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756Y1 - 와이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756Y1
KR200388756Y1 KR20-2005-0008092U KR20050008092U KR200388756Y1 KR 200388756 Y1 KR200388756 Y1 KR 200388756Y1 KR 20050008092 U KR20050008092 U KR 20050008092U KR 200388756 Y1 KR200388756 Y1 KR 200388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dy part
binding
wires
rotary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희
Original Assignee
정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희 filed Critical 정순희
Priority to KR20-2005-0008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8Fastenings for securing ends of driving-cables to one another, the fastenings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cables
    • F16G11/09Fastenings for securing ends of driving-cables to one another, the fastenings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cables incorporating hinge joints or pivots for the attachment of the cabl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며, 내부로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와이어삽입구를 갖는 한 쌍의 회전링크부와; 상기 와이어삽입구의 내면에 형성된 슬립방지용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와이어 결속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들 간의 결속력을 높여 결속된 와이어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연결장치{Wire connector}
본 고안은, 와이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결속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들 간의 결속력을 높여 결속된 와이어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물체를 절단하는 절삭도구로써 칼이나 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상대적으로 경도와 강도가 낮은 재료를 절단하기에 적합할 뿐이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경도가 강하고 거대한 석재 등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도구로는 불가능하다.
이에, 석재와 같은 대형 구조물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소위, 절단용 와이어(이하, 와이어라 함)를 사용하게 된다. 와이어에는 소위, 비드(Bead)라고 하는 절삭부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체결되는데, 사용시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드럼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피구조물을 절삭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를 회전드럼에 장착하여 대형 구조물을 절삭하기 위해서는 와이어의 길이가 수 내지 수십 미터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와이어를 이정도의 길이로 길게 제조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단위길이로써 와이어를 제조한 후, 커넥터를 이용하여 각 단위길이의 와이어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는 그 구조상 와이어를 결속하는 결속력이 약해 와이어들이 상호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와이어가 분리되면 피구조물을 절삭하는 작업을 중지하고 다시 와이어를 재결속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공정상의 로스(Loss)를 유발할 수밖에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어 결속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들 간의 결속력을 높여 결속된 와이어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며, 내부로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와이어삽입구를 갖는 한 쌍의 회전링크부와; 상기 와이어삽입구의 내면에 형성된 슬립방지용 홈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부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상기 슬립방지용 홈부로 하여금 상기 와이어를 결속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에 링크결합된 결합부와; 상기 결속부 및 상기 결합부 사이에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연결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와이어 연결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와이어 연결장치의 일단에 와이어를 연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시 않은 거대 피구조물을 절삭하는 와이어(20)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즉, 와이어(20)는 메인회전드럼(10)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상호 이격된 두개의 보조회전드럼(12)에 권취된다.
이에, 도시 않은 모터가 동작하여 메인 및 보조회전드럼(10,12)을 회전시키면 이들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20)는 메인 및 보조회전드럼(10,12)을 따라 회전하면서 피구조물의 소정 위치를 절삭하게 된다.
물론, 실제로 피구조물에 대한 절삭은 와이어(2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체결되어 있는 소위, 비드(Bead)라고 하는 절삭부재(15)에 의해 이루어진다. 절삭부재(15)의 표면에는 다이아몬드(16)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 그 절삭력을 배가시키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및 보조회전드럼(10,12)에 와이어(2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와이어(20)의 길이가 수 내지 수십 미터가 되어야 하지만, 이정도의 길이로 와이어(20)를 제조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정한 단위길이로써 와이어를 마련해놓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와이어(20)를 제조하게 된다. 이 때, 와이어(20)들의 연결은 이하에서 설명할 와이어 연결장치(30)에 의해 쉽고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연결장치(30)는, 도 2a 및 도 2b,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와, 몸체부(31)의 양단에 마련되어 몸체부(3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한 한 쌍의 회전링크부(32)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링크부(32)는 몸체부(3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결장치(30)를 사용하더라도 도 1의 메인 및 보조회전드럼(10,12)에 와이어(2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 쌍의 회전링크부(32)의 내부에는 와이어(20)가 삽입되는 공간인 와이어삽입구(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삽입구(33)의 내면에는 슬립방지용 홈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슬립방지용 홈부(34)는 나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링크부(32)는, 와이어(2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슬립방지용 홈부(34)로 하여금 와이어(20)를 결속하는 결속부(32a)와, 결속부(32a)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몸체부(31)에 링크결합된 결합부(32b)와, 결속부(32a) 및 결합부(32b) 사이에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된 그루브(32c)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연결장치(30)를 이용하여 와이어(20)를 결속하려 한다면, 우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크부(32)의 내부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구(33)로 와이어(20)를 삽입한다.
그런 다음, 별도의 압착기나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회전링크부(32)의 결속부(32a) 외측을 압착한다. 그러면 도 3과 같이, 결속부(32a)가 찌그러지면서 그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20)를 꽉 쥐게 된다.
이 때, 결속부(32a)의 내면에는 슬립방지용 홈부(3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찌그러지면서 와이어(20)를 꽉 쥔 힘과 더불어 테이퍼진 홈부(34)들이 각각 와이어(20)를 척킹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와이어(20)에 대한 결속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즉, 홈부(34)들로 인해 와이어(20)가 미끄러지면서 연결장치(30)로부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도 3과 같이, 와이어(20)를 결속하면, 와이어(20)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이어(20) 결속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20)들 간의 결속력을 높여 결속된 와이어(2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지만, 연결장치(30)는 크롬-몰리브덴 합금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와이어 결속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들 간의 결속력을 높여 결속된 와이어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연결장치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와이어 연결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와이어 연결장치의 일단에 와이어를 연결한 상태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회전드럼 12 : 보조회전드럼
15 : 절삭부재 15a : 다이아몬드
20 : 와이어 30 : 연결장치
31 : 몸체부 32 : 회전링크부
32a : 결속부 32b : 결합부
32c : 그루브 33 : 와이어삽입구
34 : 슬립방지용 홈부

