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010Y1 -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 Google Patents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010Y1
KR200391010Y1 KR20-2005-0007114U KR20050007114U KR200391010Y1 KR 200391010 Y1 KR200391010 Y1 KR 200391010Y1 KR 20050007114 U KR20050007114 U KR 20050007114U KR 200391010 Y1 KR200391010 Y1 KR 200391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shoelace
air
cor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이상준
Original Assignee
김정수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이상준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20-2005-0007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0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에어 튜브가 구비된 신발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은 끈 형태로 직조된 심부와, 심부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직조된 외피 및 이들 심부와 외피의 양단부에 구비된 단부 보강체로 이루어진 신발끈에 있어서, 상기 심부는 양 단부가 밀폐된 원통형 혹은 내부 격벽(110)에 의해 다수개의 격실(120)로 구획되는 에어 튜브(100)로 구성된다.
본 고안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은 심부와 외피로 이루어진 신발끈의 심부를 양단부가 밀폐된 단일 원통형이나, 내부에 마디 격벽이 형성된 에어 튜브로 구성함으로써 신발 끈을 묶을 때에는 에어 튜브에 가해진 힘에 의해 힘을 받은 부분의 양측의 직경이 커져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해주며, 묶인 끈을 풀고자 할 때에는 끈을 당겨 인위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압축된 공기가 원상태로 되돌아 오려는 힘에 의해 쉽게 풀어질 수 있는 구조로 에어 튜브내의 공기에 의해 쉽게 묶고 풀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합성수지제 에어 튜브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단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A Shoes string easy to tie and untie}
본 고안은 내부에 에어 튜브가 구비된 신발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섬유조직의 외피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합성수지제 에어 튜브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 튜브 내의 공기층에 의해 신발을 쉽게 묶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묶은 상태로 견고한 고정을 이루며 풀기도 쉬운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나 운동화 등의 신발은 신체적인 이동이나 움직임이 많은 발의 안전성과 착용감을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발의 길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이즈별로 나눠져 있으며, 개인에 따라 발의 두께(볼)의 차이가 나는데, 이는 보편적으로 신발의 발등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이 좌우로 벌어지도록 하여 신발 끈으로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신발 끈은 통상적으로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며, 끈부는 여러갈래의 섬유를 엇갈리게 규칙적으로 짜나가 자유자재로 변형 가능하면서도 소정의 장력을 갖도록 제조되고, 끈의 양측 단부는 신발끈을 보호하고 신발의 구멍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PVC 필름를 이용하여 원형 봉체로 압착 성형되는 보강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신발끈의 끈부는 신축성이 있는 섬유조직으로 구성된 심부를 중심으로 외피 섬유조직이 감싸는 구조로 내부의 심부는 섬유들이 신축성 있는 조직으로 섬세히 구성되어야 함에 따라 까다로운 공정으로 제작되어 공정상의 문제와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신발끈은 신발의 발등부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구멍에 지그재그로 삽입하여 신발끈을 조여 개인의 특성에 따라 발의 두께에 맞게 폭을 조절한 다음 여분의 신발끈을 서로 묶어서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끈은 발의 움직임에 따라 신발끈이 묶여있는 부분에 지속적인 당김력이 발생하게 되고 점차적으로 묶여진 부분이 느슨해지면서 결국 풀어지게 되며, 이때마다 다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발 끈을 세게 당겨 묶게 됨으로 신발을 벗을 때에 쉽게 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운동화 끈이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신발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졌는데, 실용신안등록 제270515호의 '쉽게 풀리지 않는 신발 끈'은 양측 단부에 단부보강체가 형성된 신발 끈에 있어서, 상기 신발 끈의 중앙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멍들이 형성된 구조로 끈부의 일정거리에 신발끈의 단부보강체가 통과하여 교차 결합되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끈을 묶을 시에 서로 교차된 신발끈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는 있으나, 신발끈의 묶는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신발끈을 풀고자 할때 복작하게 얽혀 있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허공개 제2000-64169호에의 '심을 넣은 신발 끈'은 끈부에 철사 심을 넣어 풀림을 