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236Y1 -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236Y1
KR200389236Y1 KR20-2005-0009957U KR20050009957U KR200389236Y1 KR 200389236 Y1 KR200389236 Y1 KR 200389236Y1 KR 20050009957 U KR20050009957 U KR 20050009957U KR 200389236 Y1 KR200389236 Y1 KR 200389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le
plate
liquid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식
Original Assignee
김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식 filed Critical 김홍식
Priority to KR20-2005-0009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27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with one or more movable filter bands arranged to be clamped between the press plates or between a plate and a frame during filtration, e.g. zigzag endless filte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0Feeding devices ;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여과판에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고정함에 있어서,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형성된 액체 배출공과 액체 유입공이 갖는 직경 내에 핀 고정홈을 형성하고, 프레임측에 형성된 액체 주입공과 여과액 관통공이 갖는 직경 내에 핀 안내홈을 형성하며, 이에 고정핀을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여과패드의 통공을 걸어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여과패드를 간단하게 탈부착하기 위한 프레임, 플레이트의 핀 고정홈, 핀 안내홈 위치설계를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통공이 위치하는 조건에서 갖추도록 함은 물론, 방향에 관계없이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통공부위를 간단히 고정핀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에 고정핀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어야 하였던 종래의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에 형성된 결합공을 복수개 가공해야 하는 공정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Attachment structure of filter pad or filter paper for filter press}
본 고안은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각종 액체대상물을 압송장치로 주입시켜 여과판을 통해 액체와 입자를 분리하는 필터 프레스에 있어, 여과판과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개선하여 여과판으로부터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공업체에서 여과처리설비로 사용되고 있는 필터 프레스는 압축에 의해 다중 설치된 여과판 사이사이에 액체가 함유된 입자를 유입시키되, 입자는 걸러주고 여액(식품, 의약품, 물, 오일, 화학용액)만을 분리/추출하는 장비이다.
이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필터 프레스(1)는 유압장치(1a)로 다수의 여과판(2)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침전조(미도시함)등에서 입자를 함유한 액체를 펌프(미도시함)로 압송하여 탈수장치인 필터 프레스의 여과판(2)들 사이에 위치한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에 의해 형성된 액체 주입공(2a)에 공급하게 되며, 여과패드(3)에 의해 입자는 남게 되고, 원하는 순수 여액만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를 통과하여 여과판(2)에 형성된 요철부(2b)의 홈을 통해 액체 배출공(2c)으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상기 여과판(2)은 도 2와 같이, 프레임(2-1)과 플레이트(2-2)로 나뉘어 구성되며, 이들은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2-2)는 요철부(2b)가 각 양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2b)의 가장자리에 있어, 하부 양측에는 입자가 함유된 액체가 여과되어 여과액만이 통과하는 액체 배출공(2c)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2b)의 상부 양측에는 최초 미여과된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 유입공(2c-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요철부(2b)의 하부 양측에는 다수의 여과액 배출공(2e)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2-2)의 액체 배출공(2c)은 요철부(2b)측의 여과액 배출공(2e)과 관통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2)의 액체 배출공(2c)과 액체유입공(2c-1)이 형성된 가장자리의 중간지점에는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를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핀(P1)이 안내되어 결합될 수 있는 고정공(h1)이 복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2-2)와 대응되는 프레임(2-1)은 동일한 사각형상으로, 상기 플레이트(2-2)의 요철부(2b)와 일치하는 여과실(2f)이 형성되며, 여과실(2f)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플레이트(2-2)측의 액체 유입공(2c-1)과 일치하는 액체 주입공(2a)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액체 배출공(2c)과 일치하는 여과액 관통공(2a-1)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여과실(2f) 상부에는 상기 플레이트(2-2)에 설치된 고정핀(P1)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안내공(h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에는 이와 대응되는 프레임(2-1) 사이에 동일한 면적을 갖는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가 설치된다.
