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256B1 - 해양용 고속 준설선 - Google Patents

해양용 고속 준설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256B1
KR102092256B1 KR1020180092340A KR20180092340A KR102092256B1 KR 102092256 B1 KR102092256 B1 KR 102092256B1 KR 1020180092340 A KR1020180092340 A KR 1020180092340A KR 20180092340 A KR20180092340 A KR 20180092340A KR 102092256 B1 KR102092256 B1 KR 10209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oyancy
dredger
blade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119A (ko
Inventor
박해영
Original Assignee
박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영 filed Critical 박해영
Priority to KR102018009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2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E02F3/8841Floating installation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oil-shifting equipment is mounted on a ladder or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07Measuring or control devices, e.g. control units, detection mean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6Floating substructures a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용 고속 준설선에 관한 것으로, 소정 면적 및 내체적을 갖는 부력배와, 상기 부력배의 내부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추진엔진과, 추진엔진에 연결되어 부력배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구동되는 스크류와, 상기 부력배의 상면에서 전방 위치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의 전방에 연결되어 유압으로 작동되는 붐대 및 이 붐대의 전단에 장착되어 부력배의 전방에서 후방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준설토 진공흡입부와, 상기 부력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진공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원심펌프와, 캐터필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과, 상기 부력배의 양측부위에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에 접하여 부상하는 부력체와,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커팅수단을 향하여 장착되는 흡입판이 일체로 구성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해양용 고속 준설선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로는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수단이 블레이드 본체 가장자리를 따라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발생수단으로 고압의 워터젯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워터젯 발생수단이 구성되어 고압의 워터젯 분사가 요구될 경우 워터젯을 분사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붐대의 전단부에 일체로 장착된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에 종축으로 연결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 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조립된 다수개의 회전판과, 각 회전판의 양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장착되되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게 휘어진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커팅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서 커팅수단의 회전축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이 기어박스와 입력측과 연계되도록 상기 붐대의 전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유압모터로 구성되는 커팅수단 구동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각 블레이드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와류형 분사노즐과, 이 와류형 분사노즐에 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펌프로 구성되는 블레이드 세척수단과, 상기 캐터필러 조립체의 전체 표면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캐터필러 조립체의 외측면에 조립되어 물살을 저으며 노 역할을 하는 다수의 보조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해양용 고속 준설선{High speed dredger for marine use}
본 발명은 해양용 고속 준설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긴 트랙을 이용한 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수상 및 육상에서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압실린더에 의한 스퍼드의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 하여 깊은 수심에서도 준설선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등 보다 안정적인 준설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선된 해양용 고속 준설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호수 등의 수면 아래쪽 바닥에는 우천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오폐수에 의하여 슬러지가 퇴적되거나, 인위적인 투척에 의해 슬러지가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각종 슬러지는 수질오염을 가속화시켜 생태환경을 파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하천이나 호수 등의 바닥면에 쌓여 있는 슬러지 제거 및 준설을 위하여 준설선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준설선은 준설할 수역의 깊이와 바닥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비를 탑재하여, 강, 운하, 항만, 항로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한 준설작업을 하며, 물 밑의 슬러지를 포함하는 흙, 모래, 광물 등을 채취하는 작업, 수중구조물 축조의 기초공사, 해저 폐기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준선설을 이용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바닥에 퇴적된 오염퇴적물을 준설작업할 때, 흐르는 물의 유속에 의해 준설선이 부유하여 준설작업위치를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고, 준설작업시 좌우로 흔들려 준설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준설선이 기울어짐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본원 출원인은 무한궤도와 같은 트랙을 이용하여 육지 및 수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스퍼드를 이용하여 준설위치에 준설선을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는 친환경 준설선(제10-2009-0052243호)을 이미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준설선의 