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114Y1 - 체중 분산용 시트 - Google Patents

체중 분산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114Y1
KR200390114Y1 KR20-2005-0003974U KR20050003974U KR200390114Y1 KR 200390114 Y1 KR200390114 Y1 KR 200390114Y1 KR 20050003974 U KR20050003974 U KR 20050003974U KR 200390114 Y1 KR200390114 Y1 KR 200390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vertical guide
fixing
vertic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택
Original Assignee
손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택 filed Critical 손기택
Priority to KR20-2005-0003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7Transvers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석자가 시트에 장시간 착석한 상태에서도 체중을 분산시켜 혈액순환을 증진시킴으로써 장시간 시트에 착석할 상태일지라도 그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보다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비행기, 여객선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장착된 시트에 있어서, 시트의 시트백 전면부 측에 배치되어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의 양 겨드랑이 부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걸이부재를 구비하고, 이 걸이부재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중 분산용 시트{Seat for distributing a body weight}
본 고안은 승용차, 버스,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각종 운송수단에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장착된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시트에 장시간 착석한 상태에서도 체중을 분산시켜 혈액순환을 증진시킴으로써 장시간 시트에 착석할 상태일지라도 그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보다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승합차, 버스,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은 각종 운송수단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시트가 장착되는 바, 이러한 시트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시트백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팔을 걸 수 있는 암레스트, 착석자의 목 부분을 걸 수 있는 헤드레스트 등이 부가적으로 구비되고, 또한 최근에는 인체 공학적 측면에서 시트백에 굴곡면을 부여하여 착석자의 허리를 편안하게 해주는 다양한 형태의 시트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시트일지라도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결국 인체의 전체 하중이 엉덩이 측으로만 집중되어 인체의 혈액순환에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비행기, 열차, 고속버스, 승용차 등의 의자에 탑승한 상태로 장시간 여행할 경우에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팔, 다리, 어깨, 허리 등이 저리고 아프게 된다.
특히, 이러한 상황은 장거리 여행시에 비행기, 열차, 고속버스 안에서 더욱 고통스러우며 누구나 경험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매일같이 차량을 움직여야 하는 운전기사 들에게는 엄청난 고통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시트에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에 엉덩이 측으로 집중되는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척추를 시원하게 늘여주며, 노년층에 어깨의 처짐을 막아주고, 자세를 교정하며, 소화기능 및 승차감 등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체중 분산형 시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비행기, 여객선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장착된 시트에 있어서, 시트의 시트백 전면부 측에 배치되어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의 양 겨드랑이 부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걸이부재를 구비하고, 이 걸이부재는 상ㆍ하ㆍ전ㆍ후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시트백의 상부 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시트백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수평가이드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각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가이드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부재와;
각 걸이부재의 수직 이동위치를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는 걸이부재의 일측에 고정공이 관통되고, 수직가이드부재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의 상단부 측에 브라켓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는 수평가이드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 측에는 수직가이드부재의 외주면 상에 상하방향으로의 이동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 측에는 신체의 겨드랑이 부분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한 한 쌍의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는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관통되고, 수직가이드부재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ㆍ우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구가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이 좌ㆍ우 한 쌍의 지지구에 의해 수평가이드부재가 지지될 뿐만 아니라 수직가이드부재의 장착구의 이동이 소정구간 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는,
시트백의 상단부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좌ㆍ우 양측 상부면 상의 소정 구간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가이드홈을 구비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단부에 절곡단부를 구비하고, 이 절곡단부는 수평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을 구비한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의 "T"자형 가이드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장착부 및 거치대는 힌지축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을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는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부재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의 중앙 부분에는 중앙 스토퍼를 구비하고, 가이드홈의 좌우 양단부에는 한 쌍의 단부 스토퍼를 구비하며, 이러한 중앙 스토퍼 및 단부 스토퍼에 의해 수직가이드부재의 절곡단부는 그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수평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은 그 일측 내벽면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조가이드홈를 더 구비하고, 수직가이드부재의 절곡단부 일측에는 수평가이드부재의 보조가이드홈에 대응하는 보조돌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3실시형태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의 상단부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단부에 장착부를 구비하고, 