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736B1 -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736B1
KR101003736B1 KR1020090018597A KR20090018597A KR101003736B1 KR 101003736 B1 KR101003736 B1 KR 101003736B1 KR 1020090018597 A KR1020090018597 A KR 1020090018597A KR 20090018597 A KR20090018597 A KR 20090018597A KR 101003736 B1 KR101003736 B1 KR 101003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plexer
input
circulator
intermodulation distor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979A (ko
Inventor
정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버스
Priority to KR102009001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7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9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수신 듀플렉서, 써큘레이터와 감쇄기로 구성된 송수신 공용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공용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는, 서비스 안테나와 중계기(또는 기지국) 사이에 위치되며, 입력단 듀플렉서, 제1 써큘레이터, 감쇄기, 제2 써큘레이터 및 출력단 듀플렉서로 구성되며, 기지국 송신신호와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만을 상기 제1 써큘레이터, 감쇄기 및 제2 써큘레이터를 거쳐서 제거하고 상기 기지국 송신신호는 송신되도록 하여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듀플렉서, 써큘레이터, 감쇄기, 분배기, 링크 안테나, 서비스 안테나, 전력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분배기, 급전 케이블

Description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Passive Inter Modulation Distortion Cancellation Device in Comm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본 발명은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수신 듀플렉서, 써큘레이터와 감쇄기로 구성된 송수신 공용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통신의 진화 및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 서비스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로 발전되고 있다.
무선 통신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하는 CDMA/PCS ( Code Domain Multiple Acces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 음성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까지도 가능한 WCDMA(Wide 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WiBro(Wireless Broadband Service)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로 다양한 되고 있다.
각각의 무선 통신 서비스는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각각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각각의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가 있어야하며 또한 각각의 무선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을 설치하여 한다.
또한 기지국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이나 지하상가, 터널, 지하 주차장, 빌딩 등과 같은 전파 음영 지역들은 중계기를 설치하여 전파 음영 지역에 있는 서비스 이용자에게도 무선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각각의 중계기는 음영 지역이나 차폐된 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지국 신호를 링크 안테나(Link Antenna)로 수신한 후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Service Antenna)로 재방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지하나 빌딩 같은 전파 음영지역에서의 무선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중계기를 이용한 인 빌딩(In-building) 서비스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110)는 링크 안테나(111)를 통해 기지국(100)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한 후 분배기(112)와 건물의 서로 다른 층의 서비스 안테나(113, 114)를 통해 단말기(120, 121)로 송신하며, 서비스 안테나(113, 114)를 통해 수신한 단말기(120, 121) 신호를 증폭한 후 링크 안테나(111)를 통해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
도 2는 서비스 안테나와 연결된 중계기 또는 기지국의 내부 구성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중계기(200)는 기지국 송신 신호를 증폭한 후 서비스 안테나(230, 231)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며, 서비스 안테나(230, 231)를 통해 수신한 단말기 신호를 저잡음(Low Noise)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를 결합하여 송수신 공용으로 사용하는 서비스 안테나(230, 231)로 보내기 위해 듀플렉서(212) 또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가 사용된다. 또한 서로 다른 층 또는 다른 위치에 있는 서비스 안테나(230, 231)로 신호를 분배하기 위해서 분배기(Divider, 220)가 사용된다.
듀플렉서(212)를 사용하여 송수신을 공용하여 서비스를 하게 되면, 송신 안테나, 수신안테나와 각각의 안테나 급전 케이블(Feeder Cable)을 사용하는 것 보다 비용이 1/2로 감소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무선 통신 사업자들은 듀플렉서(212)와 분배기(220)를 사용하여 안테나와 안테나 급전 케이블을 공유하는 서비스를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듀플렉서(212)를 사용하여 송수신을 공용하게 되면 안테나 급전 케이블의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나 급전 케이블 및 컨넥터와 분배기(220)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중계기 또는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증가하는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주파수 할당(FA : Frequency Allocation)의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송수신 공용화 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신 신호의 FA 간에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에 의 해 기지국 수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FA(Multi Frequency Allocation)를 사용하는 송수신 공용화 시스템에서, 급전 케이블과 분배기에서 발생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서비스 안테나(230, 231) 쪽에서 중계기(200) 또는 기지국 쪽으로 반사되어 중계기(200) 또는 기지국 듀플렉서(212)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211)로 수신된 후 증폭되어 기지국 쪽으로 유입된다.
