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250Y1 -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250Y1
KR200391250Y1 KR20-2005-0012322U KR20050012322U KR200391250Y1 KR 200391250 Y1 KR200391250 Y1 KR 200391250Y1 KR 20050012322 U KR20050012322 U KR 20050012322U KR 200391250 Y1 KR200391250 Y1 KR 200391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high pressure
suction
pressur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옥
Original Assignee
고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옥 filed Critical 고영옥
Priority to KR20-2005-0012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2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2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16Mobile land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05Manipulating or supporting suction pipes or ladders; Mechanical supports or floaters therefor; pipe joints for suction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93Component parts of suction heads, e.g. edges, strainers for preventing the entry of ston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는 골재 진공 흡입기(100)가 고정수단(210)에 의해 구동장치(200)에 연결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는 흡입헤드(101)가 하단부에 구비된 흡입관부(102)와, 상기 흡입관부(102)와 연결관부(104)로 연결되는 배출관부(103)와, 상기 배출관부(103)의 하단부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관부(104)의 노즐 결합부(104a)에 연결되는 이젝트 노즐(105)과 상기 이젝트 노즐(105)에 연결된 고압수 유입관부(106)로 구성되며,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고압수 유입관부(106)에는 고압수 공급호스(120)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부(103)에는 복수개의 배출관(110)과 배출호스(111)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호스(111)가 골재 선별 및 정사기(300)의 유입관(31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모래와 같은 채취 대상물의 생산성이 증대되고, 채굴된 골재를 원거리에 위치하는 골재 선별 및 정사기 혹은 그외 목적지로 투입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적은 장비와 사람으로 작업하고, 간편한 기계 조작으로 골재 생산 작업할 수 있으며, 생산비가 종전 방식에 비하여 1/3 이하로 절감되는 이점이 있고, 골재 진공 흡입기 내부에 임펠러가 없기 때문에 부유물질, 수초, 암석 등이 있어도 흡입시켜 배출하고 기내에 공기가 들어가도 계속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을 연속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수중 골재층을 평면으로 파면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AGGREGATE VACCUM SUCTION APPARATUS FOR MACHINE GATHERING AGGREGATE}
본 고안은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다 모래, 저수지 모래, 간척지 등에서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채굴하면서 골재 진공 흡입기의 배출관부 내부로 고압수를 분사시켜 배출관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형성되는 강력한 흡입압에 의해 흡입관부의 흡입헤드로 골재를 흡입시켜 골재 선별 및 정사기와 같은 목적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채굴장소에서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바지선에 장착된 임펠라 펌프에 의하여 흡입 후드로 흡입 인양하는데 펌프에서 흡입후드까지는 고무와 천으로 짜여진 고압호스로 되어 있고, 무동력 바지선은 한 자리에 서 있어서 흡입후드는 한 자리만 파고 들어가며, 바지선을 이동시켜 주면 그 굴착 자리가 이동되어 바지선이 서있는 곳만 파내려져 갈 뿐 굴착되는 구멍 전후, 좌우는 전혀 움직일 수 없으며, 물 속 골재층이 작업 후 물이 마르면 벌 집과 같이 구멍이 생기며, 토분이 없는 모래층은 옆에서 무너져 내려 더 넓은 분화구가 형성된다.
또한, 종래에는 골재 채굴에서 선별기까지 굴착기 4대와 차량 10톤의 덤프 2-3대가 요구되어 장비 임대료와 유류대 및 식대 인건비 등이 과도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골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골재를 채굴하면서 골재 진공 흡입기의 배출관부 내부로 고압수를 분사시켜 배출관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형성되는 강력한 흡입압에 해 흡입관부의 흡입헤드로 골재를 흡입시켜 골재 선별 및 정사기와 같은 목적지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는 골재 진공 흡입기가 고정수단에 의해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는 흡입헤드가 하단부에 구비된 흡입관부와, 상기 흡입관부와 연결관부로 연결되는 배출관부와, 상기 배출관부의 하단부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관부의 노즐 결합부에 연결되는 이젝트 노즐과 상기 이젝트 노즐에 연결된 고압수 유입관부로 구성되며,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의 고압수 유입관부에는 고압수 공급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부에는 복수개의 배출관과 배출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호스가 골재 선별 및 정사기의 유입관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의 연결관부의 노즐 결합부에는 상기 고압수 이젝트 노즐 양측으로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이 고정되고, 상기 양쪽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 공급호스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의 환형 연결관부의 하측 중간부에 구비되는 압력 측정기 결합부에는 연결선으로 압력 측정기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의 흡입관부 일측에는 고압수 분사관이 고정되고, 상기 고압수 분사관에는 고압수 공급호스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의 흡입관부의 흡입헤드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흡입헤드가 이동될 때에 의해 지층이 파여지도록 한 쌍의 굴착쇠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는 고압수용 고압펌프는 직고 130m의 수압으로 골재 진공 흡입기의 배출관부 하단에서 고압수 이젝트 노즐로 분사하면 관 내부에 진공 흡입력이 발생하고, 이 진공 흡입력으로 흡입관부의 흡입헤드로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물과 함께 흡입하여 인양 토출시킨다.
