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404A -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대역증폭기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대역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404A
KR20100053404A KR1020090005577A KR20090005577A KR20100053404A KR 20100053404 A KR20100053404 A KR 20100053404A KR 1020090005577 A KR1020090005577 A KR 1020090005577A KR 20090005577 A KR20090005577 A KR 20090005577A KR 20100053404 A KR20100053404 A KR 20100053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upler
amplifier
signal
passive inter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겸
유호상
신철하
우민기
Original Assignee
알파웨이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웨이브(주) filed Critical 알파웨이브(주)
Publication of KR2010005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들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제2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에서만 수신신호를 감쇄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대역증폭기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the interference of received signal by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of multi-band transmitted signals, and band-pass amplifier usable to the system}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 구성된 기지국시스템 및 무선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가 안테나 급전선을 공유하면서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신호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대역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를 구비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는 수동소자 상호변조왜곡으로 인하여 도 1과 같이 각각의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안테나 급전선을 독립적으로 사용한다.
제1무선통신장치(100)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출력증폭기(101)를 거쳐 고출력신호로 변환되며, 이 변환된 고출력 송신 RF 신호는 써큘레이터(102)와 대역필터(103)를 거쳐 분배기(105)에서 분배된 후에, 분배된 한 개 신호는 급전선(106)과 안테나(107)를 거쳐 단말기로 방사되며, 분배된 다른 한 개의 신호는 급전선(108)과 안테나(109)를 거쳐 단말기로 방사된다. 한편, 단말기에서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107)와 급전선(106)을 거쳐, 안테나(109)와 급전선(108)에서 수신된 신호와 분배기(105)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된 신호는 대역필터(103), 써큘레이터(102)와 저잡음증폭기(104)를 거쳐 수신 RF 신호가 된다.
그리고, 제2무선통신장치(110)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출력증폭기(111)를 거쳐 고출력신호로 변환되며, 이 변환된 고출력 송신 RF 신호는 듀플렉서(112)를 거쳐 분배기(114)에서 분배된 후에, 분배된 한 개 신호는 급전선(115)과 안테나(116)를 거쳐 단말기로 방사되며, 분배된 다른 한 개의 신호는 급전선(117)과 안테나(118)를 거쳐 단말기로 방사된다. 한편, 단말기에서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116)와 급전선(115)을 거쳐, 안테나(118)와 급전선(117)에서 수신된 신호와 분배기(114)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된 신호는 듀플렉서(112)와 저잡음증폭기(113)를 거쳐 수신 RF 신호가 된다.
또한, 종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에서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2의 시스템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장치(200)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출력 증폭기(201), 써큘레이터(202)와 대역필터(203)를 거쳐 결합기(209)에 입력되고, 제2무선통신장치(205)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출력증폭기(206)와 듀플렉서(207)를 거쳐 결합기(209)에 입력된다. 상기 제1무선통신장치(200)로부터의 고출력 송신 RF 신호와 제2무선통신장치(205)로부터의 고출력 송신 RF 신호는 결합기(209)에 입력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된 송신 RF 신호는 급전선(210)을 거쳐 분배기(211)에서 분배된 후에, 분배된 한 개 신호는 안테나(212)를 거쳐 단말기로 방사되며, 분배된 다른 한 개의 신호는 안테나(213)를 거쳐 단말기로 방사된다. 한편, 단말기에서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212)를 거쳐, 안테나(213)에서 수신된 신호와 분배기(211)에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된 신호는 급전선(210)을 거쳐 결합기(209)에서 수신 RF 신호가 분배된다. 상기 분배된 한 개의 신호는 제1무선통신장치(200)의 대역필터(203), 써큘레이터(202)와 저잡음증폭기(204)를 거쳐 수신 RF 신호가 되며, 상기 분배된 다른 한 개의 신호는 제2무선통신장치(205)의 듀플렉서(207)와 저잡음증폭기(208)를 거쳐 수신 RF 신호가 된다.
도 1과 같은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는 기존 무선통신장치에 설치된 급전선이 있을 지라도, 추가로 무선통신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급전선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급전선 비용과 설치 비용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은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는 제1무선통신장치(200)와 제2무선통신장치(205)의 송신신호에 의해서 결합기(209)와 분배기(211)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발생하여 제2무선통신장치(205)의 수신 RF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1무선통신장치(200)의 송신 RF 주파수가 와이브로 주파수 대역인 2331MHz~2359MHz이고 제2무선통신장치(205)의 송신 RF 주파수가 WCDMA 주파수 대역인 2150MHz~2170MHz라고 하면, 결합기(209)와 분배기(211)에서 발생되는 수동 3차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파형은 WCDMA 수신주파수 대역인 1.9GHz 대역에서 도 4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3차 하모닉 성분중에서 주파수 성분이 제2무선통신장치(205)의 WCDMA 수신주파수인 1960MHz ~ 1980MHz와 중첩되어 간섭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 구성된 기지국시스템 및 무선중계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가 안테나 급전선을 공유하면서 수동소자에서 발생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신호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대역증폭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들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제2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에서만 수신신호를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들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전력 증폭 후에 제1대역필터링 하여 상기 결합기로 출력하고, 수신 RF 신호는 상기 분배기와 상기 결합기 사이에서 분기하여 입력받아 제2대역필터링 하여 저잡음 RF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전선을 공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에 수신신호를 감쇄하는 감쇄기를 설치하고, 상기 분배기와 상기 제1 안테나 포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분배기와 제2 안테나 포트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대역증폭기와, 상기 대역증폭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분배기와 대역증폭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결합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와, 상기 제2커플러와 상기 RF 증폭기 사이에 설치되어 대역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필터와, 상기 RF 증폭기와 상기 제1커플러 사이에 설치되어 시간지연을 수행하는 시간지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전선을 공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와 상기 급전선 사이의 급전선에 제1커플러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은 송신 RF 신호를 고출력증폭기와 제1대역필터를 통해 상기 결합기와 제1커플러를 통해 상기 분배기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며 수신 RF신호가 상기 분배기와 상기 제1커플러를 통해 제2대역필터와 저잡음증폭기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분배기와 상기 제1 안테나 포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분배기와 제2 안테나 포트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대역증폭기와, 상기 대역증폭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분배기와 대역증폭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바이어스-T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제2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3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4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제4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3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4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제4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와, 