트랙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가 취약하여 육지에서 수면으로 준설선이 이동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특히 트랙으로 전달되는 주행 동력이 작아서 육지 또는 수면상의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을 이동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준설선은 해당 준설 위치에 준설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서포트 수단으로서, 준설선의 후단부에 접힘 가능한 스퍼드를 설치하였는 바, 준설선을 고정시킬 때에는 스퍼드를 수직으로 세워서 수중 바닥에 지지시키고, 준설선의 이동시에는 스퍼드를 수평으로 다시 접어서 준설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시켜 사용하였지만, 스퍼드의 길이가 일정한 길이로 구비됨에 따라 깊은 수심에서는 스퍼드의 지지 기능이 불가능하여 준설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깊은 수심에서 스퍼드의 길이가 수심보다 짧아서 스퍼드가 수중 바닥에 닿지 않게 되어, 준설선을 준설 위치에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스퍼드의 길이를 깊은 수심에 맞게 증대시키는 경우, 스퍼드의 안착시 수평방향 길이가 준설선의 선체 길이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준설선의 이동시 선체에 불안정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므로, 결국 스퍼드의 길이를 증대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KR 10-1013508호 KR 10-0937733호 KR 10-1148748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준설선의 기능으로 심도계를 포함하여 준설선의 준설 수준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준설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고속 준설 기능을 가지는 준설선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준설선의 트랙을 양쪽에 하나씩 총 2개로 적용하는 동시에 트랙의 전후에 배열되는 2개의 스프로켓 모두에 동력을 전달하여 트랙의 외주에 씌워지는 무한궤도의 벗겨짐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준설선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준설선의 무한궤도 전후 인접 부위에 흙받이용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무한궤도에 장착되는 보조날개가 물살을 갈라주는 수차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해양용 고속 준설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젯 발생수단과 진공흡입부를 각각 구성하여 준설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준설선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이점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면적 및 내체적을 갖는 부력배와, 상기 부력배의 내부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추진엔진과, 추진엔진에 연결되어 부력배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구동되는 스크류와, 상기 부력배의 상면에서 전방 위치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의 전방에 연결되어 유압으로 작동되는 붐대 및 이 붐대의 전단에 장착되어 부력배의 전방에서 후방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준설토 진공흡입부와, 상기 부력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진공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원심펌프와, 캐터필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과, 상기 부력배의 양측부위에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에 접하여 부상하는 부력체와,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커팅수단을 향하여 장착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용 고속 준설선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로는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수단이 블레이드 본체 가장자리를 따라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발생수단으로 고압의 워터젯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워터젯 발생수단이 구성되어 고압의 워터젯 분사가 요구될 경우 워터젯을 분사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붐대의 전단부에 일체로 장착된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에 종축으로 연결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 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조립된 다수개의 회전판과, 각 회전판의 양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장착되되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게 휘어진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커팅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서 커팅수단의 회전축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이 기어박스와 입력측과 연계되도록 상기 붐대의 전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유압모터로 구성되는 커팅수단 구동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각 블레이드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와류형 분사노즐과, 이 와류형 분사노즐에 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펌프로 구성되는 블레이드 세척수단과; 상기 캐터필러 조립체의 전체 표면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캐터필러 조립체의 외측면에 조립되어 물살을 저으며 노 역할을 하는 다수의 보조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캐터필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이 캐터필러 조립체의 제1 및 제2스프로켓에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배의 전후 소정 위치에는 캐터필러에 형성된 보조날개들의 물살 저음 방향을 일정하게 해주는 동시에 이물질이 보조날개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흙받이용 플레이트가 일체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양용 고속 준설선은, 상기 붐대 끝에는 유압식 커터, 크램셀, 버켓, 와이드버켓, 레이크 버켓를 포함하는 각종 준설도구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퀵 클램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양용 고속 준설선은, 상기 흡입판으로 수심의 깊이를 측정하는 심도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도계는 작업자의 심도 설정값에 따라 해당 심도값으로 작업이 완료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준설선의 준설 수준을 검출할 수 있도록 심도계를 구성함에 따라 준설과정을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정확성 높은 준설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준설선의 트랙을 양쪽에 하나씩 총2개로 적용하는 동시에 트랙의 전후에 배열되는 2개의 스프로켓 모두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트랙의 외주에 씌워지는 무한궤도의 벗겨짐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준설선의 