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106B1 - 다목적 진화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106B1
KR101245106B1 KR1020100097149A KR20100097149A KR101245106B1 KR 101245106 B1 KR101245106 B1 KR 101245106B1 KR 1020100097149 A KR1020100097149 A KR 1020100097149A KR 20100097149 A KR20100097149 A KR 20100097149A KR 101245106 B1 KR101245106 B1 KR 10124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jack
hose
fire
respi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985A (ko
Inventor
채상수
Original Assignee
채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상수 filed Critical 채상수
Priority to KR102010009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1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5/00Extinguishers essentially of the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공기호흡기에 장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소형화재의 화점 발견 시 효율적인 대응과 펌프차량 등에 의한 2차 수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방관의 진화 작업 시 과도한 체력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각종 소화기 약제 충전으로 인한 과도한 비용 소모를 줄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보조호흡기 대신에 에어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링크에는 호흡기 잭과 에어호스 잭 및 예비연결 잭이 구비되고, 거꾸로 된 U자 형상을 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위쪽에 소화액 주입구 밸브가 구비된 소화액 주입구와 릴리프 밸브 및 에어호스 잭이 구비되며, 한쪽 옆면에는 중압호스 잭이 구비된 소화약제 수용부, 공기통과 소화약제 수용부에 구비된 에어호스 잭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에어호스, 상기 중압호스 잭과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압호스 와 워터건으로 연결된 소화약제 방출부 및 상기 실린더의 후면에 고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 위에 고리형상을 하고 상기 공기통을 수용하여 고정 시킬 수 있는 고정 고리, 상기 고정 고리를 상기 공기통과 밀착되도록 조여 주는 고정 볼트로 이루어지는 공기통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진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진화기 {MULTI-PURPOSE EXTINGUISHER}
본 발명은 다목적 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호흡기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장착 후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다목적 진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호흡기 착용을 필요로 하는 화재현장 또는 교통사고 및 각종 사고현장에서 적절한 휴대용 소화용구로 초기단계의 화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현장에서는 유독가스의 배출이 심하여 공기호흡기를 대부분 착용하여야 하며, 교통사고나 각종 사고현장에서도 공기호흡기를 착용하면서 화재를 진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러나 각종 사고현장의 소형화재에서의 화점 발견 시 대응이 미비하다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발생 되어왔다.
또한, 소형화재의 진압에도 펌프차량 등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됨으로써 고압의 수압 및 수량에 의해서 2차 수손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 등짐펌프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수동 펌핑 작업으로 인한 소방관의 체력저하와 이에 따른 비효율적인 방수작업이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화재 유형에는 일반가연물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 등이 있다.
일반가연물화재는 연소 후 재를 남기는 종류의 화재로써 목재, 종이, 섬유 등의 화재를 말하며, 소방방법은 물에 의한 냉각소화로 주수한다.
유류화재는 연소 후 아무 것도 남기지 않는 화재 즉 인화성 액체 등의 화재를 말하며, 소화방법은 공기차단으로 인한 피복소화로 폼 소화 약제를 주로 사용한다.
전기화재는 전기기계, 기구 등의 화재로써 전기적 절연성을 가진 소화기로 소화해야 하는 화재를 말하며, 소화방법은 소화분말 등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다양한 화재들을 진압하기 위해 각종 소화기가 구비되는데 주로 분말소화기가 널리 사용되며, 유류화재에는 물과 폼 소화 약제가 혼합되어 충전된 강화액 소화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화재의 원인에 따라 화재의 유형이 다르고, 화재의 유형에 따라 사용되는 소화기가 달라지는데, 대부분의 소화기는 하나의 소화 약제만이 충전되어 구비되는 형태이므로 각각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소화 약제를 별도로 충전해야 하므로 과도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호흡기에 장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소형화재의 화점 발견 시 효율적인 대응과 펌프차량 등에 의한 2차 수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방관의 진화 작업 시 과도한 체력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각종 소화기 약제 충전으로 인한 과도한 비용 소모를 줄여 예산을 절감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통상의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보조호흡기 대신에 에어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링크에는 호흡기 잭과 에어호스 잭 및 예비연결 잭이 구비되고, 거꾸로 된 U자 형상을 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위쪽에 소화액 주입구 밸브가 구비된 소화액 주입구와 릴리프 밸브 및 에어호스 잭이 구비되며, 한쪽 옆면에는 중압호스 잭이 구비된 소화약제 수용부, 공기통과 소화약제 수용부에 구비된 에어호스 잭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에어호스, 상기 중압호스 잭과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압호스 와 워터건으로 연결된 소화약제 방출부 및 상기 실린더의 후면에 고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 위에 고리형상을 하고 상기 공기통을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고리, 상기 고정 고리를 상기 공기통과 밀착되도록 조여 주는 고정 볼트로 이루어지는 