기지국으로 유입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기지국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켜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를 감소시키며, 심한 경우 이동통신 가입자의 통화 단절(Call Drop)과 같은 통화 품질의 저하가 발생한다.
도 3은 800MHz 이동통신용 기지국 송수신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기지국 송신 주파수가 869.64MHz(FA1) 이고, 893.37MHz (FA20) 인 경우 2개의 송신 FA에 의해 급전 케이블 및 분배기에서 발생하는 3차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3rd PIMD :Third Passive Inter Modulation Distortion)는 다음과 같다.
3rd PIMD = 2*FA1 - FA20 = 2*869.64MHz - 893.37MHz = 845.91MHz
이와 같이, 송신 주파수 FA1과 FA20에 의해 발생하는 3차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수신 주파수 FA18 인 845.91MHz 이다. 따라서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송신과 수신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급전 케이블 및 분배기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를 제거하지 않으면 중계기 또는 기지국 듀플렉서를 통해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유입되어 기지국의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듀플렉서, 써큘레이터와 감쇄기를 결합하여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분리 및 제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는, 서비스 안테나와 중계기(또는 기지국) 사이에 위치되며, 입력단 듀플렉서, 제1 써큘레이터, 감쇄기, 제2 써큘레이터 및 출력단 듀플렉서로 구성되며, 기지국 송신신호와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만을 상기 제1 써큘레이터, 감쇄기 및 제2 써큘레이터를 거쳐서 제거하고 상기 기지국 송신신호는 송신되도록 하여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단말기 신호는 상기 출력단 듀플렉서를 통해 제2 써큘레이터 및 제1 써큘레이터를 거쳐 감쇄없이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 및 출력단 듀플렉서는 각각 송신 대역통과 필터 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써큘레이터는 3개의 입출력 포트(Por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쇄기는 2개의 입출력 포트(Por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는,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입력단 듀플렉서와,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3개의 입출력포트를 갖는 제1 써큘레이터와, 상기 제1 써큘레이터의 입출력포트와 연결되는 감쇄기와, 상기 감쇄기와 연결되며 3개의 입출력포트를 갖는 제2 써큘레이터와,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의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연결되는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2 써큘레이터와 연결되는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출력단 듀플렉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는, 서비스 안테나와 중계기(또는 기지국) 사이에 위치되며, 입력단 듀플렉서, 제1 써큘레이터, 제2 써큘레이터 및 출력단 듀플렉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의 일단에는 각각 종단저항(R1, R2)이 연결되고, 기지국 송신신호와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의 종단저항에 의해 소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 및 출력단 듀플렉서는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 각각은 2개의 입출력 포트와 종단저항(R1, R2) 50Ω으로 종단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는,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입력단 듀플렉서와,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3개의 입출력포트를 갖으며 하나의 입출력포트에는 저항(R1)으로 종단시키는 제1 써큘레이터와, 상기 제1 써큘레이터와 연결되며 3개의 입출력포트를 갖으며 하나의 입출력포트에는 저항(R2)으로 종단시키는 제2 써큘레이터와,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의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연결되는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제2 써큘레이터와 연결되는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출력단 듀플렉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듀플렉서, 써큘레이터와 감쇄기와 같은 수동 소자(Passive Device)를 사용하여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를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를 제거하기위한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장치의 구조 및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 장치가 적용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 장치를 이용한 송수신 공용 서비스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상호변조왜곡(PIMD : Passive Inter Modulation Distortion)신호 제거장치를 적용한 송수신 공용시스템의 서비스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중계기 또는 기지국(400)은 기지국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410)에서 증폭한 후 서비스 안테나(440, 441)을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며, 서비스 안테나(440, 441)를 통해 수신한 단말기 신호를 저 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411)에서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수신한다.