수륙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수단, 에어발생수단, 워터젯 발생수단, 진공흡입부 등을 복합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준설과정에서 다양한 작업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용 고속 준설설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용 고속 준설선의 전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용 고속 준설선의 주요 구성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용 고속 준설선의 워터젯 헤드를 나타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용 고속 준설선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용 고속 준설은 소정 면적 및 내체적을 갖는 부력배와, 상기 부력배의 내부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추진엔진과, 추진엔진에 연결되어 부력배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구동되는 스크류와, 상기 부력배의 상면에서 전방 위치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의 전방에 연결되어 유압으로 작동되는 붐대 및 이 붐대의 전단에 장착되어 부력배의 전방에서 후방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준설토 진공흡입부와, 상기 부력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진공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원심펌프와, 캐터필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과, 상기 부력배의 양측부위에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에 접하여 부상하는 부력체와,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커팅수단을 향하여 장착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용 고속 준설선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로는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수단이 블레이드 본체 가장자리를 따라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발생수단으로 고압의 워터젯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워터젯 발생수단이 구성되어 고압의 워터젯 분사가 요구될 경우 워터젯을 분사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붐대의 전단부에 일체로 장착된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에 종축으로 연결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 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조립된 다수개의 회전판과, 각 회전판의 양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장착되되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게 휘어진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커팅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서 커팅수단의 회전축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이 기어박스와 입력측과 연계되도록 상기 붐대의 전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유압모터로 구성되는 커팅수단 구동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각 블레이드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와류형 분사노즐과, 이 와류형 분사노즐에 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펌프로 구성되는 블레이드 세척수단과; 상기 캐터필러 조립체의 전체 표면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캐터필러 조립체의 외측면에 조립되어 물살을 저으며 노 역할을 하는 다수의 보조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용 고속 준설선은, 준설선을 기초적으로 구성하는 부력배(100)와 포크레인(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준설선 블레이드를 기준으로 커팅수단(200)과, 에어발생수단(210), 워터젯 발생수단(220), 진공흡입부(230), 심도계(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용 고속 준설선은, 소정 면적 및 내체적을 갖는 부력배(110)와, 상기 부력배의 내부 소정 위치에 부력배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추진엔진과, 이 추진엔진에 연결되어 부력배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회전되는 스크류와, 상기 부력배의 상면에서 전방위치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의 전방에 연결되어 통상의 굴삭기와 같이 유압으로 작동되는 붐대(101)를 포함한다.
본 발명 준설선의 상기 붐대(101)는 먼 거리의 준설을 위하여 3단의 접힘 가능한 다관절 붐대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 붐대의 전단끝 부분에 지지프레임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준설토를 흡입하는 흡입구멍을 갖는 흡입판이 일체로 부착된 블레이드(102)가 구비되고, 후술하는 블레이드 세척수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가 고정되고, 특히 준설토를 흡입하는 구멍에는 큰 돌 등을 걸러주기 위한 망(104)이 일체로 부착된다.
블레이드(102)의 후부에 준설토를 흡입하는 흡입구멍을 갖는 흡입판(105)이 일체로 부착되는 바, 이 흡입판의 후부에는 부력배(100)의 전방을 경유하여 후방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준설토 흡입관이 연결되고, 준설토 흡입관의 소정 위치에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원심펌프가 장착되며, 상기 준설토 흡입관은 원심펌프의 펌핑력에 의하여 흡입된 준설 슬러지, 토사 등을 원하는 위치까지 흡입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준설선은 부력배가 수상으로 이동했을 때, 부력배의 좌우 균형을 잡아주는 동시에 준설작업시 흔들림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준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부력체(미부호)를 포함하는 바, 이 부력체는 부력배(100)의 양측부위에 접힘 및 펼침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에 접하여 부력에 의하여 부상하면서 부력배의 좌우균형을 잡아주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준설선은 준설 작업시 부력배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부력배(100)의 앞쪽 양측 위치 및 뒤쪽 양측 위치에 각각 총 4개의 스퍼드 조립체(120)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퍼드 조립체(120)의 일 구성 중 서포트바(121)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해주는 중공안내관이 부력배(100)의 앞쪽 양측 위치 및 뒤쪽 양측 위치에 고정되고, 이 중공안내관내에 서포트바(121)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동시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며, 중광안내관의 외표면에는 피스톤을 갖는 유압실린더가 조립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바(121)의 상단에는 피스톤의 선단끝이 일체로 조립된다.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피스톤이 상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하방향으로 후진하게 됨으로써, 피스톤과 결합된 서포트바가 상방향으로 수직 이동하거나 하방향으로 수직 이동을 하게 된다.
