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952Y1 -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952Y1
KR200389952Y1 KR20-2005-0012501U KR20050012501U KR200389952Y1 KR 200389952 Y1 KR200389952 Y1 KR 200389952Y1 KR 20050012501 U KR20050012501 U KR 20050012501U KR 200389952 Y1 KR200389952 Y1 KR 200389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duplexer
recep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양현열
강충식
Original Assignee
알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2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9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송신 및 수신단의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송수신 경로를 이중 루프로 형성하여 전치 증폭단을 공용함으로써 송수신 경로의 손실을 줄이고 증폭부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 증폭기로 구성되어 송신 또는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전치 증폭단(210)과; 상기 전치 증폭단의 출력 신호를 송신 및 수신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그 경로를 분리하는 듀플렉서(240)와;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경로의 신호를 분배하여 증폭하고 다시 합성하여 고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 증폭부(220)와;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경로의 신호를 저손실로 통과시키는 수신 바이패스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는, 송신 및 수신단의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송수신 경로를 이중 루프로 형성하여 전치 증폭단을 공용함으로써 송수신 경로의 손실을 줄이고 증폭부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Bi-directional power amplifier with daul loop and repeater apparatus using therof}
본 고안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송신 및 수신단의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송수신 경로를 이중 루프로 형성하여 전치 증폭단을 공용함으로써 송수신 경로의 손실을 줄이고 증폭부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송수신용 고주파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송신 및 수신 경로에 각각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게 되어 부품수의 증가에 따른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증폭소자의 개수도 많이 소요되므로 발열량이 증가함으로써 오히려 증폭부의 효율을 떨어뜨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의 (a)에서 순방향(forward) 신호, 즉 송신 경로의 송신 증폭부(101)는 크게 전치 증폭단(110)과 주 증폭단(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치 증폭단은 통상 제 1 내지 제 3 전치 증폭기(111, 112, 113)가 다단으로 배치되어 소정 이득만큼 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 증폭단은 상기 전치 증폭단의 제 3 전치 증폭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를 다시 증폭하는 기능을 하며, 그 구성은 일반적으로 분배기(121)에 의해 입력 신호를 분배한 후 각 경로의 제 1 주 증폭기들(122, 124)과 제 2 주 증폭기들(123, 125)에 의해 소정 이득으로 증폭한 다음 이를 다시 합성기(126)로 합성하여 하나의 경로로 하고 아이솔레이터(127)를 통과시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의 (b)에서 역방향(reverse) 신호, 즉 수신 경로의 수신 증폭부(102)는 크게 전치 증폭단(130)과 주 증폭단(14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치 증폭단은 통상 제 1 및 제 2 전치 증폭기(131, 132)가 다단으로 배치되어 소정 이득만큼 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 증폭단은 상기 전치 증폭단의 제 2 전치 증폭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를 다시 증폭하는 기능을 하며, 그 구성은 일반적으로 제 1 및 제 2 주 증폭기(141, 142)에 의해 소정 이득으로 증폭한 다음 아이솔레이터(143)를 통과시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증폭부와 수신 증폭부가 각각 별도로 설계, 제작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증폭소자의 개수도 많이 소요되므로 발열량이 증가함으로써 오히려 증폭부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송신 및 수신단의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송수신 경로를 이중 루프로 형성하여 전치 증폭단을 공용함으로써 송수신 경로의 손실을 줄이고 증폭부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 증폭기로 구성되어 송신 또는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전치 증폭단(210);과 상기 전치 증폭단의 출력 신호를 송신 및 수신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그 경로를 분리하는 듀플렉서(240);와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경로의 