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186Y1 -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 Google Patents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186Y1
KR200390186Y1 KR20-2005-0011753U KR20050011753U KR200390186Y1 KR 200390186 Y1 KR200390186 Y1 KR 200390186Y1 KR 20050011753 U KR20050011753 U KR 20050011753U KR 200390186 Y1 KR200390186 Y1 KR 200390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oam
medicine container
powder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익철
Original Assignee
제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도 filed Critical 제주도
Priority to KR20-2005-0011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5/00Extinguishers essentially of the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호흡기 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에 있어서, 산소통(11)에 어깨끈(12) 및 허리벨트(13)가 일체로 구비된 공지의 공기호흡기(10)와; 중앙이 힌지(18)로 연결되어 힌지축(19)을 중심으로 좌우회동되도록 좌우 한쌍을 이루며, 상부에 개폐마개(17)가 구비되고 폼약제통(15) 및 분말약제통(16)으로 구성되는 약제통(14)과; 일측에 밸브(21)가 구비된 연결편(22)이 구비되고 상기 약제통(14)의 폼약제통(15) 하측에 연결구비되는 폼약제연결관(20)과; 일측에 연결잭(24)이 구비되고 상기 분말약제통(16)의 하측에 연결구비되는 분말약제연결관(23)과; 연결호스(26) 단부에 밸브(27)가 구비된 분사노즐(28)이 구비되고, 일측에 압력게이지(29)가 구비되어 상기 분말약제통(16)의 상부에 연결구비되는 분말분사호스(25)와; 후방이 소방호스(38)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폼약제연결관(20)을 연결하여 폼약제를 흡입,방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겸용관창(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겸용관창(30)이, 관 중앙부위에 공기흡입구(31)가 형성되고; 전방에 구비되는 노즐(32)과; 상기 노즐(32)의 전방에 설치되는 직,분사밸브(33)와; 상기 노즐(32)의 하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4)와; 상기 공기흡입구(31)를 개폐하는 선택밸브(35)와; 상기 선택밸브(35)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는 연결구(36)와; 상기 연결구(36)의 후방측에 구비되고 소방호스(38)와 연결되는 개폐볼밸브(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공지의 공기호흡기(10) 및 소화수단을 동시에 휴대할 수 있으므로 화재현장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로부터 공기호흡기(10)를 통해 작업자가 보호된 상태로 화재진압의 작업이 가능하며, 약제통(14)에 폼소화약제 및 분말소화약제를 각각 충전할 수 있으므로 화재유형에 따라 그에 적합한 소화약제를 선택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고, 약제통(14)에 소화약제만이 충전되어 많은 양의 소화약제를 휴대하여 화재진압이 가능하므로 물과 혼합되어 소화약제가 충전되었던 종래의 강화액 소화기에 비해 소화능력이 매우 증강되는 효과가 있으며, 본 고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를 사용하면 유류화재 진압후 소방차에 기름 등의 유해물질이 묻지않아 소방차 및 소방차에 적재된 진압장비 일체에 대한 세척이 필요없으며, 종래에 폼약제 누유로 인한 소방차의 주요장치의 부식 등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복구경비 등의 예산이 절감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Air respiratory organ installation extinguishant combined use device}
본 고안은 소화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유형에는 일반가연물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 등이 있다.
일반가연물화재는 연소후 재를 남기는 종류의 화재로써 목재, 종이, 섬유 등의 화재를 말하며, 소방방법은 물에 의한 냉각소화로 주수한다.
유류화재는 연소 후 아무것도 남기지 않는 화재 즉 인화성 액체 등의 화재를 말하며, 소화방법은 공기차단으로 인한 피복소화로 폼소화약제를 주로 사용한다.