즉, 낮은 수심에서는 피스톤의 상방향 전진거리를 최대거리로 작동시켜 서포트바를 상방향으로 최대 이동시키는 동시에 서포트의 하단이 낮은 수심의 수중 바닥에 지지되도록 하고, 깊은 수심에서는 피스톤의 상방향 전진거리를 최소로 작동시켜서 서포트바의 하단이 깊은 수심의 수중 바닥에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렇게 원하는 준설 위치에서 수중의 바닥면에 각 서포트바의 하단을 압입 고정시킴으로써, 준설 작업시 부력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준설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배(100)의 하단 양측에는 일종의 무한궤도 조립체인 캐터필러 조립체(130)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캐터필러 조립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부력배(100)의 하단 양측에서 전후 끝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스프로켓과, 이 제1 및 제2스프로켓 사이에 배열되는 다수의 주행휠들과, 제1 및 제2스프로켓에 의한 회전동력을 받으며 주행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스프로켓과 주행휠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캐터필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캐터필러 조립체(130)의 주행휠과 연결되는 동력수단이 구동되면 캐터필러 조립체(13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는데, 지상에서는 캐터필러 조립체(130)의 외표면에 형성된 각 보조날개가 지상면에 대한 접촉판 역할을 하여 전체 준설선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육상에서 수상으로 이동할 때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도 수상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준설선이 수상에 존재하면서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그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캐터필러 조립체(130) 표면에 형성된 보조날개의 물 저음 동작 또는 캐터필러 조립체(130)의 측면에 형성된 보조날개의 물 저음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캐터필러의 회전방향(물살을 가르는 방향)을 따라 각 보조날개의 선단부간의 이격거리는 넓게 형성되고, 각 보조날개의 후단부간의 이격거리는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보조날개의 선단부에서는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하며 물을 가르게 되고, 동시에 각 보조날개의 후단부간의 좁은 이격공간을 통해 물이 추진되며 배출되어, 수상에서 준설선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캐터필러 조립체(130)의 회전에 따라 그 측면에 형성된 보조날개의 물 저음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수상에서 준설선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준설선이 수상의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캐터필러 조립체(130)의 표면에 형성된 보조날개 또는 측면에 형성된 보조날개의 물 저음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물론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추진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스크류의 추진력에 의하여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력배(100)의 전후 소정 위치에는 캐터필러에 형성된 보조날개들의 물살 저음 방향을 일정하게 해주는 동시에 이물질이 조날개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흙받이용 플레이트가 일체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주된 구성 중 다른 하나로서, 블레이드(10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팅수단(200)이 장착되고, 이 커팅수단 뒤쪽 위치에는 커팅수단 구동수단이 장착된다.
상기 커팅수단(102)의 구성을 보면, 지지프레임에 횡축으로 장착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조립되는 다수개의 회전판과, 각 회전판의 양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장착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10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02)의 끝단은 준설대상물에 대한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게 휘어진 형상으로 구비된다.
특히, 상기 다수의 회전판 중 가장 일측쪽 회전판에 장착된 블레이드는 반경방향 길이가 가장 긴 것으로 채택되고, 반대쪽 회전판들에 장착되는 블레이드(46)들은 그 반경방향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진 것으로 채택된다.
즉, 전체 블레이드(102)들의 크기(길이)를 보면,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길이의 것으로 채택되며, 그 이유는 단단한 지반 또는 덩어리 형태의 슬러지를 분쇄할 때 가장 긴 블레이드(102)가 1차로 분쇄하고, 점차 짧은 길이의 블레이드가 2차, 3차로 연속 분쇄하여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전체 블레이드가 동시에 단단한 준설 대상물에 닿았을 때는 그 분쇄 충격에 의하여 블레이드에 파손 내지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에 있다.
한편, 상기 커팅수단 구동수단은 지지프레임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붐대의 전단부측부에 고정되는 유압모터(52)와, 이 유압모터와 연계되는 기어박스의 출력축과 상기 커팅수단의 회전축을 바로 직결시켜 구성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력이 기어박스를 통해 회전축에 전달되면, 회전축에 장착된 블레이드들이 단단한 지반 또는 덩어리 형태의 슬러지를 분쇄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가장 긴 블레이드가 단단한 지반 또는 덩어리 형태의 슬러지를 1차로 분쇄하고, 점차 짧은 길이의 블레이드가 2차, 3차로 연속 분쇄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본 발명의 준설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02)에 의한 준설 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이에 준설된 준설토 및 분쇄된 슬러지 등이 흡입판을 통하여 흡입되는 동시에 망에서 큰 부피의 것이 1차로 걸러져 준설토 흡입관으로 흡입된 후, 부력배의 일측으로 돌출된 토출관을 통하여 토출되는 바, 이때 토출관에는 원하는 육상의 처리장소까지 준설토 및 슬러지를 운반시키는 운반용 호스(미도시됨)가 연결되어, 결국 준설토 및 슬러지는 토출관 및 운반용 호스를 통해 육상의 처리 장소까지 용이하게 운반되어진다.