신호를 분배하여 증폭하고 다시 합성하여 고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 증폭부(220);와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경로의 신호를 저손실로 통과시키는 수신 바이패스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를 이용한 중계장치는, 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과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링크 안테나(301);와 상기 링크 안테나로 전송되는 역방향 수신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1 방향성 결합기(302);와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와 접속되어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제 1 듀플렉서(303);와 상기 제 1 듀플렉서로부터의 송신 신호와 후술하는 제 2 듀플렉서(306)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T-정션(305);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 증폭기로 구성되어 상기 T-정션에 의해 하나의 경로로 결합된 송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전치 증폭단(210);과 상기 전치 증폭단의 출력 신호를 송신 및 수신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그 경로를 분리하는 듀플렉서(240);와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경로의 신호를 분배하여 증폭하고 다시 합성하여 고출력 신호를 후술하는 제 2 듀플렉서(306)로 전송하는 송신 증폭부(220);와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경로의 신호를 저손실로 통과시켜 상기 제 1 듀플렉서(303)로 전송하는 수신 바이패스부(230);와 상기 송신 증폭부로부터의 송신 신호와 상기 T-정션으로의 수신 신호를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제 2 듀플렉서(306);와 상기 제 2 듀플렉서를 거쳐 전송되는 순방향 송신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2 방향성 결합기(307);와 상기 제 2 듀플렉서의 출력을 받아 음영지역 내의 단말기와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커버리지 안테나(308);와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수신 신호와 상기 제 2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송신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송수신 S/A부(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치 증폭단(2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전치 증폭기(211, 212, 213)가 다단으로 배치되어 소정 이득만큼 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신 증폭부(220)는, 상기 듀플렉서(240)로부터 송신 신호를 받아 이를 다시 증폭하는 기능을 하며 그 구성은 분배기(221)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동진폭, 동위상으로 분배한 후 각 경로의 제 1 주 증폭기들(222, 224)과 제 2 주 증폭기들(223, 225)에 의해 소정 이득으로 증폭한 다음 이를 다시 합성기(226)로 합성하여 하나의 경로로 하고 아이솔레이터(227)를 통과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와함께, 수신 바이패스부(230)는, 상기 듀플렉서(240)로부터 수신 신호를 받아 이를 저손실로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며 바이패스 선로(231)와 아이솔레이터(227)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의 구성과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전력 증폭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 증폭기가 다단으로 배치되어 송신 또는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전치 증폭단(210)과, 상기 전치 증폭단의 출력 신호를 송신 및 수신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그 경로를 분리하는 듀플렉서(240)와,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경로의 신호를 분배하여 증폭하고 이를 다시 합성하여 고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 증폭부(220)와,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경로의 신호를 저손실로 통과시키는 수신 바이패스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전치 증폭단(210)은, 입력되는 송신 또는 수신 신호를 소정 이득만큼 저잡음 증폭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 증폭기가 다단으로 배치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전치 증폭기(211, 212, 213)를 사용하여 소정의 이득 및 잡음지수를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전치 증폭기들의 단수, 이득 및 잡음지수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시스템 규격마다 그 수치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듀플렉서(240)는, 상기 전치 증폭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또는 수신 신호를 받아 송신과 수신 대역을 분리한 후 각각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듀플렉서를 통과한 신호는 송신과 수신 대역이 분리되어 출력되며, 송신 신호는 송신 증폭부(220)로 전달되고 수신 신호는 수신 바이패스부(230)로 전달된다.