골재 진공 흡입기의 관경 90%까지 크기의 부유물질은 무엇이든 흡입되고, 관통되는 동안 아무런 장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지상으로 배출된다.
토출된 골재는 관을 타고 옆으로 500m까지 이동하여 물과 골재가 골재 선별 및 정사기에 직접 투입되어 선별되므로 굴착기 작업과 상차 장비 운반 등의 작업을 거치지 않으므로 골재를 손쉽게 채굴, 이송, 선별할 수 있어, 장비대, 유류대 절감효과는 물론이고 작업 효율이 배가되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생산비는 1/2 정도로 절감되었다.
고압펌프의 용량과 골재 진공 흡입기 및 관로의 크기는 생산량에 따라 가감할 수 있고, 골재 진공 흡입기에 의한 굴착과 고압수 및 고압공기 분사 작업에 따라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골재 채취 작업 시 굴착기에 의해 골재 진공 흡입기를 움직여 골재를 채취하여 목적지로 이동하고 뒤로 물러가면서 작업한다.
또한 골재층이 물이 나고 수면층 이하 깊이가 10m 이상 무한정일 경우에는 지반의 붕괴 우려도 있고, 수면 10m 이하 매립장에 채취가 불가능하므로 바지선과 같은 이동수단에 고압 펌프, 굴착기 등의 장비를 싣고 자유롭게 작업을 전진하며 하게 된다.
또한, 골재층 높이와 관계 없이 현장에서 물이 없을 때와 원석을 먼 곳에서 운반하여 올 때 물이 있는 곳에서 기타 장비 없이 선별 작업할 때 운반 차량으로부터 투입할 때 마다 가동시킨다. 이때 골재 진공 흡입기 위에 골재가 덮여져 있는 경우에도 작업을 시동하면 지장 없이 작업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에는 골재 채취기의 일 적용예를 보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골재 채취기의 다른 적용예를 보인 개략 구성도를 각각 보인 것이고, 도 3에는 골재 진공 흡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 4에는 골재 진공 흡입기의 사시도, 도 5에는 골재 진공 흡입기의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골재 진공 흡입기의 횡단면도, 도 7에는 골재 진공 흡입기의 부분사시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8에는 골재 진공 흡입기를 구동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에는 배출관 조립체의 보강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에는 흡입헤드에 굴착쇠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골재 진공 흡입기를 구동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보인 도면, 도 20에는 배출관 조립체의 보강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0에는 굴착쇠 구조를 보인 도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재 진공 흡입기(100)가 고정수단(210)에 의해 구동장치(200)에 연결되어 상하, 전후, 좌우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배출관부(103)에는 복수개의 배출관(110)이 연결되고 골재 배출호스(111)가 연결되어 있으며, 골재 선별 및 정사기(300)의 유입관(310)에 골재 배출호스(111)가 연결되어 골재 진공 흡입기(100)에 의해 흡입된 모래, 자갈과 물이 골재 선별 및 정사기(300)에 공급되어 선별 및 정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굴착기(포크레인)(220)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굴착기(220)는 필요에 따라 차량, 바지선과 같은 이동수단(230)에 실려 운전될 수 있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는 흡입헤드(101)가 하단부에 구비된 흡입관부(102)와, 상기 흡입관부(102)와 연결관부(104)로 연결되는 배출관부(103)와, 상기 배출관부(103)의 하단부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관부(104)의 노즐 결합부(104a)에 연결되는 이젝트 노즐(105)과 상기 이젝트 노즐(105)에 연결된 고압수 유입관부(106)로 구성되며, 이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관부(104)는 상기 흡입관부(102)와 배출관부(103) 사이에 환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배출관부(103)에는 배출관(110) 및 골재 배출호스(111)가 연결되고, 고압수 유입관부(106)에는 고압수 공급호스(120)가 연결된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연결관부(104)의 노즐 결합부(104a)에는 고압수 이젝트 노즐(105) 양측으로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이 고정되고, 상기 양쪽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 유입호스(141)가 연결된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흡입관부(102) 일측에는 고압수 분사관(150)이 고정되고, 상기 고압수 분사관(150)에는 고압수 공급호스(151)가 연결된다.