이 장착부는 수평가이드부재 상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의 "T"자형 가이드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장착부 및 거치대는 서로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힌지축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거치대는 제2힌지축을 매개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 거치대로 이루어진 한 쌍의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는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부재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우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구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이러한 지지구들에 의해 수평가이드부재가 지지될 뿐만 아니라 수직가이드부재의 장착구의 이동이 소정구간 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형태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의 일측 내부공간에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단부에 절곡단부를 구비하고, 이 절곡단부는 수평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의 "T"자형 가이드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장착부 및 거치대는 제1힌지축을 매개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거치대는 제1 및 제2 거치대가 제2힌지축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제1 및 제2 거치대가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수평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시트백의 전면부 좌ㆍ우 양측에는 소정구간의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바람직하게는, 수평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시트백의 내부공간 하부 측에는 소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수직가이드부재의 절곡단부 하부에는 내부공간의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는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부재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5실시형태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단부에 수평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절곡단부를 구비하고,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을 구비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의 "T"자형 가이드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장착부 및 거치대는 제1힌지축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거치대는 제2힌지축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는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부재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우 양측에는 각가 한 쌍의 지지구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이러한 지지구들에 의해 수평가이드부재가 지지될 뿐만 아니라 수직가이드부재의 장착구의 이동이 소정구간 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체중 분산형 시트(10)는 시트백(11)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양 겨드랑이를 거치할 수 있는 한 쌍의 걸이부재(20)를 포함하고, 각 걸이부재(20)는 시트백(11)의 좌ㆍ우ㆍ상ㆍ하 이동 및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중 분산형 시트(10)는 시트백(11)의 상단부 측에 브라켓(15)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31)와, 이 수평가이드부재(31)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좌ㆍ우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32)와, 각 수직가이드부재(32)의 외주면 상에서 상ㆍ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각 수직가이드부재(32)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부재(20)로 이루어진다.
수평가이드부재(31)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11)의 상단부 측에 브라켓(15)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브라켓(15)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11)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ㆍ우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구(15a, 15b, 15c, 15d)가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좌측 한 쌍의 지지구(15a, 15b)와 우측 한 쌍의 지지구(15c, 15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구(15a, 15b, 15c, 15d)들은 수평가이드부재(31)를 수평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부재(32)의 장착구(32a)의 이동을 소정구간 내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시트백(11)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7)의 지지봉(17a)은 브라켓(15)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설치된다.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32)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11)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각 수직가이드부재(32)의 상단부에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장착부(32a)를 구비하고, 이 장착부(32a)는 상술한 수평가이드부재(31) 상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수직가이드부재(32)의 장착부(32a)는 브라켓(15)의 좌ㆍ우 양측 지지구(15a, 15b, 15c, 15d)에 의해 그 좌ㆍ우 이동이 소정구간 내로(즉, 15a 및 15b 사이의 거리와 15c 및 15d 사이의 거리) 제한된다.
걸이부재(20)는 봉형상의 수직가이드부재(32)의 외주면 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수직가이드부재(32)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걸이부재(20)는 그 후방 측에 봉형상의 수직가이드부재(32) 상에 상하방향의 이동 및 회동을 용이하게 하는 장착부(21)를 구비하고, 그 전방 측에는 인체의 겨드랑이 부분이 거치되는 거치대(22)를 구비한다.
고정부(25)는 수직가이드부재(3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20)를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고정부(25)는 걸이부재(20)의 장착부(21) 일측에 고정공(26)이 수직가이드부재(32) 측으로 관통되고, 수직가이드부재(32)에는 걸이부재(20)의 고정공(26)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32c)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호 일치된 걸이부재(20)의 고정공(26) 및 수직가이드부재(32)의 고정홈(32c)에 고정구(27)가 삽입되어 걸이부재(20)를 수직가이드부재(32)의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는 시트백(11)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수평가이드부재(41)와, 이 수평가이드부재(4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42)와, 각 수직가이드부재(4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각 수직가이드부재(4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부재(50)와, 각 걸이부재(50)를 수직가이드부재(42)의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55)를 포함한다.
