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334B1 -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334B1
KR100302334B1 KR1019990042787A KR19990042787A KR100302334B1 KR 100302334 B1 KR100302334 B1 KR 100302334B1 KR 1019990042787 A KR1019990042787 A KR 1019990042787A KR 19990042787 A KR19990042787 A KR 19990042787A KR 100302334 B1 KR100302334 B1 KR 10030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ignal
signals
channels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977A (ko
Inventor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3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334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의 고주파(RF) 송신부에 있어서, 컴바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안테나를 공유하여 채널을 증설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극성 안테나를 공유하여 채널을 증설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제1 및 제2 듀플렉서는, 각 채널의 송신 신호를 인가 받아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며, 제1 및 제2 채널의 수신된 편파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고,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는 제1 및 제2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편파 신호를 각각 인가 받아 저잡음 특성으로 증폭하고, 다수의 대역통과필터는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제1 및 제2 채널의 편파 신호를 인가 받고 불필요한 대역의 신호를 여파하고, 양극성 안테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신호를 각각 송신하며 제1 및 제2 채널의 좌측 및 우측 편파를 각각 수신하고, 제1 및 제2 커플러는 상기 제1 및 제2 듀플렉서와 양극성 안테나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송수신 되는 신호를 감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페이딩 현상을 줄이는 목적의 양극성 안테나를 사용함에 있어서, 2개의 채널이 공통으로 하나의 양극성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컴바이너 사용에 의한 신호의 감쇠 현상이 없고, 안테나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A DEVICE OF DUAL POLARIZATION ANT FOR WLL}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의 고주파(RF) 송신부에 있어서, 컴바이너(Combiner)를 사용하지 않고 안테나를 공유하여 채널을 증설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극성(Dual Polarization) 안테나를 공유하여 채널을 증설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가입자망(WLL)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무선 채널은 해당되는 고유한 송신(TX) 및 수신(RX) 주파수(Frequency)를 할당받아 사용하고, 무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Antenna)는 상기 송수신 주파수에 공진(Resonance)되는 크기를 사용한다.
상기 무선가입자망의 채널별 무선신호는 고주파 신호이고, 직진성이 있으므로, 먼 거리에 도달하도록 전파시키기 위해서는, 고도가 높은 산의 정상, 건물의 옥상 또는, 고가의 철탑을 세운 후, 안테나(Antenna)를 설치한다.
그러나, 무선가입자망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통신에 사용되는 채널이 증가하면서, 송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하지만, 설치할 수 있는 면적은 한정되어 있다. 특히, 철탑과 같은 안테나 시설물은 그 추가 비용이 너무 고가 이어서 경제적으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다수의 채널을 하나의 안테나로서 공통 사용하는 안테나 공유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공유되는 하나의 안테나에 각 채널 주파수가 정확하게 공진(Resonance) 되어 정합(Matching) 되는 것이 아니고, 허용되는 범위 안에서 약간씩의 비정합(Mismatching)을 시킴으로써, 하나의 안테나를 다수의 채널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송수신 되는 전력(Power)에 약간씩의 손실(Loss)이 발생하는 것을 감수해야 하고 또한, 각 채널의 주파수가 서로 인접하지 않아야만 각 채널 사이의 신호가 혼신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안테나 공유장치를 설명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안테나 공유장치의 기능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안테나 구성이다.
상기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안테나 공유장치는, 도1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채널별 고주파 신호로 변조된 무선가입자망의 송신 전력을 안테나를 통하여 방사(Radiation)하기 위하여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다수의 고출력증폭기(HPA: High Power Amplifier)(10,11,12,13)와,
상기 각 채널별 고출력증폭기(HPA)(10,11,12,13)에서 출력된 신호로부터 불필요한 대역(Band)의 신호를 여파(Filter) 하는 다수의 밴드패스필터(BPF: Band Pass Filter)(20,21,22,23)와.