상기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는 가장자리에 상기 액체 주입공(2a), 액체 배출공(2c)및 여과액 관통공(2a-1), 액체 유입공(2c-1)과 일치되기 위한 동일 직경의 통공(3a)이 4지점 형성되고, 고정핀(P1)을 관통하여 고정되기 위한 결합공(h3)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과판(2)인 프레임(2-1)과 플레이트(2-2)에 있어서, 상기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측의 통공(3a) 및 여결합공(h3)는 상기 액체 주입공(2a), 액체 배출공(2c)및 여과액 관통공(2a-1), 액체 유입공(2c-1)과 정확히 일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정사각형으로 제조된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에 있어, 고정핀(P1)에 결합되는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통공 및 결합공이 상호 일치되어야 상기 프레임과 플레이트에 형성된 액체 주입공, 액체 배출공과 상호 일치되어야 하는 조건을 갖기 때문에, 소모품으로서 주기를 갖고 교체되는 여과패드는 항상 일정한 방향에서만 장착되거나 탈거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여과판인 프레임과 플레이트가 압착되어 여과되는 과정에서 각 액체 주입공과, 액체 배출공이 정확히 일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애초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부착시 여과패드측의 통공과 결합공이 정확한 위치에서 펀칭되어야 하는 설계조건이 따르고, 이에 의한 프레임과 플레이트측의 액체 주입공, 액체 배출공 및 여과액 관통공, 액체 유입공 위치도 정확히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여과판의 제작상에도 정밀한 설계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에 고정핀을 수용하기 위한 결합공이 복수개 가공해야만 하는 작업공정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필터 프레스의 여과판 및 여과판에 부착되어 액체를 걸러주는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고정하기 위한 여과판의 고정위치를 변경하고, 이에 따른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간단하게 제작하여 보다 간편하게 여과판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장자리에 액체대상물을 공급하기 위한 액체 주입공 및 여과액 관통공이 형성되고, 여과실이 형성된 프레임과, 여과된 액체를 배출시키는 액체 배출공 및 액체 유입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여과판과; 상기 액체 주입공과 액체 배출공, 여과액 관통공, 액체유입공과 일치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프레임과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액체대상물을 여과하는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해당하는 하나의 액체 주입공과 하나의 여과액 관통공 직경으로부터 핀 안내공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해당하는 하나의 액체 배출공과 하나의 액체 유입공 직경으로부터 핀 고정홈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핀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에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통공이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여과판으로부터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도시한 일부분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패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 종단면도이다.
참고로, 상기 도 4는 여과시키고자 하는 대상물을 주입과 여과된 여과액이 배출되는 상태를 이해되도록 도면에 표시된 A-A선을 기준으로 단면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장자리에 액체대상물을 공급하기 위한 액체 주입공(2a) 및 여과액 관통공(2a-1)이 형성되고, 여과실(2f)이 형성된 프레임(2-1)과, 여과된 액체를 배출시키는 액체 배출공(2c) 및 액체 유입공(2c-1)이 형성된 플레이트(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여과판(2)과; 상기 액체 주입공(2a)과 액체 배출공(2c), 여과액 관통공(2a-1), 액체유입공(2c-1)과 일치하는 통공(3a)이 형성되며, 프레임(2-1)과 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어 액체대상물을 여과하는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1)에 해당하는 하나의 액체 주입공(2a)과 하나의 여과액 관통공(2a-1) 직경으로부터 핀 안내공(2A)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2)에 해당하는 하나의 액체 배출공(2c)과 하나의 액체 유입공(2c-1) 직경으로부터 핀 고정홈(2B)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2-2)의 핀 고정홈(2B)에 삽입되는 고정핀(P1)에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통공(3a)이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통공(3a)은 플레이트(2-2)의 액체 유입공(2c-1)의 직경 중심선상에서 핀 고정홈(2B)이 형성된 직경선상까지의 반지름을 갖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패드의 통공이 갖는 직경(L2)은 여과판(2)의 프레임(2-1) 또는 플레이트(2-2)에 형성된 액체 배출공(2c) 액체 주입공(2a), 여과액 관통공(2a-1), 액체 유입공(2c-1)이 갖는 직경(L1)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통공(3a)을 상기 복수의 고정핀(P1)에 걸어줌에 있어, 사각형의 어느 방향에 관계없이 지지할 수 있기 위함이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에서의 일치하는 도면부호와 동일하게 기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부착구조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체의 여과는 필터 프레스(1)의 각 여과판(2)인 프레임(2-1)을 통해 액체대상물이 공급되고, 이 액체대상물 중 입자로부터 순수 여액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여과판(2)인 프레임(2-1)과 플레이트(2-2)의 각각 압착상태에서 여과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판(2)인 프레임(2-1)과 플레이트(2-2)의 압착시 각 플레이트의 양측면으로부터 고정핀(P1)에 의해 설치된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에는 이때부터 여과가 이루어지며, 여과패드를 통과하는 액체대상물 중 입자는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에 적치되고, 여과된 액은 플레이트(2-2)의 요철부(2b) 하부측에 2지점 형성된 다수의 여과공(2e)을 통해 상기 각 액체 배출공(2c)을 통해 외부로 배출 처리된다.
