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809Y1 -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809Y1
KR200389809Y1 KR20-2005-0009326U KR20050009326U KR200389809Y1 KR 200389809 Y1 KR200389809 Y1 KR 200389809Y1 KR 20050009326 U KR20050009326 U KR 20050009326U KR 200389809 Y1 KR200389809 Y1 KR 200389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ent
insect screen
main bod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20-2005-0009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8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영지에서 임시로 거처(居處)할때 사용하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드나들수 있도록 설치된 출입문과, 텐트 내부로 모기와 같은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통풍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진 방충망을 깔끔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도록 텐트의 출입문을 개량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야영용 텐트에 있어서, 출입문(11) 및 방충망(12)이 슬라이드화스너(30)에 의해서 본체(10)로부터 분리 장착 되어지되, 본체(10)에 대하여 모서리 일부만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입문(11) 또는 방충망(12)을 걷은 상태에서 정리정돈할 수 있도록된 정리주머니(20)가 연장되어진 모서리부분과 근접하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텐트{omitted}
본 고안은 야영지에서 임시로 거처(居處)할때 사용하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드나들수 있도록 설치된 출입문과, 텐트 내부로 모기와 같은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통풍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진 방충망을 깔끔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도록 텐트의 출입문을 개량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등산, 낚시, 캠핑과 같은 레저 생활시 야영지에서 임시 거처(居處)로 사용할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어지는 텐트는, 여행 목적 또는 사용자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제작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각기 다른 형태를 가지고 제작되어지는 텐트들 모두는 공히 사람이 내부로 드나들 수 있는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 내부로 모기등과 같은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공기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텐트에 설치되어진 출입문과 방충방은 슬라이드화스너(지퍼:zipper)의 슬라이드 작동에 의해 분리, 장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화스너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 기존의 출입문 및 방충방은 크게 양날개형과 바닥 또는 천정쪽으로 말아두는 가리개(차양막)형으로 대분된다.
상기 양날개형은 수직하는 중앙에 슬라이드화스너가 재봉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수평하는 방향으로 재봉된 슬라이드화스너에 의해서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양날개형 출입문 및 방충망을 열어 놓을때에는 가정에서 커텐을 걷어 놓는 것처럼 출입문 또는 방충망을 돌돌말아 끈으로 묶어 놓게 된다.
또한 가리개(차양막) 형태의 출입문을 열어 놓을 때에도 출입문 또는 방충망을 돌돌말은 상태에서 끈으로 묶어 놓는다.
상기와 같이 출입문 및 방충망을 끈으로 묶어 정리하도록된 기존의 텐트는 사람이 드나들때 끈이 쉽게 풀려 출입문 또는 방충망이 수시로 펼쳐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문 또는 방충망을 돌돌말아 끈으로 묶어 정리하는 것이어서 출입구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없었다.
또한 출입문 및 방충망을 끈으로 일일히 묶어 정리하는 것이어서 출입문 및 방충망을 걷어 놓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로할 뿐만 아니라, 텐트 취급이 익숙지 못한 사람 즉, 어린아이들은 출입문 및 방충망을 걷어 놓는데 어려움을 격을 수 밖에 없었다.
한편, 끈으로 묶어 정리정동하도록된 출입문은 모기등과 같은 해충의 침입을 막으면서 통풍이 가능하도록 방충망을 친 상태에서는 상기 출입문(방수원단으로됨)을 정리정돈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텐트 내부로 사람이 드나들수 있도록 설치한 출입문과 모기와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방충망의 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출입문 및 방충망을 정리하는 정리주머니를 부가 설치함으로써, 본체로부터 분리한 출입문 또는 방충망을 정리주머니에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가 손쉽게 출입문 및 방충망을 정리정돈할 수 있는 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폴대(40)에 의해 소정의 형태를 이룸과 동시에 드나들 수 있는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에 대하여 포개어지도록 설치되어서 모기와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망으로 이루어진 텐트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11) 및 방충망(12)이 슬라이드화스너(30)에 의해서 본체(10)로부터 분리 장착 되어지되, 본체(10)에 대하여 모서리 일부만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 내부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분리한 출입문(11) 또는 방충망(12)을 정리정돈할 수 있도록된 정리주머니(2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텐트는 폴대(40)에 의해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본체(10)와, 본체(10)의 사방에 출입문(11)과 상기 출입문(11)에 포개어져 위치하도록 방충망(12)이 설치되어 있으며, 텐트 내부에 드나들기 위하여 슬라이드화스너(30)를 이용해 분리한 출입문(11)과 방충망(12)을 정리해 두는 정리주머니(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텐트를 이용하는 사람의 숫자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결정되어진다.
상기 본체(10)는 폴대(40)에 의해 소정의 형태를 이루게 되고, 그 형태는 돔형과 터널형 그리고 가옥형등과 같이 다양하다.
본 고안에서는 돔형태의 텐트를 예를 들고 있다.
상기 본체(10)의 사방으로 설치되어지는 출입문(11)과 상기 출입문(11)에 대하여 포개어지도록 설치되어지는 방충망(12)은 슬라이드화스너(30)에 의해 본체(1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본체(10)에 대하여 모서리 일부분만이 연장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화스너(30)에 의해 분리 장착되어지도록 설치된 출입문(11)과 방충망(12)은 상기 출입문(11)이 내측으로 위치하게 되고, 출입문(11)의 외측에 방충망(12)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일부분만이 연장되어지도록 설치되어진 출입문(11)과 방충망(12)은 걷은 상태에서 정리주머니(20)에 의해 정리되어 진다.
상기 출입문(11)과 방충망(12)이 정리되어지는 정리주머니(20)는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되, 출입문(11)과 방충망(12)이 연장되어 있는 모서리쪽에 설치되어 진다.
상기 정리주머니(20)는 출입문(11)과 방충망(12)이 설치되어진 본체의 네개소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역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정리주머니(20)는 방수원단 또는 망사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텐트를 이용하여 야영을 하고자할 때에는 폴대(40)를 텐트 본체(10)에 끼워 폴대(40)에 의해 소정의 형태를 갖도록 하고, 소정의 형태를 이룬 텐트를 평탄 작업을 마친 지(地)면에 위치시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임시 거처(居處)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텐트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출입문(11)과 방충망(12)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데, 상기 출입문(11)과 방충망(12)을 분리해낼 때에는 슬라이드화스너(30)를 본체(10)와 연장된 모서리까지 슬라이드시켜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지게 한다.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진 출입문(11)과 방충망(12)은 정리주머니(20)를 이용하여 정리하게 되는데, 출입문(11)과 방충망(12)을 정리할 때에는 돌돌말거나 가지런히 접은 상태에서 정리주머니(20)에 도3에서와 같이 집어 넣어 정리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리주머니(20)를 이용하여 출입문(11) 또는 방충망(12)을 정리하도록 형성된 텐트는 방충망(12)이 출입문(11)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방충망(12)을 친 상태에서 출입문(11)만의 정리정돈이 이용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고안은, 텐트 내부로 들고날 수 있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한 출입문(11) 또는 방충망(12)을 모서리와 근접하는 위치의 내부에 설치되어진 정리주머니(20)에 집어 넣어서 정리정돈할 수 있는 것이어서 출입문(11)또는 방충망(12) 정리정돈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러움과 불편함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텐트 출입구의 가지런한 정리정돈이 가능한 것이고, 텐트 취급이 익숙하지 못한 사람도 쉽게 출입문 또는 방충망의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으며, 방충망을 친 상태에서도 출입문의 정리정돈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로써 방충망과 출입문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의 예시도.
도2는 본 고안 텐트의 출입문과 방충망이 정리정돈되는 정리주머니를 발췌한 확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정리주머니에 본체로부터 분리된 출입문 또는 방충망이 정리되어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출입문
12 : 방충망 20 : 정리주머니
30 : 슬라이드화스너 40 : 폴대

