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356B1 -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356B1
KR101911356B1 KR1020180044953A KR20180044953A KR101911356B1 KR 101911356 B1 KR101911356 B1 KR 101911356B1 KR 1020180044953 A KR1020180044953 A KR 1020180044953A KR 20180044953 A KR20180044953 A KR 20180044953A KR 101911356 B1 KR101911356 B1 KR 10191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dd
tdd
multiplex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셀
Priority to KR102018004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복신 (TDD) 및 주파수 분할 복신 (FDD)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는, FDD 하향링크(DL: Downlink) RF 신호를 제1 안테나와 제1 멀티플렉서를 거쳐 제1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FDD DL 중계부; TDD DL RF 신호를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1 멀티플렉서를 거쳐 하이브리드 DPDT 내의 제2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TDD DL 중계부; FDD 상향링크(UL: Uplink) RF 신호를 제2 안테나와 제2 멀티플렉서를 거쳐 제3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FDD UL 중계부; 및 TDD UL RF 신호를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2 멀티플렉서를 거쳐 상기 하이브리드 DPDT 내의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TDD UL 중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잡음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FDD DL RF 신호, 상기 TDD DL RF 신호 및 상기 FDD UL RF 신호를 결합하는 제1 신호 결합기를 더 포함하여, 하드웨어를 일부 공유하는 구조에 따라 소비 전력 감소, 공간 배치 최소화 및 소요 부품 감소에 따른 원가 감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RF RELAY APPARATUS USING TIME DIVISION DUPLEX AND FREQUNECY DIVISION DUPLEX}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시분할 복신 (TDD) 및 주파수 분할 복신 (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TDD 및 FDD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 중계 방식을 지원하는 RF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TDD)) 방식에 따른 무선 송수신은, 시분할 전송 방식에서 1개의 프레임 내부를 송신용과 수신용으로 분할하여 1개의 주파수로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반면에,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FDD)) 방식에 따른 무선 송수신은, 주파수 분할 전송 방식에서 동일한 시간 프레임 (또는 슬롯)에서 서로 다른 2개의 주파수로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FDD 방식에 따른 무선 송수신은 신호를 송신하면서 동시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었다. 하지만,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량은 증가하는데 비해, 이동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량은 그렇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수신 경향을 고려하여 TDD 방식을 일부 이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시분할 복신 (TDD) 및 주파수 분할 복신 (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 또는 RF 중계 장치를 적응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TDD 및 FDD 방식을 모두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하드웨어 부품들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모든 하드웨어 부품들, 특히 RF 부품 등을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부품 공간 배치 면적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든 하드웨어 부품들, 특히 RF 부품 등을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소요 부품 증가에 따라 시스템 원가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FDD 경로와 TDD 경로에서 하드웨어를 일부 공유하는 구조로, TDD 및 FDD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높은 송수신 분리도를 달성하면서, 동시에 초소형으로 설계될 수 있는, TDD 및 FDD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복신 (TDD) 및 주파수 분할 복신 (FDD)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는, FDD 하향링크(DL: Downlink) RF 신호를 제1 안테나와 제1 멀티플렉서를 거쳐 제1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FDD DL 중계부; TDD DL RF 신호를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1 멀티플렉서를 거쳐 하이브리드 DPDT 내의 제2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TDD DL 중계부; FDD 상향링크(UL: Uplink) RF 신호를 제2 안테나와 제2 멀티플렉서를 거쳐 제3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FDD UL 중계부; 및 TDD UL RF 신호를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2 멀티플렉서를 거쳐 상기 하이브리드 DPDT 내의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TDD UL 중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잡음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FDD DL RF 신호, 상기 TDD DL RF 신호 및 상기 FDD UL RF 신호를 결합하는 제1 신호 결합기를 더 포함하여, 하드웨어를 일부 공유하는 구조에 따라 소비 전력 감소, 공간 배치 최소화 및 소요 부품 감소에 따른 원가 감소가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FDD DL RF 신호, 상기 TDD DL RF 신호 및 상기 FDD UL RF 신호를 IF 주파수 변환하여 FDD DL IF 신호, TDD D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IF 변환부; 상기 FDD DL IF 신호, 상기 TDD DL IF 신호 및 상기 FDD UL