상기 제4커플러와 상기 RF 증폭기 사이에 설치되어 대역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필터와, 상기 RF 증폭기와 상기 제3커플러 사이에 설치되어 시간지연을 수행하는 시간지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포트와 제2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전선을 공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급전선에 제1커플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제2 무선통 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은 송신 RF 신호를 고출력증폭기와 제1대역필터를 통해 상기 결합기와 제1커플러를 통해 상기 분배기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며 수신 RF신호가 상기 분배기와 상기 제1커플러를 통해 제2대역필터와 저잡음증폭기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분배기와 상기 제1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포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분배기와 제2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포트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대역증폭기와, 상기 대역증폭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분배기와 대역증폭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바이어스-T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과 상기 송신 안테나 사이에 설치된 제2커플러와,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제3대역필터와, 상기 제3대역필터와 상기 제2커플러 사이에 설치된 RF증폭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3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4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제4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와, 상기 제4커플러와 상기 RF 증폭기 사이에 설치되어 대역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필터와, 상기 RF 증폭기와 상기 제3커플러 사이에 설치되어 시간지연을 수행하는 시간지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제1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제1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제1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전선을 공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에 수신신호를 감쇄하는 감쇄기를 설치하고, 상기 제1분배기와 상기 제1 안테나 포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1분배기와 제2 안테나 포트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대역증폭기를 설치하며, 상기 대역증폭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상기 제1결합기와 상기 제1분배기 사이의 급전선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제1결합기와 상기 제1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제1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결합 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제1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된 제2결합기와, 상기 제2결합기와 상기 안테나 포트사이에 설치된 제1분배기와, 상기 제2분배기와 상기 제2결합기 사이에 설치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대역필터와 RF증폭기 및 제2대역필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 대역 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결합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제1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된 제2결합기와, 상기 제2결합기와 상기 안테나 포트사이에 설치된 제1분배기와, 상기 제2분배기에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복수 대역을 결합하기 위한 광대역 결합기와, 상기 제2분배기와 상기 광대역 결합기 사이에 설치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복수 대역만을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다중대역필터와 광대역 RF증폭기 및 제2다중대역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결합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제1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된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와 상기 안테나 포트사이에 설치된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 사이에 설치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결합하는 제2결합기와, 사기 제2결합기에서 결합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을 각각 증폭하는 복수의 RF증폭기와, 상기 복수의 RF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를 결합하는 제3결합기와, 상기 제3결합기와 상기 멀티플렉서 사이에 설치된 감쇄기와, 상기 멀티플렉서에 결합되어 상위측 시스템의 RF모뎀과 통신하는 RF모뎀과, 상기 RF모뎀을 통한 상위측 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감쇄기를 제어하여 대역 증폭기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대역증폭기는, RF 송수신신호를 분배하고 결합하는 분배기와, 이 분배기와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각각 증폭하는 두 개의 대역증폭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외관에 상기 분배기의 입출력포트와, 상기 각 대역증폭기에 안테나의 급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급전선 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대역증폭기는,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하나의 대역증폭기와, 이 대역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송수신신호를 분배하고 결합하는 분배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외관에 상기 대역증폭기의 입출력포트와, 상기 분배기에 두 개의 안테나의 급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급전선 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대역증폭기는, 송수신 RF 신호를 결합하고 분해하는 제1결합기와, 제1결합기에 연결되어 RF 송수신신호를 분배하고 결합하는 제1분배기와, 상기 제1분배기에 연결되고 제1급전선을 통하여 제1안테나에 연결되는 제2분배기와, 상기 제1분배기에 연결되고 제2급전선을 통하여 제2안테나에 연결되는 제3분배기와, 상기 제2분배기에 연결되어 제1안테나에서 수신되어 제2분배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필터링하는 제1대역필터와, 상기 제3분배기에 연결되어 제2안테나에서 수신되어 제3분배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필터링하는 제2대역필터와, 상기 제1대역필터와 제2대역필터의 출력신호를 결합하는 제2결합기와, 상기 제2결합기에서 결합된 RF신호를 증폭하는 RF증폭기와, 상기 RF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대역필터링하여 상기 제1결합기에 제공하는 제3대역필터가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관에 제1결합기의 입출력포트와, 상기 제2 및 제3분배기에 상기 제1 및 제2 급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급전선 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대역증폭기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영향 받는 주파수 대역의 열잡음이 증폭되므로, 결합기와 분배기에서 발생된 간섭신호가 이 열잡음에 묻히게 된다. 대역증폭기에 발생된 열잡음과 결합기 및 분배기에서 생성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감쇄기에서 감쇄되어 송신신호에 의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제거된다. 또는 대역증폭기에 발생된 열잡음과 결합기 및 분배기에서 생성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상기 분배기와 상기 커플러를 통해 대역필터에 입력되어 감쇄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 간에 급전선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대역증폭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서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송신 RF 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와 수신 RF 신호를 수신하는 경로를 써큘레이터(303)로 결합하는 제1 무선통신장치(301)와; 송신 RF 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와 송신신호들의 수동소자 상 호변조왜곡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감쇄기(309)로 수신신호를 감쇄하여 수신하는 경로를 듀플렉서(308)로 결합하는 제2 무선통신장치(306)와; 제1 무선통신장치(301)와 제2 무선통신장치(306)의 송수신 RF 신호를 결합하고 분해하는 결합기(311)와; RF 송수신신호를 전달하는 동축케이블로 된 급전선(312)과; RF 송수신신호를 분배하고 결합하는 분배기(313)와; 대역증폭기(316)(322)의 전원을 동축케이블을 통해서 제공하기 위한 바이어스-T(315)(321)와; 송신신호들의 수동소자 상호변조왜곡으로 간섭을 받는 주파수 대역만 증폭하는 대역증폭기(316)(322)와; 무선으로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안테나(319)(323)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무선통신장치(301)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출력증폭기(302)로 고출력 증폭되고, 고출력으로 증폭된 신호는 써큘레이터(303)와 대역필터(303)를 거쳐 결합기(311)에 입력된다. 제2 무선통신장치(306)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출력증폭기(307)로 고출력 증폭되고, 고출력으로 증폭된 신호는 듀플렉서(308)를 거쳐 결합기(311)에 입력된다. 결합기(311)에 입력된 제1 무선통신장치(301)의 고출력 송신 RF 신호와 제2 무선통신장치(306)의 고출력 송신 RF신호는 급전선(312)을 거쳐 분배기(313)에 입력된다.
