3215911U (ja) 椅子
JP4497629B2 (ja) 座あるいは背凭れ等の椅子の構造物
KR101044907B1 (ko) 의자등받이의 그물망 체결구조
KR200462045Y1 (ko) 착탈식 커버를 가지는 의자
KR20110041714A (ko) 의자용 등받이 및 의자용 등받이 제작방법
JP5452996B2 (ja) 椅子の弾性シェル構造
JP5050012B2 (ja) 座あるいは背凭れ等の椅子の構造物
JPH0733148U (ja) 椅子のクッション座板取付構造
JP2002330843A (ja) 椅子の弾性シェル構造
KR200400879Y1 (ko) 의자용 등받이의 해드레스트 구조
JP5597110B2 (ja) 弾性シートを有する椅子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椅子
JP3198381U (ja) 椅子の座席部取り付け構造
KR200434667Y1 (ko) 소파 겸용 침대 프레임
JPH0650299Y2 (ja) 子供用自転車のサドル
JP2557195B2 (ja) 幼児用三輪車のサドル構造
CN117461956A (zh) 一种椅座的配置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