본 발명의 주된 구성중 또 다른 하나로서, 준설 작업후 와류형 노즐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에 대한 물 세척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항상 다음의 준설 작업을 곧바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블레이드 세척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 즉, 커팅수단 위쪽에 장착된다.
상기 블레이드 세척수단은 각 블레이드를 향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와류형 분사노즐과, 상기 와류형 분사노즐에 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펌프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와류형 분사노즐은 물 분사력을 강하게 하면서도 분사되는 물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상단부에는 호스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이 체결부로부터 그 아래쪽으로는 중공형의 원추형 몸체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 원추형 몸체에는 나선방향을 따라 물이 최종 분사되는 홀인 다수개의 분사구가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수단(100)은 몸체부(102)와 블레이드(104)로 구분되며, 몸체부(102)는 원통 형상이면서 앞단부가 볼록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망 형태를 이루는 격자형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팅수단(200)의 몸체부에는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뽀족한 형태로서, 다수의 블레이드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렇게 구비된 다른 실시예의 커팅수단(100)은 3단의 접힘 가능한 다관절 붐대(101)의 끝단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에 베어링(미도시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커팅수단(200)의 몸체부의 후단이 장착프레임의 앞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착프레임내에는 몸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됨)가 내장되며, 장착프레임의 후부에는 준설토 흡입관이 조인팅된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커팅수단(200)의 몸체부가 회전을 하게 되면, 블레이드가 단단한 지반또는 덩어리 형태의 슬러지를 분쇄하게 되고, 연이어 장착프레임에 연결된 준설토 흡입관을 통하여 준설토 및 분쇄된 슬러지 등이 흡입되며, 몸체부가 격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큰 부피의 준설 암석 등은 걸러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준설선으로는 작업 수심의 깊이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심도계(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심도계는 준설 작업을 수행하는 흡입판에 위치 구성되는데, 사전에 작업자가 설정한 설정값(심도값)에 만족하는 심도값이 나올 경우 작업자 공간에 위치하는 경보발생수단으로 경보음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만족하는 깊이의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조기에 설정값 준설 깊이에 따라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흡입판에 구성된 심도계가 준설 작업에서 오염이나 파손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체를 통해 충분히 커버된 상태로 설치되어 기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부력배
110 : 포크레인
200 : 커팅수단
210 : 에어발생수단
220 : 워터젯 발생수단
230 : 진공흡입부
240 : 심도계

Claims (5)

  1. 소정 면적 및 내체적을 갖는 부력배와, 상기 부력배의 내부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추진엔진과, 추진엔진에 연결되어 부력배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구동되는 스크류와, 상기 부력배의 상면에서 전방 위치에 탑재되는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의 전방에 연결되어 유압으로 작동되는 붐대 및 이 붐대의 전단에 장착되어 부력배의 전방에서 후방 소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준설토 진공흡입부와, 상기 부력배의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진공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원심펌프와, 캐터필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과, 상기 부력배의 양측부위에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면에 접하여 부상하는 부력체와,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커팅수단을 향하여 장착되는 흡입판이 일체로 구성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해양용 고속 준설선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로는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수단이 블레이드 본체 가장자리를 따라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발생수단으로 고압의 워터젯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워터젯 발생수단이 구성되어 고압의 워터젯 분사가 요구될 경우 워터젯을 분사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붐대의 전단부에 일체로 장착된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에 종축으로 연결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 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조립된 다수개의 회전판과, 각 회전판의 양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장착되되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게 휘어진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커팅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부에서 커팅수단의 회전축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이 기어박스와 입력측과 연계되도록 상기 붐대의 전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유압모터로 구성되는 커팅수단 구동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각 블레이드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와류형 분사노즐과, 이 와류형 분사노즐에 호스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펌프로 구성되는 블레이드 세척수단과;