이때, 수동소자인 결합기(311), 급전선(312) 및 분배기(313)를 거치면서 고출력 송신 RF 신호에 의해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발생된다.
일반적인 통신장치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3차 하모닉 신호가 간섭을 주고 있다. 여기서, 제1 무선통신장치(301)의 출력 주파수를 f1이라고 하고, 제2 무선통신장치(306)의 출력 주파수를 f2라고 하면 3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은 3f1, 3f2, │2f1±1f2│, │1f1±2f2│이다.
따라서, 제1 무선통신장치(301)가 와이브로 장치라고 가정하여 송신 주파수를 2331.5MHz ~ 2358.5MHz로 사용하고, 제2 무선통신장치(306)가 WCDMA 장치라고 가정하여 송신 주파수를 2150MHz ~ 2170MHz로 사용하면, 3차 하모닉 성분중에서 주파수 성분이 제2 무선통신장치(306)의 WCDMA 수신주파수인 1960MHz ~ 1980MHz와 중첩되어 간섭을 받게 된다. 보다 상세한 간섭 주파수 대역은 도 4와 같으며, 통상 WCDMA 수신 노이즈 레벨 대비 약 15dB 정도 높게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분배기(313)에서 분배된 한 개의 송신 RF 신호는 바이어스-T(315)를 거치게 된다. 바이어스-T(315)는 전원공급기(314)에서 전원 공급을 받아서 급전선을 통하여 대역증폭기(316)의 전원을 공급한다. 대역증폭기(316)에 입력된 송신 RF 신호는 커플러(317), 듀플렉서(318)와 안테나(319)를 거쳐 단말기로 방사된다. 상기 분배기(313)에서 분배된 다른 송신 RF 신호는 바이어스-T(321)를 거치게 된다. 바이어스-T(321)는 전원공급기(324)에서 전원 공급을 받아서 급전선을 통하여 대역증폭기(322)의 전원을 공급한다. 대역증폭기(322)에 입력된 송신 RF 신호는 안테나(323)를 거쳐 단말기로 방사된다. 여기서, 대역증폭기(322)는 대역증폭기(316)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 무선통신장치(301)용 단말기와 제2 무선통신장치(306)용 단말기에서 송신된 신호들은 안테나(319)를 통하여 대역증폭기(316)로 수신된다.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318)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으로 영향받는 제2 무선통신장치(306)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만 RF증폭기(320)로 분리되고 제1 무선통신장치(301)의 수신신호는 커플러(317)로 전달된다. RF증폭기(320)에서 증폭된 신호는 커플러(317)에서 제1 무선통신장치(301)의 수신신호와 결합된다. 결합된 신호는 바이어스-T(316)를 거쳐 분배기(313)에 입력된다.
또한, 제1 무선통신장치(301)용 단말기와 제2 무선통신장치(306)용 단말기 중 다른 단말기들에서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323)에서 수신되어 대역증폭기(322), 바이어스-T(321)를 거쳐 분배기(313)에 입력된다. 여기서, 대역증폭기(322)에서는 상기한 대역증폭기(316)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상기 분배기(313)에서 결합된 수신신호는 급전선(312)을 거쳐 결합기(311)에 입력된다. 결합기(311)는 수신신호를 분배하여, 제1 무선통신장치(301)와 제2 무선통신장치(306)에 입력된다. 제1 무선통신장치(301)에 입력된 수신신호는 대역필터(304), 써큘레이터(303)와 저잡음증폭기(305)를 거쳐 수신 RF 신호로 전달된다. 제2 무선통신장치(306)에 입력된 수신신호는 듀플렉서(308)를 거쳐 감쇄기(309)에 입력된다. 감쇄기(309)는 수신되는 단말기 송신신호와 수동소자에서 발생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를 감쇄시키게 된다. 단말기 송신신호는 감쇄기(309)에서 감쇄되는 만큼 대역증폭기(316)와 대역증폭기(322)에서 증폭이 되었기 때문에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만 감쇄된다. 감쇄기(309)의 출력신호는 저잡음증폭기(310)를 거쳐 수신 RF 신호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역증폭기(316)(322)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영향 받는 주파수 대역의 열잡음이 증폭되므로, 결합 기(311)와 분배기(313)에서 발생된 간섭신호가 이 열잡음에 묻히게 된다. 대역증폭기(316)(322)에 발생된 열잡음과 결합기(311) 및 분배기(313)에서 생성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제2 무선통신장치(306)의 감쇄기(309)에서 감쇄되어 저잡음증폭기(310)에 입력되어, 송신신호에 의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제거되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제1 무선통신장치(301)와 제2 무선통신장치(306) 간에 급전선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대역증폭기(316)(32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T(315)(321)에 접속되는 제1커플러(501)와, 안테나(503)와 상기 제1커플러(501) 사이에 접속되는 제2커플러(502)와, 상기 제1커플러(501)와 상기 제2커플러(502)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RF증폭기(504)로 이루어진 대역증폭기를 사용하여도 된다. 즉, 도 5의 대역증폭기는 도 3의 대역증폭기(316)(322)에서 듀플렉서(318)를 커플러(502)로 대체한 것이다. 도 5와 같이 구성한 대역증폭기를 사용하여도 상기한 도 3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서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3의 제2 무선통신장치(306)가 송신신호 포트와 수신신호 포트가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에 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기(611)와 분배기(614) 사이에 커플러(612)를 더 설치하며, 제2 무선통신장치(606)에 대하여 도 3의 듀플렉서(308)와 감쇄기(309)를 제거하고, 송신 RF 신호를 고출력증폭기(606)와 대역필터(607)를 통해 결합기(611)로 출력하도록 하며 수신 RF신호가 분배기(614)와 커플러(612)를 통해 대역필터(609)와 저잡음증폭기(6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고출력증폭기(602)와 써큘레이터(603), 대역필터(604), 저잡음증폭기(605), 고출력증폭기(608), 저잡음증폭기(610), 결합기(611), 분배기(614), 전원공급기(615), 바이어스-T(616), 커플러(618), 듀플렉서(619), RF증폭기(621), 안테나(620), 안테나(625), 대역증폭기(624), 전원공급기(626) 및 바이어스-T(623)는 각각 도 3의 고출력증폭기((302)와 써큘레이터(303), 대역필터(304), 저잡음증폭기(305), 고출력증폭기(307), 저잡음증폭기(310), 저잡음증폭기(305), 결합기(311), 분배기(313), 전원공급기(314), 바이어스-T(315), 커플러(317), 듀플렉서(318), RF증폭기(320), 안테나(319), 안테나(323), 대역증폭기(322), 전원공급기(324) 및 바이어스-T(3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역증폭기(617)와 대역증폭기(624)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영향 받는 주파수 대역의 열잡음이 증폭되므로, 결합기(611)와 분배기(614)에서 발생된 간섭신호가 이 열잡음에 묻히게 된다. 