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398Y1 - 스페이스 히터 - Google Patents

스페이스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398Y1
KR200391398Y1 KR20-2005-0006960U KR20050006960U KR200391398Y1 KR 200391398 Y1 KR200391398 Y1 KR 200391398Y1 KR 20050006960 U KR20050006960 U KR 20050006960U KR 200391398 Y1 KR200391398 Y1 KR 200391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bracket
space heater
heat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식
Original Assignee
신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식 filed Critical 신민식
Priority to KR20-2005-0006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3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swich board)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스페이스 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체의 고열이 단자대로 전도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브래킷상에 열전도 차단부를 설치하여 단자대 및 전원선의 손상에 따른 단락 사고를 방지하고, 전열선에 전기가 인가중임을 표시할 수 있는 LED램프를 단자대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부주의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단자대를 브래킷에 원터치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 한 스페이스 히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체와, 상기 방열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전열선 및 절연물과, 상기 방열체의 양단을 지지하여 배전반의 내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과 외부 전원선을 접속시키는 단자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페이스 히터에 있어서, 상기 브래켓은 소정두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방열체의 저면과 배전반의 내벽 사이에 소정거리의 간격을 형성하는 소정 높이의 수직부와, 상기 방열체의 저면에 접촉하여 체결되는 제1수평부 및 상기 배전반의 내벽에 접촉하여 체결되는 제2수평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켓의 제1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는 단자대를 설치하기 위한 소정 길이의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와 단자대 사이에는 다수의 관통홈을 지그재그 식으로 형성하여 방열체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단자대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전도 차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에 상기 단자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에는 전연선에 전원이 인가중임을 표시하는 LED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페이스 히터{Space heater}
본 고안은 배전반(swich board)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스페이스 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체의 고열이 단자대로 전도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브래킷상에 열전도 차단부를 설치하여 단자대 및 전원선의 손상에 따른 단락 사고를 방지하고, 전열선에 전기가 인가중임을 표시할 수 있는 LED램프를 단자대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부주의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며, 단자대를 브래킷에 원터치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 한 스페이스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swich board)은 캐비넷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배전 및 배전의 제어에 필요한 계기, 개폐기, 안전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전반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기의 변화에 따라 내부에 습기가 차게 된다. 이러한 습기는 배전반에 설치된 계기, 개폐기 및 안전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누전으로 인한 오작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배전반 내부에는 습기를 적당한 범위로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전기에 의해서 고열을 발생하는 스페이서 히터(space heater)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페이스 히터(100)는 크게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체(110)와, 이 방열체(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전열선(120) 및 절연물(130)과, 상기 방열체(110)의 양단을 지지하여 배전반의 내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140)(150)과, 상기 브래킷(150)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120)과 외부 전원선을 접속시키는 단자대(16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100)에 있어서, 상기 방열체(1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본체의 상면과 저면에 다수의 방열휜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체(110)의 좌우 단부에는 나사 체결홈을 형성하기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부의 저면에는 소정 형상의 브래킷(140)(150)이 체결된다. 상기 브래킷(140)(15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방열체(110)의 배전반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하는 수직부(또는 공간형성부)(142)(15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수직부(142)(152)의 상단에는 방열체(110)의 저면과 접촉되는 제1수평부(141)(151)가 일체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142)(152)의 하단에는 배전반의 내벽과 접촉되는 제2수평부(143)(153)가 일체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수평부(141)(151)와 제2수평부(143)(153)에는 체결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40)(150) 중 일측 브래킷(150)에는 단자대(16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연장부(15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단자대(160)는 소정의 체결볼트를 통해사 상기 연장부(155)의 상면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100)는 브래킷(140)(150)에 형성된 수직부(142)(152)를 통해서 방열체(110)의 저면이 배전반의 내벽으로 충분히 이격되므로 방열체(110)의 고열이 배전반의 내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100)는 방열체(110)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열전도율이 좋은 브래킷(150)을 통해 단자대(160)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스페이스 히터(100)에서는 단자대(160)와 전원선이 고열에 손상되어 단락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지 않으며 내열성이 우수한 무기재료(예,세라믹)로 이루어진 단자대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재질의 단자대는 무겁기 때문에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100)는 상기 방열체(110)의 외주면에 설치된 방열휜의 크기가 작아서 방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단자대(160)가 브래킷(150)의 상면에 나사체결식으로 설치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단자대(160)와 브래킷(150)의 접속면적이 넓어 열전달이 용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열선(1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방열체(110)가 고열로 가열되더라도 외부에서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주의로 방열체(110)와 