    캐터필러 조립체의 전체 표면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캐터필러 조립체의 외측면에 조립되어 물살을 저으며 노 역할을 하는 다수의 보조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캐터필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이 캐터필러 조립체의 제1 및 제2스프로켓에 동시에 연결되며, 상기 부력배의 전후 소정 위치에는 캐터필러에 형성된 보조날개들의 물살 저음 방향을 일정하게 해주는 동시에 이물질이 보조날개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흙받이용 플레이트가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해양용 고속 준설선은, 상기 붐대 끝에는 유압식 커터, 크램셀, 버켓, 와이드버켓, 레이크 버켓를 포함하는 각종 준설도구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퀵 클램프가 장착되고,
    상기 해양용 고속 준설선은, 상기 흡입판으로 수심의 깊이를 측정하는 심도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도계는 작업자의 심도 설정값에 따라 해당 심도값으로 작업이 완료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용 고속 준설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92340A 2018-08-08 2018-08-08 해양용 고속 준설선 KR102092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340A KR102092256B1 (ko) 2018-08-08 2018-08-08 해양용 고속 준설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340A KR102092256B1 (ko) 2018-08-08 2018-08-08 해양용 고속 준설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119A KR20200017119A (ko) 2020-02-18
KR102092256B1 true KR102092256B1 (ko) 2020-04-23

Family

ID=6963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340A KR102092256B1 (ko) 2018-08-08 2018-08-08 해양용 고속 준설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356B1 (ko) 2021-10-20 2022-09-15 (주)백건준설 유압식 수중 무인 준설장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5810A (zh) * 2020-07-16 2020-11-17 天津大学前沿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便携式淤泥清理装置
CN114370432B (zh) * 2022-02-28 2023-05-26 华能伊敏煤电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防堵的露天采场排水用潜水泵支撑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08B1 (ko) * 2010-04-21 2011-0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수륙양용 준설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1238A (ja) * 1982-01-28 1983-08-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水底掘削作業船
JPH0932033A (ja) * 1995-07-17 1997-02-04 Sanee Kogyo Kk 岩盤面清掃装置
KR100937733B1 (ko) 2009-06-12 2010-01-21 제드준설 주식회사 친환경 준설선
KR101339890B1 (ko) * 2011-11-14 2013-1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복합 준설선
KR101148748B1 (ko) 2011-12-05 2012-05-21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수륙양용 준설선을 이용한 토양 준설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508B1 (ko) * 2010-04-21 2011-0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수륙양용 준설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356B1 (ko) 2021-10-20 2022-09-15 (주)백건준설 유압식 수중 무인 준설장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119A (ko)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508B1 (ko) 수륙양용 준설선
KR100937733B1 (ko) 친환경 준설선
KR102092256B1 (ko) 해양용 고속 준설선
DK3008253T3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removing plastic, sludge-like materials deposited on the bottom of water bodies
KR101339890B1 (ko) 복합 준설선
EP2729629B1 (en) Drag head and trailing suction hopper dredger
US5249378A (en) Hydraulic thrust producing implement
JP4938045B2 (ja) 浚渫方法及びその装置
CN216275897U (zh) 多头连体河渠挖掘机
CN213204268U (zh) 人工湿地轻型两栖式清淤机
CN111576517A (zh) 一体化高压防堵吸入冲挖清淤设备
AU20042477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lodging and recovering dredging material of varying nature
CN106812171B (zh) 中小型水库便携式三浮体淤沙提取系统
EP0259472B1 (en) Dredger
US3486253A (en) Floating earthmoving apparatus
CN110847267A (zh) 船载多功能取沙造岛挖掘器
US3605296A (en) Amphibious ditch excavator
CN110565713A (zh) 一种水下清淤机器人
US3874101A (en) Dredger with adjustable endless digger and rotary mud slinger
KR101148748B1 (ko) 수륙양용 준설선을 이용한 토양 준설공법
US9745715B2 (en) Dredge with water-jet cutterhead
CN216304765U (zh) 一种水利工程清淤装置
KR100310893B1 (ko) 해저 청소기
CN211037098U (zh) 一种水下清淤机器人
JP2001214879A (ja) 掘削機能を備えた水中ポンプ用採泥ストレー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