상기 골재 배출호스(111)는 상기 골재 선별 및 정사기(300)의 유입관(310)에 연결되고, 상기 고압수 공급호스(120),(151)와 고압공기 유입호스(141)는 상기 이동수단(230)에 탑재된 고압펌프(240),(241)에 연결된다.
상기 양쪽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은 T형관(142)의 양단부에 연결관(143)으로 각각 연결되고, T형관(142)의 중간부에 고압공기 유입호스(141)가 연결되어 있으며, T형관(142)의 중간부에 개폐밸브(14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환형 연결관부(104)의 하측 중간부에 구비되는 압력 측정기 결합부(104b)에는 연결선(171)으로 압력 측정기(17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입헤드(101)의 개구부에는 암석 등의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 방지망(101a)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110)을 구동장치(2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10)은 굴착기(220)의 붐(221)의 선단부에 연결판(211)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연결판(211)에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중간부 배출관(110)에 구비된 연결부(110a)가 고정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211)에는 붐(221)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 연결판(212)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판(211)과 연결부(110a)는 다수개의 볼트(213)으로 체결된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배출관부(103)와 복수개의 배출관(110)에는 조립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대(130)가 조립되어 있으며, 각각 2개의 고정편(131)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132)가 배출관부(103) 및 배출관(110)의 외주면에 플랜지부(104) 양측으로 각각 2개씩 고정되고, 이들 고정편(131)에 보강대(130)가 볼트(133)와 너트(134)로 체결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출관부(103)와 배출관(110)의 조립체에는 그 길이에 따라 보강대(130)가 필요한 만큼 체결 고정됨으로써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흡입관부(102)의 흡입헤드(101)에는 구동장치(200)에 의해 흡입헤드(101)가 이동될 때에 의해 지층이 파여지도록 한 쌍의 굴착쇠(160)가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굴착쇠(160)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흡입헤드(101)의 하단 중간부에 고정간(161)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이 고정간(161)의 양단부에 굴착쇠 몸체(162)를 요홈(163)으로 끼워 용접한 후, 굴착쇠 몸체(163)에 슈(164)을 끼워 볼트(165)로 체결하여 고정한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입헤드(101)의 주연부에 굴착쇠(160)를 용접 등으로 고정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골재 진공 흡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골재 진공 흡입기(100)는 흡입헤드(101)가 하단부에 구비된 흡입관부(102)와, 상기 흡입관부(102)의 상부에 연결관부(104)로 연결되는 배출관부(103)와, 상기 배출관부(103)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노즐 결합부(104a)에 연결되는 이젝트 노즐(105)과 상기 이젝트 노즐(105)에 연결된 고압수 유입관부(106)로 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재 진공 흡입기는 흡입관부(102)와 배출관부(103)가 동일선 상에 배치되고, 흡입관부(102)와 배출관부(103)가 양쪽 연결관부(104)에 의해 양쪽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흡입관부(102)와 배출관부(103)가 한쪽 연결관부(104)에 의해 한쪽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실시형태는 현장 사정 등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골재를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배출관부(103)에 복수개의 배출관(110) 및 골재 배출호스(111)를 연결하고, 고압수 이젝트 노즐(105)의 고압수 유입관부(106)에 고압수 공급호스(120)를 연결하며,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에 고압공기 유입호스(141)를 각각 연결한다.
또 이동수단(230)에 구비된 고압펌프(240),(241)에 상기 고압수 공급호스(120),(151)와 고압공기 유입호스(141)를 각각 연결한다.