수평가이드부재(41)는 시트백(11)의 상단부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좌우 양측 상부면 상의 소정 구간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가이드홈(41a)이 구비되고, 가이드홈(41a)의 중앙 부분에는 중앙 스토퍼(41c)가 구비되며, 가이드홈(41a)의 좌우 양단부에는 한 쌍의 단부 스토퍼(41d)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홈(41a)의 중앙 스토퍼(41c) 및 단부 스토퍼(41d)에 의해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부재(42)의 절곡단부(42a)는 그 좌ㆍ우 이동이 소정구간 내로 제한된다. 한편, 시트백(11)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7)의 지지봉(17a)은 중앙 스토퍼(41c)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수평가이드부재(41)의 가이드홈(41a)은 그 일측 내벽면 상에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부재(42)의 이동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길이방향으로 보조가이드홈(41b)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42)는 수평가이드부재(41)의 가이드홈(41a)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수직가이드부재(42)은 그 상단부에 절곡단부(42a)를 구비하고, 이 절곡단부(42a)는 수평가이드부재(41)의 가이드홈(41a)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절곡단부(42a)의 일측에는 상술한 수평가이드부재(41)의 보조가이드홈(41b)에 끼워져 안내되는 보조돌기(42b)를 더 구비한다.
또한, 수직가이드부재(42)는 그 전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42c)을 구비한다.
걸이부재(50)는 그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42)의 "T"자형 가이드홈(42c)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51a)가 형성된 장착부(51)를 구비하고, 그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52)를 구비하며, 장착부(51) 및 거치대(52)는 힌지축(53)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고정부(55)는 수직가이드부재(4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50)를 수직가이드부재(42)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55)는 걸이부재(50)의 장착부(51) 일측에 고정공(56)이 수직가이드부재(42)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수직가이드부재(42)의 가이드홈(42c)에는 걸이부재(50)의 고정공(56)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42d)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호 일치된 걸이부재(50)의 고정공(56) 및 수직가이드부재(42)의 고정홈(42d)에 고정구(57)가 삽입되어 걸이부재(50)를 수직가이드부재(42)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는 시트백(11)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수평가이드부재(61)와, 이 수평가이드부재(6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62)와, 각 수직가이드부재(6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각 수직가이드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부재(70)와, 각 걸이부재(70)를 수직가이드부재(62)의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75)를 포함한다.
수평가이드부재(61)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11)의 상단부에 브라켓(65)을 매개로 설치된다. 이 브라켓(65)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11)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우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구(65a 및 65b, 65c 및 65d)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됨에 따라 좌측 한 쌍의 지지구(65a, 65b)와 우측 한 쌍의 지지구(65c, 65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구(65a, 65b, 65c, 65d)들은 수평가이드부재(61)를 수평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부재(62)의 장착구(62a)의 이동을 소정구간 내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시트백(11)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7)의 지지봉(17a)은 브라켓(65)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설치된다.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62)는 시트백(11)의 전면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그 상단부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장착부(62a)를 구비하고, 이 장착부(62a)는 상술한 수평가이드부재(61) 상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수직가이드부재(62)의 장착부(62a)는 브라켓(65)의 좌우 양측 지지구(65a, 65b, 65c, 65d)에 의해 그 좌ㆍ우 이동이 소정구간(즉, 65a 및 65b 사이의 거리와 65c 및 65d 사이의 거리) 내로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직가이드부재(62)의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62c)이 형성된다.
