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641Y1 -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641Y1
KR200389641Y1 KR20-2005-0011790U KR20050011790U KR200389641Y1 KR 200389641 Y1 KR200389641 Y1 KR 200389641Y1 KR 20050011790 U KR20050011790 U KR 20050011790U KR 200389641 Y1 KR200389641 Y1 KR 200389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rope
link
connecting ro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to KR20-2005-0011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카의 하부에 조립.설치되는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는 제 1 및 제 2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제 1 및 제 2회전축의 선단에 일체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링크가 서로 연결되도록 소정 길이의 연결대를 횡설키되, 상기 연결대 상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감착시키고 상기 제 1링크의 일측에 작동부재의 하단을 고정하여 안전장치용 로프의 양측단을 직접 연결시켜 줌으로써, 상기 작동대의 설치가 필요치 않도록 하여 로프연결장치의 구성부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작비용을 저감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로프연결장치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Rope coupling device for the safety appliance of an elevator cage}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승강카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용 로프를 연결하는 로프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승강카의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전면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링크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감착시키고, 상기 제 1링크의 일측에 상기 안전장치용 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작동부재를 연결시킴으로써,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 향상 및 제작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카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카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층간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기로서 그 특성상 다양한 형태의 안전장치가 승강카의 내/외부에 각각 장착되어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그 중 상기 승강카의 승/하강 속도를 감지하여 이상 속도가 발생할 경우 승강카의 운행을 정지시키는 안전장치인 조속기는 승강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속기의 주륜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아이들시브에 로프의 상/하부를 권취시키고, 상기 로프의 양단부를 승강카의 하부에 설치되는 로프연결장치에 각각 연결시켜 승강카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로프의 양단부가 연결.고정되는 종래의 로프연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R)의 상단이 고정되며 승강카(100)의 배면 중앙에 형성된 다수의 브라켓(102)에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삽입되는 작동바(110)와, 상기 브라켓(102) 중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102) 사이의 작동바(110) 상에 감착되어 소정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바(110)를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120)과, 상기 작동바(110)의 하단부와 일측이 연결되도록 상기 승강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F)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 1회전축(S)의 일단에 축설.고정되는 제 1링크(130)와, 상기 프레임(F)의 타측에 설치되어 승강카(100)를 정지시키는 정지수단(20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 2회전축(S')의 일단에 축설.고정된 제 2링크(140)와, 상기 제 1 및 제 2링크(130)(140)의 타측에 그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대(15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로프연결장치는 승강카(100)의 운행도중 이상 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조속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이를 감지하여 로프(R)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면 상기 승강카(100)의 속도에 의해 로프(R)의 상단부와 연결된 작동대(110)가 상향되게 유동되고, 상기 작동대(110)의 하부가 연결된 제 1링크(130)가 제 1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1링크(130))의 타측에 일측이 고정되며 제 2링크(140)의 일측에 타측이 고정된 상태의 연결대(150)가 상기 제 1링크(130)가 회전된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 2링크(140)를 상기 제 2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정지수단(200)이 가동되게 하여 상기 승강카(100)의 제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승강카(100)가 정상적인 속도로 운행될 경우 조속기의 작동에 의해 로프(R)의 회전이 가능해지면 상기 작동바(110)에 감착된 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바(110)가 하향되게 유동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대(150)로 연결된 제 1 및 제 2링크(130)(140)가 제 1 및 제 2회전축(S)(S')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정지수단(200)을 다시 원상복귀시켜 승강카(100)의 정상 운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로프연결장치는 상기 로프(R)와 연결되는 작동대(110)의 길이가 약 3m정도의 금속봉으로 형성되므로 협소한 장소에서 상기 작동대(110)를 승강카(100)의 일측에 설치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그 설치 장소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동시에 상기 작동대(110)를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인건비에 의해 제작단가가 상승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었음은 물론 제품의 경쟁력이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동반되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은 승강카의 하부에 조립.