또한 이동수단(230)에 실린 구동장치(200)의 굴착기(220)의 붐에 고정수단(210)의 연결판(211)을 연결하고, 이 연결판(211)에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배출관부(103)에 구비된 연결부(110a)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굴착기(220)에 의해 골재 진공 흡입기(100)를 상하, 전후, 좌우로 이동시켜 채취장소에 위치시킨 후, 고압펌프(240),(241)에 의해 펌핑된 고압수와 고압공기를 고압수 공급호스(120),(151)와 고압공기 유입호스(141)를 통하여 고압수 이젝트 노즐(105)와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고압수 이젝트 노즐(105)에 고압수가 공급되어 배출관부(103) 측으로 고압으로 분사되면 배출관부(103)의 내측에 진공이 되면서 채취장소의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가 물과 함께 흡입되어 배출관부(103) 및 배출관(110)으로 배출되고, 배출호스(111)을 통하여 골재 선별 및 정사기(300)의 유입관(310)에 공급된다.
또 이동수단(230)의 고압펌프(241)에서 펌핑된 고압공기를 고압공기 유입호스(141)로 공급하여 배출관부(103)의 하측 노즐 결합부(104a)에 결합된 양쪽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에서 분사시키면 이 고압공기가 고압공기 특성상 배출관부(103)로 배출되는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의 주위를 따라 돌면서 배출되므로 배출관부(103) 및 배출관(110)의 내주면이 골재에 의해 마모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또한 굴착기(220)에 의해 골재 진공 흡입기(100)를 상하, 전후, 좌우로 움직이면 흡입헤드(101)의 양측에 결합된 굴착쇠(160)가 지층을 파게 되고, 고압펌프(240)에 의해 펌핑된 고압수를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흡입관부(102) 일측에 연결된 고압 분사관(150)으로 분사하면 흡입헤드(101) 주위의 지층이 고압수에 의해 파여지게 되므로 넓은 영역에 걸쳐 골재를 채취할 수 있으며,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육지의 건설 현장을 포함한 각종 장소에서 골재를 채취하는 경우, 모래 이외의 진흙이나 돌이 포함된 경우에도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는 바다 모래, 저수지 모래, 간척지 등에서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채굴하면서, 수면 이하에 골재를 진공펌프식으로 흡입하고, 배출통로를 통하여 상부로 배출시켜 골재 선별 및 정사기와 같은 목적지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골재 진공 흡입기에 철관 파이프 직경 200mm, 길이 6m 이상의 관을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을 모래 기준으로 시간당 200m3 정도 생산할 수 있고, 반경 500m 이내에 설치된 골재 선별 및 정사기 혹은 그외 목적지로 투입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다.
종래에는 골재 채굴에서 선별기까지 굴착기 4대와 차량 10톤의 덤프 2-3대가 요구되어 장비 임대료와 유류대 및 식대 인건비 등이 과도하게 요구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는 선별기 투입까지 굴착기 0.8톤 1대, 고압펌프 2대, 동력 엔진 1대가 요구되어 적은 장비와 사람으로 작업하고, 간편한 기계 조작으로 골재 생산 작업할 수 있으며, 생산비가 종전 방식에 비하여 1/3 이하로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바지선에 장착된 임펠라 펌프에 의하여 흡입 이양하는데 펌프에서 흡입후드까지는 고무와 천으로 짜여진 고압호스로 되어 있고, 무동력 바지선은 한 자리에 서 있어서 흡입후드는 한 자리만 파고 들어가며, 바지선을 이동시켜 주면 그 굴착 자리가 이동되어 바지선이 서있는 곳만 파내려져 갈 뿐 굴착되는 구멍 전후, 좌우는 전혀 움직일 수 없으며, 물 속 골재층이 작업 후 물이 마르면 벌 집과 같이 구멍이 생기며, 토분이 없는 모래층은 옆에서 무너져 내려 더 넓은 분화구가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는 굴착기의 붐대가 골재 진공 흡입기를 상하, 전후, 좌우로 움직이므로 수중 골재을을 끌어가면서 굴곡 없이 채굴할 수 있으며, 만약 골재층에 흡입을 방해하는 수초, 돌 등의 흡입을 방해하는 물질이나 비교적 단단한 땅이 형성된 펄층이 있는 경우에도 흡입관부에 고정된 굴착쇠가 긁어주고 고압수 분사관에서 강력한 고압수가 분사되면서 골재를 흡입하므로 수중 골재층을 평면으로 파면서 작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는 바다 모래, 저수지 모래, 간척지 등에서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채굴하면서, 수면 이하에 골재를 진공펌프식으로 흡입하고, 배출통로를 통하여 상부로 배출시켜 골재 선별 및 정사기와 같은 목적지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모래와 같은 작업 대상물의 생산성이 증대되고, 반경 500m 이내에 설치된 골재 선별 및 정사기 혹은 그외 목적지로 투입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적은 장비와 사람으로 작업하고, 간편한 기계 조작으로 골재 생산 작업할 수 있으며, 생산비가 종전 방식에 비하여 1/3 이하로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골재 진공 흡입기 내부에 임펠러가 없기 때문에 부유물질, 수초, 암석 등이 있어도 흡입시켜 배출하고 기내에 공기가 들어가도 계속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을 연속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굴착기의 붐대가 골재 진공 흡입기를 상하, 전후, 좌우로 