상기 송신 증폭부(220)는, 상기 듀플렉서(240)로부터 송신 신호를 받아 이를 다시 증폭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크게 분배기(221)와 제 1 및 제 2 주 증폭기들(222, 224, 223, 225), 그리고 합성기(226)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기(221)에 입력된 송신 신호는 동진폭, 동위상으로 2경로 분배된 후 각 경로의 제 1 주 증폭기들(222, 224)과 제 2 주 증폭기들(223, 225)에 의해 소정 이득으로 증폭한 다음 이를 다시 합성기(226)로 합성하여 출력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고출력 증폭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합성기(226)로 출력된 송신 신호는 아이솔레이터(227)를 통과함으로써 한쪽 방향으로만 전달된다. 상기 아이솔레이터(227)는 순방향 신호만 통과시키고 역방향 신호는 차단하여 상기 증폭기들과 장비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신 바이패스부(230)는, 상기 듀플렉서(240)로부터 수신 신호를 받아 이를 저손실로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바이패스 선로(231)와 아이솔레이터(227)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는, 상기 전치 증폭단(210)에 송신 또는 수신 신호가 입력되어 소정 이득으로 저잡음 증폭되어 듀플렉서(240)에 의해 송신 및 수신 경로가 분리된 후, 상기 송신 신호는 송신 증폭부(220)에 의해 고출력으로 다시 증폭되고 수신 신호는 수신 바이패스부(230)에 의해 저손실로 통과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를 이용한 중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중계장치는, 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과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링크 안테나(301)와, 상기 링크 안테나로 전송되는 역방향 수신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1 방향성 결합기(302)와,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와 접속되어 송수신 신호의 경로를 분리하는 제 1 듀플렉서(303)와, 상기 제 1 듀플렉서로부터의 송신 신호와 제 2 듀플렉서(306)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여 증폭기 유니트(200)로 전달하는 T-정션(305)과, 상기 T-정션에 의해 하나의 경로로 결합된 송수신 신호가 입력되어 전치 증폭단(210)에서 증폭된 후 듀플렉서(240)에 의해 송신 및 수신 대역만이 필터링되어 그 경로가 분리된 다음 송신 신호가 송신 증폭부(220)에 의해 증폭되고 수신 신호는 수신 바이패스부(230)에 의해 저손실로 통과되는 증폭기 유니트(200)와, 상기 증폭기 유니트로부터의 송신 신호와 상기 T-정션으로의 수신 신호를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제 2 듀플렉서(306)와, 상기 제 2 듀플렉서를 거쳐 전송되는 순방향 송신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2 방향성 결합기(307)와, 상기 제 2 듀플렉서의 출력을 받아 음영지역 내의 단말기와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커버리지 안테나(308)와,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수신 신호와 상기 제 2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송신 신호를 검출하여 그 신호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송수신 S/A부(304)로 구성된다.
상기 증폭기 유니트(200)는, 크게 전치 증폭단(210)과 듀플렉서(240)와 송신 증폭부(220) 및 수신 바이패스부(2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치 증폭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 증폭기들(211, 212, 213)로 구성되어 상기 T-정션에 의해 하나의 경로로 결합된 송수신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듀플렉서는 전치 증폭단의 출력 신호를 받아 송신 및 수신 대역만을 각각 필터링하여 그 경로를 분리하여 각각 송신 증폭부와 수신 바이패스부로 전달한다. 상기 송신 증폭부는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경로의 신호를 분배하여 증폭하고 다시 합성하여 고출력 신호를 후술하는 제 2 듀플렉서(306)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바이패스부는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경로의 신호를 저손실로 통과시켜 상기 제 1 듀플렉서(303)로 전송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을 간략화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 2의 증폭기 유니트(200)를 전치 증폭단(210)과 듀플렉서(240)와 송신 증폭부(220) 및 수신 바이패스부(230)만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먼저 송신 신호의 경로는, 링크 안테나(301)에 의해 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링크 안테나로 수신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제 1 듀플렉서(303)와 T-정션(305)을 거쳐 증폭기 유니트(200)로 전달된다. 상기 증폭기 유니트는 상기 송신 신호를 전치 증폭단(210)에서 1차 저잡음 증폭한 후 듀플렉서(240)에 의해 송신 대역만이 필터링되어 송신 증폭부(220)에 의해 다시 고출력 신호로 증폭되고, 제 2 듀플렉서(306)와 커버리지 안테나(308)를 통해 음영지역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제 2 듀플렉서와 커버리지 안테나 사이에는 제 2 방향성 결합기(307)가 구비되어 상기 송신 신호를 분기시켜 송수신 S/A부(304)로 전달하며, 상기 송수신 S/A부는 송신 신호의 출력레벨을 검출하고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수신 신호의 경로는, 커버리지 안테나(308)에 의해 음영지역 내의 단말기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커버리지 안테나로 수신된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제 2 듀플렉서(306)와 T-정션(305)을 거쳐 증폭기 유니트(200)로 전달된다. 상기 증폭기 유니트는 상기 수신 신호를 전치 증폭단(210)에서 소정 이득만큼 저잡음 증폭한 후 듀플렉서(240)에 의해 수신 대역만이 필터링되어 수신 바이패스부(230)에 의해 저손실로 통과되고, 제 1 듀플렉서(303)와 링크 안테나(301)를 통해 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제 1 듀플렉서와 링크 안테나 사이에는 제 1 방향성 결합기(302)가 구비되어 상기 수신 신호를 분기시켜 송수신 S/A부(304)로 전달하며, 상기 송수신 S/A부는 수신 신호의 출력레벨을 검출하고 모니터링하게 된다.