걸이부재(70)는 그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62)의 "T"자형 가이드홈(62c)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71a)가 형성된 장착부(71)를 구비하고, 그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72)를 구비하며, 장착부(71) 및 거치대(72)는 제1힌지축(73)을 매개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또한, 걸이부재(70)의 거치대(72)는 제1 및 제2 거치대(72a, 72b)가 제2힌지축(74)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제1 및 제2 거치대(72a, 72b)가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부(75)는 수직가이드부재(6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70)를 수직가이드부재(62)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75)는 걸이부재(70)의 장착부(71) 일측에 고정공(76)이 수직가이드부재(62)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수직가이드부재(62)의 가이드홈(62c)에는 걸이부재(70)의 고정공(76)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62d)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호 일치된 걸이부재(70)의 고정공(76) 및 수직가이드부재(62)의 고정홈(62d)에 고정구(77)가 삽입되어 걸이부재(70)를 수직가이드부재(62)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는 시트백(11)의 상부 내측에 장착된 수평가이드부재(81)와, 이 수평가이드부재(8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82)와, 각 수직가이드부재(8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각 수직가이드부재(8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부재(90)와, 각 걸이부재(90)를 수직가이드부재(82)의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95)를 포함한다.
수평가이드부재(81)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11)의 일측 내부공간(12)에 설치되어 은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수평가이드부재(81)가 설치된 시트백(11)의 전면부 좌ㆍ우 양측에는 소정구간의 가이드슬롯(13)이 형성되며, 수평가이드부재(81)가 설치된 시트백(11)의 내부공간(12) 하부 측에는 소정의 가이드홈(12a)이 형성된다.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82)는 시트백(11)의 좌ㆍ우 양측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에 절곡단부(82a)를 구비하며, 이 절곡단부(82a)는 상술한 수평가이드부재(8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절곡단부(82a)의 하부 일측에는 상술한 내부공간(12)의 가이드홈(12a)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82b)를 구비한다. 또한, 수직가이드부재(82)의 절곡단부(82a)는 시트백(11)의 전면부에 형성된 가이드슬롯(13)에 의해 그 좌ㆍ우 이동이 가이드슬롯(13)의 길이 만큼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직가이드부재(82)의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82c)이 형성된다.
걸이부재(90)는 그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82)의 "T"자형 가이드홈(82c)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91a)가 형성된 장착부(91)를 구비하고, 그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92)를 구비하며, 장착부(91) 및 거치대(92)는 제1힌지축(93)을 매개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또한, 걸이부재(90)의 거치대(92)는 제1 및 제2 거치대(92a, 92b)가 제2힌지축(94)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부(95)는 수직가이드부재(8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90)를 수직가이드부재(82)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95)는 걸이부재(90)의 장착부(91) 일측에 고정공(96)이 수직가이드부재(82)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수직가이드부재(82)의 가이드홈(82c)에는 걸이부재(90)의 고정공(96)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82d)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호 일치된 걸이부재(90)의 고정공(96) 및 수직가이드부재(82)의 고정홈(82c)에 고정구(97)가 삽입되어 걸이부재(90)를 수직가이드부재(82)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는 시트백(11)의 상부 내측에 장착된 수평가이드부재(121)와, 이 수평가이드부재(12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122)와, 각 수직가이드부재(12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각 수직가이드부재(12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부재(130)와, 각 걸이부재(130)를 수직가이드부재(122)의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135)를 포함한다.
수평가이드부재(121)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11)의 상단부 상에 브라켓(115)을 매개로 설치되며, 이 브라켓(115)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11)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우 양측에는 각가 한 쌍의 지지구(115a 및 115b, 115c 및 115d)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됨에 따라 좌측 한 쌍의 지지구(115a, 115b)와 우측 한 쌍의 지지구(115c, 115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구(115a, 115b, 115c, 115d)들은 수평가이드부재(121)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부재(122)의 장착구(122a)의 이동을 소정구간 내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시트백(11)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7)의 지지봉(17a)은 브라켓(115)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설치된다.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122)는 시트백(11)의 전면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에 절곡단부(122a)를 구비하며, 이 절곡단부(122a)는 상술한 수평가이드부재(12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수직가이드부재(122)의 절곡단부(122a)는 시트백(11)의 전면부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지지구(115a 및 115b 사이의 거리, 115c 및 115d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그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직가이드부재(122)의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122c)이 형성된다.