움직이므로 수중 골재을을 끌어가면서 굴곡 없이 채굴할 수 있으며, 만약 골재층에 흡입을 방해하는 수초, 돌 등의 흡입을 방해하는 물질이나 비교적 단단한 땅이 형성된 펄층이 있는 경우에도 흡입관부에 고정된 굴착쇠가 긁어주고 고압수 분사관에서 강력한 고압수가 분사되면서 골재를 흡입하므로 수중 골재층을 평면으로 파면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골재의 대량생산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채굴할 수 있고, 장비의 소모를 극소화할 수 있으며, 골재 채취장소의 깊은 곳이나 넓은 곳에 구애 받음이 없이 바닷속, 웅덩이의 물속 등에서 자유롭게 골재를 채취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가치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획기적 신개발품이라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은 골재 채취기의 일 적용예를 보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골재 채취기의 다른 적용예를 보인 개략 구성도.
도 3은 골재 진공 흡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 4는 골재 진공 흡입기의 사시도.
도 5는 골재 진공 흡입기의 종단면도.
도 6은 골재 진공 흡입기의 횡단면도.
도 7는 골재 진공 흡입기의 부분사시도.
도 8은 골재 진공 흡입기를 구동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배출관 조립체의 보강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흡입헤드에 굴착쇠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골재 진공 흡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골재 진공 흡입기 101 : 흡입헤드
102 : 흡입관부 103 : 배출관부
104 : 연결관부 104a : 노즐 결합부
104b : 압력 측정기 결합부 105 : 이젝트 노즐
106 : 고압수 유입관부 110 : 배출관
110a : 연결부 111 : 배출호스
120 : 고압수 공급호스 130 : 보강대
131 : 고정편 132 : 고정부
133 : 볼트 140 :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
141 : 고압공기 공급호스 142 : T형관
143 : 연결관 144 : 개폐밸브
150 : 고압수 분사관 151 : 고압수 공급호스
160 : 굴착쇠 161 : 고정간
162 : 굴착쇠 몸체 163 : 요홈
164 : 슈 165 : 볼트
170 : 압력 측정기 171 : 연결선
200 : 구동장치 210 : 고정수단
211 : 연결판 212 : 볼트
220 : 굴착기 221 : 붐
300 : 골재 선별 및 정사기 310 : 유입관

Claims (13)

  1. 골재 진공 흡입기(100)가 고정수단(210)에 의해 구동장치(200)에 연결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는 흡입헤드(101)가 하단부에 구비된 흡입관부(102)와, 상기 흡입관부(102)와 연결관부(104)로 연결되는 배출관부(103)와, 상기 배출관부(103)의 하단부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관부(104)의 노즐 결합부(104a)에 연결되는 이젝트 노즐(105)과 상기 이젝트 노즐(105)에 연결된 고압수 유입관부(106)로 구성되며,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고압수 유입관부(106)에는 고압수 공급호스(120)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부(103)에는 복수개의 배출관(110)과 배출호스(111)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호스(111)가 골재 선별 및 정사기(300)의 유입관(310)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연결관부(104)의 노즐 결합부(104a)에는 상기 고압수 이젝트 노즐(105) 양측으로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이 고정되고, 상기 양쪽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 공급호스(141)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환형 연결관부(104)의 하측 중간부에 구비되는 압력 측정기 결합부(104b)에는 연결선(171)으로 압력 측정기(170)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흡입관부(102) 일측에는 고압수 분사관(150)이 고정되고, 상기 고압수 분사관(150)에는 고압수 공급호스(151)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10)은 굴착기(220)의 붐(221)의 선단부에 연결판(211)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연결판(211)에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중간부 배출관(110)에 구비된 연결부(110a)가 볼트로 (212)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배출관부(103)와 복수개의 배출관(110)에는 조립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대(130)가 조립되고, 각각 2개의 고정편(131)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132)가 상기 배출관부(103) 및 배출관(110)의 외주면에 플랜지부(104) 양측으로 각각 2개씩 고정되고, 이들 고정편(131)에 보강대(130)가 볼트(133)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진공 흡입기(100)의 흡입관부(102)의 흡입헤드(101)에는 구동장치(200)에 의해 흡입헤드(101)가 이동될 때에 의해 지층이 파여지도록 한 쌍의 굴착쇠(160)가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은 T형관(142)의 양단부에 연결관(143)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T형관(142)의 중간부에 고압공기 공급호스(141)가 연결되며, 상기 T형관(142)의 중간부에 개폐밸브(144)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101)의 하단 중간부에 고정간(161)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고정간(161)의 양단부에 굴착쇠 몸체(162)를 요홈(163)으로 끼워 용접한 후, 상기 굴착쇠 몸체(163)에 슈(164)을 끼워 볼트(165)로 체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10. 