공기통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임을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흡기 잭에 호흡기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호흡기 호스에는 화재 진압용 마스크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호스에는 역류방지 밸브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진화기는 필요시 공기호흡기에 장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소형화재의 화점 발견 시 효율적인 대응과 펌프차량 등에 의한 2차 수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방관의 진화 작업 시 과도한 체력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각종 소화기 약제 충전으로 인한 과도한 비용 소모를 줄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진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진화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 사진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진화기는, 통상의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보조호흡기 대신에 에어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링크에는 호흡기 잭과 에어호스 잭 및 예비연결 잭이 구비되고, 거꾸로 된 U자 형상을 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위쪽에 소화액 주입구 밸브가 구비된 소화액 주입구와 릴리프 밸브 및 에어호스 잭이 구비되며, 한쪽 옆면에는 중압호스 잭이 구비된 소화약제 수용부, 공기통과 소화약제 수용부에 구비된 에어호스 잭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에어호스, 상기 중압호스 잭과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압호스 와 워터건으로 연결된 소화약제 방출부 및 상기 실린더의 후면에 고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 위에 고리형상을 하고 상기 공기호흡기의 공기통을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고리, 상기 고정 고리를 상기 공기통과 밀착되도록 조여 주는 고정 볼트로 이루어지는 공기통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임을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흡기 잭에 호흡기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호흡기 호스에는 화재 진압용 마스크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호스에는 역류방지 밸브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진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진화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에서 보는바와 같이 크게 현재 사용 중인 공기호흡기(10,20)에 소화약제 수용부(30), 소화약제 방출부(40), 공기통 고정부(50)가 추가되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호흡기를 장착할 수 있는 공기통(20) 및 지지부(10)는 통상의 공기호흡장치를 사용한다. 즉, 지지부(10)는 어깨끈(11)과 허리벨트(12)가 구비되고 공기통(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벨트(13)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통(20)은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밸브(21)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보조 호흡기잭을 에어링크(22)로 교체하여 공기통을 통해 나온 공기가 에어링크(22)를 거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에어링크(22)에는 호흡기 잭(23)과 에어호스 잭(24) 및 예비 연결 잭(25)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호흡기 잭(23)을 통해 화재 진압 시 소방관이 공기호흡기를 연결하여 원활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예비 연결 잭(25)을 추가로 설치하여 비상시에 대처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흡기 잭(23)에는 호흡기 호스(93)가 연결되어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3의 참고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흡기 호스에는 다시 화재 진압용 마스크(미도시)가 연결되어 화재 진압 시 소방관의 원활한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화약제 수용부(30)는 거꾸로 된 U자 형상을 하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위쪽에 소화액 주입구 밸브(33)가 구비된 소화액 주입구(32)와 릴리프 밸브(34) 및 에에호스 잭(35)이 구비되며 한쪽 측면에는 중압호스 잭(37)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31)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나 스테인리스 스틸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액 주입구(32)를 통해 강화소화액, 물, 폼 등의 다양한 목적에 맞도록 소화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상기 릴리프 밸브(34)를 통해 화재 진압후 실린더(31)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압호스 잭(37)은 중압호스(42)와 연결되며, 상기 중압호스(42)는 워터건(41)과 연결되어 실린더(31)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를 방출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어호스 잭(35)은 에어호스(36)와 연결되며 이 에어호스(36)는 다시 상기 공기통(20)에 형성된 에어호스 잭(24)과 연결되어 공기통(20)과 실린더(31)를 연결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내부의 소화약제가 에어호스(36)를 통해 에어링크(22)로 들어오지 못하게 상기 에어호스(36)에는 역류방지밸브를 반드시 달아주어야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화약제 방출부(40)는 상기 중압호스 잭(37)과 연결되는 중압호스(42)와 상기 중압호스(42)에 연결되는 워터건(41)을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실린더(31)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를 방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통 고정부(50)는 상기 실린더(31)의 후면되는 고정되는 고정판(52), 상기 고정판 위에 고리형상을 하고 상기 공기통을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고리(51) 및 상기 고정 고리(51)를 상기 공기통과 밀착되도록 조여 주는 고정 볼트(53)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통(20)은 상기 고정 고리(51)와 상기 고정판(52) 사이에 끼어져 상기 고정 볼트(53)에 의해 조여져서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Figure 112010064434455-pat00001