Claims (2)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며, 내부로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와이어삽입구를 갖는 한 쌍의 회전링크부와;
    상기 와이어삽입구의 내면에 형성된 슬립방지용 홈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부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상기 슬립방지용 홈부로 하여금 상기 와이어를 결속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에 링크결합된 결합부와;
    상기 결속부 및 상기 결합부 사이에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된 그루브를 포함하는, 와이어 연결장치.
KR20-2005-0008092U 2005-03-24 2005-03-24 와이어 연결장치 KR200388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92U KR200388756Y1 (ko) 2005-03-24 2005-03-24 와이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92U KR200388756Y1 (ko) 2005-03-24 2005-03-24 와이어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756Y1 true KR200388756Y1 (ko) 2005-07-07

Family

ID=4369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092U KR200388756Y1 (ko) 2005-03-24 2005-03-24 와이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7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961A (ko) * 2016-03-24 2017-10-12 주식회사 포스코 로프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961A (ko) * 2016-03-24 2017-10-12 주식회사 포스코 로프 연결장치
KR101883383B1 (ko) * 2016-03-24 2018-07-30 주식회사 포스코 로프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47258A1 (en) Hole saw assembly
CN1189291C (zh) 用于凿岩钻头的刀夹
US7290467B2 (en) Socket wrench apparatus
AU2004224826A1 (en) An improved hole saw boss
US10035197B2 (en) Quick change system for rotary tools
JP2007502719A (ja) ツールホルダとの係合を改良すべく構成されたカッティングツール
WO2007093048A3 (en) Torque-enabling drive tool holder
US20160044876A1 (en) Extractable fastener
US7387479B1 (en) Quick-release tool holder for rotary tools
US20010022118A1 (en) tightening nut for a collect
JP2017030144A (ja) 回転可能な切削工具と当該回転可能な切削工具のためのレンチ
KR200388756Y1 (ko) 와이어 연결장치
US20160115988A1 (en) Screw with a screw head which has a drive
KR100915285B1 (ko) 볼트 및 나사 제거장치
CN102785161A (zh) 动力工具
WO2011066831A3 (en) A rotary drill
US8079789B2 (en) Tool coupling
JP3650651B2 (ja) コアドリル
KR100938173B1 (ko) 도난방지 나사와 전용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
US20130133487A1 (en) Tool Head Structure
JP6735399B1 (ja) 治具、手持用電動工具および鉄筋の端面加工方法
JP2011104758A (ja) 封印ペンチ
KR101541319B1 (ko) 절삭공구 홀더
US7412915B2 (en) Method of securing a connection in a drive assembly and a securely connected drive assembly
JP2009178792A (ja) 歯切り用回転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