상기와 같은 각 여과판(2)의 압착 해제동작에 있어, 플레이트(2-2)의 액체 배출공(2c)과 액체 유입공(2c-1)측의 핀 고정홈(2B)에는 설치된 고정핀(P1)은 여과패드(3)의 통공(3a)중 상부측 2개의 통공을 걸어 지지하는 형태가 되고, 고정핀(P1)의 종단은 프레임(2-1)의 액체 주입공(2a)과 여과액 관통공(2a-1)에 연장 형성된 핀 안내공(2A)에 안내되거나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의 상기 고정핀(P1)의 길이에 의해 쉽게 여과패드(3)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플레이트(2-2)의 핀 고정홈(2B)에 삽입 설치된 고정핀에 대해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설치는 4개의 통공(3a) 중 여과패드(3)의 가로변의 통공을 걸어주는 것으로, 이때의 각 통공(3a)은 플레이트(2-2)의 액체 배출공(2c), 액체 유입공(2c-1)과 상호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여과판(2)인 플레이트(2-2)에 일치되는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통공(3a) 직경은 상기 액체 배출공(2c), 액체유입공(2c-1)의 직경에 대해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위치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2-2)와 대응되어 밀착되는 프레임(2-1)의 액체 주입공(2a) 및 여과액 관통공(2a-1)은 상기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통공(3a)과 상호 밀착되어 일치되었을 때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통공(3a)은 플레이트(2-2)측의 요철부(2b)과 프레임(2-1)측의 여과실(2f)이 형성된 범위 밖에 위치하기 때문에, 여과과정에서의 액체대상물 주입 및 여과/배출에 간섭을 주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를 지지하는 고정핀(P1) 위치는 플레이트(2-2)의 액체 배출공(2c)과 관통공(2c-1) 및 프레임(2-1)의 액체 주입공(2a)과 여과액 관통공(2a-1)이 갖는 직경의 중심선상에서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여과판(2)인 프레임(2-1)과 플레이트(2-2)의 제작시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위치선정에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각 4지점에 형성된 통공(3a)은 그 중심선상이 정사각지점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언급한 바와 같이 액체 주입공(2a), 액체 배출공(2c) 및 여과액 관통공(2a-1), 액체 유입공(2c-1)의 직경(L1,L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이유에서 상기 고정핀(P1)에 걸어 지지할 때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는 방향에 상관없이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과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여과판에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고정함에 있어서,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형성된 액체 배출공과 액체 유입공이 갖는 직경 내에 핀 고정홈을 형성하고, 프레임측에 형성된 액체 주입공과 여과액 관통공이 갖는 직경 내에 핀 안내홈을 형성하며, 이에 고정핀을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여과패드의 통공을 걸어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여과패드를 간단하게 탈부착하기 위한 프레임, 플레이트의 핀 고정홈, 핀 안내홈 위치설계를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통공이 위치하는 조건에서 갖추도록 함은 물론, 방향에 관계없이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통공부위를 간단히 고정핀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에 고정핀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어야 하였던 종래의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에 형성된 결합공을 복수개 가공해야 하는 공정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필터 프레스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의 설치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의 여과판으로부터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를 도시한 일부분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여과판과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여과판 2-1: 프레임
2-2: 플레이트 2a: 액체 주입공
2c: 액체 배출공 2a-1: 여과액 관통공
2c-1: 액체 유입공 2f: 여과실
2A: 핀 안내공 2B: 핀 고정홈
3: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3a: 통공
P1: 고정핀

Claims (2)