전기화재는 전기기계, 기구 등의 화재로써 전기적 절연성을 가진 소화기로 소화해야 하는 화재를 말하며, 소화방법은 소화분말 등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화재들을 진압하기 위해 각종 소화기가 구비되는데 주로 분말소화기가 널리 사용되며, 유류화재에는 물과 폼소화약제가 혼합되어 충전된 강화액 소화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화재의 원인에 따라 화재의 유형이 다르고, 화재의 유형에 따라 사용되는 소화기가 각각 달라지는데, 대부분의 소화기는 하나의 소화약제만이 충전되어 구비되는 형태이므로 돌발적인 사고로 그 유형이 달라지는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소화기가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유류화재 발생시에 사용되는 강화액 소화기는 용기 내부에 물과 폼소화약제가 혼합되어 충전되는바, 이는 물 9.7% : 폼소화약제 0.3%의 비율로 혼합되어 충전되며, 이에 따라 유류화재의 절대적으로 필요한 폼소화약제가 극히 제한적으로 충전되어 소방시에 발휘되는 소방능력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유류화재의 진압을 위한 소방차는 폼소화약제가 구비되는바, 유류화재현장에 출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면 진압 후에 소방차에 기름 등의 유해성물질이 묻게되며, 이에 따라 유류화재 진압후 차량의 세척과정이 어려웠으며, 세척된 유해물질이 하수구로 방류되는 등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소방차에 구비된 폼소화약제의 누유로 인해 각종 주요장치의 부식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장치의 복구를 위한 비용 등 예산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유형에 따라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며, 소화능력이 증강되도록 한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는, 공기호흡기 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에 있어서, 산소통에 어깨끈 및 허리벨트가 일체로 구비된 공지의 공기호흡기와; 중앙이 힌지로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회동되도록 좌우 한쌍을 이루며, 상부에 개폐마개가 구비되고 폼약제통 및 분말약제통으로 구성되는 약제통과; 일측에 밸브가 구비된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약제통의 폼약제통 하측에 연결구비되는 폼약제연결관과; 일측에 연결잭이 구비되고 상기 분말약제통의 하측에 연결구비되는 분말약제연결관과; 연결호스 단부에 밸브가 구비된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일측에 압력게이지가 구비되어 상기 분말약제통의 상부에 연결구비되는 분말분사호스와; 후방이 소방호스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폼약제연결관을 연결하여 폼약제를 흡입,방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겸용관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겸용관창이, 관 중앙부위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전방에 구비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전방에 설치되는 직,분사밸브와; 상기 노즐의 하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선택밸브와; 상기 선택밸브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후방측에 구비되고 소방호스와 연결되는 개폐볼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지의 공기호흡기 및 소화수단을 동시에 휴대할 수 있으므로 화재현장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로부터 공기호흡기를 통해 작업자가 보호된 상태로 화재진압의 작업이 가능하며, 약제통에 폼소화약제 및 분말소화약제를 각각 충전할 수 있으므로 화재유형에 따라 그에 적합한 소화약제를 선택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고, 약제통에 소화약제만이 충전되어 많은 양의 소화약제를 휴대하여 화재진압이 가능하므로 물과 혼합되어 소화약제가 충전되었던 종래의 강화액 소화기에 비해 소화능력이 매우 증강되는 효과가 있으며, 본 고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를 사용하면 유류화재 진압후 소방차에 기름 등의 유해물질이 묻지않아 소방차 및 소방차에 적재된 진압장비 일체에 대한 세척이 필요없으며, 종래에 폼약제 누유로 인한 소방차의 주요장치의 부식 등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복구경비 등의 예산이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분리 평면도이다.
본 고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는 도1 및 도2와 같이 산소통(11)에 어깨끈(12) 및 허리벨트(13)가 일체로 구비된 통상의 공기호흡기(10)가 구비된다.
이 공기호흡기(10)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산소마스크(미도시)와 보조마스크잭(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리고 공기호흡기(10)에는 도1 및 도2와 같이 산소통(11)에 착탈되는 약제통(14)이 구비되는바, 이는 내부에 폼소화약제가 채워지는 폼약제통(15) 및 내부에 분말소화약제가 채워지는 분말약제통(16)으로 구성되어 한쌍을 이루며, 폼약제통(15) 및 분말약제통(16)의 일측에는 각각 힌지(18)가 형성되고 그 힌지(18)에 힌지축(19)이 결합된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좌우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폼약제통(15) 및 분말약제통(16) 각각의 상부에는 약제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그 투입구에 결합되는 마개(17)가 구비되어있다.
폼약제통(15)의 하부에는 밸브(21)가 구비된 연결편(22)이 구비되는 폼약제연결관(20)이 연결구비되며, 이는 후술할 겸용관창(30)에 연결되어 겸용관창(30) 내로 폼약제가 투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분말약제통(16)의 하부에는 관단에 연결잭(24)이 구비된 분말약제연결관(23)이 구비되어있다.