접촉될 경우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방열체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단자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전도 차단부를 설치하여 단자대 및 전원선이 손상되어 단락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페이스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자대를 브래킷에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단자대와 브래킷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열전달을 차단하는 스페이스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열선에 전원이 인가중임을 표시할 수 있는 LED램프를 단자대에 설치하고, 상기 단자대의 상부에는 안전덮개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스페이스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체와, 상기 방열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전열선 및 절연물과, 상기 방열체의 양단을 지지하여 배전반의 내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과 외부 전원선을 접속시키는 단자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페이스 히터에 있어서,
상기 브래켓은 소정두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단자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신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단부에 체결된 방열체로부터 발생된 고열이 상기 연장부에 설치된 단자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열전도 차단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배전반의 내벽과 접촉하여 체결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차단부는 방열체와 단자대 사이의 브래켓 상에 다수의 관통홈이 지그재그 식으로 천공되어 열전도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에는 단자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의 양측에는 소정의 탄성훅크 또는 체결부가 소정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단자대의 하단이 상기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와 삽입홈을 형성하거나 상기 탄성훅크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에는 전열선에 전원이 인가중임을 표시하는 LED램프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안전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페이스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페이스 히터(1)는 크게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체(10)와, 상기 방열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전열선(20) 및 절연물(30)과, 상기 방열체(10)의 양단을 지지하여 배전반의 내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40)(50)과, 상기 브래킷(50)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20)과 외부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자대(6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방열체(10)는 원형의 알루미늄 본체(11)에 다수의 방열휜(12)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고 저면은 브래킷(40)(50)을 체결할 수 있도록 평평하며 가운데에는 소정의 체결너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폭의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방열체(10)는 종래의 방열체(10)에 비해 방열휜(12)이 넓기 때문에 방열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방열체(10)는 저면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단에 나사 체결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경사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열체(10)는 양단부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체(10)의 좌·우측 저면에는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브래킷(40)(50)이 체결된다. 상기 브래킷(40)(5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방열체(10)의 저면과 배전반의 내벽 사이에 소정 높이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42)(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42)(52)의 상단에는 방열체(10)의 저면에 접촉하여 체결되는 제1수평부(41)(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42)(52)의 하단에는 배전반의 내벽에 접촉하여 체결되는 제2수평부(43)(53)가 일체로 절곡되어 있다.
이어 상기 브래킷(40)(50) 중 일측 브래킷(50)에는, 상기 수직부(52)의 상단으로 소정 크기의 연장부(55)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장부(55)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81)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단자대(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부(51)에 설치된 방열체(10)와 연장부(55)에 설치된 단자대(60) 사이에는 다수의 관통홈(71)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열전도 차단부(7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방열체(10)의 저면과 배전반의 내벽 사이에 소정 간격을 형성하는 수직부를 두 개로 나누어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수직부(54)는 방열체(10)의 일측 단부에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수직부(5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연장부(55)와 제2수평부(53)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다단 절곡함으로써 브래킷(5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브래킷(50)의 수평방향으로의 길이를 연장되어 열전도율을 낮출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1)의 제1의 관점은, 방열체(10)와 단자대(60) 사이에 열전도 차단부(70)를 형성하여 방열체(10)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이 단자대(6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전도 차단부(70)에 형성되는 관통홈(71)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관통홈(71)은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길쭉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관통홈(71)은 폐쇄된 형태이거나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홈(71)은 브래킷(5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거나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홈(71)은 브래킷(5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 길쭉한 직선 형태이고, 다수의 관통홈(71)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그재그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홈(71)의 폭과 길이 그리고 열전도 차단부(70)의 크기는 방열체(10)의 크기와 발생되는 열 그리고 방열체(10)와 단자대(60)의 사이의 거리 및 단자대(60)을 이루는 재질의 내열성에 따라 다르게 설계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1)의 제2의 관점은, 단자대(60)를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하여 제조 및 조립공정을 단순하게 할 뿐만 아니라 브래킷(50)과 단자대(60)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열전도를 차단하거나 줄이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50)의 연장부(55)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8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81)를 이용하여 단자대(60)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한다.