대역증폭기(617)(624)에 발생된 열잡음과 결합기(611) 및 분배기(614)에서 생성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커플러(612)를 통해서 제2 무선통신장치(606)의 대역필 터(609)에 입력되어 필터링 제거되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601)(606)는 급전선(613)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서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안테나가 수동 상호변조왜곡을 발생할 때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을 발생하는 안테나(718,719)(722,725)가 대역증폭기(716)(723)에 연결되는 경우 대역증폭기(716)(72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지 않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T(715)(724)와 송신 안테나(718)(722) 사이에 설치된 커플러(717)와, 수신 안테나(719)(725)에 연결된 대역필터(720)와, 상기 대역필터(720)와 상기 커플러(717) 사이에 설치된 RF증폭기(721)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고출력증폭기(701)와 써큘레이터(702), 대역필터(703), 저잡음증폭기(704), 고출력증폭기(706), 대역필터(707), 저잡음증폭기(708), 대역필터(709), 결합기(710), 커플러(711), 급전선(712), 분배기(713), 전원공급기(7140, 바이어스-T(715), 전원공급기(726) 및 바이어스-T(724)는 각각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고출력증폭기(602)와 써큘레이터(603), 대역필터(604), 저잡음증폭기(605), 고출력증폭기(608), 대역필터(607), 저잡음증폭기(610), 대역필터(609), 결합기(611), 커플러(612), 급전선(613), 분배기(614), 전원공급기(615), 바이어스-T(616), 전원공급기(626) 및 바이어스-T(62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역증폭기(716)와 대역증폭기(723)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영향받는 주파수 대역의 열잡음이 증폭되므로, 결합기(710)와 분배기(713) 및 안테나(718,719)(722,725)에서 발생된 간섭신호가 이 열잡음에 묻히게 된다. 또한, 대역증폭기(716)와 대역증폭기(723)에서 수신 안테나(719)(725)에서 수신된 단말기 송신신호에 포함된 안테나(719)에서 생성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대역필터(720)에 의하여 필터링 제거된다. 또한, 대역증폭기(716)(723)에서 발생된 열잡음과 결합기(710) 및 분배기(713)에서 생성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커플러(711)를 통해서 제2 무선통신장치(705)의 대역필터(709)에 입력되어 필터링 제거되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700)(705)는 급전선(712)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서 제1, 제2 및 제3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수동 상호변조왜곡이 여러 대역에서 발생되는 경우에 대역증폭기의 역방향신호의 증폭신호도 여러 대역에서 증폭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송신 RF 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와 수신 RF 신호를 수신하는 경로를 써큘레이터(802)로 결합하는 제1 무선통신장치(800)와; 송신 RF 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와 송신신호들의 수동소자 상호변조왜곡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감쇄기(809)로 수신신호를 감쇄하여 수신하는 경로를 듀플렉서(807)로 결합하는 제2 무선통신장치(805)와; 송신 RF 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와 송신신호들의 수동소자 상호변조왜곡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감쇄기(833)로 수신신호를 감쇄하여 수신하는 경로를 듀플렉서(832)로 결합하는 제3 무선통신장치(830)와; 제1 무선통신장치(800)와 제2 무선통신장치(805) 및 제3 무선통신장치(830)의 송수신 RF 신호를 결합하고 분해하는 결합기(810)와; RF 송수신신호를 전달하는 동축케이블로 된 급전선(813)과; RF 송수신신호를 분배하고 결합하는 분배기(814)와; 전원공급기(811)의 전원을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대역증폭기(815)(827)의 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바이어스-T(812)와; 송신신호들의 수동소자 상호변조왜곡으로 간섭을 받는 주파수 대역만 증폭하는 대역증폭기(815)(827)와; 무선으로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안테나(823)(829)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무선통신장치(800)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출력증폭기(801)로 고출력 증폭되고, 고출력으로 증폭된 신호는 써큘레이터(802)와 대역필터(803)를 거쳐 결합기(810)에 입력된다. 또한, 제2 무선통신장치(805)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출력증폭기(806)로 고출력 증폭되고, 고출력으로 증폭된 신호는 듀플렉서(807)를 거쳐 결합기(810)에 입력된다. 또한, 제3 무선통신장치(830)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출력증폭기(831)로 고출력 증폭되고, 고출력으로 증폭된 신호는 듀플렉서(832)를 거쳐 결합기(810)에 입력된다. 상기 결합기(311)에 입력된 제1 무선통신장치(800)의 고출력 송신 RF 신호와 제2 무선통신장치(805)의 고출력 송신 RF신호 및 제3 무선통신장치(830)의 고출력 송신 RF신호는 바이어스-T(812)와 급전선(813)을 거쳐 분배기(814)에 입력된다. 여기서, 바이어스-T(812)는 전원공급기(811)에서 전원 공급을 받아서 급전선(813)을 통하여 대역증폭기(815)(827)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수동소자인 결합기(810), 급전선(813) 및 분배기(814)를 거치면서 고출력 송신 RF 신호에 의해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분배기(814)에서 분배된 한 개의 송신 RF 신호는 바이어스-T(816)를 거치게 된다. 