설치되는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는 제 1 및 제 2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제 1 및 제 2회전축의 선단에 일체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링크가 서로 연결되도록 소정 길이의 연결대를 횡설키되, 상기 연결대 상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감착시키고 상기 제 1링크의 일측에 작동부재의 하단을 고정하여 안전장치용 로프의 양측단을 직접 연결시켜 줌으로써, 상기 작동대의 설치가 필요치 않도록 하여 로프연결장치의 구성부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작비용을 저감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로프연결장치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승강카 하부에 조립.설치된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제 1 및 제 2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의 선단에 각각 제 1 및 제 2링크가 일체로 체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링크의 일측에 양측단이 각각 연결.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대를 일체로 횡설시켜 상기 제 1링크의 회전에 의해 연결대를 일측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 연결.고정된 제 2링크와 제 2회전축을 회전시켜 이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정지수단에 의해 승강카를 제동시키는 로프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링크의 일측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중앙에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단에 형성된 체결공에 위치되어 삽입.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안전장치용 로프의 양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링크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삽입되어 그 중앙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방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제 2링크 사이의 연결대 상에 감착되어 소정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대를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승강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전원을 온/오프시켜 승강카의 제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작동판이 상기 연결대 상에 일체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프연결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로프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는 승강카(100)의 하부에 조립.설치되는 프레임(F)의 전방에 다수의 구성 부품을 설치하여 승강카(100)의 안전장치용으로 사용되는 로프(R)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전술된 바와 같은 통상의 제 1 및 제 2링크(130)(120), 제 1 및 제 2회전축(S)(S'), 연결대(150) 및 정지수단(200)이 프레임(F) 상에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F)의 전방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링크(130)를 회전시키는 작동부재(10)와 상기 연결대(150)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20)과 스위치작동판(30)으로 크게 구성되는데 상기 통상의 구성 부품은 전술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며, 도면상의 부호는 종래와 동일하게 기재한다.
상기 작동부재(10)는 금속재질로 된 소정 형상의 판체로 성형되되, 상부에는 안전장치용 로프(R)의 양단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고정고리(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F)의 일측단에 형성된 체결공(H)과 일치시켜 체결수단인 볼트(B)에 의해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되게 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 1회전축(S)의 선단에 그 중심이 일체로 고정된 제 1링크(130)의 일측이 체결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은 금속 재질로 된 소정 크기의 판체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중앙에 돌출되게 용접.고정시키되, 그 중앙에는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연결대(150)가 삽입되어 지지되게 되며 상기 연결대(150) 상에 감착되는 스프링(120)의 일측이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작동판(30)은 소정 두께의 금속 판체를 "ㄱ"자 형태로 절곡시켜 절곡된 일측에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연결대(150) 상에 위치시켜 체결수단인 너트(N)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프레임(F)의 전방에 설치된 전원스위치(SW)와 접지되어 상기 승강카(100)를 구동하는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부품이 서로 연결되어 승강카(100)의 프레임(F) 상에 설치된 본 고안의 로프연결장치의 작용은 먼저, 승강카(100)가 이상 속도로 운행되면 이를 승강카(100)의 안전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감지하여 상기 안전장치용 로프(R)를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로프(R)의 상단이 연결되는 고정고리(12)가 상부에 형성된 작동부재(10)가 그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홈(14)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그 상부로 당겨지게 되며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0)의 하단에 체결수단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 1링크(130)의 일측이 제 1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1링크(130)의 타측에 그 일측이 연결된 연결대(150)가 상기 제 1링크(130)가 회전된 방향으로 일정 거리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대(150)가 일측으로 유동됨에 따라 동시에 상기 연결대(150)의 타측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고정된 제 2링크(140)와 이 제 2링크(140)가 선단에 일체로 고정된 제 2회전축(S')이 상기 제 1링크(S)가 회전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제 2회전축(S')에 일체로 형성된 작동아암(210)이 프레임(F)의 타측단에 설치된 통상의 정지수단(200)을 작동시켜 승강카를 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대(150) 상에 설치된 스위치작동판(30)은 상기 연결대(150)가 일측으로 유동함에 따라 동일하게 유동하여 상기 프레임(F)의 전방에 근접되게 설치된 전원스위치(SW)와 접지되며 상기 승강카(100)를 구동시키는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정지수단(200)에 의해 제동된 승강카(100)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승강카(100)의 정지 원인이 해소되어 재운행이 개시되기 위해서는 먼저, 안전장치를 해제시켜 안전장치용 