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091Y1 - 소재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소재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091Y1
KR200388091Y1 KR20-2005-0008974U KR20050008974U KR200388091Y1 KR 200388091 Y1 KR200388091 Y1 KR 200388091Y1 KR 20050008974 U KR20050008974 U KR 20050008974U KR 200388091 Y1 KR200388091 Y1 KR 200388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protective cap
present
support device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의열
Original Assignee
캐스틸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스틸금속(주) filed Critical 캐스틸금속(주)
Priority to KR20-2005-0008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0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절단용 소재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될 소재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덧씌워져 상기 소재와 상기 받침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받침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교적 가스절단 시 발생되는 고열에 받침대가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스절단용 소재의 받침장치의 사용기간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재받침장치{CUTTING MATERIAL SUPPORTING DEVICE}
본 고안은 가스절단용 소재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가스절단용 소재받침장치는 가공될 소재가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덧씌워져 있으며 요철형의 상부와 아크진 꼭대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소재와 상기 받침대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더욱 상세한 특징으로 한다.
가스절단용 소재받침장치란 가스절단을 하기위한 금속 소재(금속판 등)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거대한 금속판 등을 특정한 모양으로 정확하게 절단하기 위해서는 금속판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의 소재받침장치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소재받침장치(10)는 대략 프레임(102)과 다수의 받침대(101)로 이루어진 간단한 것이다. 이러한 소재받침장치 위에 가공할 철판소재(11)를 올려놓고, 가스토치(12)를 이용하여 미리 디자인된 형태대로 자동 혹은 수동으로 상기 철판소재(11)를 절단하였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가스절단 시에는 가공되는 소재와 산소의 급격한 화학 반응에 의해 고열이 발생하므로, 가공될 소재와 접하고 있는 받침대(101)는 항상 고열에 노출될 수밖에 없어 심각한 열변형 및 소재와의 침착이 초래되었고, 따라서 정기적으로 받침대(101)를 교체하여야만 한다. 그런데 이러한 받침대는 비교적 고가이므로 받침대의 정기적인 교체는 결과적으로 철판가공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장기간 변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스절단용 소재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공될 소재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에 덧씌워져 상기 소재와 상기 받침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받침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캡을 포함하는 소재받침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재받침장치는 상기 보호캡이 소정 간격으로 분산되어 상기 받침대의 특정부분에 덧씌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재받침장치는 상기 보호캡의 하단에 상기 받침대의 상부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상단은 요철(凹凸)형으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재받침장치는 상기 보호캡이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상단에 아크진 꼭대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이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고안은 가스절단용 소재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가스절단용 소재받침장치는 가공될 소재가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덧씌워져 있으며 요철형의 상부와 아크진 꼭대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소재와 상기 받침대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기간 변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스절단용 소재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캡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20)는 다수개의 받침대(21)를 고정시키는 프레임(22)과 받침대(21)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분산되어 덧씌워진 다수개의 보호캡(23)으로 구성된다.
먼저 받침대(21)는 가공될 소재(철판 등)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22)에 고정되어 지면으로부터 격리되며,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가 배열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소재(즉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철판)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1)는 제작비용이 상당하게 드는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받침대(21)를 보호하기 위하여 받침대(21)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보호캡(23)을 씌웠다. 즉 도 1의 종래의 기술과 같이 받침대(101) 위에 아무런 장치 없이 바로 철판 등의 가공될 소재를 올려놓고 가스절단을 실시하게 되면, 철판 등을 절단하기 위한 고온 고압의 산소와 아세틸렌 기체 혼합물에 의한 고열이 철판 등의 가공될 소재 뿐 아니라 받침대(101)에 까지 전달되게 되어 받침대(101)가 손상되거나 순간적으로 녹아내린 철 등이 받침대(101)에 침착되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결과적으로 받침대(101)를 자주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비교적 값이 싼 주물로 제작될 수 있는 보호캡(23)을 받침대(21)의 상부에 군데군데 씌워 두게 되면, 상기 받침대(21)가 고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아 받침대(21)의 열변형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보호캡(23)은 그 하단에 상기 받침대(21)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33)이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상기 받침대(21)와 보호캡(23)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상부(231)는 요철(凹凸)형으로 제작되었으며 각 모서리는 아크진 꼭대기(232)를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형태로 제작한 이유는 가공될 소재인 철판 등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보호캡(23)과 소재가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보호캡(23)이 가스절단 시 발생하는 고열에 노출될 수 있는 확률을 최소화하여, 보호캡(23)의 수명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가 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간략히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20)는 다수개의 가스토치(42)가 정렬된 가스절단장치의 하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가공될 철판소재(41)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20) 상에 놓여지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가스토치(42)가 작동되어 목적물을 생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20)는 받침대(21)로 지지되는 철판소재(41)와 받침대(21)사이에 보호캡(23)이 존재하므로, 고열이 철판소재(41)에 가해지더라도 보호캡(23)에 의해 보호되는 받침대(21)로 직접적으로 열이 전달되지 못한다. 그리고 철판소재(41)로 가해진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보호캡(41)도 아크진 꼭대기(232)와 요철형 상부(231)에 의해 열 전달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보호캡(41)의 요철형 상부(231)가 절단하고자 하는 철판과 점접촉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의 접촉면적이 작아서, 용접시에 녹아내린 용융액이 철판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단된 철판의 품질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보호캡(41)이 열에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열에 의해 보호캡이 타서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캡(2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21) 일률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호캡(23)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233)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쉽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받침대(21)의 상부에 군데군데 분산시켜 둠으로써 가공될 철판소재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응용범위를 더욱 확장시켰다. 그리고 비교적 작은 크기의 보호캡(23)은 열변형이 생긴 것만을 그때그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교체비용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하여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고안과 균등한 영역의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에 의하면 고가인 받침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열변형에 따른 받침대의 교체없이 적은 비용으로 소재받침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는 보호캡의 탈·장착이 용이하며, 보호캡으로 전달되는 열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보호캡의 열변형에 따른 교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는 비교적 소형인 보호캡을 필요한 부분만을 그때그때마다 소규모로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보호캡의 교체비용이 저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소재받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소재받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소재받침장치 101, 21:받침대
102, 22:프레임 23:보호캡
231:요철(凹凸)형 상부 232: 아크진 꼭대기
11, 41:철판소재 12, 42:가스토치

