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940Y1 -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940Y1
KR200386940Y1 KR20-2005-0009232U KR20050009232U KR200386940Y1 KR 200386940 Y1 KR200386940 Y1 KR 200386940Y1 KR 20050009232 U KR20050009232 U KR 20050009232U KR 200386940 Y1 KR200386940 Y1 KR 200386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ver
window
safety ro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재
박현선
이환영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시마스
주식회사 디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시마스, 주식회사 디엠에이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9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9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적재함에 설치된 덮개의 투시창은 운전자가 덮개를 통해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에는 용이하나 적재함 내부에서 유동되는 적재물과 부딪치는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픽업차량용 적재함(700)에 설치되며, 후면쪽의 도어(110)와 양 측면부(120)쪽에 투시창(113)(123)이 형성된 덮개(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100)의 도어(110)와 측면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투시창(113)(123) 내면에 용접 또는 볼트결합 또는 리벳결합 중 하나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안전봉 (200)을 설치하므로서, 적재함(700)에 적재된 적재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적재물이 투시창(113)(123)쪽으로 이동되어 부딪치더라도 적재물이 안전봉(200)에 먼저 닿게 되면서 투시창(113)(123)이 적재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safety bar installing structure of deck cover for pick-up truck}
본 고안은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덮개의 후면쪽 도어와 양 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투시창 내면에 투시창 보호용 안전봉을 설치하므로서,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의 유동에 의해 덮개의 투시창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을 수송하는 용도로 제작된 차량은 승용차라고 하며, 물건을 수송하는 용도로 제작된 차량은 트럭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트럭도 여러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엔진이 운전석 앞쪽에 위치되어 있는 트럭은 본네트 트럭이라고 하며, 엔진이 운전석 아래에 위치한 트럭은 카뷰오버트럭이라고 하고, 상자형 화물실을 갖추고 있는 트럭은 밴이라고 하며, 운전석과 적재함이 한몸으로 되어 있는 밴은 패널밴이라고 하고, 소형의 패널밴은 라이트밴이라고 하며, 화물실에 지붕이 없고 측판이 운전석과 한몸으로 되어 있는 소형의 트럭은 픽업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픽업차량은 전방의 승차석(Cabin)과 후방의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재함의 양측 상면과 승차석의 후면에는 적재함의 전체적인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데크 가니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픽업차량의 경우 적재함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도난의 위험 및 비나 눈이 오는 경우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이 손상될 수도 있으며, 주차나 정차를 해놓은 경우 타인이 적재함 내부에 오물 등을 몰래 버리므로서 적재함의 내부가 쉽게 더렵혀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아울러 비포장 도로와 같이 험로를 주행하는 도중 적재함에 쌓여 있는 적재물이 적재함 외부로 쉽게 떨어지게 되면서 적재물이 파손 및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적재함에 도어가 구비되는 덮개를 설치하므로서, 적재물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적재함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적재함에 덮개가 설치되는 경우 운전석에서 후방을 확인할 때 덮개에 의해 후방의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의 도어에 투시창을 설치하므로서 운전자가 룸미러 또는 고개를 뒤쪽으로 돌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투시창을 통해 후방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의 양측부 또한 투시창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덮개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적재함의 양 측면부와 도어에 유리재질의 투시창이 설치되는 경우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적재물이 상기 투시창에 강하게 부딪치게 되면 투시창의 쉽게 파손되면서 적재물이 적재함 외부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적재물이 파손되거나 분실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떨어진 적재물이 타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거나 사고 등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덮개에 설치되어 있는 투시창 내면으로 안전봉을 설치함에 따라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이 유동되더라도 적재물이 투시창에 직접 부딪치지 않고 안전봉에 먼저 부딪치게 되면서 투시창을 적재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픽업차량용 적재함에 설치되며, 후면쪽의 도어와 양 측면부쪽에 투시창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도어와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시창 내면에 용접 또는 볼트결합 또는 리벳결합 중 하나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안전봉을 설치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픽업차량용 적재함의 덮개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쪽 투시창과 양 측면부쪽 투시창의 내면으로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안전봉이 설치됨에 따라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던 적재물이 상기 투시창쪽으로 이동되더라도 이동되던 적재물이 안전봉에 먼저 부딪치게 되면서 투시창을 적재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고안에 따라 적재함의 덮개에 안전봉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라 안전봉이 설치된 덮개의 내부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라 덮개의 도어에 설치된 안전봉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라 안전봉이 덮개의 도어에 설치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b 는 도 4a 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a 는 본 고안에 따라 안전봉이 덮개의 도어에 설치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5b 는 도 5a 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고안에 따라 안전봉이 덮개의 도어 외측에 설치된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고안에 따라 덮개의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안전봉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또 다른 실시 예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픽업차량용 적재함에 설치되며, 후면쪽에 설치된 도어 중앙부위와 양쪽 측면부에 각각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100)의 도어(110)와 측면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투시창 (113)(123) 내면에 용접 또는 볼트결합 또는 리벳결합 중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안전봉(2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11)은 도어(110)를 구성하는 외측패널이고, (111a)는 상기 외측패널(111)에 형성된 관통공이며, (111b)는 상기 관통공(111a) 양측에 형성된 설치홈이고, (112)는 도어(110)를 구성하는 내측패널이며, (112a)는 상기 내측패널(112)에 형성된 관통공이고, (112b)는 상기 관통공(112a)의 테두리이며, (112c)는 상기 테두리(112b)에 형성된 구멍이고, (112d)는 상기 관통공(112a) 양측에 형성된 설치홈이다.