상기 제1 밴드패스 필터(20)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1 HPA(10)로부터 인가된 제1 채널 주파수(FA: Frequency Allocation)의 파장 길이에, 정확히 1/4배 길이를 갖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경로(Path) 1 및 제2 밴드패스 필터(21)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2 HPA(11)로부터 인가된 제3 채널 주파수(FA: Frequency Allocation)의 파장 길이에 정확히 1/4배 길이를 갖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경로(Path) 2의 출력신호를결합하는 제1 결합기(Combiner)(30)와,
상기 제3 밴드패스 필터(22)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3 HPA(12)로부터 인가된 제2 채널 주파수(FA: Frequency Allocation)의 파장 길이에, 정확히 1/4배 길이를 갖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경로(Path) 3 및 제4 밴드패스 필터(23)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4 HPA(13)로부터 인가된 제4 채널 주파수(FA: Frequency Allocation)의 파장 길이에 정확히 1/4배 길이를 갖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경로(Path) 4의 출력신호를 결합하는 제2 결합기(Combiner)(32)와,
상기 제1 결합기(30)와 제2 결합기(32)의 출력신호를 인가 받아 결합(Combine) 한 후, 하나의 안테나로 출력하는 제3 결합기(3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제1 HPA(10)에서, 제1 채널로 할당된 주파수(FA)에 의하여 변조된 신호를 인가 받고,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제1 BPF(20)로 출력하며, 상기 할당된 주파수(FA)의 1/4 파장의 길이를 갖는 경로(Path) 1을 통하여 제1 결합기(30)의 단자 a에 인가된다.
또한, 제2 HPA(10)에서, 제3 채널로 할당된 주파수(FA)에 의하여 변조된 신호를 인가 받고 고출력으로 증폭하여 제2 BPF(21)로 출력하며, 상기 할당된 주파수(FA)의 1/4 파장 길이를 갖는 경로(Path) 2를 통하여 제1 결합기(30)의 단자 b에 인가된다.
상기 제1 결합기(30)에서보면, 단자 a로 입력된 신호는 단자 b를 바라볼 때 파장의 길이가 다르므로, 오픈(Open) 된 것처럼 보이므로, 상기 단자 a로 입력된 신호의 대부분은 단자 c로 출력되고, 또한, 단자 b로 입력된 신호는 단자 a를 바라볼 때 파장의 길이가 다르므로, 오픈(Open) 된 것처럼 보이고, 상기 단자 b로 입력된 신호의 대부분은 단자 c로 출력된다.
따라서, 단자 a 및 b 로 입력된 신호의 대부분은 단자 c 로 출력되고, 일부의 신호는 전력의 결합손실(Loss)에 의한 열(Heat)로서 발산되며, 상기 제2 결합기(32)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을 한다.
상기 제1 결합기(30) 또는 제2 결합기(32)는 약간의 결합손실(Combine Loss)을 감안하면, 하나의 경로(Path)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공용 경로에 안테나(Antenna)를 결합하면, 하나의 안테나로 두 개 채널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기(30,32)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3 결합기(36)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Combine)하면, 결합손실(Combine Loss)이 더욱 증가 하지만, 4개의 채널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Antenna)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도 상기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결합기에 의하여 결합손실이 증가하고, 각 경로(Path)를 통과하는 할당 주파수(FA)의 파장 길이를 정확히 계산하여 경로의 길이를 사용하여야 하며 각 할당 주파수(FA) 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안테나 구성으로서, 도2 에 도시된 것은, 무선 신호의 전파에 의한 전송경로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신(RX) 신호의 페이딩(Fading)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장의 길이에 의한 공간 분할로서 페이딩 현상을 극복하는 공간 분할(Space Diversity) 안테나 방식과 좌측 및 우측 편파를 모두 수신 하므로써 상기 페이딩을 극복하는 양극성(Dual Polarization) 안테나 방식 중에서, 상기 좌측 편파 및 우측 편파를 모두 수신하는 양극성 안테나 방식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도면을 참조하면, 송신되는 신호를 고주파(RF) 신호로 변조(Modulation) 하는 제1 고주파부(40)와,
상기 제1 고주파부(4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고출력의 고주파(RF) 신호로 증폭하는 고출력 증폭기(HPA)(15)와,