그리고 분말약제통(16)의 상부 일측에는 연결호스(26)의 단부에 밸브(27)가 구비된 분사노즐(28)이 구비되고, 그 일측에 압력게이지(29)가 구비된 분말분사호스(2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소방호스(38)에 연결되어 물을 방사하고 일측에 폼약제연결관(20)을 연결하여 폼약제통(15)의 폼약제를 방사하기 위한 겸용관창(30)이 구비되는바, 이는 도3과 같이 관 중앙부위에 공기흡입구(31)가 형성되고, 전방에 노즐(32)이 구비되며, 노즐(32)의 전방에는 직,분사밸브(33)가 구비되어있다.
그리고 노즐(32)의 하측에는 손잡이부(34)가 형성되며, 이 손잡이부(34)는 직,분사밸브(33)가 착탈가능하도록 원터치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흡입구(31)의 둘레에는 공기흡입구(31)를 개폐하는 선택밸브(35)가 구비되며, 선택밸브(35)의 후방 상측에는 연결구(36)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구(36)는 폼약제통(15)에 연결구비된 폼약제연결관(20)의 연결편(22)이 결합되어 폼약제통(15)내의 폼소화약제가 투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구(36)의 후방측에는 소방호스(38)와 결속되는 개폐볼밸브(37)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는, 화재시 화재진압을 위하여 소방차에 적재되거나, 건물 등에 구비되어 사용되는 소방장비로써, 본 고안 소화약제겸용장치가 적재된 소방차의 출동시 화재가 좁은골목 내에서 발생되면 소방차가 골목내로 진입할 수 없으므로 소방작업자가 본 고안 소화약제겸용장치를 신속히 휴대하여 화재현장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공기호흡기(10)에 구비된 어깨끈(12)과 허리벨트(13)를 신속히 결속하고, 본 고안에 따라 구비된 겸용관창(30)의 후방 개폐볼밸브(37)에 소방차의 소방호스(38)를 신속히 결속하여 화재현장으로 진입한다.
작업자가 화재현장에 진입되면 소방차에서 소방호스(38)에 물을 공급하고 작업자는 겸용관창(30)의 개폐볼밸브(37)를 열어서 화재발생지역에 물을 방사시켜서 화재를 진압한다.
한편, 일반화재와 달리 물을 방사시켜서 진압할 수 없는 유류화재의 현장에서는 유류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폼을 방사하여 화재를 진압하여야 하는바, 겸용관창(30)에 소방호스(38)를 결속하고, 겸용관창(30)의 연결구(36)에는 도4와 같이 폼약제통(15)에 연결된 폼약제연결관(20)의 연결편(22)을 결합하고 선택밸브(35)를 열어서 공기흡입구(31)를 개방한다.
그리고 겸용관창(30) 전방의 직,분사노즐(28)을 분리하고 이를 손잡이부(34)에 체결하여서 손잡이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방호스(38)에 물을 공급하여서 겸용관창(30)의 노즐(32)을 통해 물을 방사시킨다.
이때, 물이 방사되면 겸용관창(30)의 연결구(36)에 연결된 폼약제연결관(20)이 좁은 직경을 가지므로 겸용관창(30)에 물이 방사되는 압력에 의해 즉, 관내에 공기를 흐르게 하면 좁은 관내의 공기는 빠르게 배출되는 벤츄리효과에 의해 폼약제통(15) 내의 폼약제가 겸용관창(30)의 내측으로 투입되면서 물과 함께 혼합되어 방사된다.
이에 따라, 폼약제가 물과 함께 방사되면서 폼이 형성되어 유류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한편, 화재발생 초기시나, 전기화재 발생시는 절연성이 우수한 분말소화약제가 주로 사용되는바, 이때는 분말약제통(16)에 연결된 분말약제연결관(23)의 연결잭(24)을 공기호흡기(10)에 구비된 보조마스크잭()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분말약제연결관(23)과 보조마스크잭(미도시)이 연결된 상태에서 공기호흡기(10)의 용기밸브(미도시)를 열고 주밸브(미도시)를 열면 분말소화약제가 분말분사호스(25)로 투입되는데, 이는 공기호흡기(10)의 압력이 분말약제통(16)에 가해지면서 대기압상태의 분말약제통(16) 내부에 압력이 증가하여 분말소화약제가 분말분사호스(25) 내측으로 투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말분사호스(25)의 압력게이지(29)를 확인한 후 분사노즐(28)의 밸브()를 열어서 분말약제통(16) 내의 분말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한편, 본 고안 공기흡입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가 건물 내에 구비되었을시 화재가 발생하면 본 고안 장치를 휴대하여 건물내에 구비된 소화전의 소방호스를 겸용관창(30)에 결속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 공기흡입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는 폼약제통(15) 및 분말약제통(16) 내부에 각각 폼약제 4ℓ, 분말 4Kg의 소화약제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물과 폼소화약제가 물 97% : 폼소화약제 3%의 비율로 한통에 혼합되어 사용되었던 종래의 강화액 소화기에 비해 그 소화능력은 몇배의 효과를 낼수 있다.
