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594Y1 - 조리용 냄비 - Google Patents

조리용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594Y1
KR200390594Y1 KR20-2005-0012098U KR20050012098U KR200390594Y1 KR 200390594 Y1 KR200390594 Y1 KR 200390594Y1 KR 20050012098 U KR20050012098 U KR 20050012098U KR 200390594 Y1 KR200390594 Y1 KR 200390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ot body
cooking pot
cook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탁
Original Assignee
오재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탁 filed Critical 오재탁
Priority to KR20-2005-0012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5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5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용 냄비 본체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이중 구조로 되고 조리용 냄비 본체 상단부에는 각기 다른 기울기의 2단의 넘침 방지턱을 구비하여 종래에 문제시 되었던 음식물이 쉽게 튀거나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 음식물에 열을 골고루 전달시켜 음식물이 냄비 저면에 눌고 붙고 타는 현상을 함께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주부들의 조리시 능률 및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리용 냄비{ A POT FOR COCKING }
본 고안은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국물이 많이 생기는 국이나 찌개류의 음식물을 끓일 때 조리 도중에 국물이 냄비 외부로 튀거나 흘러 넘치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이나 찌개류 등을 조리하도록 하는 조리용 냄비는 내부의 깊이가 깊고 하부면이 평평한 냄비 본체와 이 냄배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조리용 냄비로 국물이 많이 생기는 국이나 찌개류의 음식물을 조리하면 음식물이 끓을 때 냄비의 내부 압력이 커져서 뚜껑은 열리게 되고 열린 틈으로 음식 국물이 쉽게 냄비 본체 밖으로 튀거나 흘러 넘치게 된다. 결국 냄비 외부로 넘치거나 튄 국물 때문에 냄비의 외부 표면 및 가열 수단이 외관상 지저분하게 되는 등 외관을 오염시키고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조리용 냄비의 대부분은 요리 시에 열전도를 고르게 하여 음식물이 갑자기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손상을 방지하며 요리의 맛을 좋게 하려를 목적으로 그 본체가 이중구조로 된 것이 일반적이나 종래 이중 구조로 된 냄비는 서로 다른 열전도율을 갖는 본체 판을 단순히 2겹으로 접하여 구성된 것이거나 이중 구조의 본체 판 사이에 열 매체를 충입하여 구성된 것이었다.
그러나 성질이 다른 본체 판을 단순히 2겹으로 접합시킨 종래 이중 구조의 조리용 냄비는 여전히 열을 바로 냄비 내부의 음식물에 전달하여 갑자기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이중 구조의 본체 판 사이에 열 매체를 충입하도록 구성된 종래 이중 구조의 조리용 냄비는 열 매체 물질을 이중 구조 제작 후에 충입하여야 하고 누설을 막기 위하여 밀폐시켜야 하는 등의 제작상 어려움이 있으며 열 매체가 누설될 경우 요리하는 음식에 해를 주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 분포가 고르고 열 보존이 잘되며 음식물이 끓을 때 쉽게 냄비 밖으로 음식물이 튀거나 넘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조리용 냄비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공간부(16)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이중 구조 조리용 냄비 본체 상단부에 2단의 넘침 방지턱(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요리시 종래에 문제시되었던 음식물이 쉽게 튀거나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 음식물에 열을 골고루 전달시켜 음식물이 냄비 저면에 눌고 붙고 타는 현상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 냄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냄비 본체 상단부에 2단의 넘침 방지턱(11)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에 있어서, 상기 냄비 본체 상단부에 형성된 2단의 넘침 방지턱(11)의 상단부(12)와 하단부(13)는 끓고 있는 음식 국물이 냄비 외부로 튀지 않고 냄비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것 조리용 냄비인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며, 구체적으로 넘침 방지턱 하단부(13)의 기울기 각은 수직면으로부터 50°이하의 경사로 구성되고 넘침 방지턱 상단부(12)의 기울기 각은 상기 하단부보다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냄비 본체는 내피(15) 및 외피(14)로 구성된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열을 골고루 분포시키고 음식물이 덜 끓어 넘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내피(14) 및 외피(15)의 각각의 상단 끝단부만을 용접하여 그 사이에는 공간부(16)를 구비하여 내피가 외피에 걸쳐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인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냄비 본체의 내피(15)는 스텐인레스 재질로 하고 외피(14)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냄비 본체 내피의 저면에는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인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냄비 본체(10)를 덮는 뚜껑(20)으로 그 하단 외주연에 패킹(21)이 장착되어 있는 조리용 냄비인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뚜껑(20)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진 구멍(22)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구멍(22)의 크기로 원주가 7π㎜ ~ 15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뚜껑(22)과 냄비 본체(10)로 구성되며, 