도 3은 단자대의 원터치 결합방식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50)의 연장부(55)에는 단자대(60)의 평면과 유사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사각형상의 개구부(8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60)의 하단부에는 걸림턱(62)과 삽입홈(6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자대(60)의 전·후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대(60)의 좌·우측면에는 안쪽으로 소정 깊이 파여진 삽입홈(6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62) 중 적어도 일측 걸림턱(62)의 저면에는 외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대(60)를 개구부(81)에 결합시킬 때에는, 후면에 형성된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이 개구부(81)의 일측 저면에 걸리도록 하고 이 걸림턱을 회동축으로 하여 단자대(60)를 회동시키면,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62)이 경사면을 이용하여 개구부(81)의 타측 저면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단자대(6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63) 상부의 단턱부는 개구부(81)의 양측 상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단자대(60)는 개구부(81)에 단단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어 도 4는 단자대의 원터치 결합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50)의 연장부(55)에는 단자대(60)의 평면과 유사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사각형상의 개구부(8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81)의 양측에는 소정 높이의 탄성훅크(82)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훅크(82)는 개구부(81)에서 절단된 금속판를 2단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81)와 연결된 하단부(83)은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하단부(83)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경사단부(84)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자대(60)의 좌우 외측면에는 상기 경사단부(84)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대(60)를 개구부(81)를 향하여 가압하면, 단자대(60)의 좌우 외측면이 상기 탄성훅크(82)의 경사단부(84)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단부(84)는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60)가 계속 하강하여 경사단부(84)의 하단부가 단자대(60)의 양측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홈(64)의 단턱부에 다다르면 경사단부(84)의 탄성력에 의해서 단자대(60)가 단단하게 고정된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 결합방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50)의 연장부(55)에는 단자대(60)의 평면과 유사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사각형상의 개구부(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81)의 양측에는 소정의 높이의 체결부(85)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85)는 개구부(81)로부터 절개된 금속판을 2단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개구부(81)와 연결된 하단부(86)은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하단부(86)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87)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87)에는 소정의 체결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자대(60)에는 상기 체결구멍(88)에 대응하는 관통구멍(68)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대(60)를 수평부(88)의 상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체결볼트를 통해서 비교적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단부(86)에 다수의 공기구멍(89)을 뚫어 놓거나 상기 수평부(87)의 상면에 소정 크기의 단열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대(60)는 내열성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단자대에 비해서 가볍고 저렴하다. 상기 단자대(60)는 전열선(21)의 단부에 설치된 터미날(23)이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24)와 외부의 전원선이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25)가 설치되는 설치홈(61)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홈(61)에는 접속단자(24)(25)를 분리시키기 위한 격벽(66)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61)의 양측에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68)이 형성된 지지부(6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단자대(60)의 하단부에는 걸림턱(62)과 삽입홈(6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단자대(60)의 설치홈(61)에 십자형태로 설치된 격벽(66)의 중심에는 소정 깊이로 LED램프 안착부(9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LED램프 안착부(95)에 안착되는 LED램프(96)는 LED와 저항(97) 그리고 두 개의 리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드는 전열선(21)이 접속되는 접속단자(24)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상기 LED램프(96)는 접속단자(24)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LED램프 안착부(95)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전열선(21)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LED램프(96)가 발광되어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대(60)의 상부에는 판 형상의 안전덮개(9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안전덮개(90)는 불투명한 덮개판(91)과 상기 덮개판(9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결합봉(9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결합봉(92)은 단자대(60)에 형성된 관통구멍(68)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결합봉(92)은 십자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수직결합봉(92)에 억지끼울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91)에는 두 개의 드라이버 삽입공(98)과 LED발광 구멍(99)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버 삽입공(98)은 전원선이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25)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LED발광 구멍(99)은 LED램프(96)의 설치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전덮개(90)를 설치하면 누전의 원인이되는 이물질이 접속단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감전 등의 사고를 당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단자대(6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특히 안전덮개(90)와 설치홈(61)의 격벽(66) 사이가 충분히 이격되도록 설치홈(6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69)를 상부로 충분히 신장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안전덮개(90)와 격벽(66)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면 별도로 LED램프 안착부(95)를 설치하지 않고도 LED램프(96)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램프(96)은 상기 격벽(66)의 상면에 절곡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는 방열체와 단자대 사이에 다수의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열전도 차단부를 형성함으로써 방열체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단자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자대 및 전원선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단락사고나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브래킷의 연장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단자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뿐만 아니라 단자대와 브래킷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단자대에 LED램프를 설치하여 전열선에 전원이 인가중임을 표시하고, 단자대의 상부에는 안전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화상이나 감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스페이스 히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스 히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고안의 스페이스 히터 10 : 방열체
