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406Y1 - 지진 전기/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지진 전기/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406Y1
KR200391406Y1 KR20-2005-0008030U KR20050008030U KR200391406Y1 KR 200391406 Y1 KR200391406 Y1 KR 200391406Y1 KR 20050008030 U KR20050008030 U KR 20050008030U KR 200391406 Y1 KR200391406 Y1 KR 200391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circuit breaker
switch
electrica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국
Original Assignee
김연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국 filed Critical 김연국
Priority to KR20-2005-0008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4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mechanical injury, e.g. rupture of line, breakage of earth conn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전 또는 지진발생을 검출하여 전기를 차단시킴으로써 전기 및 누전등에 따른 화재 및 감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복합기능을 가진 전기/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전기를 입력받는 전원선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와; 상기 누전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입력 전원을 차단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진 발생시 전기를 차단할수 있도록 지진을 검출하는 원추와 하우징을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진 전기/누전차단기{omitted}
본 고안은 전기/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전시 또는 지진 발생시 전기를 차단시키는 전기/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진 발생시에는 건물의 붕괴 도로의 파손등으로 인하여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 피해마저도 크게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지진 발생의 2차적 원인으로 인한 즉 전기의 합선에 따른 화재 및 감전 사고등에 의하여 더욱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누전차단기는 전기의 누전만을 검출할수 있고 또 전기누전시에도 단순히 전기만을 차단함으로 지진등의 위난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특별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누전 또는 지진발생을 검출하여 전기를 차단시킴으로써 전기의 합선에 따른 화재 및 감전 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전기/누전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외부로부터 전기를 입력받는 전원선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뒷단의 상기 전원선에 설치되어 누전을 검출하는 누전 검출부와; 상기 누전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입력전원을 차단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을 인출하여 각각 전기단자를 형성하고 지진 발생시 그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전기 단자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을 동작시켜 상기 스위치를 차단시켜 전기를 차단하는 지진 검출부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진 검출부는 건물의 벽면 또는 천정등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되 그 상단의 고정부를 통하여 진동시 흔들리도록 설치된 원추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원추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전기단자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누전차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전기를 입력받는 전원선(10)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20)와; 상기 스위치(20)의 뒷단의 상기 전원선(10)에 설치되어 누전을 검출하는 누전 검출부(30)와; 상기 누전 검출부(30)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40)와; 상기 증폭부(4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20)를 오프시켜 입력전원을 차단시키는 구동부(50)로 이루어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10)을 인출하여 각각 전기단자(74)(75)를 형성하고 지진 발생시 그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전기단자(74)(75)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50)를 동작시켜 전기를 차단한다.
또한 도2는 도1의 지진 검출부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진 검출부(70)는 건물의 벽면 또는 천정등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내부에 설치하되 그 상단의 고정부(72)를 통하여 진동시 흔들리도록 설치된 원추(73)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71)의 내측면과 상기 원추(73)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전기단자(74)(7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누전시에는 누전 검출부(30)에서 누전을 검출하고 증폭부(40)는 상기 누전 검출부(30)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증폭시켜 구동부(50)로 전달하며 구동부(50)는 상기 전원선(10)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20)를 오프시켜 입력전원을 차단시킨다.
이때 누전 검출부(30)는 통상 정상적으로 흐르던 전류가 갑자기 강전이나 누전등으로 지락 전류가 발생하면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누전 검출부(30)가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진 발생시에는 지진 검출부(70)가 지진발생에 따른 진동을 검출하여 상기 전기단자(74)(75)를 접촉시킴으로서 상기 구동부(50)를 동작시켜 상기 스위치(20)를 차단시킴으로서 전기를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지진 검출부(7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시 상기 원추(73)가 상하좌우로 흔들리면서 상기 하우징(71)의 내측면과 상기 원추(73)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전기단자(74)(75)가 접촉하고 그 전기신호가 상기 구동부(50)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기단자(74)(75)의 거리 또는 원추(73)의 무게 등을 조정하여 지진의 진도가 대략 4 내지 6도에서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누전차단기에 의하면 누전 검출부와 간단한 구조의 지진 검출부를 통하여 누전 또는 지진 발생을 검출하여 전기를 차단시킴으로서 전기의 합선에 따른 화재 및 감전 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누전차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도1의 지진 검출부를 나타낸 측면단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원선 20:스위치
30:누전검출부 40:증폭부
50:구동부 60:원추상하진동스프링
70:지진검출부 71:하우징
72:고정부 73:원추
74,75:전기단자 80:케이스