IF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 상에서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는 제1 IF 대역 필터; 및 상기 FDD DL IF 신호, 상기 TDD DL IF 신호 및 상기 FDD UL IF 신호를 결합하는 제2 신호 결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TDD DL RF 신호는 상기 하이브리드 DPDT 내의 제1 폐루프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신호 결합기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된 상기 FDD DL IF 신호, 상기 TDD UL IF 신호 및 상기 FDD UL IF 신호를 RF 주파수 변환하여 제2 FDD DL RF 신호, 제2 TDD UL RF 신호 및 제2 FDD UL RF 신호를 출력하는 RF 변환부; 상기 제2 FDD DL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전력 증폭부; 상기 제2 FDD UL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전력 증폭부; 및 상기 제2 TDD DL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3 전력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전력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제2 FDD DL RF 신호는 상기 제2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2 안테나를 거쳐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2 전력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제2 FDD UL RF 신호와 상기 제3 전력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제2 TDD UL RF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를 거쳐 기지국(base station)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2 TDD UL RF 신호는 상기 하이브리드 DPDT 내의 UL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멀티플렉서는, 제1주파수 대역의 상기 FDD DL RF 신호를 제1경로로, 제2주파수 대역의 상기 FDD UL RF 신호를 제2경로로, 제3주파수 대역의 상기 TDD DL RF 신호와 상기 TDD UL RF 신호를 제3경로로 분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DD DL RF 신호가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를 통해 상기 RF부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TDD UL RF 신호가 상기 하이브리드 DPDT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멀티플렉서는, 제1주파수 대역의 상기 FDD DL RF 신호를 제1경로로, 제2주파수 대역의 상기 FDD UL RF 신호를 제2경로로, 제3주파수 대역의 상기 TDD DL RF 신호와 상기 TDD UL RF 신호를 제3경로로 분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DD UL RF 신호가 상기 하이브리드 DPDT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TDD DL RF 신호가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를 통해 상기 RF부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FDD DL 중계부는, 상기 제1 멀티플렉서, 상기 제1 저잡음 증폭부, 제1 신호 결합기, 제1 IF 변환기, 제1 신호 분배기, 제1 IF 대역 필터, 제2 신호 결합기, RF 변환부, 제2 신호 분배기, 제1 전력 증폭부 및 제2 멀티플렉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FDD DL 중계부는, 상기 제1 멀티플렉서, 제2 SPDT,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 제1 SPDT, RF부, 상기 제1 신호 결합기, 상기 제1 IF 변환기, 상기 제1 신호 분배기, 상기 제1 IF 대역 필터, 상기 제2 신호 결합기, 상기 RF 변환부, 상기 제2 신호 분배기, 제3 전력 증폭부, 제3 SPDT, 제4 SPDT 및 상기 제2 멀티플렉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FDD UL 중계부는, 상기 제2 멀티플렉서, 상기 제3 저잡음 증폭부, 제1 신호 결합기, 제1 IF 변환기, 제1 신호 분배기, 제1 IF 대역 필터, 제2 신호 결합기, RF 변환부, 제2 신호 분배기, 제2 전력 증폭부 및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DD UL 중계부는, 상기 제2 멀티플렉서, 제4 SPDT,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 제1 SPDT, RF부, 상기 제1 신호 결합기, 상기 제1 IF 변환부, 상기 제1 신호 분배기, 상기 제1 IF 대역 필터, 상기 제2 신호 결합기, 상기 RF 변환부, 상기 제2 신호 분배기, 제3 전력 증폭부, 제3 SPDT, 제2 SPDT 및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는, 하드웨어를 일부 공유하는 구조에 따라 소비 전력 감소, 공간 배치 최소화 및 소요 부품 감소에 따른 원가 감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는, RF 부품을 별도 채널로 구성하면서 IF 부품을 공유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높은 송수신 분리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는, 향후 서비스 예정인 5G (TDD 방식) 서비스와 기존 3G 또는 4G (FDD 방식) 서비스를 통합 하는 통합형 RF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FDD DL 중계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DD DL 중계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FDD UL 중계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DD UL 중계부를 나타낸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신호 분리 동작을 위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신호 분리 동작을 위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링크를 하향링크(DL: Downlink)로,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링크를 상향링크(UL: Uplink)로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장치(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와 이동국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장치(100)는 제1입출력 모듈(101) (FEM: Front End Module), 제1 저잡음 증폭부(LNA, 102), 제1 IF/RF 변환부(103), 제1 전력 증폭부(104) 및 제2 입출력 모듈(105)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저잡음 증폭부(LNA, 102), 제1 IF/RF 변환부(103), 제1 전력 증폭부(104)는 FDD DL 중계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장치(100)는 제2 저잡음 