상기 고출력 증폭기(15)로부터 인가된 신호는 경로(Path) 1을 통하여 양극성 안테나(70)의 일측단으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양극성 안테나(70)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경로(Path) 1을 통하여 수신된 일측 편파 신호는 수신(RX) 경로 A(RX A)로 출력되도록 하는 듀플렉서(Duplexer)(50)와,
상기 듀플렉서(50)로부터 수신된 일측 편파 신호를 인가 받고, 저잡음(Low Noise) 특성으로 증폭하는 제1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60)와,
상기 양극성 안테나(70)의 다른 일측단으로부터 다른 편파 신호가 경로(Path) 2를 통하여 인가되고, 불필요한 대역(Band)의 신호를 여파(Filter)하는 대역통과 필터(BPF)(24)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24)로부터 인가된 다른 편파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2 저잡음 증폭기(LNA)(61)와,
상기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60,61)의 신호를 각각 인가 받아 고주파 변조하는 제2 및 제3 고주파부(42,44)로 이루어져 구성되며, 상기 양극성 안테나(70)는, 일 실시예로서, 좌측 편파를 수신하는 극성안테나와 우측 편파를 수신하는 극성안테나가 함께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종래 기술은, 상기 양극성 안테나(70)를 통하여, 좌측 편파의 신호와 우측 편파의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그 중 하나는 경로(Path) 1을 통하여 듀플렉서(50)에 인가되고, 다시 제1 저잡음 증폭기(60)에 인가되며, 상기 양극성 안테나(70)로부터 수신된 다른 편파의 신호는 경로(Path) 2를 통하여 대역 통과 필터(24)를 경유하고 제2 저잡음 증폭기(61)에 인가된다.
이와 동시에 고출력 증폭기(15)로부터 인가된 송신(TX) 신호는 상기 듀플렉서(50)에 인가되어 경로(Path) 1을 통하고, 상기 양극성 안테나(70)의 일측 편파 안테나로 인가 되므로써, 송신된다.
즉, 상기 양극성 안테나의 일측 편파 안테나를 송수신 겸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일측 편파 안테나는 수신 전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양극성 안테나(70)를 사용하는 장치는 채널이 증가할 때마다, 각 채널에서 전용으로 사용되는 양극성 안테나(70)를 별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페이딩 현상을 억제하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양극성 안테나를 하나만 사용하여, 2개 채널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써, 특히, 도시 환경에 적합한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구성에 있어서, 제1 및 제2 듀플렉서는, 각 채널의 송신 신호를 인가 받아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며, 제1 및 제2 채널의 수신된 편파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고,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는 상기 제1 및 제2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편파 신호를 각각 인가 받아 저잡음 특성으로 증폭하고, 다수의 대역통과필터는 상기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제1 및 제2 채널의 편파 신호를 인가 받고 불필요한 대역의 신호를 여파하고, 양극성 안테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신호를 각각 송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채널의 좌측 및 우측 편파를 각각 수신하고, 제1 및 제2 커플러는 상기 제1 및 제2 듀플렉서와 양극성 안테나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송수신 되는 신호를 감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안테나 공유장치의 기능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안테나 구성이고,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의 기능 블록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1,12,13,15 : 고출력 증폭기 30,32,36 : 결합기
20,21,22,23,24,25,26,27,28 : 대역통과필터
40,42,44 : 고주파부 50,52,54 : 듀플렉서
60,61,63,65 : 저잡음 증폭기 70 : 양극성 안테나
80,85 : 커플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를 설명한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 양극성 안테나(Dual Polarization ANT) 공유장치의 기능 블록도 이다.