로프(R)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면 상기 고정브라켓(20)에 일측이 지지되고 있는 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대(150)가 유동되어 원상복귀되고, 동시에 상기 연결대(150)의 양측단에 각각의 일측이 연결된 제 1 및 제 2링크(130)(140)와 제 1 및 제 2회전축(S)(S')이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상기 제 2회전축(S')에 형성된 작동아암(202)이 동시에 원상복귀되어 상기 정지수단(200)의 제동이 해제되고, 상기 연결대(150)의 유동에 의해 전원스위치(SW)와 접지되어 승강카(100)를 구동하는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켰던 스위치작동판(30)이 동시에 타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전원스위치(SW)와 이격되며 승강카(100)를 구동하는 장치의 전원을 온시켜 상기 승강카(100)의 재운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링크(S)가 역회전됨에 따라 그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고정된 작동부재(10)가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홈(14)을 따라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작동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고리(12)와 연결되는 안전장치용 로프(R)에 긴밀한 장력이 작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승강카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었던 작동대가 불필요하여 로프연결장치의 구성부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작비용을 저감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로프연결장치의 긴밀성 및 작동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로프연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프연결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로프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부재 12 : 고정고리 14 : 가이드홈
20 : 고정브라켓 30 : 스위치작동판 100 : 승강카
120 : 스프링 130, 140 : 제 1 및 제 2링크 150 : 연결대
200 : 정지수단 S, S' : 제 1 및 제 2고정축 SW : 전원스위치
F : 프레임

Claims (1)

  1. 승강카(100) 하부에 조립.설치된 프레임(F)의 전방 양측에 제 1 및 제 2회전축(S)(S')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S)(S')의 선단에 각각 제 1 및 제 2링크(130)(140)가 일체로 체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링크(130) (140)의 일측에 양측단이 각각 연결.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대(150)를 일체로 횡설시켜 상기 제 1링크(S)의 회전에 의해 연결대(150)를 일측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연결대(150)의 타측에 연결.고정된 제 2링크(140)와 제 2회전축(S')을 회전시켜 이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정지수단(200)에 의해 승강카(100)를 제동시키는 로프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링크(S)의 일측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중앙에는 상기 프레임(F)의 일측단에 형성된 체결공(H)에 위치되어 삽입.체결되는 고정볼트(B)에 의해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14)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안전장치용 로프(R)의 양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12)가 일체로 형성된 작동부재(10)와;
    상기 제 1 및 제 2링크(130)(140)를 연결하는 연결대(150)가 삽입되어 그 중앙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프레임(F)의 전방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고정브라켓(20)과 제 2링크(140) 사이의 연결대(150) 상에 감착되어 소정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대(150)를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120)과;
    상기 프레임(F)의 전방에는 승강카(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SW)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스위치(SW)의 전원을 온/오프시켜 승강카(100)의 제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작동판(30)이 상기 연결대(150) 상에 일체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
KR20-2005-0011790U 2005-04-27 2005-04-27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 KR200389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790U KR200389641Y1 (ko) 2005-04-27 2005-04-27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790U KR200389641Y1 (ko) 2005-04-27 2005-04-27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641Y1 true KR200389641Y1 (ko) 2005-07-14

Family

ID=4369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790U KR200389641Y1 (ko) 2005-04-27 2005-04-27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6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9827B (zh) 用于车辆的车桥提升装置以及装配有该装置的车轮悬架
KR20090115645A (ko) 무대구동장치
KR200389641Y1 (ko) 엘리베이터 승강카의 안전장치용 로프연결장치
JPH07317352A (ja) 二段式駐車装置
KR100888768B1 (ko) 배튼 승하강 장치
JP4303295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6502065A (ja) 一体型のエレベーターガイド・安全ブレーキ装置
JP4115195B2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ベルト駆動装置
CN103492305B (zh) 电梯的门开闭装置
JP4133300B2 (ja) 電動式駐輪装置
KR19980087159A (ko) 차량정비용 승강장치의 안전장치
JP5112657B2 (ja) 開閉機の取付構造
KR100963625B1 (ko) 듀얼 브레이크를 갖는 무대장치
KR102322986B1 (ko) 안전형 무대설비 승강장치
JP4864563B2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保持装置
JP5330766B2 (ja) 昇降装置
CN218145565U (zh) 一种井架总成及井架防护模块
KR200331395Y1 (ko) 사다리차의 비상정지구조
JP2005082264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ラガイド装置
KR200373926Y1 (ko) 케이블카
KR200310021Y1 (ko) 이단 주차 장치
KR200254021Y1 (ko) 현수막 게시장치
JP2005212983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検出装置
JP2006335492A (ja) ケーブルドラム支持装置
KR20010088748A (ko) 현수막 게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