증폭부(106), 제2 IF/RF 변환부(107) 및 제2 전력 증폭부(108)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2 저잡음 증폭부(106), 제2 IF/RF 변환부(107) 및 제2 전력 증폭부(108)는 FDD UL 중계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장치(100)는 제3 저잡음 증폭부(109), 제3 IF/RF 변환부(110) 및 제3 전력 증폭부(111)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3 저잡음 증폭부(109), 제2 IF/RF 변환부(110) 및 제3 전력 증폭부(111)는 TDD DL 중계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장치(100)는 제4 저잡음 증폭부(112), 제4 IF/RF 변환부(113) 및 제4 전력 증폭부(114)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4 저잡음 증폭부(112), 제4 IF/RF 변환부(113) 및 제4 전력 증폭부(114)는 TDD UL 중계부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 (100)는, 제1 안테나를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제2 안테나를 통해 이동국으로 전송함으로써, 하향링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 (100)는, 제2 안테나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제1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상향링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 (100)는, 각각의 경로(Path)의 하드웨어를 공유한다는 개념이 없어 장비/부품의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제품의 사이즈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 (100)는, 모든 경로 별로 저잡음 증폭부와 전력 증폭부 이외에 IF/RF 변환부(103, 107, 110, 113)이 별도로 존재함에 따라, 초소형으로 설계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여기서,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는 TDD 및 FDD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로도 지칭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링크를 하향링크(DL: Downlink)로,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링크를 상향링크(UL: Uplink)로 지칭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장치(400)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와 이동국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장치(400)는 제1 멀티플렉서(401), 제1 저잡음 증폭부(LNA, 402), 제1 전력 증폭부(410) 및 제2 멀티플렉서(411)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멀티플렉서(401)와 제2 멀티플렉서(411)를 각각 DL 멀티플렉서(401)와 UL 멀티플렉서(411)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장치(400)는 FDD DL 중계부, FDD UL 중계부, TDD DL 중계부 및 TDD UL 중계부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FDD DL 중계부, TDD DL 중계부, FDD UL 중계부 및 TDD UL 중계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하이브리드 DPDT(420)는 제2 저잡음 증폭부(421a, 421b) 및 제1 내지 제4 SPDT(422 내지 425)를 포함한다.
먼저,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FDD DL 중계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으로부터의 FDD DL 신호가 제1 안테나, FDD DL 중계부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이동국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FDD DL 중계부는 제1 멀티플렉서(401), 제1 저잡음 증폭부(402), 제1 신호 결합기(403), 제1 IF 변환기(404), 제1 신호 분배기(405), 제1 IF 대역 필터(406), 제2 신호 결합기(407), RF 변환부(408), 제2 신호 분배기(409), 제1 전력 증폭부(410) 및 제2 멀티플렉서(411)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멀티플렉서(401), 제1 저잡음 증폭부(402), 제1 전력 증폭부(410) 및 제2 멀티플렉서(411)는 FDD DL 중계부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FDD DL 중계부는 FDD DL RF 신호를 제1 안테나와 제1 멀티플렉서(401)를 거쳐 제1 저잡음 증폭부(402)로 전송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DD DL 중계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으로부터의 TDD DL 신호가 제1 안테나, TDD DL 중계부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이동국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TDD DL 중계부는 제1 멀티플렉서(401), 제2 SPDT(423), 제2 저잡음 증폭부(421b), 제1 SPDT(422), RF부(416), 제1 신호 결합기(403), 제1 IF 변환기(404), 제1 신호 분배기(405), 제1 IF 대역 필터(417), 제2 신호 결합기(407), RF 변환부(408), 제2 신호 분배기(409), 제3 전력 증폭부(418), 제3 SPDT(424), 제4 SPDT(425) 및 제2 멀티플렉서(411)로 구성된다.
따라서, FDD DL 중계부와 TDD DL 중계부는 제1 신호 결합기(403), 제1 IF 변환기(404), 제1 신호 분배기(405)를 공유한다. 또한, FDD DL 중계부와 TDD DL 중계부는 제2 신호 결합기(407), RF 변환부(408), 제2 신호 분배기(409)를 공유한다.
한편, 제1 안테나와 제1 멀티플렉서(401)를 거쳐 하이브리드 DPDT(420) 내의 제2 저잡음 증폭부(421)는 TDD DL 중계부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TDD DL 중계부에서는 TDD DL RF 신호를 제1 안테나와 제1 멀티플렉서(401)를 거쳐 하이브리드 DPDT(420) 내의 제2 저잡음 증폭부(421)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멀티플렉서(401), 제2 저잡음 증폭부(421), 제3 전력 증폭부(418) 및 제2 멀티플렉서(411)는 TDD DL 중계부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FDD UL 중계부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국으로부터의 FDD UL 신호가 제2 안테나, FDD UL 중계부 및 제1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FDD UL 중계부는 제2 멀티플렉서(411), 제3 저잡음 증폭부(412), 제1 신호 결합기(403), 제1 IF 변환기(404), 제1 신호 분배기(405), 제1 IF 대역 필터(413), 제2 신호 결합기(407), RF 변환부(408), 제2 신호 분배기(409), 제2 전력 증폭부(414) 및 제1 멀티플렉서(401)로 구성된다.
