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360Y1 -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360Y1
KR200391360Y1 KR20-2005-0012896U KR20050012896U KR200391360Y1 KR 200391360 Y1 KR200391360 Y1 KR 200391360Y1 KR 20050012896 U KR20050012896 U KR 20050012896U KR 200391360 Y1 KR200391360 Y1 KR 200391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radioactive contamination
source assembly
open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중앙검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검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검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2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3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1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objects, apparatus, clothes, food; Preventing contamination thereof
    • G21F9/005Decontamination of the surface of objects by ab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사선오염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방사능오염 제거장치는 소스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제 1커넥터, 소스가이드튜브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 2커넥터, 상기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 사이에 설치되고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상기 소스컨테이너와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사이를 왕래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선을 갖는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일측에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의 개방된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된 부위를 통해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하는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을 닦아주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방사능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사능오염 제거수단 및 상기 안내부재의 개방된 부위와 상기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방사선 조사기의 제염이 방사선 조사기 사용방법과 같은 방식이므로, 제염작업이 매우 쉽고, 기존에서와 같이 검사원이 직접 손으로 오염부위를 닦거나 하지 않아도 되므로 검사원의 방사능 피폭에 대한 위험도가 현저하게 낮아진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active contamination of radioactive rays irradi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방사선오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사선오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조사기는 이리듐-192 등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캡슐에 내장하고 이를 나선이 형성된 나선부재(현장에서 피그테일(pig tail)이라 불림, 이하 피그테일이라 칭함) 즉, 피그테일의 일단에 연결하고, 피그테일의 나머지 일단에 커넥터(connector)를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사선원 어셈블리,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차폐상태로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소스컨테이너와, 방사선원 어셈블리와 연결하여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케이블 어셈블리와, 소스컨테이너에 연결되어 검사 시 검사대상물체의 위치까지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안내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소스컨테이너에는 방사선원의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방사선 차폐물질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S자 형태의 방사선원 어셈블리 보관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케이블 어셈블리의 튜브 내부와 소스가이드 튜브장치의 튜브 내부에는 피그테일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케이블 어셈블리는 튜브와 기어, 핸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방사선원 어셈블리, 소스컨테이너, 제어케이블 어셈블리, 소스가이드튜브장치의 구성은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방사선 조사기의 구성과 동작과정은 특허 공개번호 2003-0029317호 등을 참조하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사선 조사기에서 방사성동위원소를 내부에 보관하는 소스컨테이너는 주로 감손 우라늄으로 제작되어 있어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출입이 반복됨에 따라 소스컨테이너의 내부가 미세하게 마모되어 발생되는 찌꺼기나 분진 등에 의해 피그테일, 방사성동위원소의 캡슐 및 리모트 컨트롤 와이어 등이 오염되고 있어 이를 검사원이 주기적으로 방사능 오염도를 점검하고 수동으로 제염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방사선으로 오염된 캡슐이나 리모트 컨트롤 와이어의 오염된 표면을 제염하기 위해 특별한 도구가 없이 제염액을 분사한 후 헝겊이나 제염지를 이용하여 손으로 문질러서, 방사선으로 오염된 표면을 제염하였다.
이 때 캡슐, 리모트 컨트롤 와이어 등의 방사능 강도는 높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방사능 오염을 점검한다는 것이 용이한 일이 아닐뿐더러 수작업으로 방사능오염을 제거하기 때문에 호흡에 의한 방사능 오염분진의 흡입에 의한 검사원의 방사선 내부피폭이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도 측정과 제염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고, 검사원의 방사선 피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사능오염 제거장치는 방사선원을 내장하는 캡슐과 일단에 상기 캡슐이 연결되는 피그테일과 상기 피그테일의 타단에 설치된 커넥터를 구비하여 구성된 방사선원 어셈블리,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보관하는 소스컨테이너, 상기 소스컨테이너의 일측에 착탈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한 소스스탑부재까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소스가이드튜브장치 및 상기 소스컨테이너의 타측을 통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케이블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방사선 조사기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사능 오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제 1커넥터, 상기 소스가이드튜브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 2커넥터, 상기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상기 소스컨테이너와 상기 소스가이드튜브장치 사이를 왕래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일측에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의 개방된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된 부위를 통해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하는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을 닦아주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방사능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사능오염 제거수단 및 상기 안내부재의 개방된 부위와 상기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안내부재로는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한 쌍의 회전축에 걸려 회전되면서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는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을 닦아주는 오염제거필터를 구비하는 순환벨트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벨트기구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 배치된 것이 좋다.