여기서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를 송수신 공용의 급전 케이블(Feeder Cable)과 안테나로 보내고 받기 위해서 듀플렉서(413)가 사용되며,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서비스 안테나(440, 441)로 신호를 분배하기 위해 분배기(Divider, 420)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듀플렉서(413)를 사용하여 송수신을 공용하게 되면 급전 케이블 및 컨넥터(Connector)와 분배기(420)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중계기 또는 기지국(400)으로 수신되므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중계기 또는 기지국으로 수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장치(430, 431)가 분배기(420)와 서비스 안테나(440, 441) 사이에 삽입된다.
송수신 공용시스템의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장치(430, 431)는 서비스 안테나(440, 441)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1개의 입출력 포트와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1개의 입출력 포트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200) 후단에 설치된 분배기(220) 와 안테나 급전 케이블에서 발생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 호는 서비스 안테나 쪽에서 반사되어 기지국 또는 중계기(200)의 듀플렉서(212)를 통해 유입된다.
본 발명의 송수신 공용시스템의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장치(430, 431)는 분배기(420) 와 안테나 급전 케이블에서 발생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제거하여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가 서비스 안테나(440, 441) 쪽에서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듀플렉서, 써큘레이터와 감쇄기를 이용한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장치]
도 5는 듀플렉서, 써큘레이터와 감쇄기로 구성된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500)의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500)는 입력측에 입력단 듀플렉서(510)와, 입력단 듀플렉서(510)의 송신 대역통과 필터(Tx)와 제2 써큘레이터(513)의 일단과 연결된 출력단 듀플렉서(514)와, 입력단 듀플렉서(5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와 연결된 제1 써큘레이터(511)와, 제1 써큘레이터(511)의 일단과 연결된 감쇄기(512)와 감쇄기(512)의 일단과 연결된 제2 써큘레이터(513)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입력단 듀플렉서(510)는 기지국 송신 신호와 분배기 또는 급전 케이블에서 발생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분리하며, 출력단 듀플렉서(514)는 단말기 신호와 기지국 송신 신호를 분리 및 결합한다.
입력단 듀플렉서(510)로 입력된 기지국 송신 신호와 분배기와 급전케이블에서 발생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는 입력단 듀플렉서(510)의 송신 대역통과 필 터(Tx)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해 분리되고, 입력단 듀플렉서(510)의 송신 대역통과 필터(Tx)를 통해 분리된 기지국 송신 신호는 출력단 듀플렉서(514)의 송신 대역통과 필터(Tx)를 통과하여 서비스 안테나 쪽으로 송신되며, 입력단 듀플렉서(5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해 분리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는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511, 513), 감쇄기(512)를 통과한 후 출력단 듀플렉서(514)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하여 서비스 안테나 쪽으로 전달된다.
출력단 듀플렉서(514)로 입력된 단말기 신호는 출력단 듀플렉서(514)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한 후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511, 513)를 거치고 입력단 듀플렉서(5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하여 기지국 쪽으로 수신된다.
여기서 입력단 듀플렉서(5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와 출력단 듀플렉서(514)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에 연결된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511, 513)는 3개의 입출력 포트(Port)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트로 신호가 입력되면 왼쪽 또는 오른쪽 한쪽 포트로만 신호가 전달되고 나머지 포트는 신호가 전달되는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입력단 듀플렉서(5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는 제1 써큘레이터(511), 감쇄기(512) 와 제2 써큘레이터(513)를 통과한 후 출력단 듀플렉셔(514)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한 후 서비스 안테나 쪽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511, 513) 사이에 삽입된 감쇄기(Attenuator, 512)에 의해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는 제거된다.