도 5와 도 6은 각각 상기 도 4에서 다운링크와 업링크 신호 경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에서 다운링크 경로, 즉 송신 신호의 전달 경로는,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안테나(301)에 의해 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듀플렉서(303)와 T-정션(305)을 거쳐 증폭기 유니트(200)에서 증폭한 후 제 2 듀플렉서(306)와 커버리지 안테나(308)를 통해 음영지역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6에서 업링크 경로, 즉 수신 신호의 전달 경로는,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리지 안테나(308)에 의해 음역지역 내의 단말기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듀플렉서(306)와 T-정션(305)을 거쳐 증폭기 유니트(200)에서 증폭한 후 제 1 듀플렉서(303)와 링크 안테나(301)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와함께, 상기 제 1 듀플렉서와 링크 안테나 사이에 구비된 제 1 방향성 결합기(302)는 상기 수신 신호, 즉 업링크 신호를 분기시켜 송수신 S/A부(304)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듀플렉서와 커버리지 안테나 사이에 구비된 제 2 방향성 결합기(307)는 상기 송신 신호, 즉 다운링크 신호를 분기시켜 송수신 S/A부(304)로 전달하며, 상기 송수신 S/A부는 이들 송수신 신호의 출력레벨을 검출하고 모니터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는, 송신 및 수신단의 전력 증폭기에 있어서 송수신 경로를 이중 루프로 형성하여 전치 증폭단을 공용함으로써 송수신 경로의 손실을 줄이고 증폭부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송수신용 고주파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를 이용한 중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상기 도 3을 간략화한 도면.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다운링크 신호 경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상기 도 4에서 업링크 신호 경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송신 증폭부 102. 수신 증폭부
110, 130. 전치 증폭단 111, 131. 제 1 전치 증폭기
112, 132. 제 2 전치 증폭기 113. 제 3 전치 증폭기
120, 140. 주 증폭단 121. 분배기
122, 124, 141. 제 1 주 증폭기 123, 125, 142. 제 2 주 증폭기
126. 합성기 127, 143. 아이솔레이터
200. 증폭기 유니트 210. 전치 증폭단
211. 제 1 전치 증폭기 212. 제 2 전치 증폭기
213. 제 3 전치 증폭기 220. 송신 증폭부
221. 분배기 222, 224. 제 1 주 증폭기
223, 225. 제 2 주 증폭기 226. 합성기
227, 232. 아이솔레이터 230. 바이패스부
231. 바이패스 선로 240. 듀플렉서
301. 링크 안테나 302. 제 1 방향성 결합기
303. 제 1 듀플렉서 304. 송수신 S/A부
305. T-정션 306. 제 2 듀플렉서
307. 제 2 방향성 결합기 308. 커버리지 안테나

Claims (5)

  1. 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재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 증폭기로 구성되어 송신 또는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전치 증폭단;
    상기 전치 증폭단의 출력 신호를 송신 및 수신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그 경로를 분리하는 듀플렉서;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경로의 신호를 분배하여 증폭하고 다시 합성하여 고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 증폭부; 및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경로의 신호를 저손실로 통과시키는 수신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2. 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재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과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링크 안테나;
    상기 링크 안테나로 전송되는 역방향 수신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1 방향성 결합기;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와 접속되어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제 1 듀플렉서;
    상기 제 1 듀플렉서로부터의 송신 신호와 제 2 듀플렉서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T-정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 증폭기로 구성되어 상기 T-정션에 의해 하나의 경로로 결합된 송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전치 증폭단;
    상기 전치 증폭단의 출력 신호를 송신 및 수신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그 경로를 분리하는 듀플렉서;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경로의 신호를 분배하여 증폭하고 다시 합성하여 고출력 신호를 제 2 듀플렉서로 전송하는 송신 증폭부;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경로의 신호를 저손실로 통과시켜 상기 제 1 듀플렉서로 전송하는 수신 바이패스부;
    상기 송신 증폭부로부터의 송신 신호와 상기 T-정션으로의 수신 신호를 하나의 경로로 결합하는 제 2 듀플렉서;
    상기 제 2 듀플렉서를 거쳐 전송되는 순방향 송신 신호를 분기시키는 제 2 방향성 결합기;
    상기 제 2 듀플렉서의 출력을 받아 음영지역 내의 단말기와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커버리지 안테나;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수신 신호와 상기 제 2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분기된 송신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송수신 S/A부;를 포함하는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를 이용한 중계장치.