상기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는, 제1 채널(FA)의 송신(TX: Transmission) 신호, 일 실시예로서, 2,385±5MHz의 10MHz 대역폭의 송신 주파수 신호를 인가 받아 한쪽 방향(One-Way)으로만출력되도록 하고, 동시에 제1 채널(FA)의 수신신호, 일 실시예로서, 2,315±5MHz의 수신 신호에 의한 일측 편파 신호로서, 좌측 편파(Left Polarization) 수신신호와 또한, 제2 채널(FA)의 수신신호, 일 실시예로서, 2,325±5MHz의 수신 신호에 의한 일측 편파 신호로서, 좌측 편파(Left Polarization) 수신신호인 20MHz 대역폭의 수신 주파수 신호를 인가 받아 한쪽 방향으로만 출력하도록 하는 제1 듀플렉서(Duplexer)(52)와,
제2 채널(FA: Frequency Allocation)의 송신(TX: Transmission) 신호, 일 실시예로서, 2,395±5MHz의 10MHz 대역의 송신 주파수 신호를 인가 받아 한쪽 방향으로만 출력되도록 하고, 동시에 제1 채널(FA)의 수신신호, 일 실시예로서, 2,315±5MHz의 수신 신호에 의한 일측 편파 신호로서, 우측 편파(Right Polarization) 수신신호와 또한, 제2 채널(FA)의 수신신호, 일 실시예로서, 2,325±5MHz의 수신 신호에 의한 일측 편파 신호로서, 우측 편파(Right Polarization) 수신 신호인 20MHz 대역폭의 수신 주파수 신호를 인가 받아 한쪽 방향으로만 출력하도록 하는 제2 듀플렉서(Duplexer)(54)와,
상기 제1 및 제2 듀플렉서(Duplexer)(52,54)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좌측 및 우측 편파 신호(Polarization Signal)를 각각 인가 받아, 각각 저잡음(Low Noise) 증폭하는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63,65)와,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LNA)(63)로부터 제1 채널(FA)의 일측 편파 수신신호를 인가 받고 불필요한 대역의 수신신호를 여파(Filter)하는 제1 대역통과필터(BPF: Band Pass Filter)(25)와,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63)로부터 제2 채널(FA)의 일측 편파 신호, 일 실시예로서, 좌측 편파 신호를 인가 받고, 불필요한 대역(Band)의 신호를 여파(Filter)하는 제2 대역통과필터(BPF)(26)와,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LNA)(65)로부터 제1 채널(FA)의 다른 일측 편파 신호, 일 실시예로서, 우측 편파 신호를 인가 받고, 불필요한 대역(Band)의 신호를 여파(Filter)하는 제3 대역통과필터(BPF)(27)와,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65)로부터 제2 채널(FA)의 다른 일측 편파 신호, 일 실시예로서, 우측 편파 신호를 인가 받고, 불필요한 대역의 신호를 여파(Filter)하는 제4 대역통과필터(BPF)(28)와,
제1 및 제2 채널(FA: Frequency Allocation)의 신호를 각각 송신(TX)하며 상기 제1 및 제2 채널(FA)의 좌측 및 우측 편파 신호(Polarization Signal)를 각각 수신하는 양극성 안테나(Dual Polarization ANT)(70)와,
상기 제1 및 제2 듀플렉서(52,54)와 상기 양극성 안테나(70)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송수신 되는 신호를 감시(Monitor) 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커플러(Coupler)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가입자망(WLL) 양극성 안테나(Dual Polarization ANT) 공유 장치의 상세한 작용을 설명한다.