따라서, FDD UL 중계부, FDD DL 중계부와 TDD DL 중계부는 제1 신호 결합기(403), 제1 IF 변환기(404), 제1 신호 분배기(405)를 공유한다. 또한, FDD UL 중계부, FDD DL 중계부와 TDD DL 중계부는 제2 신호 결합기(407), RF 변환부(408), 제2 신호 분배기(409)를 공유한다.
한편, 제2 멀티플렉서(411), 제3 저잡음 증폭부(412), 제2 전력 증폭부(414) 및 제1 멀티플렉서(401)는 FDD UL 중계부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FDD UL 중계부는 FDD UL RF 신호를 제2 안테나와 제2 멀티플렉서(411)를 거쳐 제3 저잡음 증폭부(412)로 전송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TDD UL 중계부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국으로부터의 TDD UL 신호가 제2 안테나, TDD UL 중계부 및 제1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TDD UL 중계부는 제2 멀티플렉서(411), 제4 SPDT(425), 제2 저잡음 증폭부(421a), 제1 SPDT(422), RF부(416), 제1 신호 결합기(403), 제1 IF 변환부(404), 제1 신호 분배기(405), 제1 IF 대역 필터(417), RF 변환부(408), 제2 신호 분배기(409), 제2 신호 결합기(407), 제3 전력 증폭부(418), 제3 SPDT(424), 제2 SPDT(423) 및 제1 멀티플렉서(401)로 구성된다.
따라서, TDD UL 중계부와 TDD DL 중계부는 RF부(416), 제1 신호 결합기(403), 제1 IF 변환부(404), 제1 신호 분배기(405), 제1 IF 대역 필터(417), RF 변환부(408), 제2 신호 분배기(409), 제2 신호 결합기(407), 제3 전력 증폭부(418), 제3 SPDT(424)를 공유한다.
한편, 제2 저잡음 증폭부(421a) 및 제3 전력 증폭부(418)를 이용하여 TDD UL 중계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멀티플렉서(411), 제2 저잡음 증폭부(421a), 제3 전력 증폭부(418) 및 제1 멀티플렉서(401)는 TDD UL 중계부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TDD UL 중계부는 TDD UL RF 신호를 제2 안테나와 제2 멀티플렉서(411)를 거쳐 하이브리드 DPDT(420) 내의 제2 저잡음 증폭부(421a)로 전송한다. 이때, 제3 전력 증폭부(418)는 전술한 TDD DL 주파수 대역과 TDD UL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동작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TDD 방식에서 DL/UL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경우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제3 전력 증폭부(418)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여야 한다.
한편, 전술한 제1 및 제3 저잡음 증폭부(402, 412)는 저잡음 증폭기, 가변 감쇠기(variable attenuator) 및 대역 통과 필터(BPF: Band Pass Filter)로 구성되어, 원하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 잡음 특성과 이득 특성이 조절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전력 증폭부(410, 414, 418)는 대역 통과 필터, 전력 증폭기, 고출력 증폭기(HPA: High Power Amplifier) 및 파워 미터(power meter)로 구성된다. 이때, 대역 통과 필터와 증폭기가 2단으로 연결되어 원하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필터링 특성이 향상되고, 출력 전력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파워 미터는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를 통해 특정 비율로 제2 경로 상의 전력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파워 미터에 의해 측정된 전력 및 신호 왜곡 특성에 기반하여 고출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을 동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한편, 제1 신호 결합기(403)는 제1 내지 제3 저잡음 증폭부(402, 421, 412)를 통과한 상기 FDD DL RF 신호, 상기 TDD DL RF 신호 및 상기 FDD UL RF 신호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신호 결합기(403)는 전술한 신호들을 결합하고, 또한, 해당 신호들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은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신호 결합기(403)는 제1 저잡음 증폭부(402)를 통과한 FDD DL RF 신호와 제2 저잡음 증폭부(421b)와 RF부(416)를 통과한 TDD DL RF 신호를 결합한다. 이때, TDD DL RF 신호는 하이브리드 DPDT(420) 내의 제1 폐루프 경로를 통해 제1 신호 결합기(403)로 제공된다. 여기서, 제1 폐루프 경로는 제2 SPDT(423), 제2 저잡음 증폭부(421b) 및 제1 SPDT(422)로 연결되는 경로이다. 이때, 제1 SPDT(422)와 제2 SPDT(4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두 번째 출력단과 첫번째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IF 변환부(404)는 FDD DL RF 신호, TDD DL RF 신호 및 FDD UL RF 신호를 IF 주파수 변환하여 FDD DL IF 신호, TDD D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1 신호 분배기(405)와 제1 IF 대역 필터(406, 413, 417)는 FDD DL IF 신호, TDD D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 상에서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신호 결합기(407)는 FDD DL IF 신호, TDD D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결합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IF 대역 필터(406, 413, 417)를 각각 제1 내지 제3 IF 대역 필터로 지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입력과 출력이 제1 신호 분배기(405)와 제2 신호 결합기(407)와 연결되는 공통점이 있어,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IF 대역 필터(406, 413, 417)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제1 IF 변환부(404)는 하향 주파수 믹서, 대역 통과 필터, 및 IF 증폭기로 구성되고, 대역 통과 필터, 및 IF 증폭기는 FDD DL IF 대역, TDD DL IF 대역 및 FDD UL IF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여야 한다. 또한, 하향 주파수 믹서는 FDD DL RF/IF/LO 대역, TDD DL RF/IF/LO 대역 및 FDD UL RF/IF/LO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FDD DL IF 대역, TDD DL IF 대역 및 FDD UL IF 대역 별로 동작하는 3개의 IF 변환부를 1개의 IF 변환부로 대체 가능하다.