20 : 전열선 30 : 절연물
40,50 : 브래킷 42,52 : 수직부(제2수직부)
55 : 연장부 60 : 단자대
61 : 설치홈 70 : 열전도 차단부
71 : 관통홈 81 : 개구부
82 : 탄성훅크 85 : 체결부
90 : 안전덮개 95 : LED램프 안착부
96 : LED램프 98 : 수직결합봉

Claims (13)

  1.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체와, 상기 방열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전열선 및 절연물과, 상기 방열체의 양단을 지지하여 배전반의 내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과 외부 전원선을 접속시키는 단자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페이스 히터에 있어서,
    상기 브래켓은 소정두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단자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신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단부에 체결된 방열체로부터 발생된 고열이 상기 연장부에 설치된 단자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열전도 차단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배전반의 내벽과 접촉하여 체결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차단부는 방열체와 단자대 사이의 브래켓 상에 다수의 관통홈이 지그재그 식으로 천공되어 열전도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단자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어 수직하게 절곡된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단부로 이루어진 탄성훅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개구부 양측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어 수직하게 절곡된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를 개구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대의 전·후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대의 좌·우측면에는 안쪽으로 소정 깊이 파여진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 중 적어도 일측 걸림턱의 저면에는 외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에는 전열선에 전원이 인가중임을 표시하는 LED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열선이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와 외부의 전원선이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홈에는 접속단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격벽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두 개의 격벽이 교차하는 교차점에는 소정 깊이로 LED램프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의 양측에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의 상부에는 불투명 덮개판과, 이 덮개판의 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의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대응하게 형성된 수직결합봉과, 상기 덮개판에 천공된 드라이버 삽입공 및 LED램프 발광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전덮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10.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체와, 상기 방열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전열선 및 절연물과, 상기 방열체의 양단을 지지하여 배전반의 내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과 외부 전원선을 접속시키는 단자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페이스 히터에 있어서,
    상기 브래켓은 소정두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단자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신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배전반의 내벽과 접촉하여 체결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자대는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전열선이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와 외부의 전원선이 접속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홈에는 접속단자를 분리시키기 위한 격벽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두 개의 격벽이 교차하는 교차점에는 소정 깊이로 LED램프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의 양측에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대의 접속단자에는 전열선에 전원이 인가중임을 표시하는 LED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의 상부에는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투명인 덮개판과 이 덮개판의 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의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대응하게 형성된 수직결합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전덮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의 단부에 체결된 방열체로부터 발생된 고열이 상기 연장부에 설치된 단자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열전도 차단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와 열전도 차단부 사이에는 방열체의 단부와 일치하도록 또 하나의 수직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히터.
KR20-2005-0006960U 2005-03-15 2005-03-15 스페이스 히터 KR200391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60U KR200391398Y1 (ko) 2005-03-15 2005-03-15 스페이스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60U KR200391398Y1 (ko) 2005-03-15 2005-03-15 스페이스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398Y1 true KR200391398Y1 (ko) 2005-08-05

Family

ID=4369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960U KR200391398Y1 (ko) 2005-03-15 2005-03-15 스페이스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3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45B1 (ko) 2007-04-10 2008-01-07 신민식 스페이스 히터
CN110355965A (zh) * 2019-06-25 2019-10-22 宁波长飞亚塑料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器
RU2798866C2 (ru) * 2018-12-11 2023-06-28 Штего-Холдинг Гмбх Крепежный модуль,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прибор и спосо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45B1 (ko) 2007-04-10 2008-01-07 신민식 스페이스 히터
RU2798866C2 (ru) * 2018-12-11 2023-06-28 Штего-Холдинг Гмбх Крепежный модуль,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прибор и способ
CN110355965A (zh) * 2019-06-25 2019-10-22 宁波长飞亚塑料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器
CN110355965B (zh) * 2019-06-25 2024-03-19 宁波长飞亚塑料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4809B1 (en) Lighting unit
US20080089071A1 (en) Lamp structure with adjustable projection angle
JP4387314B2 (ja) 電気接続箱
JP5368774B2 (ja) 照明器具
JP5343542B2 (ja) 点灯装置及びこの点灯装置を備える照明器具
EP1239714B1 (en) Terminal holding a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JP2006093404A (ja) 電気接続箱
KR100759533B1 (ko) 커버 결합형 차량용 프리히터
JP3248480B2 (ja) 配電ボックス
JP2015109216A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200391398Y1 (ko) 스페이스 히터
KR101601390B1 (ko) 직관형 led 램프
JP6297299B2 (ja) 照明器具
US6198631B1 (en) High temperature ground connection
AU2008200850B2 (en) LED Road Lamp
KR100792245B1 (ko) 스페이스 히터
US9642189B2 (en) Electric heater
JP6035531B2 (ja) 盤用ヒータ
KR20090009479U (ko) 스페이스 히터
JP5484870B2 (ja) 垂直パワーバスバーを備えた電気的センタ
KR102553090B1 (ko) 피티씨 히터
JP7213194B2 (ja) 点灯装置
JP5821033B2 (ja) 発光装置
JP6793324B2 (ja) 照明器具
KR200221233Y1 (ko) 배전반 습기제거용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