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462Y1 - 커버를 갖는 단자대 - Google Patents

커버를 갖는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462Y1
KR200391462Y1 KR20-2005-0012601U KR20050012601U KR200391462Y1 KR 200391462 Y1 KR200391462 Y1 KR 200391462Y1 KR 20050012601 U KR20050012601 U KR 20050012601U KR 200391462 Y1 KR200391462 Y1 KR 200391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terminal block
compression sp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흥식
Original Assignee
윤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흥식 filed Critical 윤흥식
Priority to KR20-2005-0012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4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4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대의 후위 스프링 위치를 커버하여 단자대 후위에 끼워져 있는 압축스프링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갖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후면에 요홈이 형성되어 여기에 금속재 단자와, 단자와 접촉되는 압지편과, 압지편에 척력을 제공하여 상시 단자와 접촉되게 하는 압축스프링이 끼워지며, 압지편의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이 장착되고, 압지편과 단자의 접촉부위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전선 삽입공이 형성된 단자대에 있어서, 본체의 하부에는 단자, 압지편, 압축스프링을 덮어주는 커버를 일체로 형성하되, 커버와 본체의 연결부위는 접첩가능하도록 커버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로 형성하고, 커버는 압축스프링의 1/2 이상을 가리면서 압축스프링과 압지편의 접촉부위는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한 것이며, 이와 같이 하면 압축스프링이 탄발되어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커버를 통해 막아줄 수 있음은 물론 커버의 외측으로 단자, 압지편, 압축스프링 등의 구성요소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압축스프링과 압지편이 제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불량률을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커버를 갖는 단자대{Terminal block having cover}
본 고안은 커버를 갖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대의 후위 스프링 위치를 커버하여 단자대 후위에 끼워져 있는 압축스프링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한 쌍의 전선을 연결하거나 전선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대는 전자의 경우 그 하부 양측에 각각 후크를 형성하여 슬라이드 레일의 양측에 끼워 고정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 외측으로 핀이 연장 형성되어 이를 기판에 그대로 꽂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단자대(10)(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11)(21)의 후면에 요홈(12)(22)이 형성되어 여기에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재 단자(13)(23)와, 단자(13)(23)와 접촉되는 압지편(14)(24)과, 압지편(14)(24)에 척력을 제공하여 상시 단자(13)(23)와 압지편(14)(24)이 접촉될 수 있게 하는 압축스프링(15)(25)이 끼워지게 되며, 압지편(14)(24)의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16)(26)이 장착되고, 또 압지편(14)(24)과 단자(13)(23)의 접촉부위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전선삽입공(17)(27)이 형성되어 버튼(16)(26)을 눌러 압지편(14)(24)을 단자(13)(23)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피복이 벗겨진 전선(미도시)을 전선삽입공(17)(27)을 통해 삽입하고 버튼(16)(26)을 놓아주면 압지편(14)(24)과 단자(13)(23)의 사이에 피복이 벗겨진 전선이 물리게 되는데, 한 쌍의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대(10)의 경우 상기와 같은 구조가 양쪽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전선삽입공(17)에 전선을 삽입하여 각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기판(미도시)에 꽂히는 단자대(20)의 경우 상기와 같은 구조가 하나만 있고 단자(23)로부터 핀(23a)이 외부로 연장되어 있어 이를 기판에 그대로 꽂아 전기를 기판에 인가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한 쌍의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대(10)를 여러개 구비하여 슬라이드 레일에 나란히 꽂아 사용하고, 기판에 꽂히는 단자대(20) 역시 다수의 단자대(20)를 돌기-홈 방식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단자대들은 후위가 개방되어 있어 여러개의 단자대가 나란하게 위치될 경우에는 문제시되지 않지만 여러개의 단자대 중 하나의 단자대를 빼내게 되면 눌려있던 압축스프링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단자대의 후위에 전체적으로 커버를 씌우기도 하나 이럴 경우 단자대의 후위에 커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커버 두께 정도의 요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단자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요홈의 깊이만큼 얇아지게 되어 통전용량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단자대의 크기가 큰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할 뿐 작은 크기의 단자대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자대 후위를 커버를 통해 전체적으로 덮어줄 경우에는 단자, 압지편, 압축스프링 등의 구성요소가 빠짐없이 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도 있으며, 커버가 단자대와는 별도로 제작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별도의 금형을 제작해야 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보관성이 떨어지며 분실우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자대의 하부에 커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자, 압지편, 압축스프링의 조립 후 그 위쪽을 덮어줄 수 있도록 구성하되, 커버는 압축스프링과 압지편의 접촉부위는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자대로부터 압축스프링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노출된 부위를 통해 각 구성요소의 유무 및 조립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커버를 갖는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사시도이며,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자대(100)는 합성수지재로 된 본체(101)의 후면에 요홈(102)이 형성되어 여기에 금속재 단자(103)와, 단자(103)와 접촉되는 압지편(104)과, 압지편(104)에 척력을 제공하여 상시 단자(103)와 접촉되게 하는 압축스프링(105)이 끼워지며, 압지편(104)의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106)이 장착되고, 압지편(104)과 단자(103)의 접촉부위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전선 삽입공(107)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단자대(100)가 다수개 구비되어 슬라이드 레일에 나란히 끼워져 사용된다.