Claims (2)

  1. 외부로부터 전기를 입력받는 전원선(10)에 설치된 스위치(20)와; 상기 스위치(20)의 뒷단의 상기 전원선(10)에 설치되어 누전을 검출하는 누전검출부(30)와; 상기 누전검출부(30)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40)와; 상기 증폭부(4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20)를 오프시켜 입력전원을 차단시키는 구동부(50)로 이루어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10)의 일측에 지진검출부(70)을 설치하여 지진검출부(70) 내부에 전기단자 (74),(75)를 설치하고 지진발생시 그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전기단자(74)가 상기 전기단자(75)와 접촉됨으로서 상기 구동부(50)를 동작시켜 상기 스위치(20)을 차단시키도록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전기/누전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검출부(70)는 케이스(80)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80)를 벽면등에 고정되게 부착하고 지진검출부(70)는 원통형의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 내부에는 진동시 흔들리도록 설치된 원추(73)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71)의 내측면과 상기 원추(73)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전기단자(74),(7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누전차단기.
KR20-2005-0008030U 2005-03-22 2005-03-22 지진 전기/누전차단기 KR200391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30U KR200391406Y1 (ko) 2005-03-22 2005-03-22 지진 전기/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30U KR200391406Y1 (ko) 2005-03-22 2005-03-22 지진 전기/누전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406Y1 true KR200391406Y1 (ko) 2005-08-05

Family

ID=4369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030U KR200391406Y1 (ko) 2005-03-22 2005-03-22 지진 전기/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4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97B1 (ko) 2006-04-25 2008-02-13 (주)삼원씨앤지 지진 재난 방지용 제어 시스템
KR100979603B1 (ko) * 2008-03-04 2010-09-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제어장치
KR20190045990A (ko)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전원안전모듈을 구비한 led 등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97B1 (ko) 2006-04-25 2008-02-13 (주)삼원씨앤지 지진 재난 방지용 제어 시스템
KR100979603B1 (ko) * 2008-03-04 2010-09-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제어장치
KR20190045990A (ko)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전원안전모듈을 구비한 led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20357A (en) Switching power device
CN101441953B (zh) 紧急断开开关装置
KR200391406Y1 (ko) 지진 전기/누전차단기
JP6312864B2 (ja) 双方向通信機能を有する危険区域内取付用の火災及びガス検知システム
KR102307853B1 (ko) 진공차단기용 동작 감지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US20190339153A1 (en) Liquid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liquid sensor
TW200737639A (en) Condition monitoring device for switch
KR100619969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JP4231512B2 (ja) 建設機械用無線通信装置のアンテナケーブル断線検出装置及び建設機械用無線通信装置
EP427002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urce identification of a fault such as arc fault or ground fault event in a communicating panel
JP2007005027A (ja) トラッキング検出機能付きプラグ
KR101264226B1 (ko) 진공차단기용 전류차단기구의 압력변화 감지장치
JP4981550B2 (ja) コンセント装置
WO2015180511A1 (zh) 接触器驱动电路
KR200230700Y1 (ko) 전기/가스 차단기
JP2002367737A (ja) 感震遮断コンセント
KR102186753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KR102342384B1 (ko) 직류전원 공급장치 및 방법
KR100887868B1 (ko) 전원 콘센트 장치
KR1009957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누전 차단 장치
JP2006296102A (ja) 漏電遮断装置
KR101623759B1 (ko) 수배전반의 기중 차단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42534B1 (ko) 무선 중계기의 발진과 격리도 감시 장치 및 방법
CN210400419U (zh) 一种隔圈漏吸检测装置及镜头组装设备
JP2002279882A (ja) 感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