걸이부재(130)는 그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122)의 "T"자형 가이드홈(122c)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131a)가 형성된 장착부(131)를 구비하고, 그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32)를 구비하며, 장착부(131) 및 거치대(132)는 제1힌지축(133)을 매개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또한, 걸이부재(130)의 거치대(132)는 제1 및 제2 거치대(132a, 132b)가 제2힌지축(134)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부(135)는 수직가이드부재(122)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걸이부재(130)를 수직가이드부재(122)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135)는 걸이부재(130)의 장착부(131) 일측에 고정공(136)이 수직가이드부재(122)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수직가이드부재(122)의 가이드홈(122c)에는 걸이부재(130)의 고정공(136)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122d)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호 일치된 걸이부재(130)의 고정공(136) 및 수직가이드부재(122)의 고정홈(122d)에 고정구(137)가 삽입되어 걸이부재(130)를 수직가이드부재(122)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중 분산형 시트(10)는 시트백(11)의 상단부 측에 브라켓(215)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231)와, 이 수평가이드부재(231)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좌ㆍ우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232)와, 각 수직가이드부재(232)의 외주면 상에서 상ㆍ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각 수직가이드부재(232)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수평가이드부재(231)는 그 중앙부분이 헤드레스트(17)의 후방측으로 절곡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11)의 상단부 측에 브라켓(215)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브라켓(215)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211)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ㆍ우 양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구(215a, 215b)가 구비되며, 이 한 쌍의 지지구(215a, 215b)에 의해 수평가이드부재(231)는 수평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된다. 한편, 시트백(11)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7)의 지지봉(17a)은 브라켓(215)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설치된다.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232)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11)의 전면 좌우 양측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각각 배치된다.
각 수직가이드부재(232)는 이동브라켓(235)을 매개로 상술한 수평가이드부재(231)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이동브라켓(235)은 내부가 관통된 제1 및 제2 관체(235a, 235b)가 상호 직각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이동브라켓(235)의 제1관체(235a)에는 수평가이드부재(231)가 관통되고, 이동브라켓(235)의 제2관체(235b)에는 수직가이드부재(232)가 회전가능하게 관통된다. 즉, 이동브라켓(235)의 제1관체(235a)는 수평가이드부재(231)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직가이드부재(232)는 이동브라켓(235)의 제2관체(235b)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수평가이드부재(231)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브라켓(235)의 제1관체(235a)는 브라켓(215)의 각 지지구(215a, 215b) 및 수평가이드부재(231)의 절곡부 사이의 영역에서 그 이동이 제한된다.
걸이부재(220)는 그 후방단부(221)가 수직가이드부재(232)의 하단부 상에 고정되고, 그 전방단부에 인체의 겨드랑이 부분이 거치되는 거치대(222)를 구비한다.
고정부는 이동브라켓(235)의 제2관체(235b)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가이드부재(232)를 제2관체(235b) 측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는 이동브라켓(235)의 제2관체(235b) 상ㆍ하단부 상에서 상ㆍ하부 너트(226, 227)가 수직가이드부재(232)의 수나사부 상에 체결됨에 따라, 수직가이드부재(232)를 이동브라켓(235)의 제2관체(235b) 측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10)는 시트백(11)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수평가이드부재(341)와, 이 수평가이드부재(34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342)와, 각 수직가이드부재(34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각 수직가이드부재(34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부재(350)와, 각 걸이부재(350)를 수직가이드부재(342)의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355)를 포함한다.