이러한 단자대(100)에서 본체(101)의 하부에는 단자(103), 압지편(104), 압축스프링(105)을 덮어주는 2개의 커버(11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커버(110)와 본체(101)의 연결부위는 커버(110)가 본체(101)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커버(110)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각 커버(110)는 압축스프링(105)이 튕겨나가지 않도록 압축스프링(105)의 1/2 이상을 가리면서 압축스프링(105)과 압지편(104)의 접촉부위는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체(101)의 후위에는 다수의 체결돌기(108)가 형성되고, 커버(110)에는 체결돌기(108)에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홈(111)이 형성되어 각 체결홈(111)이 각 체결돌기(108)에 끼워짐에 따라 각 커버(110)가 본체(101)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본체(101)에서 커버(110)가 덮이는 부위에는 커버(110)의 두께만큼 요홈(109)이 형성되어 커버(110)가 덮일 때 그 표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커버를 갖는 단자대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단자대(100)의 본체(101) 후면에 단자(103), 압지편(104), 압축스프링(105)을 차례로 끼우고, 모든 구성요소를 장착한 후에는 본체(101)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커버(110)를 위쪽으로 꺾어 커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111)이 본체(101)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돌기(108)에 끼워지게 하여 커버(110)를 본체(101)에 고정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의 다수의 단자대(100)를 슬라이드 레일에 나란하게 꽂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커버(110)와 본체(101)의 연결부위는 커버(110)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므로 커버(110)를 상방향으로 꺾어줄 때 그 회전중심을 이루면서 본체(101)와 커버(110)의 연결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으며, 커버(110)와 본체(101)가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이를 제작하기 매우 용이하고, 또 본체(101)와 커버(110)를 별도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관성이 양호해짐은 물론 분실의 우려도 없게 된다.
또한, 커버(110)는 압축스프링(105)의 1/2 이상을 가리면서 압축스프링(105)과 압지편(104)의 접촉부위는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정도의 면적으로 구성되므로 압축스프링(105)의 1/2이상이 커버(110)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며, 커버(110) 외측의 노출된 부위를 통해 단자(103), 압축스프링(105), 압지편(104) 등의 구성요소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단자대(100)에 있어서 단자(103), 압축스프링(105), 압지편(104) 등의 구성요소가 모두 갖추어져 있더라도 압축스프링(105)의 중간부위가 압지편(104)에 끼워져 불량이 일어나게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작업자들은 압축스프링(105)과 압지편(104)의 접촉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와 같은 불량 여부를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체(101)에서 커버(110)가 덮이는 부위에는 커버(110)의 두께만큼 요홈이 형성되므로 커버(110)를 상방향으로 꺾어 고정시키게 되면 커버(110)의 상단면과 본체(101)의 표면이 수평을 이루게 되어 다수의 단자대(100)를 슬라이드 레일에 나란하게 꽂아 사용할 때 각 단자대(100)간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에 다수의 단자대(100)가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수리 교체 또는 기타의 이유로 중간의 임의의 단자대(100)를 빼내더라도 커버(110)가 압축스프링(105)의 1/2 이상을 막아주고 있으므로 압축스프링(105)이 외측으로 튕겨 나갈 수 없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선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된 본체(201)의 후위에 하나씩의 단자(203), 압지편(204), 압축스프링(205)이 장착되고, 단자(20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핀(203a)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자대(200)의 본체(201) 하부에 하나의 커버(210)를 일체로 형성하되, 그 형상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와 개수만 다를 뿐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커버(210)와 본체(201)의 연결부위는 커버(210)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각 커버(210)는 압축스프링(205)의 1/2 이상을 가리면서 압축스프링(205)과 압지편(204)의 접촉부위는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되며, 본체(201)의 후위에는 다수의 체결돌기(208)가 형성되면서 커버(210)에는 체결돌기(208)에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홈(211)이 형성되고, 본체(201)에서 커버(210)가 덮이는 부위에는 커버(210)의 두께만큼 요홈(209)이 형성되어 커버(210)가 덮일 때 그 표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며, 이러한 커버(210)가 하나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될 경우 단자대의 용도만 다를 뿐 커버(210)에 의해 압축스프링(20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단자(203), 압지편(204), 압축스프링(205) 등 각 구성요소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압축스프링(205)과 압지편(204)이 제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등 작용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자대의 본체 하부에 커버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자, 압지편, 압축스프링의 장착 후 그 후면에서 압축스프링의 1/2이상을 막아주면서 압축스프링과 압지편의 접촉부위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한 것이므로 압축스프링이 탄발되어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커버를 통해 막아줄 수 있음은 물론 커버의 외측으로 단자, 압지편, 압축스프링 등의 구성요소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압축스프링과 압지편이 제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불량률을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를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 본체 사출시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어 제조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분실의 우려를 없앨 수 있는 것이며, 커버가 최소한의 면적으로만 형성되므로 그에 해당하는 만큼 수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대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연결 단자대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대의 동작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기판연결 단자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기판연결 단자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기판연결 단자대의 동작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 단자대 101,201 : 본체
102,109,202,209 : 요홈 103,203 : 단자
104,204 : 압지편 105,205 : 압축스프링
106,206 : 버튼 107,207 : 전선삽입공
108,208 : 체결돌기 110,210 : 커버
111,211 : 체결홈 203a : 핀