상기 개방부 부근에 배치되는 방사능 강도 측정센서, 상기 방사능 강도 측정센서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수단,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방사능 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하는 경보수단 및 상기 방사능 강도 측정센서, 신호처리수단, 경보수단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고무, 폴리우레탄폼 등의 탄성재가 설치된 것이 좋다.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회전축은 중앙부위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탄성재가 설치된 것이 좋다.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회전축은 회전축지지부재에 탄성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개방부 하부 쪽에 상부에서 떨어지는 찌꺼기를 받아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랍식 트랩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제거수단은 상기 개방부 주변에 상기 안내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는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방사능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오염제거필터를 구비하는 회전롤러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기구는 상기 개방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된 것이 좋다.
상기 롤러 외주면에 고무, 폴리우레탄폼 등의 탄성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가 방사선 조사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사능오염 제거장치(100)는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회전되면서 통과할 수 있는 안내부재(110)를 구비한다. 이 안내부재(110)는 좌우 두 개로 분리되어 양단 사이에 개방부(112)를 구비한다. 이 안내부재(110)의 내주면에는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회전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나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나선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안내부재(110)는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소스컨테이너(10)와 소스가이드튜브장치(20) 사이를 왕래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안내부재(110)로는 소스가이드튜브장치(20)의 튜브를 그대로 이용하여도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110)의 일단에는 제 1커넥터(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커넥터(120)는 방사선 조사기의 소스컨테이너(1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통과를 허용한다. 제 1커넥터(120) 반대편으로 안내부재(110)의 단부에는 제 2커넥터(1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커넥터(121)는 소스가이드튜브장치(2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12) 주변에는 오염제거수단(130)이 설치된다. 이 오염제거수단(130)은 안내부재(110)를 통해 개방부(112)를 통과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방사능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오염제거수단(13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부분이다. 즉, 개방부(112)를 통과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을 닦아주어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방사능오염을 제거하여 줄 수 있는 형태의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능오염 제거수단(130)의 부근에는 방사능강도 측정센서(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사능강도 측정센서(140)는 개방부(112)를 통과하는 피그테일, 제어케이블 어셈블리의 와이어 등의 오염도를 측정함과 아울러, 방사능오염 제거수단(130)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방사능강도 측정센서(140)에서 발생된 신호는 신호처리수단(150)에서 처리되어 경보기(160)나 디스플레이로 보냄으로써 상기 각 요소들의 방사능 오염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각 요소들의 방사능 세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신호처리수단(150)은 경보기(160)로 경보발생신호를 인가하고, 경보기(160)는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제염작업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방사능오염 제거수단(130)의 오염제거필터(132)를 교체하여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부재(110)의 개방부(112)와 상기 방사능오염 제거수단(130), 방사능강도 측정센서(140)는 하우징(170)에 둘러싸여져 있다. 개방부(112) 하부쪽에는 하우징(170)에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트랩(trap, 1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트랩(172)은 방사능오염 찌꺼기나 분진들이 떨어져 모일 수 있도록 하고, 필요 시 트랩(172)을 열어서 오염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케이블 어셈블리(30) 내부의 와이어를 소스컨테이너(10)에 내장된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피그테일의 커넥터에 연결하여 제이케이블 어셈블리(30)를 작동시켜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키면 방사선원 어셈블리는 안내부재(110)를 따라 회전하면서 개방부(112)를 통과한다. 이 때 방사능오염 제거수단(130)의 오염제거필터(132)가 회전되면서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에 접촉되어 그 표면을 닦아줌으로써 그 표면을 제염하여준다. 제어케이블 어셈블리(30)의 와이어도 마찬가지이다.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충분히 전진 시켰다가 다시 후퇴시킬 때에도 전진 때와 마찰가지로 제염이 된다. 방사선원 어셈블리나 제어케이블 어셈블리(30)의 와이어에 소스컨테이너(10), 소스가이드 튜브장치(20) 및 제어케이블 어셈블리(30) 내의 오염물질이 묻어나오기 때문에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제염하면 자연적으로 소스컨테이너(10)와 소스가이드 튜브장치(20) 및 제어케이블 어셈블리(30)의 내부도 제염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방사능오염 제거장치(100)를 소스컨테이너(10)와 소스가이드튜브장치(20) 사이에 연결한 상태에서 제어케이블 어셈블리(30)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방사선 조사기의 내부 오염을 제염할 수 있다.
한편, 방사능강도 측정센서(140)는 개방부(112)를 통과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 제어케이블 어셈블리의 와이어, 방사능오염 제거수단(130)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신호처리수단(150)으로 보내어 각 요소들의 방사능 오염도를 알 수 있도록 하여준다.