예방한 신발 끈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신발끈 내부의 철사 심에 의해 묶여진 끈이 고정된 형상으로 유지할 수는 있으나 신발끈이 묶이는 부분의 철사 심은 잦은 꺾임에 의해 철사 심이 끊어지거나, 물등에 의해 녹스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특허공개 제2002-5673호의 '당겨 죄기용 탄성 끈'은 신장된 섕크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외향 팽창 가능한 요소를 가지는 탄성 코드(12)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가능한 요소(14)는 상기 코드(12)가 소정의 축방향 인장력 하에 있을 때 상기 개구를 통한 이동을 가능케 하기에 충분히 작은 제2직경(ℓ)을 가지며, 상기 팽창 가능한 요소는, 상기 소정의 축방향 인장력 미만의 축방향 인장력에 응답하여, 상기 개구를 통한 끈의 이동을 저지하기에 충분한 제3직경(L)으로 그 외향 팽창을 가능케 하기에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구조로, 외향 팽창이 가능한 외피의 일정간격에 개구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팽창이 가능한 요소가 구비되어 팽창에 의해 개구의 통과가 가능하고, 큰 직경에 의해 묶은 후의 끈의 이동을 방지하는 구조이기는 하나, 상기 외향 팽창 요소는 탄성이 있는 섬유 조직의 외피가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견고한 형태를 갖지 못하여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변경되어 신발의 개구에 통과하지 못하도록하는 지지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팽창 가능한 탄성 코어와 이에 감싸여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외피의 복잡한 구성에 의해 제조공정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 신발끈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끈의 심부가 공기가 들어있는 합성수지재 에어 튜브로 이루어져 내부의 공기에 의해 신발끈을 묶은 후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풀리지 않으며, 끈의 양단부를 잡아 당겨 풀고자 할때는 에어 튜브의 공기에 의해 쉽게 풀리는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신발끈의 심부가 합성수지제 에어 튜브로 구성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은 공기가 들어있으며 양단부가 밀폐된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를 감싸는 섬유조직의 외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 튜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제로 사출성형되어 제작이 용이하며, 양단부가 밀폐됨에 따라 에어 튜브 내 공기 입자들의 유동공간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에는 끈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격벽이 형성되어 에어 튜브에 내장된 공기를 각각 구획함으로써 공기의유동공간을 더 좁은 공간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 튜브내에 마디격벽이 형성될 경우, 각각의 마디격벽에 구획된 공기는 유동공간이 적어져서 외부의 힘을 받으면 에어 튜브를 미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데, 끈을 묶으면서 상기 외압이 가해지면 외압을 받은 부분의 공기가 에어 튜브를 밀어냄으로 인해 주위의 압력이 높아져 묶인부분의 외측으로 큰 직경이 형성되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풀리지 않도록 하는 힘이 되며, 풀때에는 에어 튜브가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 힘을 가하면 쉽게 풀어지는 구조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신발끈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신발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의 (가), (나)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은 양단부가 밀폐된 에어 튜브(100)와, 상기 에어 튜브(10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직조된 외피(F) 및 상기 외피(F)의 양단부에 구비된 단부 보강체(E)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 튜브(100)는 양 단부가 밀폐된 단일 원통형으로 구성되거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 격벽(110)에 의해 구획된 격실(120)을 갖는 에어 튜브(100)로 구성되는데, 이때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마디 격벽(110)에 의해 에어 튜브(100)내의 공기 유동공간을 축소하여 외력이 가해졌을때 에어 튜브(100)의 공기 외압을 최대화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튜브(100)는 사출성형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외피(F)의 내부까지 섬유 조직의 직물로 구성되지 않아 생산성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음에 부수적인 특징이 있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신발끈을 묶는 과정에서 하나의 격실(120)에 들어있는 공기입자(A)들은 외부의 힘을 받아 양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에 공기 입자(A)들이 에어 튜브(100)의 내벽을 미는 압력이 증가하여 힘을 받은 양측으로 에어 튜브(100)가 팽창하게 됨에따라 힘을 받은 부의의 양측 에어 튜브(100)의 직경이 힘을 받기 전의 에어 튜브(100)의 직경보다 커짐으로 인해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으면 묶인 끈은 쉽게 풀어지지 않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묶인 끈을 풀고자 할 때는 힘이 가해진 끈을 당기게 되는데, 끈을 당기는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면 양측으로 밀려있던 공기 입자(A)들이 다시 중앙으로 균일하게 몰리면서 묶여졌던 끈을 밀어내어 쉽게 풀리게 된다.