반면에 출력단 듀플렉서(514)의 수신(Rx) 대역통과 필터를 통과 한 단말기 신호는 감쇄기(512)를 통과하지 않고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511, 513)만 통과한 후 입력단 듀플렉서(5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한 후 기지국 쪽으로 전달되므로, 신호의 감쇄 없이 기지국으로 수신된다.
[듀플렉서와 써큘레이터를 이용한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장치]
도 6 는 듀플렉서와 써큘레이터로 구성된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600)의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600)는 입력측의 입력단 듀플렉서(610)와, 입력단 듀플렉서(610)의 송신 대역통과 필터(Tx)와 제2 써큘레이터(612) 각각에 연결된 출력단 듀플렉서(613)와, 입력단 듀플렉서(6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와 출력단 듀플렉서(613)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 사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611, 6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력단 듀플렉서(610)는 기지국 송신 신호와 분배기 또는 급전 케이블에서 발생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분리하며, 출력단 듀플렉서(613)는 단말기 신호와 기지국 송신 신호를 분리 및 결합한다.
입력단 듀플렉서(610)로 입력된 기지국 송신 신호와 분배기/급전케이블에서 발생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는 입력단 듀플렉서(610)의 송신 대역통과 필터(Tx)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해 분리되고, 입력단 듀플렉서(610)의 송신 대역통과 필터(Tx)를 통해 분리된 기지국 송신 신호는 출력단 듀플렉서(613)의 송신 대역통과 필터(Tx)를 통과하여 서비스 안테나 쪽으로 송신되며, 입력단 듀플렉서(610) 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해 분리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는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611, 612)를 통과한 후 출력단 듀플렉서(613)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하여 서비스 안테나 쪽으로 전달된다.
출력단 듀플렉서(613)로 입력된 단말기 신호는 출력단 듀플렉서(613)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한 후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611, 612)를 거치고 입력 단 듀플렉서(6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하여 기지국 쪽으로 수신된다.
여기서 입력단 듀플렉서(6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와 출력단 듀플렉서(613)의 수신(Rx) 대역통과 필터에 연결된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611, 611)는 3개의 입출력 포트(Port)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의 포트를 50 Ohms 저항(Resistor)으로 종단(Termination) 시키면 한 쪽 방향으로만 신호가 전달되고 반대 방향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50 Ohms 저항에서 소멸되어 반대 방향으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입력단 듀플렉서(6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한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는 써큘레이터(611, 612)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611, 612)에 연결된 50 Ohms 종단 저항에서 소멸된다.
반면에 출력단 듀플렉서(613)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한 단말기 신호는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611, 612)을 통과한 후 입력단 듀플렉서(610)의 수신 대역통과 필터(Rx)를 통과하여 기지국 쪽으로 전달되므로, 신호의 감쇄없이 기지국으로 수신된다.
여기서 여러 개의 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급전 케이블과 안테나로 공용하는 다중 무선 통신 서비스(Multi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의 경우는 본 발명의 수동 상호변조 왜곡장치 구성 요소 중 듀플렉서 위치에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사용하여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분리 및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송수신 공용시스템의 수동 상호변조 왜곡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급전 케이블과 안테나로 송신(Tx) 과 수신(Rx)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하여 기지국 수신 감도 및 통화 품질을 저하시키는 수동 상호변조 왜곡신호를 제거하는 제거장치로서 통신 서비스 분야에 널리 산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중계기를 이용한 인 빌딩(In-building) 서비스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서비스 안테나와 연결된 중계기 또는 기지국의 내부 구성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800MHz 이동통신용 기지국 송수신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장치를 적용한 송수신 공용시스템의 서비스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듀플렉서, 써큘레이터와 감쇄기로 구성된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장치의 예이다.
도 6은 듀플렉서와 써큘레이터로 구성된 송수신 공용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 제거장치의 예이다.