또는, 전술된 제1신호 결합기(403), 제1 IF 변환부(404)는 FDD DL RF 신호, TDD DL RF 신호 및 FDD UL RF 신호가 아닌 FDD DL RF 신호, TDD UL RF 신호 및 FDD UL RF 신호를 결합하고 변환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즉, 제1 IF 변환부(404)는 FDD DL RF 신호, TDD UL RF 신호 및 FDD UL RF 신호를 IF 주파수 변환하여 FDD DL IF 신호, TDD U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1 신호 분배기(405)와 제1 IF 대역 필터(406, 413, 417)는 FDD DL IF 신호, TDD U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 상에서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신호 결합기(407)는 FDD DL IF 신호, TDD U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결합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IF 변환부(404)는 하향 주파수 믹서, 대역 통과 필터, 및 IF 증폭기로 구성되고, 대역 통과 필터, 및 IF 증폭기는 FDD DL IF 대역, TDD UL IF 대역 및 FDD UL IF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여야 한다. 또한, 하향 주파수 믹서는 FDD DL RF/IF/LO 대역, TDD UL RF/IF/LO 대역 및 FDD UL RF/IF/LO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FDD DL IF 대역, TDD UL IF 대역 및 FDD UL IF 대역 별로 동작하는 3개의 IF 변환부를 1개의 IF 변환부로 대체 가능하다.
또는, 전술된 제1신호 결합기(403), 제1 IF 변환부(404)는 모든 신호들 FDD DL RF 신호, TDD UL RF 신호, TDD DL RF 신호 및 FDD UL RF 신호를 결합하고 변환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FDD DL IF 대역, TDD UL IF 대역, TDD DL IF 대역 및 FDD UL IF 대역 별로 동작하는 4개의 IF 변환부를 1개의 IF 변환부로 대체 가능하다.
한편, 무선 송수신장치(400)는 RF 변환부(408), 제2 신호 분배기(4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신호 분배기(405), 제1 IF 대역 필터(406, 413, 417) 및 제2 신호 결합기(407) 없이 제1 IF 변환부(404)가 RF 변환부(408)와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신호 분배기(405), 제1 IF 대역 필터(406, 413, 417) 및 제2 신호 결합기(407)를 이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즉, FDD DL IF 신호, TDD D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제1 IF 대역 필터(406, 413, 417) 및 제2 신호 결합기(407)에 의해 분리/필터링/결합함으로써 잡음 및 인접 대역에서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IF 대역 별 신호 분리/필터링/결합에 따라 신호 선택도(signal selectivity) 및 신호 순도(signal integrity)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F 변환부(408)는 결합된 FDD DL IF 신호, TDD U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RF 주파수 변환하여 제2 FDD DL RF 신호, 제2 TDD UL RF 신호 및 제2 FDD UL RF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RF 변환부(408)는 TDD UL IF 신호를 대체하여, 또는 이에 추가하여 TDD DL IF 신호를 변환하여 제2 TDD DL RF 신호를 더 출력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때, RF 변환부(408)는 IF 증폭기, 가변 감쇠기 및 상향 주파수 믹서로 구성되고, IF 증폭기 및 가변 감쇠기는 FDD DL IF 대역, TDD UL IF 대역, FDD UL IF 대역 및 TDD DL IF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여야 한다. 또한, 상향 주파수 믹서는 FDD DL RF/IF/LO 대역, TDD UL RF/IF/LO 대역, FDD UL RF/IF/LO 대역 및 TDD DL RF/IF/LO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FDD UL/DL RF 대역과 TDD UL/DL RF 대역 별로 동작하는 3개 또는 4개의 RF 변환부를 1개의 RF 변환부로 대체 가능하다.