바이어스-T(816)는 바이어스-T(812)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서 대역증폭기(815)의 각 구성요소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대역증폭기(815)에 입력된 송신 RF 신호는 결합기(817)와 분배기(821) 및 급전선(822)을 거쳐 안테나(823)를 통하여 단말기로 방사된다. 상기 분배기(814)에서 분배된 다른 송신 RF 신호는 대역증폭기(827)에 입력되고, 이 대역증폭기(827)에 입력된 송신 RF 신호는 급전선(828)과 안테나(829)를 거쳐 단말기로 방사된다. 여기서, 대역증폭기(827)는 대역증폭기(815)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 무선통신장치(800)용 단말기와 제2 무선통신장치(805)용 단말기 및 제3 무선통신장치(830)용 단말기에서 송신된 신호들은 안테나(823) 및 급전선(822)을 통하여 대역증폭기(815)로 수신된다. 상기 수신된 신호 중에서 제1 무선통신장치(800)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분배기(821)에서 분배되어 바로 결합기(817)로 전달되고, 수동 상호변조왜곡으로 영향받는 제2 무선통신장치(805)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대역필터(820)로 분리된 후에 RF증폭기(819)와 대역 필터(818)를 통과하여 결합기(817)로 전달되며, 수동 상호변조왜곡으로 영향받는 제3 무선통신장치(830)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대역필터(824)로 분리된 후에 RF증폭기(825)와 대역필터(826)를 통과하여 결합기(817)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대역필터(820)(824)에서 대역 필터링된 신호는 RF증폭기(819)(825)에서 증폭되고 대역필터(818)(826)에서 재차 대역 필터링된 후에 결합기(817)에서 제1 무선통신장치(800)의 수신신호와 결합된다. 결합된 신호는 바이어스-T(816)를 거쳐 분배기(814)에 입력된다.
또한, 제1 무선통신장치(800)용 단말기와 제2 무선통신장치(805)용 단말기 및 제3 무선통신장치(830)용 단말기 중 다른 단말기들에서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829)에서 수신되어 대역증폭기(827)를 거쳐 분배기(814)에 입력된다. 여기서, 대역증폭기(827)에서는 상기한 대역증폭기(815)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상기 분배기(814)에서 결합된 수신신호는 급전선(813)을 거쳐 결합기(810)에 입력된다. 상기 결합기(810)는 수신신호를 분배하여 제1 무선통신장치(800)와 제2 무선통신장치(805) 및 제3 무선통신장치(830)에 입력한다.
여기서, 제1 무선통신장치(800)에 입력된 수신신호는 대역필터(803), 써큘레이터(802)와 저잡음증폭기(804)를 거쳐 수신 RF 신호로 전달된다.
또한, 제2 무선통신장치(805)에 입력된 수신신호는 듀플렉서(807)를 거쳐 저잡음증폭기(808)에서 저잡음 증폭된 다음에 감쇄기(809)에 입력되고, 감쇄기(809)에서는 수신되는 단말기 송신신호와 수동소자에서 발생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를 감쇄시키게 되며, 이렇게 감쇄된 신호가 수신 RF 신호가 된다. 단말기 송신신호 는 감쇄기(809)에서 감쇄되는 만큼 대역증폭기(815)와 대역증폭기(827)에서 증폭이 되었기 때문에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만 감쇄된다.
또한, 제3 무선통신장치(830)에 입력된 수신신호는 듀플렉서(832)를 거쳐 저잡음증폭기(834)에서 저잡음 증폭된 다음에 감쇄기(833)에 입력되고, 감쇄기(833)에서는 수신되는 단말기 송신신호와 수동소자에서 발생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를 감쇄시키게 되며, 이렇게 감쇄된 신호가 수신 RF 신호가 된다. 단말기 송신신호는 감쇄기(833)에서 감쇄되는 만큼 대역증폭기(815)와 대역증폭기(827)에서 증폭이 되었기 때문에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만 감쇄된다.
본 실시예의 제2 무선통신장치(805)와 제3 무선통신장치(830)에서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저잡음증폭기(808)(834)와 감쇄기(809)(833)의 위치를 서로 바꾼 이유는 잡음지수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대역증폭기(815)(827)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영향 받는 주파수 대역의 열잡음이 증폭되므로, 결합기(810)와 분배기(814)에서 발생된 간섭신호가 이 열잡음에 묻히게 된다. 대역증폭기(815)(827)에 발생된 열잡음과 결합기(810) 및 분배기(814)에서 생성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는 제2 및 제3 무선통신장치(805)(830)의 저잡음증폭기(808)(834)를 통과한 후 감쇄기(809)(833)에서 감쇄되어 송신신호에 의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제거되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제1 무선통신장치(800)와 제2 무선통신장치(805) 및 제3 무선통신장치(830) 간에 급전선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대역증폭기(815)(827)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지 않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즉, 도 9의 대역증폭기(900)에서는 무선통신장치로부터의 신호는 바이어스-T(901)와 결합기(902), 분배기(903) 및 안테나(904)를 통하여 단말기 측으로 송출한다. 또한, 단말기에서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904)를 통하여 수신하여 분배기(903)에 입력된다. 이때, 제1 무선통신장치(800; 도 8 참조)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분배기(903)에서 분배되어 바로 결합기(902)로 전달되고, 수동 상호변조왜곡으로 영향받는 제2 무선통신장치(805; 도 8 참조)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제3 무선통신장치(830; 도 8 참조)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광대역 결합기(905)로 분리된다. 상기 광대역 결합기(905)로 분리된 신호는 제1 광대역필터(906)와 광대역 RF증폭기(907) 및 제2 광대역필터(908)를 통해서 결합기(902)로 전달되어, 결합기(902)에서 제1 무선통신장치(800)의 수신신호와 결합된다. 결합된 신호는 바이어스-T(901)를 거쳐 분배기(814; 도 8 참조)에 입력된다. 여기서, 제1 광대역필터(906)와 제2 광대역필터(908)는 제2 무선통신장치(805)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제3 무선통신장치(830)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대역 필터링을 수행하고, 광대역 RF증폭기(907)는 제2 무선통신장치(805)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제3 무선통신장치(830)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RF증폭을 수행한다.