Claims (4)

  1. 가공될 소재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에 덧씌워져 상기 소재와 상기 받침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받침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받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소정 간격으로 분산되어 상기 받침대의 특정부분에 덧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받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하단에 상기 받침대의 상부가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상단은 요철(凹凸)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받침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상단에 아크진 꼭대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받침장치.
KR20-2005-0008974U 2005-04-01 2005-04-01 소재받침장치 KR200388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974U KR200388091Y1 (ko) 2005-04-01 2005-04-01 소재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974U KR200388091Y1 (ko) 2005-04-01 2005-04-01 소재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091Y1 true KR200388091Y1 (ko) 2005-06-29

Family

ID=4368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974U KR200388091Y1 (ko) 2005-04-01 2005-04-01 소재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0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994B1 (ko) * 2009-05-26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절단용 받침장치
KR101269598B1 (ko) * 2013-01-29 2013-06-05 (주)메가텍코리아 철판 절단용 지지 장치
CN115430881A (zh) * 2022-07-14 2022-12-0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钢板火焰切割用支撑工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994B1 (ko) * 2009-05-26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절단용 받침장치
KR101269598B1 (ko) * 2013-01-29 2013-06-05 (주)메가텍코리아 철판 절단용 지지 장치
CN115430881A (zh) * 2022-07-14 2022-12-0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钢板火焰切割用支撑工装
CN115430881B (zh) * 2022-07-14 2023-12-2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钢板火焰切割用支撑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3106A (ko) 매엽식 열처리장치
KR200388091Y1 (ko) 소재받침장치
KR100268712B1 (ko) 단결정 인발방법 및 그 장치
JP4467028B2 (ja) 縦型ウェーハ支持治具
GB2272964A (en) Vertical wafer boat
CN103521916A (zh) 靶材组件的焊接方法
US20050230892A1 (en) Semiconductor workpiece apparatus
JPS60180998A (ja) 分子線エピタキシヤル成長装置用の基板保持装置
US4891489A (en) Shield cup protector apparatus for plasma arc torch
JPH0745691A (ja) ウェーハホルダ
KR101286724B1 (ko) 분할 엠보싱 구조 정전척
CN105814385A (zh) 热处理用治具以及热处理用治具组装装置
JP2006057126A (ja) 熱処理治具
JP4729686B2 (ja) Pcb含有機器の解体装置
US5431331A (en) Thermal resilient multiple jaw braze fixture
JP2984173B2 (ja) 取鍋精錬電極装置
JPS59194392A (ja) 高温法用電極およびその使用法
JP5155571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
CN209139093U (zh) 一种ir炉灯管结构
JPS5857287A (ja) 鋼鉄の電気的製造に使用するための軸方向可動な電極支台
KR101509560B1 (ko) 용접봉 거치대가 구비된 용접면
US2217501A (en) Safety shield
CN218565375U (zh) 一种具有导热功能的防爆灯
KR102277802B1 (ko) 유도가열 방식의 태양전지용 단결정 잉곳성장장치
KR101919026B1 (ko) 열처리용 일체형 서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