Claims (3)

  1. 본체(101)(201)의 후면에 요홈(102)(202)이 형성되어 여기에 금속재 단자(103)(203)와, 상기 단자(103)(203)와 접촉되는 압지편(104)(204)과, 상기 압지편(104)(204)에 척력을 제공하여 상시 상기 단자(103)(203)와 접촉되게 하는 압축스프링(105)(205)이 끼워지며, 상기 압지편(104)(204)의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106)(206)이 장착되고, 상기 압지편(104)(204)과 상기 단자(103)(203)의 접촉부위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전선 삽입공(107)(207)이 형성된 단자대(100)(2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201)의 하부에는 상기 단자(103)(203), 상기 압지편(104)(204), 상기 압축스프링(105)(205)을 덮어주는 커버(110)(210)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커버(110)(210)와 상기 본체(101)(201)의 연결부위는 접첩가능하도록 상기 커버(110)(210)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110)(210)는 상기 압축스프링(105)(205)의 1/2 이상을 가리면서 상기 압축스프링(105)(205)과 상기 압지편(104)(204)의 접촉부위는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갖는 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201)의 후위에는 다수의 체결돌기(108)(208)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110)(210)에는 상기 체결돌기(108)(208)에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홈(111)(211)을 형성하여 상기 각 체결홈(111)(211)을 상기 각 체결돌기(108)(208)에 체결함에 따라 상기 커버(110)(210)를 상기 본체(101)(201)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갖는 단자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201)에서 상기 커버(110)(210)가 덮이는 부위에는 상기 커버(110)(210)의 두께만큼 요홈(109)(209)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110)(210)가 덮일 때 그 표면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갖는 단자대.
KR20-2005-0012601U 2005-05-04 2005-05-04 커버를 갖는 단자대 KR200391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601U KR200391462Y1 (ko) 2005-05-04 2005-05-04 커버를 갖는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601U KR200391462Y1 (ko) 2005-05-04 2005-05-04 커버를 갖는 단자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580A Division KR100642728B1 (ko) 2005-05-04 2005-05-04 커버를 갖는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462Y1 true KR200391462Y1 (ko) 2005-08-03

Family

ID=4369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601U KR200391462Y1 (ko) 2005-05-04 2005-05-04 커버를 갖는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4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9806B2 (ja) 回路基板用接続端子
KR101486179B1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US20080233810A1 (en) 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TW200629670A (en) Electrical connector
TW200629671A (en) Electrical connector
US8821197B2 (en) Fuse terminal
US20040033717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 flexible printed board to a circuit board
JP2007184222A (ja) コネクタ
US9033727B2 (en) Terminal platform block
KR101221506B1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200391462Y1 (ko) 커버를 갖는 단자대
US8197261B2 (en) Telecommunication connector having a flexible circuit board wound across a support member and ends being bent into fixing plates coupled to two rows of terminals
KR100642728B1 (ko) 커버를 갖는 단자대
CN110416787A (zh) 接触件、连接器以及连接装置
KR20120075934A (ko) 플러그커넥터, 소켓커넥터 및 그 결합구조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JP2007323897A (ja) リレーソケット
JP2003045594A (ja) Icソケット
CN201000828Y (zh) 开关
WO2004064094A1 (en) Switching device with integrated light source
CN215496484U (zh) 一种多位带灯自锁按键开关
JP3148091U (ja) 電子カードコネクタ
JP6831428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KR100502700B1 (ko) 전기 콘넥터
CN108963507B (zh) 一种接线端子及接线端子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