  1. 가장자리에 액체대상물을 공급하기 위한 액체 주입공(2a) 및 여과액 관통공(2a-1)이 형성되고, 여과실(2f)이 형성된 프레임(2-1)과, 여과된 액체를 배출시키는 액체 배출공(2c) 및 액체 유입공(2c-1)이 형성된 플레이트(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여과판(2)과; 상기 액체 주입공(2a)과 액체 배출공(2c), 여과액 관통공(2a-1), 액체유입공(2c-1)과 일치하는 통공(3a)이 형성되며, 프레임(2-1)과 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어 액체대상물을 여과하는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1)에 해당하는 하나의 액체 주입공(2a)과 하나의 여과액 관통공(2a-1) 직경으로부터 핀 안내공(2A)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2)에 해당하는 하나의 액체 배출공(2c)과 하나의 액체 유입공(2c-1) 직경으로부터 핀 고정홈(2B)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2-2)의 핀 고정홈(2B)에 삽입되는 고정핀(P1)에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통공(3a)이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3)의 통공(3a)은 플레이트(2-2)의 액체 배출공(2c), 여과액 관통공(2c-1)의 직경 중심선상에서 핀 고정홈(2B)이 형성된 직경선상까지의 반지름을 갖는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KR20-2005-0009957U 2005-04-12 2005-04-12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KR200389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957U KR200389236Y1 (ko) 2005-04-12 2005-04-12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957U KR200389236Y1 (ko) 2005-04-12 2005-04-12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236Y1 true KR200389236Y1 (ko) 2005-07-07

Family

ID=4369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957U KR200389236Y1 (ko) 2005-04-12 2005-04-12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2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651B1 (ko) * 2016-04-12 2017-08-14 경윤현 필터프레스용 복식 여과판의 프레임
KR20200121702A (ko) * 2019-04-16 2020-10-26 경윤현 필터프레스의 여과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1585A (ko) * 2020-06-30 2022-01-06 경규혁 복식 필터프레스의 플레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651B1 (ko) * 2016-04-12 2017-08-14 경윤현 필터프레스용 복식 여과판의 프레임
KR20200121702A (ko) * 2019-04-16 2020-10-26 경윤현 필터프레스의 여과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6315B1 (ko) * 2019-04-16 2021-04-28 경윤현 필터프레스의 여과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1585A (ko) * 2020-06-30 2022-01-06 경규혁 복식 필터프레스의 플레이트
KR102494009B1 (ko) * 2020-06-30 2023-01-30 경규혁 복식 필터프레스의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7260T2 (de) Filtrationssysteme
EP2914361B1 (de) Filtervorrichtung für fluide
KR200389236Y1 (ko) 필터 프레스용 여과패드 또는 여과지 부착구조
DE10219237B4 (de) Verteilerplatte für Querstrom Kassettentyp-Filtrationseinrichtungen
KR20190042886A (ko) 이송 펌프를 이용한 절삭유 압송이 가능한 금속 절삭 가공 장치
JP3827868B2 (ja) スクリーン交換装置
KR102049252B1 (ko) 케미컬 처리장치용 하우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케미컬 처리장치
EP2313219B1 (de) Einrichtung zum tragen von kernen
US11654381B2 (en) Rotary disk filter
DE19714959B4 (de) Schlauchfilter zur Flüssigkeitsfiltration
CN208933002U (zh) 一种用于工业纯水生产系统中的机械过滤装置
CN107447268B (zh) 一种可拆卸泵座的纺丝箱
JP2004346574A (ja) 集水装置および濾過装置
CN204469326U (zh) 错流过滤装置
KR101180928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에어필터
KR200327878Y1 (ko) 필터 프레스의 여과판
CN217773502U (zh) 芳纶沉析纤维沉析剂过滤芯及其过滤器
KR200373573Y1 (ko) 반복재생이 가능한 정밀여과장치
CN211562127U (zh) 一种浸没式过滤装置
KR200320055Y1 (ko) 필터프레스의 여과판에 있어서, 여과포의 장착구조
CN220125646U (zh) 一种立式加压精滤机自清洗反冲卸料装置
KR20080005600U (ko) 필터 프레스 여과판 연결용 체인 고정핀
KR102454352B1 (ko) 메시망을 이용한 원형 여과장치
JP3783091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における洗浄装置
KR101056859B1 (ko) 고체와 액체의 분리 배출기능을 갖는 여과장비 및 그를 위한 여과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