냄비 본체(10)는 이중 구조로 외피(14)와 내피(15), 그리고 공간부(16)로 구성되어 있으며 냄비 본체 상단부에는 2단의 넘침 방지턱(11)이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냄비 뚜껑(20)에는 냄비 뚜껑 외주면에 장착된 패킹(Packing)(21)과 일정 크기를 가진 구멍(22)을 구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냄비 본체 구성을 상세히 볼 수 있도록 냄비 본체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우선, 본 고안의 냄비 본체 상단부를 살펴보면, 2단의 넘침 방지턱(11)이 구비되어 있으며 넘침 방지턱의 상단부(12)와 넘침 방지턱의 하단부(13)는 서로 다른 각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처럼 2단의 넘침 방지턱(11)을 서로 다른 각을 가지고 냄비 본체 외부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음식물이 끓을 때 국물이 냄비 밖으로 튀거나 넘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2단의 방지턱(11)의 상단부(12)와 하단부(13)의 기울기 각을 달리하여 음식물 국물이 끓을 때 하단부(13)을 넘어 튄 국물이 다른 기울기 각을 가진 상단부(12)에 막혀 국물이 다시 안으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냄비 밖으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단부(12)와 하단부(13)의 기울기 각을 달리하는데 하단부(13)는 수직면에서 50°이하로 경사가 가파르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단부(12)는 하단부(13)의 기울기 각과는 달리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2의 단면도에서 냄비 본체(10)의 이중 구조를 살펴보면, 이중 구조는 외피(14)와 내피(15), 그리고 공간부(1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16)가 냄비 본체 전체에 구성되어 소위, 걸쳐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부(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피(14)와 내피(15)는 냄비 본체의 상단 끝단부에서 용접만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내피(15)는 외피(14)에 단순히 걸쳐있는 구조를 하게되고 이로써 공간부(16)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사용에 따라서는 넘침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냄비 본체 전체의 구성을 공간부(16)를 형성하는 이중구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냄비 본체(10)의 저면쪽과 2단의 넘침 방지턱(11)부분만을 공간부(16)를 구비한 이중 구조로 하고 냄비 본체의 벽부분은 공간부없이 단순히 내피(15)와 외피(14)를 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외피(14)와 내피(15)는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인데 구체적으로, 내피(15)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하고 외피(14)는 알루미늄 등 스테인레스와는 다른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다른 열전도율를 가진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내피는 스테인레스로 되어 있기에 별도의 코팅 처리가 필요 없으며 외피는 그 외관의 미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코팅처리가 필요하다 할 것인데 이 경우 스테인레스가 아닌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손쉽게 코팅처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공간부(16)를 가지고 서로 다른 열전도율을 가진 재질을 이용하여 이중판으로 구성된 조리용 냄비로 인하여 음식물이 쉽게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음식물이 쉽게 눌거나 타는 것도 함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2에서 살펴보면, 냄비 본체 바닥 저면이 단순한 평면이 아닌 굴곡(17)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할 것인데 이러한 굴곡(17) 구성 또한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인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뚜껑(20)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라 할 것인데, 뚜껑의 하단 외주연에는 패킹(Packing)(21)을 장착시켜 음식물이 끓을 때 냄비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않게 하여 음식물이 튀거나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냄비 뚜껑(20) 일면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진 구멍(22)이 구비되어 있는데 음식물이 밖으로 튀지 않고 음식물 내부의 조리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구멍(22)의 원주는 7π㎜~15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구멍(22)의 원주가 7π㎜보다 작으면 조리용 냄비 내부의 압력 배출이 어렵고 내부 압력이 강해짐에 따라 뚜껑이 빈번히 열리는 등 요동이 심해진다 할 것인데 이렇게 되면 냄비 내부 음식물이 외부로 쉽게 튀게 되고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가 없게 되는바. 구멍(22)의 원주는 7π㎜~15π㎜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가진 조리용 냄비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으로 인하여 음식물이 쉽게 냄비 밖으로 튀거나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냄비 외주면이나 가열 수단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었고 냄비 바닥 저면에 음식물일 눌러 붙거나 타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조리를 하는데 있어 주부들의 능율 및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냄비 본체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냄비 뚜껑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냄비 본체 11 : 2단의 넘침 방지턱
12 : 넘침 방지턱 상단부 13 : 넘침 방지턱 하단부
14 : 외피 15 : 내피
16 : 공간부 17 : 굴곡
20 : 냄비 뚜껑 21 : 패킹
22 : 구멍