즉, 도 9의 대역증폭기는 도 8의 대역증폭기(815)(827)에서 대역필터(823)(824)를 광대역필터(905)로 대체하고, RF증폭기(819)(825)를 광대역 RF증폭 기(907)로 대체하며, 대역필터(818)(826)를 광대역필터(908)로 대체한 것이다. 도 9와 같이 구성한 대역증폭기(900)를 사용하여도 상기한 도 8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대역증폭기에서 여러 대역을 증폭할 경우에 광대역 증폭기를 사용하여 모든 대역을 동시에 증폭함으로써, 소비전력를 감소시킬 수 있고 회로를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제조 가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대역증폭기(815)(827)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즉, 도 10의 대역증폭기(1000)에서는 무선통신장치로부터의 신호는 바이어스-T(1010)와 멀티플렉서(1020), 듀플렉서(1030) 및 안테나(1040)를 통하여 단말기 측으로 송출한다. 또한, 단말기에서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1040)를 통하여 수신하여 듀플렉서(1030)에 입력된다. 이때, 제1 무선통신장치(800; 도 8 참조)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듀플렉서(1030)에서 바로 멀티플렉서(1020)로 전달되고, 수동 상호변조왜곡으로 영향받는 제2 무선통신장치(805; 도 8 참조)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제3 무선통신장치(830; 도 8 참조)의 수신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결합기(1050)로 전달된다. 상기 결합기(1050)로 전달된 신호는 신호 대역별로 RF증폭기(1060)(1070)에 의하여 증폭되고 결합기(1080)에서 결합된 후에 감쇄기(1090)에서 감쇄되고 나서 멀티플렉서(102)에 전달되어, 멀티플렉서(1020)에서 제1 무선통신장치(800)의 수신신호와 함께 멀티플렉싱된다. 상기 멀티플렉싱된 신 호는 바이어스-T(1010)를 거쳐 분배기(814; 도 8 참조)에 입력된다. 여기서, RF증폭기(1060)(1070)로서는 평형형(balanced type)을 사용하며, 감쇄기(1090)는 제어기(1095)의 제어에 의하여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 위치별로 발생하는 경로 손실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RF모뎀(1090)과 제어기(1095)는 송신신호원인 중계기나 기지국 쪽에도 RF모뎀과 제어기(마스터)가 있어서 각 대역증폭기(1000)의 이득을 중앙에서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NMS(Network Management System)을 통하여 RF 모뎀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하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겹치지 않는 ISM Band 등의 주파수를 이용한 RF 모뎀을 사용하여 중앙에서 GUI와 NMS 등을 통해 여러 개의 대역 증폭기의 이득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RF 모뎀의 주파수는 대역증폭기에서는 멀티플렉서에 의해 송신 및 수신 신호와 격리되고, 상위(즉, 기지국이나 중계기) 측에서도 역시 입력부의 듀플렉서나 필터에 의해 격리되면 된다.
즉, 도 10과 같이 구성한 대역증폭기(1000)를 사용하여도 상기한 도 8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평형형(balanced type)의 RF 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RF모뎀과 제어기를 사용하여 감쇄기를 제어하여 중앙에서 GUI와 NMS를 통해서 대역증폭기의 이득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대역증폭기의 관리가 편리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통합형 대역증폭기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의 통합형 대역증폭기(1100)는, 분배기(1110)와, 이 분배기(1110)와 두 개의 대역증폭기(1120)(1170)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하고, 케이스의 외관에는 분배기(1110)의 입출력포트와, 두 개의 대역증폭기(1120)(1170)에 안테나(1140)(1150)의 급전선(1130)(1160)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급전선 포트가 설치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예의 통합형 대역증폭기(1100)를 사용하면 개별 대역증폭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조를 매우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통합형 대역증폭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의 통합형 대역증폭기(1200)는, 하나의 대역증폭기(1210)와, 이 대역증폭기와 연결된 하나의 분배기(1220)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구성하고, 케이스의 외관에는 대역증폭기(1210)의 입출력포트와, 분배기(1220)에 두 개의 안테나(1240)(1260)의 급전선(1230)(1250)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급전선 포트가 설치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예의 통합형 대역증폭기(1100)를 사용하면 개별 대역증폭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조를 매우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통합형 대역증폭기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의 통합형 대역증폭기(1300)는, 제1결합기(1310)와, 제1결합기(1310)에 연결된 제1분배기(1315)와, 상기 제1분배기(1315)에 연결되고 급전선(1325)을 통하여 제1안테나(1330)에 연결되는 제2분배기(1320)와, 상기 제1분배기(1315)에 연결되고 급전선(1355)을 통하여 제2안테나(1350)에 연결되는 제3분배기(1360)와, 상기 제2분배기(1320)에 연결되어 제1안테나(1330)에서 수신되어 제2분배기(13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필터링하는 제1대역필터(1335)와, 상기 제3분배기(1360)에 연결되어 제2안테나(1350)에서 수신되어 제3분배기(13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필터링하는 제2대역필터(1345)와, 상기 제1대역필터(1335)와 제2대역필터(1345)의 출력신호를 결합하는 제2결합기(1340)와, 상기 제2결합기(1340)에서 결합된 RF신호를 증폭하는 RF증폭기(1365)와, 상기 RF증폭기(1365)에서 증폭된 신호를 대역필터링하여 상기 제1결합기(1310)에 제공하는 제3대역필터(1370)가 하나의 케이스 안에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관에는 제1결합기(1310)의 입출력포트와, 상기 제2 및 제3분배기(1320)(1360)에 제1 및 제2안테나(1330)(11350)의 급전선(1325)(1355)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급전선 포트가 설치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예의 통합형 대역증폭기(1300)에서는 역방향 경로에서 입력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 간섭 주파수 대역을 결합하여 하나의 RF증폭기에 의하여 증폭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조 가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대역증폭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역증폭기(1400)는 입출력포트에 접속되는 제1커플러(1410)와, 안테나(1425)의 급전선(1420)과 상기 제1커플러(1410) 사이에 접속되는 제2커플러(1415)와, 상기 제2커플러(1415)와 상기 제1커플러(1410)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대역통과필터(1430)와 RF증폭기(1435) 및 시간지연기(14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대역증폭기에 의하면, 수동 상호변조왜곡이 발생하는 역방향 주파수를 증폭함에 있어서 증폭하는 경로에 시간지연기를 추가하고 커플러로 분리하고 결합함으로써,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수동 상호변조왜곡이 발생하는 주파수로 입력신호에 대한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 신호가 발생하여 리던던시(Redundancy)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경로2(path2)에서 전원 등의 문제로 정상적으로 신호를 증폭하지 못하는 경우에 경로1(path1)로 역방향 신호가 전달되므로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상위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서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무선통신장치(301)와 제2 무선통신장치(306) 및 결합기(311)의 구성은 상기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결합기(311)와 분배기(313) 사이의 급전선(312)에 제1바이어스-T(340)를 매개로 대역증폭기(316a)(322a)의 전원공급용 전원공급기(350)를 연결하고, 대역증폭기(316a)(322a)에서 분배기(313)와 커플러(317) 사이에 상기 제1바이어스-T(340)를 매개로 입력되는 대역증폭기(316a)(322a)의 내부 구성요소에 직류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330)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잡음지수의 개선을 위하여 제2 무선통신장치의 저잡음증폭기(310)과 감쇄기(309)의 위치가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서로 바뀌어 있는 점이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한 도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송신신호에 의한 수동 상호변조왜곡 신호를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독립적인 급전선을 구비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서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스펙트럼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대역증폭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서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 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서 제1, 제2 및 제3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대역증폭기의 제1 변형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대역증폭기의 제2 변형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통합형 대역증폭기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통합형 대역증폭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통합형 대역증폭기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대역증폭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로서 제1 및 제2 무선통신장치가 급전선을 공유하는 기지국 시스템 또는 무선중계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1 : 제1무선통신장치 302 : 고출력증폭기
303 : 써큘레이터 304 : 대역필터
305 : 저잡음증폭기 306 : 제2무선통신장치