즉, 종래 강화액 소화기의 소화약제통 용량이 10ℓ이라면 물 9.7ℓ에 폼소화약제 0.3ℓ의 비율로 충전되는데 비해, 본 고안은 폼약제용기()에 4ℓ의 용량이 충전될 수 있으므로 종래 비율에 준하여 비교하면 물 388ℓ: 폼소화약제 4ℓ의 비율이 성립되므로 본 고안 공급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의 소화능력은 종래에 비해 매우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공지의 공기호흡기(10)가 구비되므로 화재현장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내에서 화재진압 작업자가 산소를 공급받아 유독가스로부터 보호된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약제통(14)에 폼소화약제 및 분말소화약제를 각각 충전할 수 있으므로 화재유형에 따라 그에 적합한 소화약제를 선택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유류화재현장에서 소방차가 진입할 필요없이 소방호스(38)를 화재현장 가까이 끌고가서 겸용관창(30)에 결속하고 폼약제연결관(20)을 겸용관창(30)에 연결하여 물과 폼을 방사하여 유류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므로 소방차에 기름 등의 유해물질이 묻지않아 소방차 및 소방차에 적재된 진압장비 일체에 대한 세척이 필요없게된다.
그리고 소방차에 폼소화약제를 별도의 탱크에 충전할 필요없이 본 고안에 따른 약제통(14)에 충전하고 이를 차량에 적재한 후 화재현장에서 휴대하여 화재진압이 가능하므로 폼약제 누유로 인한 소방차의 주요장치의 부식 등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복구경비 등의 예산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에 의하면, 공지의 공기호흡기(10) 및 소화수단을 동시에 휴대할 수 있으므로 화재현장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로부터 공기호흡기(10)를 통해 작업자가 보호된 상태로 화재진압의 작업이 가능하며, 약제통(14)에 폼소화약제 및 분말소화약제를 각각 충전할 수 있으므로 화재유형에 따라 그에 적합한 소화약제를 선택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고, 약제통(14)에 소화약제만이 충전되어 많은 양의 소화약제를 휴대하여 화재진압이 가능하므로 물과 혼합되어 소화약제가 충전되었던 종래의 강화액 소화기에 비해 소화능력이 매우 증강되는 효과가 있으며, 본 고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를 사용하면 유류화재 진압후 소방차에 기름 등의 유해물질이 묻지않아 소방차 및 소방차에 적재된 진압장비 일체에 대한 세척이 필요없으며, 종래에 폼약제 누유로 인한 소방차의 주요장치의 부식 등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복구경비 등의 예산이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분리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겸용관창을 보이는 정면도.