즉, 에어 튜브(100)내에 충진된 공기 입자(A)에 의해 끈이 묶였을 경우에는 묶인 부분의 양측으로 공기 입자(A)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소정크기만큼 직경이 커짐으로써 묶인 끈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묶인 끈을 풀고자 당길 때에는 공기 입자(A)가 균일하게 돌아오는 힘에 의해 쉽게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에어 튜브(100)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는 외피(F)의 양단부에는 PVC 필름등이 감싸여져 압축된 단부 보강체(E)가 구비되어 신발 갑피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에 삽입이 용이하게 해주며, 신발끈의 양단부를 보호해주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은 심부와 외피로 이루어진 신발끈의 심부를 양단부가 밀폐된 단일 원통형이나, 내부에 마디 격벽이 형성된 에어 튜브로 구성함으로써 신발 끈을 묶을 때에는 에어 튜브에 가해진 힘에 의해 힘을 받은 부분의 양측의 직경이 커져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해주며, 묶인 끈을 풀고자 할 때에는 끈을 당겨 인위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압축된 공기가 원상태로 되돌아 오려는 힘에 의해 쉽게 풀어질 수 있는 구조로 에어 튜브내의 공기에 의해 쉽게 묶고 풀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합성수지제 에어 튜브를 이용함으로써 생산 공정을 간단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신발끈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종래 신발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의 (가), (나)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에어 튜브 110. 마디 격벽
120. 격실 F. 외피
E. 단부 보강체 A. 공기 입자

Claims (3)

  1. 심부와, 심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피 및 외피의 양단부에 구비된 단부 보강체로 이루어진 신발끈에 있어서,
    상기 심부는 양 단부가 밀폐된 에어 튜브(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100)는 내부 길이 방향의 등간격으로 구비된 마디 격벽(110)에 의해 다수개의 격실(120)로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KR20-2005-0007114U 2005-03-16 2005-03-16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KR200391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114U KR200391010Y1 (ko) 2005-03-16 2005-03-16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114U KR200391010Y1 (ko) 2005-03-16 2005-03-16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010Y1 true KR200391010Y1 (ko) 2005-08-01

Family

ID=4369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114U KR200391010Y1 (ko) 2005-03-16 2005-03-16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0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35187A (ja) 勾配の付いた突出部分を有する伸縮紐
CN112545112B (zh) 用于鞋类的承拉线围合系统
CA1166828A (en) Elastic laces for running shoes
US7549201B2 (en) Elastic shoelace
CN109843108A (zh) 用于鞋类物品的鞋面部件
CA2370101C (en) Draw-tight elastic cordage
CN107105813A (zh) 具有网眼结构的鞋类物品
CN103415657A (zh) 多材料束紧带
US10426228B2 (en) Shoelace with magnets
JP2008531098A (ja) 固定エレメント
US5287601A (en) Novelty tie
US20150047159A1 (en) Slip-resistant shoelace
KR200391010Y1 (ko) 묶고 풀기가 용이한 신발끈
US9955754B2 (en) Shoelace structure
TWI539907B (zh) 防鬆脫鞋帶
KR100963736B1 (ko) 신발끈 제조방법
TWM521914U (zh) 鞋帶結構改良
CN213307758U (zh) 一种包装装置
KR200199386Y1 (ko) 신발끈조임장치
JPH0434724Y2 (ko)
KR100739654B1 (ko) 풀림이 방지되는 신발끈
JP3111441U (ja) 靴紐
KR19990022790U (ko) 쉽게풀리지않는신발끈
KR19990039678U (ko) 운동화 끈
KR100829365B1 (ko) 신발끈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