한편, 제1 전력 증폭부(410)는 제2 FDD DL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전력 증폭부(414)는 제2 FDD UL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3 전력 증폭부(418)는 제2 TDD UL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3 전력 증폭부(418)는 제2 TDD UL RF 신호 외에 제2 TDD DL RF 신호를 더 증폭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때, 제1 전력 증폭부(410)를 통과한 제2 FDD DL RF 신호는 제2 멀티플렉서(411)와 제2안테나를 거쳐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전송된다. 한편, 제2 전력 증폭부(414)를 통과한 제2 FDD UL RF 신호와 제3 전력 증폭부(418)를 통과한 제2 TDD UL RF 신호는 제1 안테나를 거쳐 기지국(base station)으로 전송된다.
이때, 제3 전력 증폭부(418)를 통과한 제2 TDD UL RF 신호는 하이브리드 DPDT(420) 내의 UL 경로를 통해 제1 멀티플렉서(401)로 제공된다. 여기서, UL 경로는 제3 SPDT(424)와 제2 SPDT(423)을 경유하는 경로이다. 이때, 제3 SPDT(424)와 제2 SPDT(423)는 모두 두 번째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3 전력 증폭부(418)를 통과한 제2 TDD DL RF 신호는 하이브리드 DPDT(420) 내의 제2 폐루프 경로를 통해 제2 멀티플렉서로 제공된다. 여기서, 제2 폐루프 경로는 제3 SPDT(424) 및 제4 SPDT(425)로 연결되는 경로이다. 이때, 제3 SPDT(424)와 제4 SPDT(4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첫 번째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멀티플렉서(401)와 제2 멀티플렉서(411)에서의 신호 분리 동작과 구체적인 제어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신호 분리 동작을 위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신호 분리 동작을 위한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멀티플렉서(401)는 제1주파수 대역의 FDD DL RF 신호를 제1경로로, 제2주파수 대역의 FDD UL RF 신호를 제2경로로, 제3주파수 대역의 TDD DL RF 신호와 TDD UL RF 신호를 제3경로로 분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3의 하이브리드 DPDT(420)에 의해 제3주파수 대역의 TDD DL RF 신호와 TDD UL RF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450)는 TDD DL RF 신호와 TDD UL RF 신호의 전달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참조하면, 제어부(450)는 TDD DL RF 신호가 제2 저잡음 증폭부(421b)를 통해 RF부(416)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TDD DL RF 신호는 제1 SPDT(422)의 두 번째 단자와 제2 SPDT(423)의 첫 번째 단자를 통해 RF부(416)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TDD DL RF 신호는 제3 전력 증폭부(418)를 통해 제2 멀티플렉서(411)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TDD DL RF 신호는 제3 SPDT(424)의 첫 번째 단자와 제4 SPDT(425)의 첫 번째 단자를 통해 멀티플렉서(411)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TDD UL RF 신호가 하이브리드 DPDT(420)를 통과하여 제1 멀티플렉서(401)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TDD UL RF 신호는 제3 SPDT(424)의 두 번째 단자와 제2 SPDT(423)의 두 번째 단자를 통해 제1 멀티플렉서(401)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2 멀티플렉서(411)는 제1주파수 대역의 FDD DL RF 신호를 제1경로로, 제2주파수 대역의 FDD UL RF 신호를 제2경로로, 제3주파수 대역의 TDD DL RF 신호와 TDD UL RF 신호를 제3경로로 분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3의 하이브리드 DPDT(420)에 의해 제3주파수 대역의 TDD DL RF 신호와 TDD UL RF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450)는 TDD DL RF 신호와 TDD UL RF 신호의 전달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450)는 TDD UL RF 신호가 하이브리드 DPDT(420)를 통과하여 제1 멀티플렉서(401)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TDD UL RF 신호는 제4 SPDT(425)의 두 번째 단자와 제2 저잡음 증폭부(421a)와 제1 SPDT(422)의 첫 번째 단자를 통해 RF부(416)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TDD DL RF 신호가 제2 저잡음 증폭부(421b)를 통해 RF부(416)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TDD DL RF 신호는 제1 SPDT(422)의 두 번째 단자와 제2 SPDT(423)의 첫 번째 단자를 통해 RF부(416)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TDD DL RF 신호는 제3 전력 증폭부(418)를 통해 제2 멀티플렉서(411)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TDD DL RF 신호는 제3 SPDT(424)의 첫 번째 단자와 제4 SPDT(425)의 첫 번째 단자를 통해 제2 멀티플렉서(411)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 장치 또는 RF 중계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술된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 장치 또는 RF 중계장치는 신호 분배기를 통해서 FDD 경로와 TDD 경로의 하드웨어 공유 방식을 사용하며, 특히 IF 신호 변환부 와 RF 신호 변환부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TDD 및 FDD 방식의 무선 송수신 장치 또는 RF 중계장치는, 하드웨어를 일부 공유하는 구조에 따라 소비 전력 감소, 공간 배치 최소화 및 소요 부품 감소에 따른 원가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는, RF 부품을 별도 채널로 구성하면서 IF 부품을 공유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높은 송수신 분리도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DPDT의 적용으로 TDD 경로의 경우 높은 송수신 분리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는, 향후 서비스 예정인 5G (TDD 방식) 서비스와 기존 3G 또는 4G (FDD 방식) 서비스를 통합 하는 통합형 RF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 송수신장치