Claims (7)

  1. 냄비 본체 상단부에 2단의 넘침 방지턱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에 있어서,
    상기 2단의 넘침 방지턱은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넘침 방지턱 하단부의 기울기 각은 수직면으로부터 50°이하의 경사로 구성되고, 넘침 방지턱 상단부의 기울기 각은 상기 하단부 보다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 본체는 내피 및 외피로 구성된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열을 골고루 분포시키고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피 및 외피의 각각의 상단 끝단부만을 용접하여 그 사이에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내피가 외피에 걸쳐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 본체는 내피 및 외피로 구성된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열을 골고루 분포시키고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피 및 외피 각각의 상단 끝단부와 상기 내피 및 외피 벽면 부분을 용접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 본체의 내피는 스텐인레스 재질로 하고 외피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 본체 내피의 저면에는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그 하단 외주연에 패킹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형성된 뚜껑 구멍의 원주는 7π㎜~15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
KR20-2005-0012098U 2005-04-29 2005-04-29 조리용 냄비 KR200390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98U KR200390594Y1 (ko) 2005-04-29 2005-04-29 조리용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98U KR200390594Y1 (ko) 2005-04-29 2005-04-29 조리용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594Y1 true KR200390594Y1 (ko) 2005-07-21

Family

ID=4369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098U KR200390594Y1 (ko) 2005-04-29 2005-04-29 조리용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5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680B2 (en) Cookware that functions as a low pressure cooker
US20140326733A1 (en) Eco green cookware
KR950004431B1 (ko) 조리 용기
US20210022541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CN205285961U (zh) 一种均匀加热的烹饪锅及其烹饪装置
KR200390594Y1 (ko) 조리용 냄비
JP2011147756A (ja) 炊飯・煮炊き用鍋
KR20170045935A (ko) 유도가열부재가 구비된 인덕션조리용 종이용기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EP1032296B1 (fr) Appareil de cuisson sous pression comportant des moyens de support d'un panier de cuisson en position haute
CN207477345U (zh) 一种锅具
KR200393710Y1 (ko) 국물 넘침 방지 조리용기
JP2826070B2 (ja) 有蓋式油料理鍋
KR200352161Y1 (ko) 넘침 방지용 냄비
KR200150632Y1 (ko) 조리용 남비
JP3158470U (ja) 炊飯・煮炊き用鍋
EP0846435B1 (en) A cooking pot for food
CN212438218U (zh) 一种防溢炖锅
KR20130117214A (ko) 넘침 방지용 뚜껑
KR200305087Y1 (ko) 조리용기
CN107087971A (zh) 一种锅具
JPH0637782Y2 (ja) 電気加熱式断熱調理器具
US20230034305A1 (en) Steam directional condensation structure of lid
KR200420742Y1 (ko) 조리용기
KR200397403Y1 (ko) 에너지 절약형 넘치지 않는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