방사능강도 측정센서(140)는 여러 곳에 설치하여 오염도 측정 후 가장 높은 수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고, 그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기(160)를 통해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각 요소들의 제염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방사능오염 제거수단(130)의 오염제거필터(132)를 교체하도록 한다. 오염제거필터(132) 교체 시 트랩(172)을 열어 트랩(172)에 쌓인 방사능 오염된 찌꺼기와 분진들을 함께 제거하면 된다.
도 3은 도 1의 I-I 방향에서 본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능오염 제거수단(13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회전축(134, 136)과 이 회전축(134, 136)들에 걸려 회전되면서 개방부(112)를 통과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 등의 표면을 닦아주는 오염제거필터(132)를 구비하는 순환벨트기구(130a)를 구비한다. 순환벨트기구(130a)는 개방부(112) 주변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순환벨트기구(130a)는 경우에 따라 안내부재(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이 아닌 예각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두 회전축(134, 136) 중 하나는 모터 등에 의한 구동축으로, 다른 하나는 오염제거필터(132)를 통해 구동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종동축으로 하면 된다.
도 4는 순환벨트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회전축(134, 136)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8)들 사이에 탄성부재(139)를 개재하여 회전축(136)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을 탄력적으로 밀어주어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이 잘 닦일 수 있다. 구동하는 회전축(134)에는 모터(133)를 설치하고, 각 회전축(134, 136)은 서포팅바(135)를 통해 하우징(170) 내부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 5는 회전축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6)의 외주면에 오목부(136a)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136a)에 탄성재(137)를 설치하여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접촉부위가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개방부(112) 주변에 안내부재(110)와 평행하게 그리고 제자리 회동 가능케 롤러(180)를 설치하고, 롤러(180) 외주면에 오염제거필터(182)를 부착하여 개방부(110)를 통과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을 닦아주는 회전롤러기구(180a)로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방사능 강도 측정센서와 경보기 및 신호처리수단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방사능강도 측정센서(140)에서 발생된 신호는 신호처리부(152)를 통해 제어부(153)로 인가되고, 제어부(153)는 신호처리부(152)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54)에 측정된 방사능의 강도를 표시하여 개방부(112)에 위치한 요소의 방사능 강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측정된 방사능 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53)는 경보발생신호를 발생하여 경보기(160)로 인가하고, 경보기(160)는 제어부(153)에서 인가되는 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기준치는 법령 등을 참고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부(153)나 제어부(153)에서 참고할 수 있는 별도의 기억장치 등에 미리 세팅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신호처리부(152)와 제어부(153)는 신호처리수단(150)에 해당된다. 이러한 제어부(153), 방사능강도 측정센서(140), 신호처리부(152), 디스플레이(154) 및 경보기(160)로는 전원부(190)에서 전원을 공급한다.
방사능강도 측정센서(140)를 이용해 방사능의 강도를 측정하고,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개방부를 통과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피그테일이나 제어케이블의 전 구간에 대해 방사능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고, 오염도 측정 후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소스컨테이너로 회수된 후에도 점멸 등 등의 경보신호가 계속 발생되고 있으면 필터를 교체하여 주면되므로 방사능오염 제거장치의 필터교체시기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방사선 조사기의 제염이 방사선 조사기 사용방법과 같은 방식이므로, 제염작업이 매우 쉽고, 기존에서와 같이 검사원이 직접 손으로 오염부위를 닦거나 하지 않아도 되므로 검사원의 방사능 피폭에 대한 위험도가 현저하게 낮아진다.