101, 105: 제1 입출력 모듈, 제2 입출력 모듈
102, 106, 109, 112: 제1 내지 제4 저잡음 증폭부
104, 108, 111, 114: 제1 내지 제4 전력 증폭부
400: 무선 송수신장치
401, 411: 제1 멀티플렉서, 제2 멀티플렉서
402, 421, 412: 제1 내지 제3 저잡음 증폭부
410, 414, 418: 제1 내지 제3 전력 증폭부
403, 407: 제1 및 제2 신호 결합부
405, 409: 제1 및 제4 신호 분배부
420: 하이브리드 DPDT

Claims (9)

  1. 시분할 복신 (TDD) 및 주파수 분할 복신 (FDD)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에 있어서,
    FDD 하향링크(DL: Downlink) RF 신호를 제1 안테나와 제1 멀티플렉서를 거쳐 제1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FDD DL 중계부;
    TDD DL RF 신호를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1 멀티플렉서를 거쳐 하이브리드 DPDT (Double Pole Double Throw) 내의 제2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TDD DL 중계부;
    FDD 상향링크(UL: Uplink) RF 신호를 제2 안테나와 제2 멀티플렉서를 거쳐 제3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FDD UL 중계부; 및
    TDD UL RF 신호를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2 멀티플렉서를 거쳐 상기 하이브리드 DPDT 내의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로 전송하는 TDD UL 중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잡음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FDD DL RF 신호, 상기 TDD DL RF 신호 및 상기 FDD UL RF 신호를 제1 RF 신호로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제1 RF 신호를 제1 IF 변환부로 전송하는 제1 신호 결합기; 및
    상기 FDD DL RF 신호, 상기 TDD DL RF 신호 및 상기 FDD UL RF 신호가 결합된 상기 제1 RF 신호를 IF 주파수 변환하여 FDD DL IF 신호, TDD DL IF 신호 및 FDD UL I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IF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RF 중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DD DL IF 신호, 상기 TDD DL IF 신호 및 상기 FDD UL IF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 상에서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는 제1 IF 대역 필터; 및
    상기 FDD DL IF 신호, 상기 TDD DL IF 신호 및 상기 FDD UL IF 신호를 결합하는 제2 신호 결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TDD DL RF 신호는 상기 하이브리드 DPDT 내의 제1 폐루프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신호 결합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결합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잡음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FDD DL RF 신호, 상기 TDD UL RF 신호 및 상기 FDD UL RF 신호를 결합하도록 재구성되고,
    상기 FDD DL RF 신호, 상기 TDD UL RF 신호 및 상기 FDD UL RF 신호를 IF 주파수 변환하여 FDD DL IF 신호, TDD UL IF 신호 및 상기 FDD UL R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IF 변환부;
    상기 FDD DL IF 신호, 상기 TDD UL IF 신호 및 상기 FDD UL IF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 상에서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는 제1 IF 대역 필터; 및
    상기 FDD DL IF 신호, 상기 TDD UL IF 신호 및 상기 FDD UL IF 신호를 결합하는 제2 신호 결합기를 더 포함하는, RF 중계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상기 FDD DL IF 신호, 상기 TDD UL IF 신호 및 상기 FDD UL IF 신호를 RF 주파수 변환하여 제2 FDD DL RF 신호, 제2 TDD UL RF 신호 및 제2 FDD UL RF 신호를 출력하는 RF 변환부;
    상기 제2 FDD DL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전력 증폭부;
    상기 제2 FDD UL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전력 증폭부; 및
    상기 제2 TDD UL RF 신호를 증폭하는 제3 전력 증폭부를 포함하는, RF 중계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제2 FDD DL RF 신호는 상기 제2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2안테나를 거쳐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2 전력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제2 FDD UL RF 신호와 상기 제3 전력 증폭부를 통과한 상기 제2 TDD UL RF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를 거쳐 기지국(base station)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2 TDD UL RF 신호는 상기 하이브리드 DPDT 내의 UL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중계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플렉서는,
    제1주파수 대역의 상기 FDD DL RF 신호를 제1경로로, 제2주파수 대역의 상기 FDD UL RF 신호를 제2경로로, 제3주파수 대역의 상기 TDD DL RF 신호와 상기 TDD UL RF 신호를 제3경로로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TDD DL RF 신호가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를 통해 RF부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TDD UL RF 신호가 상기 하이브리드 DPDT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RF 중계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플렉서는,