307 : 고출력증폭기 308 : 듀플렉서
309 : 감쇄기 310 : 저잡음증폭기
311 : 결합기 312 : 급전선
313 : 분배기 314 : 전원공급기
315 : 바이어스-T 316 : 대역증폭기
317 : 커플러 318 : 듀플렉서
319 : 안테나 320 : RF증폭기
321 : 바이어스-T 322 : 대역증폭기
323 : 안테나 324 : 전원공급기

Claims (24)

  1.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들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제2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에서만 수신신호를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2.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들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에서, 송신 RF 신호는 고전력 증폭 후에 제1대역필터링 하여 상기 결합기로 출력하고, 수신 RF 신호는 상기 분배기와 상기 결합기 사이에서 분기하여 입력받아 제2대역필터링 하여 저잡음 RF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3.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전선을 공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에 수신신호를 감쇄하는 감쇄기를 설치하고,
    상기 분배기와 상기 제1 안테나 포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분배기와 제2 안테나 포트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대역증폭기와, 상기 대역증폭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분배기와 대역증폭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상 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결합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제1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와, 상기 제2커플러와 상기 RF 증폭기 사이에 설치되어 대역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필터와, 상기 RF 증폭기와 상기 제1커플러 사이에 설치되어 시간지연을 수행하는 시간지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8.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전선을 공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와 상기 급전선 사이의 급전선에 제1커플러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은 송신 RF 신호를 고출력증폭기와 제1대역필터를 통해 상기 결합기와 제1커플러를 통해 상기 분배기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며 수신 RF신호가 상 기 분배기와 상기 제1커플러를 통해 제2대역필터와 저잡음증폭기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분배기와 상기 제1 안테나 포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분배기와 제2 안테나 포트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대역증폭기와, 상기 대역증폭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분배기와 대역증폭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바이어스-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제2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제2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3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4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제4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3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4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제4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와, 상기 제4커플러와 상기 RF 증폭기 사이에 설치되어 대역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필터와, 상기 RF 증폭기와 상기 제3커플러 사이에 설치되어 시간지연을 수행하는 시간지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3.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분배기에 제1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포트와 제2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전선을 공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급전선에 제1커플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상기 제2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은 송신 RF 신호를 고출력증폭기와 제1대역필터를 통해 상기 결합기와 제1커플러를 통해 상기 분배기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며 수신 RF신호가 상기 분배기와 상기 제1커플러를 통해 제2대역필터와 저잡음증폭기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분배기와 상기 제1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포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분배기와 제2 송신 및 수신 안테나 포트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대역증폭기와, 상기 대역증폭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분배기와 대역증폭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바이어스-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과 상기 송신 안테나 사이에 설치된 제2커플러와, 상기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제3대역필터와, 상기 제3대역필터와 상기 제2커플러 사이에 설치된 RF증폭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분배기 측에 연결되는 제3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제4커플러와, 상기 제3커플러와 상기 제4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와, 상기 제4커플러와 상기 RF 증폭기 사이에 설치되어 대역필터링을 수행하는 대역필터와, 상기 RF 증폭기와 상기 제3커플러 사이에 설치되어 시간지연을 수행하는 시간지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7.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는 복수의 무선통신장치를 제1결합기와 급전선을 매개로 제1분배기에 결합하고 이 제1분배기에 제1 안테나 포트와 제2 안테나 포트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급전선을 공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장치중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발생에 의한 수신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구성에 수신신호를 감쇄하는 감쇄기를 설치하고,
    상기 제1분배기와 상기 제1 안테나 포트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1분배기와 제2 안테나 포트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대역증폭기를 설치하며,
    상기 대역증폭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상기 제1결합기와 상기 제1분배기 사이의 급전선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제1결합기와 상기 제1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제1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상기 안테나 포트에 연결되는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커플러 사이에 연결되어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 RF 증폭하는 RF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결합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제1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된 제2결합기와, 상기 제2결합기와 상기 안테나 포트사이에 설치된 제1분배기와, 상기 제2분배기와 상기 제2결합기 사이에 설치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대역필터와 RF증폭기 및 제2대역필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 대역 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결합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제1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된 제2결합기와, 상기 제2결합기와 상기 안테나 포트사이에 설치된 제1분배기와, 상기 제2분배기에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 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복수 대역을 결합하기 위한 광대역 결합기와, 상기 제2분배기와 상기 광대역 결합기 사이에 설치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복수 대역만을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다중대역필터와 광대역 RF증폭기 및 제2다중대역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와, 상기 결합기와 상기 분배기 사이의 동축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대역증폭기에 공급하는 제1바이어스-T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증폭기는, 상기 제1분배기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어스-T로부터의 공급전원을 내부 구성요소의 직류전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바이어스-T와, 상기 제2바이어스-T에 연결된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와 상기 안테나 포트사이에 설치된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 사이에 설치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결합하는 제2결합기와, 사기 제2결합기에서 결합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을 각각 증폭하는 복수의 RF증폭기와, 상기 복수의 RF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를 결합하는 제3결합기와, 상기 제3결합기와 상기 멀티플렉서 사이에 설치된 감쇄기와, 상기 멀티플렉서에 결합되어 상위측 시스템의 RF모뎀과 통신하는 RF모뎀과, 상기 RF모뎀을 통한 상위측 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감쇄기를 제어하여 대역 증폭기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시스템.