제1 채널(FA)의 일 실시예로서, 10MHz 대역폭을 갖는 2,385MHz±5MHz의 송신 신호(FA1 TX)는 상기 제1 듀플렉서(52)에 의하여 한쪽 방향(One-Way)으로서, 상기 제1 커플러(80)에 인가되고 필요할 경우에는 감시(Monitor) 되며, 상기 양극성 안테나(70)의 일측 편파 안테나, 일 실시예로서, 좌측 편파 안테나에 인가되므로써, 무선 통신 선로를 통하여 방사(Radiation)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좌측 편파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제1 채널(FA1)의 2,315±5MHz 좌측 편파 수신신호(FA1 RX A) 및 제2 채널(FA2)의 2,325±5MHz 좌측 편파 수신신호(FA2 RX A)는 모두 20MHz의 대역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커플러(80)에 인가되어 필요시에 감시(Monitor)되고, 제1 듀플렉서(52)에 의하여 한쪽 방향(One-Way)으로 제1 저잡음 증폭기(LNA)(63)에 인가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듀플렉서(52)는 송신 신호를 위하여 10MHz의 대역폭을 갖고 있어야 하고, 동시에 수신되는 편파 신호를 위하여 20MHz의 대역폭을 갖고 있어야 한다.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63)에서는 제1 채널(FA1)과 제2 채널(FA2)의 좌측 편파 신호(RX A)로 분리되어 제1 채널의 좌측 편파 신호(FA1 RX A)는 제1 대역통과필터(25)에 인가되고, 제2 채널의 좌측 편파 신호(FA2 RX A)는 제2 대역통과필터(26)에 인가되어 불필요한 대역(Band)의 신호를 여파(Filter)한 후 출력한다.
또한, 제2 채널(FA)의 신호 역시 상기와 동일하게 작용하며, 상세히 설명하면, 일 실시예로서, 10MHz 대역폭을 갖는 2,395MHz±5MHz의 송신 신호(FA2 TX)는 상기 제2 듀플렉서(54)에 의하여 한쪽 방향(One-Way)으로서, 상기 제2 커플러(85)에 인가되고 필요할 경우에는 감시(Monitor) 되며, 상기 양극성 안테나(70)의 일측 편파 안테나, 일 실시예로서, 우측 편파 안테나에 인가되므로써, 무선 통신 선로를통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방사(Radiation)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우측 편파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제1 채널(FA1)의 2,315±5MHz 우측 편파 수신신호(FA1 RX B) 및 제2 채널(FA2)의 2,325±5MHz 우측 편파 수신신호(FA2 RX B)는 모두 20MHz의 대역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2 커플러(85)에 인가되어 필요시에 감시(Monitor)되고, 제2 듀플렉서(54)에 의하여 한쪽 방향(One-Way)으로 제2 저잡음 증폭기(LNA)(65)에 인가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듀플렉서(54)는 송신 신호를 위하여 10MHz의 대역폭을 갖고 있어야 하고, 동시에 수신되는 편파 신호를 위하여 20MHz의 대역폭을 갖고 있어야 한다.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65)에서는 제1 채널(FA1)과 제2 채널(FA2)의 우측 편파 신호(RX B)로 분리되어 제1 채널의 우측 편파 신호(FA1 RX B)는 제1 대역통과필터(25)에 인가되고, 제2 채널의 좌측 편파 신호(FA2 RX A)는 제2 대역통과필터(26)에 인가되어 불필요한 대역(Band)의 신호를 여파(Filter)한 후 출력한다.