수평가이드부재(341)는 시트백(11)의 상단부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좌우 양측 상부면 상의 소정 구간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가이드홈(341a)이 구비되고, 가이드홈(341a)의 중앙 부분에는 중앙 스토퍼(341c)가 구비되며, 가이드홈(341a)의 좌우 양단부에는 한 쌍의 단부 스토퍼(341d)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41a)의 중앙 스토퍼(341c) 및 단부 스토퍼(341d)에 의해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부재(342)의 절곡단부(342a)는 그 좌ㆍ우 이동이 소정구간 내로 제한된다. 한편, 시트백(11)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7)의 지지봉(17a)은 중앙 스토퍼(341c)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수평가이드부재(341)의 가이드홈(341a)은 그 일측 내벽면 상에 후술하는 수직가이드부재(342)의 이동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길이방향으로 보조가이드홈(341b)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342)는 수평가이드부재(341)의 가이드홈(341a)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수직가이드부재(342)은 그 상단부에 절곡단부(342a)를 구비하고, 이 절곡단부(342a)는 수평가이드부재(341)의 가이드홈(341a)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절곡단부(342a)의 일측에는 상술한 수평가이드부재(341)의 보조가이드홈(341b)에 끼워져 안내되는 보조돌기(342b)를 더 구비한다.
또한, 수직가이드부재(342)는 그 전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342c)을 구비하고, 이러한 가이드홈(342c)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치형(3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치형(345)에 후술하는 고정부재(354)가 맞물려지도록 구성된다.
걸이부재(350)는 그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342)의 "T"자형 가이드홈(342c)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H"자형 단면의 안내부(351a)가 형성된 가이드구(351)를 구비하고, 그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352)를 구비하며, 가이드구(351) 및 거치대(352)는 힌지축(353)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고정부(355)는 수직가이드부재(34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350)를 수직가이드부재(342)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355)는 가이드구(351)의 하부 측에는 고정부재(356)가 힌지결합되며, 이 고정부재(356)는 그 상단부에 누름스위치(356a)가 구비되고, 그 하단부에는 걸림돌기(356b)가 구비되며, 가이드구(351)에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356c)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재(356)는 토션스프링(356c)에 의해 수직가이드부재(342)의 가이드홈(342c) 측으로 편향력을 인가받는 상태가 되고, 고정부재(356)의 걸림돌기(356b)는 걸이부재(350)의 가이드구(351) 하부 일측을 관통하여 수직가이드부재(342)의 가이드홈(342c)에 형성된 치형(345)에 맞물려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제 실시예의 각 걸이부재(20, 50, 70, 90, 130, 220, 350)는 그 표면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가죽 등과 같이 부드럽고 유연하며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 실시예의 각 수직가이드부재(32, 42, 62, 82, 122, 232, 342)들은 시트백(11)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수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트(10)의 시트백(11) 전면부 상에서 상ㆍ하ㆍ좌ㆍ우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동되도록 설치된 좌ㆍ우 한 쌍의 걸이부재(20, 50, 70, 90, 130, 220, 350)를 적절히 조절한 뒤에, 시트(10)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좌ㆍ우 양측 겨드랑이 부분을 걸이부재(20, 50, 70, 90, 130, 220, 350)에 거치시킨다.