특히, 감손우라늄으로 제작된 소스컨테이너 내부에서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출입이 반복됨에 따라 소스컨테이너의 내부가 미세하게 마모되어 발생된 찌꺼기나 분진 등에 의해 오염된 피그테일, 방사성동위원소의 캡슐 및 리모트 컨트롤 와이어 등의 오염을 안전하게 제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흡 등에 의해 방사능 오염된 먼지가 검사원의 체내로 유입되어 생길 수 있는 검사원의 내부피폭 위험이 낮아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가 방사선 조사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I-I 방향에서 본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순환벨트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회전축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방사능 강도 측정센서와 경보기 및 신호처리수단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소스컨테이너 20 :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30 : 제어케이블 어셈블리 100 :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110 : 안내부재 112 : 개방부
120 : 제 1커넥터 121 : 제 2커넥터
130 : 방사능오염 제거수단 132 : 오염제거필터
136 : 회전축 137 : 탄성재
140 : 방사능 강도 측정센서 160 : 경보수단
170 : 컨테이너 172 : 트랩

Claims (10)

  1. 방사선원을 내장하는 캡슐과 일단에 상기 캡슐이 연결되는 피그테일과 상기 피그테일의 타단에 설치된 커넥터를 구비하여 구성된 방사선원 어셈블리,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보관하는 소스컨테이너, 상기 소스컨테이너의 일측에 착탈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한 소스스탑부재까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소스가이드튜브장치 및 상기 소스컨테이너의 타측을 통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케이블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방사선 조사기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사능 오염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제 1커넥터;
    상기 소스가이드튜브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 2커넥터;
    상기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상기 소스컨테이너와 상기 소스가이드튜브장치 사이를 왕래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일측에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의 개방된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된 부위를 통해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하는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을 닦아주어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방사능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사능오염 제거수단; 및
    상기 안내부재의 개방된 부위와 상기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오염 제거수단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한 쌍의 회전축에 걸려 회전되면서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는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을 닦아주는 오염제거필터를 구비하는 순환벨트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벨트기구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 부근에 배치되는 방사능 강도 측정센서, 상기 방사능 강도 측정센서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수단,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방사능 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하는 경보수단 및 상기 방사능 강도 측정센서, 신호처리수단, 경보수단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고무, 폴리우레탄폼 등의 탄성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회전축은 중앙부위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탄성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 배치되는 회전축은 회전축지지부재에 탄성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개방부 하부 쪽에 상부에서 떨어지는 찌꺼기를 받아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랍식 트랩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제거수단은 상기 개방부 주변에 상기 안내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는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방사능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오염제거필터를 구비하는 회전롤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기구는 상기 개방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외주면에 고무, 폴리우레탄폼 등의 탄성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KR20-2005-0012896U 2005-05-09 2005-05-09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KR200391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96U KR200391360Y1 (ko) 2005-05-09 2005-05-09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96U KR200391360Y1 (ko) 2005-05-09 2005-05-09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360Y1 true KR200391360Y1 (ko) 2005-08-01

Family

ID=4369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896U KR200391360Y1 (ko) 2005-05-09 2005-05-09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3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50B1 (ko) 2007-02-01 2008-11-04 한국원자력연구원 고온.고압 하에서의 완충재 물성 측정용 다중 센서케이블유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밀봉방법
KR100882504B1 (ko) 2007-02-28 2009-02-06 한국원자력연구원 우라늄 금속 부스러기 폐기물의 산화 처리장치
KR101644279B1 (ko) * 2015-12-30 2016-07-29 주식회사 레니븐테크놀로지 방사선기기 추적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50B1 (ko) 2007-02-01 2008-11-04 한국원자력연구원 고온.고압 하에서의 완충재 물성 측정용 다중 센서케이블유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밀봉방법
KR100882504B1 (ko) 2007-02-28 2009-02-06 한국원자력연구원 우라늄 금속 부스러기 폐기물의 산화 처리장치
KR101644279B1 (ko) * 2015-12-30 2016-07-29 주식회사 레니븐테크놀로지 방사선기기 추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1360Y1 (ko)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JP6516561B2 (ja) 検査用台車
GB2430131A (en) X-ray inspection apparatus
KR20200130961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20160069113A (ko) 방사선 검사장치
KR200452828Y1 (ko) 자동 신발 세척·살균 장치
WO2020067809A1 (ko) 레이저 제염 시스템
KR200453211Y1 (ko) 차폐판 제염장치
CN113702444A (zh) 一种防尘型负离子检测仪
JP2004358327A (ja) 流体管又は紫外線発光体の収容管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720859B1 (ko) 고정식 방사능 자동 제염 장치
KR101661887B1 (ko) 방사성폐기물 표면 밀링 자동화 제염장치
KR20220066750A (ko) 방사성 액체 폐기물 검출 장치
JP4008448B2 (ja) 海塩粒子モニタリング方法
JP5142863B2 (ja) ダスト放射線モニタ
KR102613149B1 (ko) 수류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브러쉬를 이용한 반응기, 열교환기 튜브의 세관시 친환경 습식 자동 스케일등 처리 및 처리수 재사용장치
JP4099846B2 (ja) 水中溶接装置
JP3112418U (ja) X線異物検査装置
JP4737164B2 (ja) 核医学装置
KR20130034518A (ko) 전극 세정 장치
KR102381081B1 (ko) 광간섭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한 전극 표면 모니터링을 통해 공정 자동화한 축전식 탈염 시스템
JP3871387B2 (ja) 受光センサ用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2608456B1 (ko)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장치의 이송장치
JP4771985B2 (ja) 放射線検査装置
KR102525322B1 (ko) 자동 세정용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