도 4는 폼소화약제의 방사시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공기호흡기 11 ; 산소통
12 ; 어깨끈 13 ; 허리벨트
14 ; 약제통 15 ; 폼약제통
16 ; 분말약제통 17 ; 마개
18 ; 힌지 19 ; 힌지축
20 ; 폼약제연결관 21,27 ; 밸브
22 ; 연결편 23 ; 분말약제연결관
24 ; 연결잭 25 ; 분말분사호스
26 ; 연결호스 28 ; 분사노즐
29 ; 압력게이지 30 ; 겸용관창
31 ; 공기흡입구 32 ; 노즐
33 ; 직,분사밸브 34; 손잡이부
35 ; 선택밸브 36 ; 연결구
37 ; 개폐볼밸브 38 ; 소방호스

Claims (2)

  1. 공기호흡기 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에 있어서,
    산소통(11)에 어깨끈(12) 및 허리벨트(13)가 일체로 구비된 공지의 공기호흡기(10)와;
    중앙이 힌지(18)로 연결되어 힌지축(19)을 중심으로 좌우회동되도록 좌우 한쌍을 이루며, 상부에 개폐마개(17)가 구비되고 폼약제통(15) 및 분말약제통(16)으로 구성되는 약제통(14)과;
    일측에 밸브(21)가 구비된 연결편(22)이 구비되고 상기 약제통(14)의 폼약제통(15) 하측에 연결구비되는 폼약제연결관(20)과;
    일측에 연결잭(24)이 구비되고 상기 분말약제통(16)의 하측에 연결구비되는 분말약제연결관(23)과;
    연결호스(26) 단부에 밸브(27)가 구비된 분사노즐(28)이 구비되고, 일측에 압력게이지(29)가 구비되어 상기 분말약제통(16)의 상부에 연결구비되는 분말분사호스(25)와;
    후방이 소방호스(38)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폼약제연결관(20)을 연결하여 폼약제를 흡입,방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겸용관창(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겸용관창(30)이,
    관 중앙부위에 공기흡입구(31)가 형성되고;
    전방에 구비되는 노즐(32)과;
    상기 노즐(32)의 전방에 설치되는 직,분사밸브(33)와;
    상기 노즐(32)의 하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4)와;
    상기 공기흡입구(31)를 개폐하는 선택밸브(35)와;
    상기 선택밸브(35)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는 연결구(36)와;
    상기 연결구(36)의 후방측에 구비되고 소방호스(38)와 연결되는 개폐볼밸브(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KR20-2005-0011753U 2005-04-27 2005-04-27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KR200390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753U KR200390186Y1 (ko) 2005-04-27 2005-04-27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753U KR200390186Y1 (ko) 2005-04-27 2005-04-27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186Y1 true KR200390186Y1 (ko) 2005-07-20

Family

ID=4369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753U KR200390186Y1 (ko) 2005-04-27 2005-04-27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18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22Y1 (ko) 2009-05-14 2012-03-28 유홍재 워셔액 주입장치
KR101245106B1 (ko) * 2010-10-06 2013-03-19 채상수 다목적 진화기
CN111359988A (zh) * 2018-12-26 2020-07-03 上海格拉曼国际消防装备有限公司 一种防化洗消装置
KR20200002040U (ko) * 2019-03-11 2020-09-21 서울특별시 분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22Y1 (ko) 2009-05-14 2012-03-28 유홍재 워셔액 주입장치
KR101245106B1 (ko) * 2010-10-06 2013-03-19 채상수 다목적 진화기
CN111359988A (zh) * 2018-12-26 2020-07-03 上海格拉曼国际消防装备有限公司 一种防化洗消装置
KR20200002040U (ko) * 2019-03-11 2020-09-21 서울특별시 분사장치
KR200492709Y1 (ko) * 2019-03-11 2020-11-27 서울특별시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17322A1 (en) Fire extinguishing mixtures, methods and systems
KR200390186Y1 (ko)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US200900569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ire prevention and extinguishment
US202002304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 Extinguishing Foam Containing an Extinguishing Gas
KR101571003B1 (ko)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US5881817A (en) Cold compressed air foam fire control apparatus
US6109359A (en) Compressed air foam system
US4828038A (en) Foam fire fighting apparatus
KR101156335B1 (ko) 산불 소화장치
KR102070439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시스템
KR102161583B1 (ko) 화재진압용 폼 트레일러
US20140131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ire prevention and extinguishment
KR100820724B1 (ko) 복합식 소화시스템
KR101723491B1 (ko) 건물 화재 진압용 소방 분사장치
KR200431869Y1 (ko) 휴대용 산불 진화장치
KR102205276B1 (ko) 2차 발포가 가능한 소화기구
KR102215728B1 (ko) 화재진압용 폼 트레일러
CN209397662U (zh) 一种安装方便且防撞可调节的消防栓
US9974990B1 (en) Fire extinguishing agent deliver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770293B1 (ko) 휴대용 산불 진화시스템
JP4633903B2 (ja) ガス工事現場における消火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遮断装置
JPH0649306Y2 (ja) 簡易放口ポンププロポーショナー
CN219375959U (zh) 一种板式喂料机的消防系统
KR200446505Y1 (ko) 소방차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화재 진압 장치
CN115487456B (zh) 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