흡입헤드(101)가 하단부에 구비된 흡입관부(102)와, 상기 흡입관부(102)와 연결관부(104)로 연결되는 배출관부(103)와, 상기 배출관부(103)의 하단부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관부(104)의 노즐 결합부(104a)에 연결되는 이젝트 노즐(105)과, 상기 이젝트 노즐(105)에 연결되는 고압수 유입관부(106)로 구성되는 골재 진공 흡입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104)의 노즐 결합부(104a)에는 상기 고압수 이젝트 노즐(105) 양측으로 고압공기 이젝트 노즐(140)이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부(102)의 흡입헤드(101)에는 구동장치(200)에 의해 흡입헤드(101)가 이동될 때에 의해 지층이 파여지도록 한 쌍의 굴착쇠(160)가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13. 제 7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101)의 하단 중간부에 고정간(161)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고정간(161)의 양단부에 굴착쇠 몸체(162)를 요홈(163)으로 끼워 용접한 후, 상기 굴착쇠 몸체(163)에 슈(164)을 끼워 볼트(165)로 체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KR20-2005-0012322U 2005-05-02 2005-05-02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KR200391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322U KR200391250Y1 (ko) 2005-05-02 2005-05-02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322U KR200391250Y1 (ko) 2005-05-02 2005-05-02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250Y1 true KR200391250Y1 (ko) 2005-08-02

Family

ID=4369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322U KR200391250Y1 (ko) 2005-05-02 2005-05-02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2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078B1 (ko) * 2009-06-30 2010-03-11 김동희 바지선과 수중로봇을 이용하여 개펄과 패각 등을 제거하는 준설장치
KR101339890B1 (ko) * 2011-11-14 2013-1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복합 준설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078B1 (ko) * 2009-06-30 2010-03-11 김동희 바지선과 수중로봇을 이용하여 개펄과 패각 등을 제거하는 준설장치
KR101339890B1 (ko) * 2011-11-14 2013-1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복합 준설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330B1 (en) Excavation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5487229A (en) Apparatus for pneumatic excavation
US5860232A (en) Mobile safe excavation system having a deflector plate and vacuum source
US4807373A (en) Loop circuit dredging apparatus
CN104975626B (zh) 一种轻便型高压水射流地面掘进设备
KR200391250Y1 (ko) 골재 채취기의 골재 진공 흡입장치
CN106120920A (zh) 一种用于公园人工湖的污泥处理装置及方法
KR102092256B1 (ko) 해양용 고속 준설선
CN203583545U (zh) 水冲采砂船
KR100310893B1 (ko) 해저 청소기
JPH11293698A (ja) 浚渫装置及び浚渫方法
CN214033712U (zh) 一种用于水冲拔桩的拔桩工具
CN109914504B (zh) 带有震动型格栅的耙吸挖泥船耙头结构
CN207371706U (zh) 移动式砂金采选机
US37611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sitioning earthen material
CN209798865U (zh) 一种带有震动型格栅的耙吸挖泥船耙头结构
CN209686490U (zh) 一种水下清淤机
KR100997373B1 (ko) 준설 플랜트 장치
CN109853651B (zh) 一种矿山尾矿库水力取砂方法
CN117071678B (zh) 一种非接触法管道疏浚土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214994192U (zh) 消防应急救援用履带式抽吸车
CN213823982U (zh) 一种土木机械环保降尘装置
CN215408637U (zh) 一种用于盾构施工的渣泥清理车
CN108452938A (zh) 移动式砂金采选机
CN113123384A (zh) 消防应急救援用履带式抽吸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