  3. 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재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치 증폭단에 입력되는 송신 또는 수신 신호를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고, 상기 전치 증폭단의 출력 신호를 듀플렉서에 의해 송신 및 수신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그 경로를 분리한 후,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경로의 신호는 송신 증폭부에 의해 다시 증폭하여 고출력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경로의 신호는 수신 바이패스부에 의해 저손실로 통과시키는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의 경로는,
    상기 전치 증폭단에 입력되어 저잡음 증폭된 후 상기 듀플렉서에 의해 송신 신호 대역만이 분리되어 상기 송신 증폭부에 의해 고출력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경로는,
    상기 전치 증폭단에 입력되어 저잡음 증폭된 후 상기 듀플렉서에 의해 수신 신호 대역만이 분리되어 상기 수신 바이패스부에 의해 저손실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KR20-2005-0012501U 2005-05-04 2005-05-04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KR200389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501U KR200389952Y1 (ko) 2005-05-04 2005-05-04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501U KR200389952Y1 (ko) 2005-05-04 2005-05-04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952Y1 true KR200389952Y1 (ko) 2005-07-18

Family

ID=4369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501U KR200389952Y1 (ko) 2005-05-04 2005-05-04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9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36B1 (ko) * 2009-03-04 2010-12-23 주식회사 네이버스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WO2016105060A1 (ko) *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쏠리드 단일 입력 다중 출력 구조를 갖는 증폭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36B1 (ko) * 2009-03-04 2010-12-23 주식회사 네이버스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WO2016105060A1 (ko) *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쏠리드 단일 입력 다중 출력 구조를 갖는 증폭 장치
KR101855166B1 (ko) * 2014-12-22 2018-05-09 주식회사 쏠리드 단일 입력 다중 출력 구조를 갖는 증폭 장치
US10333481B2 (en) 2014-12-22 2019-06-25 Solid, Inc. Amplification apparatus having single-input multi-outpu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965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리모트 장치
US6993286B2 (en) Dual band bidirectional amplifi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604813B1 (ko) Pla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200389952Y1 (ko)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KR101045760B1 (ko) 방향성 커플러를 이용한 브이에이치에프용 능동형 무전기 안테나 분배기
US20060234627A1 (en) Mobile radio combiner and multi-coupler unit
KR20060087696A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안테나 확장 장치
KR101879286B1 (ko) 터널 내 2주파 단신 중계 시스템
JP4075759B2 (ja) 送受信フィルタ装置および通信装置
US6211732B1 (en) Comb linear amplifier combiner (CLAC)
JP2863704B2 (ja) 多チャンネル移動無線中継装置
JP2004048200A (ja) 無線中継装置
KR20080105803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중계기
US7277725B1 (en) Frequency agile-collocated multi-signal RF distribution system
KR101855166B1 (ko) 단일 입력 다중 출력 구조를 갖는 증폭 장치
KR100365108B1 (ko) 수동 소자 상호 변조 왜곡 개선 장치
KR200253699Y1 (ko)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 안테나 일체형 송수신 타워마운트 앰프
KR960020034A (ko) 지하 종합무선중계기용 콤바인
KR19980071940A (ko)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
KR200400111Y1 (ko) 피드 포워드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용 중계기
KR101911356B1 (ko)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JP2006109257A (ja) デュアル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
KR100618092B1 (ko) 티디디 방식을 이용한 휴대인터넷용 무선중계기
KR100693745B1 (ko) 다이버시티를 활용한 무선 이동통신용 중계기
KR100697470B1 (ko) Tdd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