<표 1>
상기 표1은 본 발명과 다른 소화기의 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진화기는 비용 면에서 통상의 소화기나 등짐펌프와 비슷하면서도 아주 고가인 초순간 진화기와 같이 사용약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통상의 소화기보다 방사시간이나 2배 가까이 길고, 방사거리도 다른 소화기에 비하여 더 길며, 단발 방사 횟수도 다른 소화기에 비하여 많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진화기는 공기호흡기에 장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소형화재의 화점 발견 시 효율적인 대응과 펌프차량 등에 의한 2차 수손을 방지할 수 있고, 소방관의 진화 작업 시 과도한 체력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각종 소화기 약제 충전으로 인한 과도한 비용 소모를 줄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지지부
11 : 어깨끈
12 : 허리벨트
13 : 고정벨트
20 : 공기통
21 : 밸브
22 : 에어링크
23 : 호흡기 잭
24 : 에어호스 잭
25 : 예비 연결 잭
30 : 소화약제 수용부
31 : 실린더
32 : 소화액 주입구
33 : 소화액 주입구 밸브
34 : 릴리프 밸브
35 : 에어호스 잭
36 : 에어호스
37 : 중압호스 잭
40 : 소화약제 방출부
41 : 워터건
42 : 중압호스
50 : 공기통 고정부
51 : 고정 고리
52 : 고정판
53 : 고정 볼트
93 : 호흡기 호스

Claims (4)

  1. 통상의 공기호흡기에 있어서, 보조호흡기 대신에 에어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링크에는 호흡기 잭과 에어호스 잭 및 예비연결 잭이 구비되고, 거꾸로 된 U자 형상을 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위쪽에 소화액 주입구 밸브가 구비된 소화액 주입구와 릴리프 밸브 및 에어호스 잭이 구비되며, 한쪽 옆면에는 중압호스 잭이 구비된 소화약제 수용부;
    공기통과 소화약제 수용부에 구비된 에어호스 잭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에어호스;
    상기 중압호스 잭과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압호스와 워터건으로 연결된 소화약제 방출부 및 상기 실린더의 후면에 고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 위에 고리형상을 하고 상기 공기통을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고리, 상기 고정 고리를 상기 공기통과 밀착되도록 조여 주는 고정 볼트로 이루어지는 공기통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화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잭에 호흡기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호흡기 호스에는 화재 진압용 마스크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화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호스에는 역류방지 밸브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화기.
KR1020100097149A 2010-10-06 2010-10-06 다목적 진화기 KR101245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49A KR101245106B1 (ko) 2010-10-06 2010-10-06 다목적 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49A KR101245106B1 (ko) 2010-10-06 2010-10-06 다목적 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985A KR20120060985A (ko) 2012-06-12
KR101245106B1 true KR101245106B1 (ko) 2013-03-19

Family

ID=4661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149A KR101245106B1 (ko) 2010-10-06 2010-10-06 다목적 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9818A (zh) * 2013-05-10 2013-08-14 苏州嘉目工程有限公司 新型可携带灭火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758B1 (ko) * 2017-11-15 2018-04-30 대한민국 배낭형 최루액 분사기
CN109621259B (zh) * 2019-01-07 2020-05-15 浙安集团有限公司 一种背负式减震灭火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99Y1 (ko) * 2002-02-01 2002-05-11 장을순 산소호흡기 겸용 소화기
KR200388729Y1 (ko) * 2005-04-22 2005-07-01 오태형 긴급 대피용 산소호흡기 및 랜턴을 겸비한 소화장치
KR200390186Y1 (ko) * 2005-04-27 2005-07-20 제주도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99Y1 (ko) * 2002-02-01 2002-05-11 장을순 산소호흡기 겸용 소화기
KR200388729Y1 (ko) * 2005-04-22 2005-07-01 오태형 긴급 대피용 산소호흡기 및 랜턴을 겸비한 소화장치
KR200390186Y1 (ko) * 2005-04-27 2005-07-20 제주도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9818A (zh) * 2013-05-10 2013-08-14 苏州嘉目工程有限公司 新型可携带灭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985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174B1 (ko) 소화장치
US7914057B2 (en) Vacuum anchor
US5584289A (en) Breathing apparatus having a flexible manifold connected between a plurality of air cylinders
KR101245106B1 (ko) 다목적 진화기
CN207734491U (zh) 一种新型便于运输移动的消防隔离带装置
ATE484209T1 (de) Multifunktionelle tragevorrichtung für feuerwehrleute
RU131631U1 (ru) Огнетушитель ранцевый моторизованный
CN210873869U (zh) 一种消防用三头分水器
KR20130075366A (ko) 긴급구조용 공기호흡기
CN114191757B (zh) 一种背负式电动水基型火场开路装备
CN214435915U (zh) 一种可接力型隔绝式自救器
WO2006038046A1 (en) Compressed-air fire extinguisher
KR102653304B1 (ko) 통기 가능한 가스 및 물 호스 장치
US20040118575A1 (en) Portable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CN211986759U (zh) 一种集成式可自吸喷枪的背负式细水雾灭火装置
CN107929985A (zh) 消防炮
CN211410792U (zh) 一种背负式多功能安防灭火装置
KR102205276B1 (ko) 2차 발포가 가능한 소화기구
CN206822995U (zh) 消防灭火系统及背负式灭火装置
CN210813646U (zh) 消防车用集水器
CN207342067U (zh) 一种灭火器启动器电磁驱动
CN216456614U (zh) 一种轻型穿戴式压缩空气泡沫灭火装置
KR20100121851A (ko) 등짐용 소화장치 및 소화물의 충전방법
CN211273276U (zh) 一种水泵布置紧凑空间利用率高的消防车
CN209519256U (zh) 一种新型远距离喷射式消防用灭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