  22. RF 송수신신호를 분배하고 결합하는 분배기와, 이 분배기와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각각 증폭하는 두 개의 대역증폭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외관에 상기 분배기의 입출력포트와, 상기 각 대역증폭기에 안테나의 급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급전선 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대역증폭기.
  23.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중에서 수동 상호변조왜곡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역만을 증폭하는 하나의 대역증폭기와, 이 대역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송수신신호를 분배하고 결합하는 분배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외관에 상기 대역증폭기의 입출력포트와, 상기 분배기에 두 개의 안테나의 급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급전선 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대역증폭기.
  24. 송수신 RF 신호를 결합하고 분해하는 제1결합기와, 제1결합기에 연결되어 RF 송수신신호를 분배하고 결합하는 제1분배기와, 상기 제1분배기에 연결되고 제1급전선을 통하여 제1안테나에 연결되는 제2분배기와, 상기 제1분배기에 연결되고 제2급전선을 통하여 제2안테나에 연결되는 제3분배기와, 상기 제2분배기에 연결되어 제1안테나에서 수신되어 제2분배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필터링하는 제1대역필터와, 상기 제3분배기에 연결되어 제2안테나에서 수신되어 제3분배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필터링하는 제2대역필터와, 상기 제1대역필터와 제2대역필터의 출력신호를 결합하는 제2결합기와, 상기 제2결합기에서 결합된 RF신호를 증폭하는 RF증폭기와, 상기 RF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대역필터링하여 상기 제1결합기에 제공하는 제3대역필터가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관에 제1결합기의 입출력포트와, 상기 제2 및 제3분배기에 상기 제1 및 제2 급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급전선 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대역증폭기.
KR1020090005577A 2008-11-11 2009-01-22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대역증폭기 KR20100053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451 2008-11-11
KR20080111451 2008-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404A true KR20100053404A (ko) 2010-05-20

Family

ID=4227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577A KR20100053404A (ko) 2008-11-11 2009-01-22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대역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34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81B1 (ko) * 2015-02-26 2016-08-30 주식회사 감마누 Pim 측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6148538A1 (ko) * 2015-03-18 2016-09-22 (주)에이더블유에스아이 이동통신 멀티 밴드 pimd 억제 장치 및 방법
WO2017147759A1 (zh) * 2016-02-29 2017-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源互调干扰抵消方法及装置
KR20180075169A (ko) * 2016-12-26 2018-07-04 김규용 수동 상호 변조 왜곡 제거용 라인 필터
KR102551590B1 (ko) * 2022-02-23 2023-07-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송신기에서 다채널 동시 도약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81B1 (ko) * 2015-02-26 2016-08-30 주식회사 감마누 Pim 측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6148538A1 (ko) * 2015-03-18 2016-09-22 (주)에이더블유에스아이 이동통신 멀티 밴드 pimd 억제 장치 및 방법
WO2017147759A1 (zh) * 2016-02-29 2017-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源互调干扰抵消方法及装置
KR20180075169A (ko) * 2016-12-26 2018-07-04 김규용 수동 상호 변조 왜곡 제거용 라인 필터
KR102551590B1 (ko) * 2022-02-23 2023-07-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송신기에서 다채널 동시 도약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4697B2 (en) Distributed duplexer configuration for blocking and linearity
US8423028B2 (en) Active antenna array with multiple amplifiers for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providing DC voltage to at least one processing element
JP6500913B2 (ja) 高周波回路部品および通信装置
US9935662B2 (en) Transmit spectral regrowth cancellation at receiver port
US2020019520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gital pre-distortion
US20130016634A1 (en) Electronic duplexer
EP2980990B1 (en) Power amplifier
US95597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hannel transceiver communications
KR20100053404A (ko) 다중 대역 송신 신호들의 수동 상호변조왜곡에 의한 수신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사용가능한대역증폭기
US202204075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transceiver radio frequency signal processing systems
US8731616B2 (en) Active antenna array and method for relaying first and second protocol radio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20160081124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리모트 장치
US202102580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interference cancellation
WO2006135288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mproved feeder shar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4865870B2 (ja) アンテナシステムにおける受信信号を導く装置及び方法
KR20070003391A (ko) 광대역 저잡음 증폭수신기 및 수신방법
KR20080105803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중계기
KR20060132148A (ko) 와이브로 서비스를 위한 통합 중계시스템
KR101911355B1 (ko)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KR100906776B1 (ko) 스위치 lna가 구비된 iss 필터 모듈
KR100745377B1 (ko) 통합 중계기
KR20100099979A (ko) 송수신 공용화시스템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신호 제거장치
WO2024016125A1 (zh) 一种射频隔离模块及通信系统
KR101911356B1 (ko)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KR200400111Y1 (ko) 피드 포워드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용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