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522Y1 -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522Y1
KR200361522Y1 KR20-2004-0018034U KR20040018034U KR200361522Y1 KR 200361522 Y1 KR200361522 Y1 KR 200361522Y1 KR 20040018034 U KR20040018034 U KR 20040018034U KR 200361522 Y1 KR200361522 Y1 KR 200361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touch
screen
presen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민
Original Assignee
홍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민 filed Critical 홍승민
Priority to KR20-2004-0018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52Ne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에 있어서, 상기 텐트 원단의 최상단 중심부 일측에 방충망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텐트 내부로의 유해 해충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텐트 내부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은,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하여 텐트를 자동으로 펼치거나 쉽게 접어 용이한 설치 및 해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에 있어서, 상기 텐트 원단의 최상단 중심부 일측에 방충망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텐트 내부로의 유해 해충 침투를 방지하는 동시에 텐트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및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에는, 빗물 침투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결착수단을 통하여 커버를 더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Screen Window for One Touch Type Tent}
본 고안은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하여 텐트를 펼치거나 접어 설치 및 해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식 텐트의 원단 상부 일측에 방충망을 일체로 설치하여, 상기 텐트를 이용한 야외 활동 시 유해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텐트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및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각종 텐트 중 캐노피(Canopy) 텐트라 불리우는 특수 텐트는 빠르고 편리하게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는 신개념의 텐트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노피 텐트는 다른 말로는 접이식 텐트 또는 자바라식 텐트 등으로도 통용되고 있는데, 이는 설치할 장소에 텐트을 놓고 펴거나 접기만 하면 단시간 내에 설치 및 해체를 완료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킨 자동 텐트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밤낚시나 캠핑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텐트 중캐노피(CANOPY) 텐트라 불리우는 특수 텐트는 빠르고 편리하게 설치 및 철거를 할 수 있는 신개념의 원터치식 텐트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터치식 텐트인 캐노피 텐트는 접이식 텐트 또는 자바라식 텐트 등으로도 통용되고 있는데, 이는 설치할 장소에 제품을 놓고 펴거나 접기만 하면 단시간 내에 설치를 완료하여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원터치식 텐트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23717호의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가 있는데, 이는 스프링에 의한 프레임의 자동 동작에 의하여 텐트의 설치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텐트와 다른 구성을 가진 원터치식 텐트로는, 특허등록 제0300340호에 기재된 원터치식 텐트 뿐만아니라 이외에도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원터치식 텐트들 중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해 설치 및 해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 중 일예로 실용신안등록 제223717호(출원번호 : 제2000-34312호, 고안의 명칭 :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가 있는데, 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상부 연결폴(1)을 회동을 이룰 수 있게 연결하고 있고, 하부에는 스토퍼(20)가 설치 고정되어 있으며, 최하단에는 도 2에 도시된 텐트(30)의 최상단 중심부와 연결을 취하고 있는 연결끈(31)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구(14)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재(12)와;
상기 연결부재(12)에 상, 하로 승하강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되, 외주연에는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는 상부 연결폴(1)과 힌지 연결을 이루고 있는 지지대(2)를 회동을 이룰 수 있게 다수개 연결 구비하고 있는 슬라이딩 부재(16)와;
상기 연결부재(12)에 삽입 구비되어 있어 텐트의 설치시 상기 슬라이딩 부재(16)와 연결부재(12)를 일정유격을 형성토록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의 작동 상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의 프레임이 텐트의 설치를 이룰 때 취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의 프레임이 텐트의 해체를 이룰 때 취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먼저 텐트(30)를 접어 해체할 경우, 연결부재(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는 상부 연결폴(1) 중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부 연결폴(1)의 하부를 사용자가 권취하여 내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면 모든 상부 연결폴(1)의 하부는 하향 이동하며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연결폴(1)의 하부를 내측으로 다 접은 시점에서 이를 하부로 하강시킨 후 상부 연결폴(1)과 회동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하부 연결폴(3)의 하부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절첩시키면 텐트(30)의 해체가 완료된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연결부재(12)에 승, 하강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16)는 상부 연결폴(1)에 회동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2)에 밀려 일정거리만큼 연결부재(12)의 상부로 승강을 이루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로 승강을 이루는 슬라이딩 부재(16)는 연결부재(12)의 외측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탄성스프링(18)을 강제 압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해체된 상태의 텐트(30)를 펼쳐 설치할 경우, 상기 상부 연결폴(1)과 접하도록 절첩되어 있는 하부 연결폴(3)의 하부를 사용자가 강제로 하향 이동시켜 펼친 후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부 연결폴(1)의 하부를 사용자가 권취하여 강제로 상향 이동시키면 일정 시점에서 상기 탄성스프링(1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 연결폴(1)의 모두가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어 텐트(30)의 설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
이때, 상기 연결부재(12)에 승, 하강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16)는 탄성스프링(18)에 밀려 하부로 하강을 하는 가운데 지지대(2)를 밀어 다수의 상부 연결폴(1) 모두를 펼쳐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텐트(30)를 펼쳐 설치를 완료시킨 시점에서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16)에 인위적인 힘을 가해 누르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16)는 사용자에 의해 전달되는 힘과 탄성스프링(18)의 탄지력에 의해 일정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2)의 외측은 슬라이딩 부재(16)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2)의 내측 높이보다 높은 위치를 취하는 기울기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프레임(10) 전체의 잠금을 이루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너지가 텐트(30)로 전달될 경우에도 텐트(30)를 펼치고 있는 프레임(10)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는, 텐트의 설치를 신속 용이하게 이룰수 있는 장점과 텐트를 구성하고 있는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시킨 큰 효과가 있는 반면에, 상기 텐트에는 출입문외에 다른 공기 통로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텐트 내부 활동 시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즉, 