    제1주파수 대역의 상기 FDD DL RF 신호를 제1경로로, 제2주파수 대역의 상기 FDD UL RF 신호를 제2경로로, 제3주파수 대역의 상기 TDD DL RF 신호와 상기 TDD UL RF 신호를 제3경로로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TDD UL RF 신호가 상기 하이브리드 DPDT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TDD DL RF 신호가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를 통해 RF부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RF 중계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DD DL 중계부는,
    상기 제1 멀티플렉서, 상기 제1 저잡음 증폭부, 제1 신호 결합기, 제1 IF 변환부, 제1 신호 분배기, 제1 IF 대역 필터, 제2 신호 결합기, RF 변환부, 제2 신호 분배기, 제1 전력 증폭부 및 제2 멀티플렉서로 구성되고,
    상기 TDD DL 중계부는,
    상기 제1 멀티플렉서, 제2 SPDT (Single Pole Double Throw),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 제1 SPDT, RF부, 상기 제1 신호 결합기, 상기 제1 IF 변환부, 상기 제1 신호 분배기, 상기 제1 IF 대역 필터, 상기 제2 신호 결합기, 상기 RF 변환부, 상기 제2 신호 분배기, 제3 전력 증폭부, 제3 SPDT, 제4 SPDT 및 상기 제2 멀티플렉서로 구성되는, RF 중계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DD UL 중계부는,
    상기 제2 멀티플렉서, 상기 제3 저잡음 증폭부, 제1 신호 결합기, 제1 IF 변환부, 제1 신호 분배기, 제1 IF 대역 필터, 제2 신호 결합기, RF 변환부, 제2 신호 분배기, 제2 전력 증폭부 및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구성되고,
    상기 TDD UL 중계부는,
    상기 제2 멀티플렉서, 제4 SPDT, 상기 제2 저잡음 증폭부, 제1 SPDT, RF부, 상기 제1 신호 결합기, 상기 제1 IF 변환부, 상기 제1 신호 분배기, 상기 제1 IF 대역 필터, 상기 제2 신호 결합기, 상기 RF 변환부, 상기 제2 신호 분배기, 제3 전력 증폭부, 제3 SPDT, 제2 SPDT 및 상기 제1 멀티플렉서로 구성되는, RF 중계장치.
KR1020180044953A 2018-04-18 2018-04-18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KR10191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53A KR101911356B1 (ko) 2018-04-18 2018-04-18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953A KR101911356B1 (ko) 2018-04-18 2018-04-18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356B1 true KR101911356B1 (ko) 2018-10-24

Family

ID=6413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953A KR101911356B1 (ko) 2018-04-18 2018-04-18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3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79B1 (ko) * 2006-08-30 2008-01-30 주식회사 휴텍이일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방식의 마이크로웨이브중계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79B1 (ko) * 2006-08-30 2008-01-30 주식회사 휴텍이일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방식의 마이크로웨이브중계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044B2 (en) Universal remote radio head
US7450853B2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base station
KR100651544B1 (ko) 다종 서비스를 수용하는 광-무선 링크 시스템
WO2013189404A1 (zh) 一种多工器
US20020123306A1 (en) Channelized booster amplifier for cellular communications
KR101479962B1 (ko) 대역 가변형 필터 장치 및 이동통신 중계기
KR100788872B1 (ko) 송수신 안테나 분리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
KR101045760B1 (ko) 방향성 커플러를 이용한 브이에이치에프용 능동형 무전기 안테나 분배기
CN113228521B (zh) 一种收发分离电路、收发机以及无线通信设备
EP2733976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input-multi-output signals
KR101911356B1 (ko)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EP189173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mproved feeder shar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1911355B1 (ko)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KR101911354B1 (ko)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KR20080105803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중계기
KR100473992B1 (ko) 시분할 방식 중계기에 파워 스위치 모듈을 사용함으로써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의 중계기
KR100854684B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tdd 시스템
KR101182035B1 (ko) 복수안테나를 구비한 원격 기지국 유닛 및 양방향 광 무선네트워크
KR100784149B1 (ko) 듀얼 타입 시분할 송수신 장치
WO2024016125A1 (zh) 一种射频隔离模块及通信系统
KR101943310B1 (ko) 송수신 분리도를 개선한 시분할 복신 방식의 무선 송수신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시스템
JP2007116340A (ja) 通信中継装置
KR20150054234A (ko) Mimo 중계장치
KR20160089351A (ko) 단일 입력 다중 출력 구조를 갖는 증폭 장치
JP2022032406A (ja) リピ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