이와 같이, 좌우 한 쌍의 걸이부재(20, 50, 70, 90, 130, 220, 350)에 착석자의 좌ㆍ우 양측 겨드랑이 부분을 거치시킴에 따라, 시트(10)에 착석한 상태에서 착석자의 엉덩이 측으로 집중되었던 신체의 하중을 양 겨드랑이 부분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척추 부분을 늘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노년층의 경우에는 어깨 처짐을 방지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며, 착석 자세를 교정하고, 소화기능 및 승차감을 편안하게 하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시트에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에 엉덩이 측으로 집중되는 인체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척추를 시원하게 늘여주며, 노년층에 어깨의 처짐을 막아주고, 자세를 교정하며, 소화기능 및 승차감 등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용 시트의 걸이부재, 수직가이드부재 및 수평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체중 분산형 시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체중 분산형 시트 11 : 시트백
20 : 걸이부재 31 : 수평가이드부재
32 : 수직가이드부재

Claims (26)

  1. 삭제
  2. 척석자의 등부분을 받칠 수 있는 시트백을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상부 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기 시트백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수평가이드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상기 각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가이드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이부재와;
    상기 각 걸이부재의 수직 이동위치를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이부재의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부재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4. 착석자의 등부분을 받칠 수 있는 시트백을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백의 상단부 측에 브라켓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는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 측에는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외주면 상에 상하방향으로의 이동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 측에는 신체의 겨드랑이 부분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한 한 쌍의 걸이부재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ㆍ우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구가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이 좌ㆍ우 한 쌍의 지지구에 의해 수평가이드부재가 지지될 뿐만 아니라 수직가이드부재의 장착구의 이동이 소정구간 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7. 착석자의 등부분을 받칠 수 있는 시트백을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상단부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좌ㆍ우 양측 상부면 상의 소정 구간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가이드홈을 구비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단부에 절곡단부를 구비하고, 이 절곡단부는 수평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을 구비한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의 "T"자형 가이드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장착부 및 거치대는 힌지축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을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부재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의 중앙 부분에는 중앙 스토퍼를 구비하고, 가이드홈의 좌우 양단부에는 한 쌍의 단부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 스토퍼 및 단부 스토퍼에 의해 수직가이드부재의 절곡단부는 그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은 그 일측 내벽면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조가이드홈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절곡단부 일측에는 수평가이드부재의 보조가이드홈에 대응하는 보조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1. 착석자의 등부분을 받칠 수 있는 시트백을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백의 상단부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단부에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수평가이드부재 상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의 "T"자형 가이드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장착부 및 거치대는 서로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힌지축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거치대는 제2힌지축을 매개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 거치대로 이루어진 한 쌍의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부재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우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구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지지구들에 의해 수평가이드부재가 지지될 뿐만 아니라 수직가이드부재의 장착구의 이동이 소정구간 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4. 착석자의 등부분을 받칠 수 있는 시트백을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백의 일측 내부공간에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단부에 절곡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단부는 수평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의 "T"자형 가이드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장착부 및 거치대는 제1힌지축을 매개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거치대는 제1 및 제2 거치대가 제2힌지축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제1 및 제2 거치대가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수평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시트백의 전면부 좌ㆍ우 양측에는 소정구간의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시트백의 내부공간 하부 측에는 소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절곡단부 하부에는 내부공간의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부재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7. 착석자의 등부분을 받칠 수 있는 시트백을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단부에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절곡단부를 구비하고,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을 구비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의 "T"자형 가이드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T"자형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장착부 및 거치대는 제1힌지축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거치대는 제2힌지축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이부재의 장착부 일측에 고정공이 수직가이드부재 측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우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구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며, 이러한 지지구들에 의해 수평가이드부재가 지지될 뿐만 아니라 수직가이드부재의 장착구의 이동이 소정구간 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20. 착석자의 등부분을 받칠 수 있는 시트백을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중앙부분이 헤드레스트의 후방측으로 절곡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의 상단부 측에 브라켓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의 전면 좌우 양측에 수평가이드부재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상기 수평가이드부재가 관통하는 제1관체 및 수직가이드부재가 관통하는 제2관체가 직각방향으로 고정되어 연결된 이동브라켓과;
    후방단부는 각 수직가이드부재의 하단부 상에 고정되고, 전방단부에는 인체의 겨드랑이 부분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한 한 쌍의 걸이부재와;
    이동브라켓의 제2관체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가이드부재를 이동브라켓의 제2관체 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이동브라켓의 제2관체 상ㆍ하단부 상에서 상ㆍ하부 너트가 수직가이드부재의 수나사부 상에 체결됨에 따라 수직가이드부재를 이동브라켓의 제2관체 측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체결구를 통해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좌ㆍ우 양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구가 구비되며, 이 한 쌍의 지지구에 의해 수평가이드부재는 수평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23. 착석자의 등부분을 받칠 수 있는 시트백을 구비한 시트에 있어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백의 상단부 상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상단부에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절곡단부를 구비하고, 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T"자형의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이 가이드홈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치형이 형성된 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후방단부에 수직가이드부재의 "T"자형 가이드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H"자형 단면의 안내부가 형성된 가이드구를 구비하고, 전방단부에는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며, 가이드구 및 거치대는 힌지축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한 쌍의 걸이부재와;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이부재를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가이드구의 하부 측에는 고정부재가 힌지결합되며, 이 고정부재는 그 상단부에 누름스위치가 구비되고, 그 하단부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가이드구에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의 중앙 부분에는 중앙 스토퍼를 구비하고, 가이드홈의 좌우 양단부에는 한 쌍의 단부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 스토퍼 및 단부 스토퍼에 의해 수직가이드부재의 절곡단부는 그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은 그 일측 내벽면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조가이드홈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직가이드부재의 절곡단부 일측에는 수평가이드부재의 보조가이드홈에 대응하는 보조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분산형 시트.