야간에는 해충이나 모기 등의 텐트 내부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문의 지퍼를 닫아 둔 상태에서 취침 등을 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텐트의 원단은 전체가 방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원단을 통한 공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텐트 내부의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실용신안등록 제223717호의 원터치식 텐트 만을 예로 들어 그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등록 제0300340호의 원터치식 텐트를 비롯한 기공지된 많은 원터치식 텐트 또한 상기와 같은 동일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터치식 텐트 원단의 상부 일측에 방충망을 일체로 설치하여, 상기 텐트를 이용한 야외 활동 시 유해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텐트 내부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및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의 프레임이 텐트의 설치를 이룰 때 취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의 프레임이 텐트의 해체를 이룰 때 취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방충망이 형성된 원터치식 텐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방충망에 커버가 결합된 원터치식 텐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방충망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원터치식 텐트의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연결부재 14 : 연결구
30 : 원터치식 텐트 31 : 연결끈
33 : 원단 35 : 방충망
35a, 37a : 벨크로 테이프 37 : 커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은,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하여 텐트를 자동으로 펼치거나 쉽게 접어 용이한 설치 및 해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에 있어서, 텐트 원단의 최상단 중심부 일측에 방충망을 일체로 형성하여, 텐트 내부로의 유해 해충 침투를 방지하는 동시에 텐트 내부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및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의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에는, 빗물 침투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결착수단을 통하여 커버를 더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은 본 고안의 방충망이 형성된 원터치식 텐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방충망에 커버가 결합된 원터치식 텐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방충망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원터치식 텐트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30)에 있어서, 원단(33)의 상부 일측에 방충망(35)을 형성하여이루어진다. 즉, 연결끈(31)(도 2 및 도 6에 도시)에 의하여 상기 종래의 원터치식 텐트(30)에 형성된 연결부재(12)의 연결구(14)(도 2에 도시)에 결속되는 상기 원터치식 텐트(30) 원단(33)의 최상단 중심부 일측에 봉재 등에 의하여 상기 방충망(35)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원터치식 텐트(30)를 설치하여 사용할 때, 상기 방충망(35)에 의하여 야외의 유해 해충이 상기 원터치식 텐트(3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방충망(35)을 통하여 텐트의 외부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텐트 내부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비가 올 때에는 상기 원터치식 텐트(30)의 상부에 플라이(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텐트 내부로의 빗물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비가 올 때에는 빗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상 플라이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방충망(35)을 덮는 커버(37)를 결합시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방충망(35)과 원단(33)의 결합면에 봉재 또는 접착에 의하여 벨크로 테이프(35a)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37)의 테두리에 또한 벨크로 테이프(37a)를 형성하여, 상기 커버(37)를 상기 방충망(35) 측에 쉽게 결합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37)는 원터치식 텐트(30)의 원단(33)과 동일한 방수형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벨크로 테이프에 의한 커버의 결합만을 설명하였으나, 지퍼 또는 연결고리 및 끈을 이용한 다양한 결착수단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터치식 텐트의 상부 일측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상기 원터치식 텐트를 이용한 야외 활동 시 유해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텐트 내부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및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하여 텐트를 펼치거나 접어 설치 및 해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식 텐트(30)에 있어서, 상기 텐트 원단(33)의 최상단 중심부 일측에는 방충망(35)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35)에는 결착수단에 의하여 커버(37)를 더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상기 방충망(35)과 원단(33)의 결합면에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35a)와 상기 커버(37)에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37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7)는 상기 원단(33)과 동일한 방수형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KR20-2004-0018034U 2004-06-25 2004-06-25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KR200361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34U KR200361522Y1 (ko) 2004-06-25 2004-06-25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34U KR200361522Y1 (ko) 2004-06-25 2004-06-25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522Y1 true KR200361522Y1 (ko) 2004-09-13

Family

ID=49437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034U KR200361522Y1 (ko) 2004-06-25 2004-06-25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5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03Y1 (ko) 2008-03-12 2010-09-13 오재영 원터치 접철형 방충망의 폴대고정장치
KR20210136747A (ko) * 2020-05-08 2021-11-17 송영구 파라솔텐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03Y1 (ko) 2008-03-12 2010-09-13 오재영 원터치 접철형 방충망의 폴대고정장치
KR20210136747A (ko) * 2020-05-08 2021-11-17 송영구 파라솔텐트
KR102345521B1 (ko) * 2020-05-08 2021-12-29 송영구 파라솔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295B2 (en) Outdoor canopy
US8590554B2 (en) Foldable tent with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US8522806B2 (en) Outdoor canopy
US20100326485A1 (en) Outdoor canopy
CA2784162C (en) Foldable tent
GB2410260A (en) Umbrella style tent
KR200361522Y1 (ko) 원터치식 텐트용 방충망
KR101168239B1 (ko) 낚시텐트의 플라이
KR102345521B1 (ko) 파라솔텐트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AU2006312180A1 (en) Tent with hinged door or window
KR200475845Y1 (ko) 텐트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1098513B1 (ko) 자동텐트의 프레임 연결장치
US20110023921A1 (en) Outdoor canopy
KR200344232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KR100705712B1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KR200361982Y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방충장
KR102451007B1 (ko) 탈착 가능한 방충망을 구비하는 파라솔 우산
KR100938980B1 (ko) 자동 절첩식 텐트의 플라이 구조
KR200335872Y1 (ko) 파라솔용 차양
KR200335873Y1 (ko) 파라솔용 차양
CN219826390U (zh) 一种组合式帐篷
KR200187516Y1 (ko) 차양막 개폐형 파라솔
KR102476344B1 (ko) 빗물 유입 차단 구조를 갖는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