Claims (1)

  1. 폴대(40)에 의해 소정의 형태를 이룸과 동시에 드나들 수 있는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에 대하여 포개어지도록 설치되어서 모기와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망으로 이루어진 텐트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11) 및 방충망(12)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화스너(30)에 의해서 본체(10)로부터 분리 장착 되어지되, 본체(10)에 대하여 모서리 일부만이 연장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 내부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분리한 출입문(11) 또는 방충망(12)을 정리정돈할 수 있도록된 정리주머니(2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KR20-2005-0009326U 2005-04-06 2005-04-06 텐트 KR200389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26U KR200389809Y1 (ko) 2005-04-06 2005-04-06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326U KR200389809Y1 (ko) 2005-04-06 2005-04-06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809Y1 true KR200389809Y1 (ko) 2005-07-14

Family

ID=4369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326U KR200389809Y1 (ko) 2005-04-06 2005-04-06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8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7169A (en) Flexible garage door screen
US4072158A (en) Tent having veranda-style extension
US3699986A (en) Modular shelter system
AU2005200980B2 (en) Tent with window having an internal shelf
US20070295377A1 (en) Battery pack for powering multiple electrical appliances in a tent
US20030089316A1 (en) Pet tent
US20120006370A1 (en) Structure and Assembly for Forming an Open-Air Insect-Protected Enclosed Space
KR200389809Y1 (ko) 텐트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KR20200062694A (ko) 텐트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JP6566777B2 (ja) ロッジ型テント
KR20080004095U (ko) 모기장 해먹
US513841A (en) George tolmie
JP3213536U (ja) テント
JP2021165499A (ja) 応急設置テント
KR102476344B1 (ko) 빗물 유입 차단 구조를 갖는 텐트
US20240110441A1 (en) Portable adjustable screened structure
CN213626929U (zh) 帐篷
KR200163296Y1 (ko) 텐트겸용침낭
KR200361522Y1 (ko)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KR20110123855A (ko) 편리한 모기장
CN211776342U (zh) 一种双层可伸缩独立空间帐篷
CN215255074U (zh) 蒙古包帐篷
KR200458630Y1 (ko) 침대용 모기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