상기 제1 채널(FA1)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2 채널(FA2)의 좌측 편파 수신 신호(FA2 RX A)는 제2 채널(FA2) 신호 처리부에 인가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채널(FA2)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1 채널(FA1)의 우측 편파 수신 신호(FA1 RX B)는 제1 채널(FA1) 신호 처리부에 인가하여 처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양극성 안테나(70)를 이용하여, 제1 채널(FA1) 및 제2 채널(FA2)의 해당 데이터 신호를 송신(FA1 TX, FA2 TX) 할 수 있고, 또한, 페이딩(Fading)에 의한 수신 신호의 간섭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제1 채널(FA1)의 좌측 편파 수신 신호(FA1 RX A) 및 우측 편파 수신 신호(FA1 RX B)를 모두 수신하여 처리하므로써, 제1 채널의 페이딩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적게 처리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2 채널(FA2)도 상기와 동일하게 좌측 편파 수신 신호(FA2 RX A) 및 우측 편파 수신 신호(FA2 RX B)를 모두 수신하여 처리하므로써, 제2 채널의 페이딩에 의한 간섭 영향을 적게 처리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양극성 안테나(70)로써 2개의 채널(FA)이 공통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의 무선 신호 전송 경로 차이에 의하여 간섭을 일으키는 페이딩 현상을 줄이는 목적의 양극성 안테나를 사용함에 있어서, 2개의 채널이 공통으로 하나의 양극성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컴바이너 사용에 의한 신호의 감쇠 현상이 없고, 안테나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공업적 이용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1 및 제2 채널의 송신 신호를 인가 받아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고, 제1 및 제2 채널의 각각 수신된 일측 편파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1 및 제2 듀플렉서와,
    상기 제1 및 제2 듀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편파 신호를 각각 인가 받아 각각 저잡음 증폭하는 제1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제1 및 제2 채널의 일측 편파 신호를 인가 받고 불필요한 대역의 신호를 여파 하는 제1 및 제2 대역통과필터와,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제1 및 제2 채널의 다른 일측 편파 신호를 인가 받고 불필요한 대역의 신호를 여파 하는 제3 및 제4 대역통과필터와,
    제1 및 제2 채널의 신호를 각각 송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채널의 좌측 및 우측 편파를 각각 수신하는 양극성 안테나와,
    상기 제1 및 제2 듀플렉서와 양극성 안테나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송수신 되는 신호를 감시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커플러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KR1019990042787A 1999-10-05 1999-10-05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KR10030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787A KR100302334B1 (ko) 1999-10-05 1999-10-05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787A KR100302334B1 (ko) 1999-10-05 1999-10-05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977A KR20010035977A (ko) 2001-05-07
KR100302334B1 true KR100302334B1 (ko) 2001-11-02

Family

ID=1961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787A KR100302334B1 (ko) 1999-10-05 1999-10-05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924A (ko) * 2000-11-25 2002-05-31 구자홍 무선가입자망의 기지국 안테나 증설 장치
KR100439227B1 (ko) * 2001-07-16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더불유엘엘 기지국의 알에프 장치
KR20030058897A (ko) * 2001-12-31 2003-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 공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977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895B1 (ko) 서큘레이터를 이용한 송/수신부 결합 시스템 및 그의송신신호 소거방법
US6591086B1 (en) Enhanced time division duplexing (TDD) transceiver circuitry
CN101171747A (zh) 滤波合成器
US20010031623A1 (en) Channel booster amplifier
AU718092B2 (en) Dual transmitter arrangement with back-up switching
KR101045760B1 (ko) 방향성 커플러를 이용한 브이에이치에프용 능동형 무전기 안테나 분배기
KR100302334B1 (ko) 무선가입자망의 양극성 안테나 공유장치
KR20110032229A (ko) 듀플렉서 및 이를 포함하는 rf 중계기
US20060234627A1 (en) Mobile radio combiner and multi-coupler unit
KR101879286B1 (ko) 터널 내 2주파 단신 중계 시스템
JP2926574B1 (ja) 高周波折り返し送受信回路と該回路を含む送受信無線装置
KR100204266B1 (ko) 코드분할다원접속 디지탈 셀룰라 이동통신용 중계기
WO1997042720A1 (en) Channel-selective repeater for mobile telephony
KR20060088255A (ko)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의 rf 송수신기
KR20100038736A (ko)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송수신 장치 및 그의 송수신 스위칭 방법
KR100323234B1 (ko) 다중 주파수 기지국의 고주파 종단 장치
KR100906776B1 (ko) 스위치 lna가 구비된 iss 필터 모듈
WO2023282807A1 (en) An improved electrical filter topology
JPH05235819A (ja) 無線中継装置
KR100513374B1 (ko)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듀얼듀플렉서 및 그 구성 방법
US8150353B2 (en) Masthead amplifier unit
KR20020029167A (ko) 간섭신호 억제를 위한 기지국의 프런트 앤드 유닛장치
JP2942980B2 (ja) 無線中継装置
KR100928626B1 (ko) 무선 통신용 광중계기의 확장 시스템
KR20000002602A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송/수신 겸용 고전력 결합/분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