Claims (10)

  1.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며, 송신신호와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를 분리하는 입력단 듀플렉서와,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와 연결되며 3개의 입출력포트를 갖는 제1 써큘레이터와,
    상기 제1 써큘레이터의 입출력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를 제거하는 감쇄기와,
    상기 감쇄기와 연결되며 3개의 입출력포트를 갖는 제2 써큘레이터와,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써큘레이터와 연결되어 송신신호를 상기 제2 써큘레이터 및 제1 써큘레이터를 거쳐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로 전송하는 출력단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송신신호와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를 분리하는 입력단 듀플렉서와,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와 연결되고 3개의 입출력포트를 갖으며 하나의 입출력포트에는 저항(R1)으로 종단시켜 상기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 써큘레이터와,
    상기 제1 써큘레이터와 연결되고 3개의 입출력포트를 갖으며 하나의 입출력포트에는 저항(R2)으로 종단시켜 상기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를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써큘레이터와,
    송신 대역통과 필터와 수신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써큘레이터와 연결되어 송신신호를 상기 제2 써큘레이터 및 제1 써큘레이터를 거쳐 상기 입력단 듀플렉서로 전송하는 출력단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써큘레이터 각각은 2개의 입출력 포트와 종단저항(R1, R2) 50Ω으로 종단되어 있는,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10. 삭제
KR1020090018597A 2009-03-04 2009-03-04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KR101003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597A KR101003736B1 (ko) 2009-03-04 2009-03-04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597A KR101003736B1 (ko) 2009-03-04 2009-03-04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979A KR20100099979A (ko) 2010-09-15
KR101003736B1 true KR101003736B1 (ko) 2010-12-23

Family

ID=4300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597A KR101003736B1 (ko) 2009-03-04 2009-03-04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927B1 (ko) * 2014-04-29 2016-01-07 주식회사 맥킨리 혼변조 왜곡을 방지하는 무선통합장치
KR102652957B1 (ko) * 2016-12-26 2024-03-29 김규용 수동 상호 변조 왜곡 제거용 라인 필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952Y1 (ko) * 2005-05-04 2005-07-18 알트론 주식회사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KR100877359B1 (ko) * 2004-12-31 2009-01-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통신 기지국 공용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359B1 (ko) * 2004-12-31 2009-01-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통신 기지국 공용화 장치
KR200389952Y1 (ko) * 2005-05-04 2005-07-18 알트론 주식회사 전치 증폭단을 공용하는 이중 루프 양방향 전력 증폭기 및이를 이용한 중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979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4697B2 (en) Distributed duplexer configuration for blocking and linearity
KR100360895B1 (ko) 서큘레이터를 이용한 송/수신부 결합 시스템 및 그의송신신호 소거방법
WO2006057085A1 (ja) 無線通信装置
KR100711015B1 (ko) 무선 시스템 결합 장치 및 그 방법
KR101003736B1 (ko)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00091943A (ja) 無線通信装置
KR20110032229A (ko) 듀플렉서 및 이를 포함하는 rf 중계기
KR20100053404A (ko)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대역증폭기
KR101879286B1 (ko) 터널 내 2주파 단신 중계 시스템
KR101003733B1 (ko) 다중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 결합기
KR10148249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급전선 공유기 및 급전선 공유 시스템
US8099133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recting a received signal in an antenna system
CN109845139B (zh) 全双工通信系统
KR20170038690A (ko) 에어 갭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기
JPH0879209A (ja) セルラーデジタルパケットデータの音声チャンネルの選択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KR20080105803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중계기
KR20160112131A (ko) 이동통신 멀티 밴드 pimd 억제 장치 및 방법
KR20090053268A (ko) Rf 음영지역의 통화품질 개선을 위한 중계 시스템.
KR100302334B1 (ko)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KR100645356B1 (ko) Cctv 설비를 이용하여 전파 음영지역의 통화 품질을개선하는 rf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632833B1 (ko) 수동상호 변조왜곡 신호 제거장치
EP2426970A1 (en) A method for sharing rf receiving unit,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100964748B1 (ko) 기지국의 iss 프론트 엔드
EP2560289A2 (en) Combi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