KR20-2005-0003974U 2005-02-15 2005-02-15 체중 분산용 시트 KR200390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74U KR200390114Y1 (ko) 2005-02-15 2005-02-15 체중 분산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74U KR200390114Y1 (ko) 2005-02-15 2005-02-15 체중 분산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114Y1 true KR200390114Y1 (ko) 2005-07-21

Family

ID=4369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974U KR200390114Y1 (ko) 2005-02-15 2005-02-15 체중 분산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11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77B1 (ko) * 2008-05-23 2010-12-07 서범석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을 위한 좌석
KR101672464B1 (ko) * 2016-05-04 2016-11-03 박흥식 겨드랑이 지지부가 구비된 등 지지체
KR101823120B1 (ko) * 2017-06-28 2018-01-29 표석준 경사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시트용 암 핏 레스트
KR101823128B1 (ko) * 2017-06-28 2018-01-29 표석준 시트용 암 핏 레스트
CN113520785A (zh) * 2020-04-14 2021-10-22 韦景川 人体悬吊概念椅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77B1 (ko) * 2008-05-23 2010-12-07 서범석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을 위한 좌석
KR101672464B1 (ko) * 2016-05-04 2016-11-03 박흥식 겨드랑이 지지부가 구비된 등 지지체
KR101823120B1 (ko) * 2017-06-28 2018-01-29 표석준 경사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시트용 암 핏 레스트
KR101823128B1 (ko) * 2017-06-28 2018-01-29 표석준 시트용 암 핏 레스트
CN113520785A (zh) * 2020-04-14 2021-10-22 韦景川 人体悬吊概念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789B2 (en) Seat headrest
US7083234B2 (en) Vehicle seating with arcuate motion support
US10279717B2 (en) Armrest
KR200390114Y1 (ko) 체중 분산용 시트
JP3586300B2 (ja) 立姿勢用シート
US10391902B2 (en) Vehicle seat
US6799798B1 (en) Support and restraint structure for passengers of public transport vehicles
WO2017118868A1 (en) Passenger seat comprising tiltable sections of its headrest
CN205553983U (zh) 折叠式可伸缩座椅头部侧位靠枕
JPS62244730A (ja) 主に自動車を対象とした乗物用座席
EP2578447B1 (en) Retaining device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and passenger transport vehicle comprising such a device
EP3184396A1 (en) Backrest, vehicle, and guide track transportation system
CN205930348U (zh) 一种汽车座椅
CN209290215U (zh) 一种二人联体座椅
CN213768330U (zh) 腿部支撑结构及儿童座椅
CN213550781U (zh) 一种节省空间的坐躺两用椅
CN209191744U (zh) 一种新型二人联体后排座椅
GB2299752A (en) Demountable armrest assembly for vehicle seat
JPS62518Y2 (ko)
JP6179892B2 (ja) 自動車用座席
RU11514U1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20083105A (ja) 車両シート構造
KR200425623Y1 (ko) 차량용 시트
KR200425624Y1 (ko) 차량용 시트
JPH0736513Y2 (ja) 車両等の座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