그리고 (121)은 덮개(100)의 측면부(120)에 형성된 테두리며, (122)는 상기 테두리(121)의 양쪽에 형성된 구멍이고, (210)은 안전봉(20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이며, (211)은 상기 고정부(210)에 형성된 체결공이고, (300)은 투시창(113) (123)을 덮개(100)의 도어(110) 및 양 측면부(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이고, (310),(320)은 상기 고정볼트(300)의 끝단에 끼워지는 지지구(310)와 너트 (320)이다.
또한 (400),(500)은 도어(110)의 투시창(113)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안전봉(200)이 형성된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고, (410)은 프레임(400)에 형성된 결합공이며, (510)은 지지프레임(500)이 형성된 설치공이고, (600)은 도어(110)의 투시창(113)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철판이며, (610)은 상기 철판(600)에 형성되는 절결부고, (700)은 픽업차량의 적재함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픽업차량의 적재함(700)에 설치되는 덮개(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100)의 후면부쪽 도어(110)에 설치되어 있는 투시창(113) 및 양 측면부(120)쪽에 설치되어 있는 투시창(123)을 적재함(700)에 적재된 적재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10)의 투시창(113) 및 양 측면부(120)의 투시창(123) 내면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안전봉(200)을 설치함에 따라 적재함(700)에 적대된 적재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적재물이 투시창(113)(123)에 직접 부딪치지 않고 안전봉(2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 과 도 2 와 도 3 은 본 고안에 따라 덮개의 도어와 측면부쪽 투시창에 안전봉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안전봉(200)의 양단은 눌려져 고정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210)에는 체결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투시창(113)(123)이 위치한 도어(110)의 내면 테두리(112b)와 양 측면부(120)의 내면 테두리(121)에는 양측에 각각 서로 대향된 상태로 구멍(112c)(122)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전봉(200)의 양측 고정부(210)를 도어(110)의 투시창(113) 안쪽과 양 측면부(120)의 투시창(123) 안쪽에 위치시킨 다음 고정부(210)의 체결공 (211)과 도어(110)의 테두리(112b) 및 양 측면부(120)의 테두리(121)에 형성된 구멍(112c)(122)을 서로 일치시킨 후 블라인드 리벳을 이용하여 안전봉(200)의 양단을 도어(110)와 양 측면부(120)에 고정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110)쪽과 양 측면부(120)쪽의 투시창(113)(123) 내면에 안전봉(200)이 설치되면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던 적재물이 투시창(113)(123) 쪽으로 이동되더라도 적재물이 안전봉(200)에 먼저 부딪치게 되면서 투시창(113)(123)이 적재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덮개(100)에 형성된 도어(110)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어(110)는 외측패널(111)과 내측패널(112)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패널(111)과 내측패널(112)에는 투시창(113)의 형상을 가지는 관통공(111a)(1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투시창(113)은 외측패널(111)의 관통공(111a) 바깥쪽에 위치하여 고정볼트(300)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4a 와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라 도어에 형성된 투시창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봉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어(110)의 외측패널(11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11a) 양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대향된 상태의 반원형 설치홈(111b)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외측패널(111)과 결합되는 내측패널(112)의 관통공 (112a) 양쪽 또한 상기 외측패널(111)의 설치홈(111b)과 상응하도록 반원형의 설치홈(112d)을 다수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외측패널(111)의 양쪽 설치홈(111b)에 안전봉 (200)의 양단을 끼워넣어 안전봉(200) 양단의 하측부위가 외측패널(111)의 양쪽 설치홈(111b)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외측패널(111)의 상측으로 내측패널(112)을 겹쳐 결합시키게 되면 내측패널(112)에 형성된 양쪽 설치홈(112d)이 상기 외측패널(111)의 양쪽 설치홈(111b)에 하측부위가 끼워져 있는 안전봉 (200)의 상측부위에 끼워지게 되면서 서로 결합된 외측패널(111)과 내측패널(112)에 의해 다수개의 안전봉(200)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설치된 안전봉(200)으로 도어(110)의 투시창(113)을 보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어(110)를 상기와 같이 외측패널(111)과 내측패널(112)로 구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몸체로 성형할 수도 있으므로 이와 같이 도어 (110)를 하나의 몸체로 성형할 경우 투시창(113)이 위치하는 도어(110)의 내면 테두리(112b) 안쪽으로 안전봉(200)의 양단이 매입되도록 하여 도어(110)를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a 와 도 5b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안전봉(200)을 프레임 (400)을 이용하여 도어(110)의 투시창(113) 내면에 설치한 것으로서 투시창(113)의 형상을 가지는 사각형상의 프레임(400)을 구성한 다음 상기 프레임(400)에 양쪽 내면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안전봉(200)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400)의 사방에는 결합공(410)을 형성한 것이다.
한편, 고정볼트(300)를 이용하여 도어(110)에 투시창(113)을 고정시킬 때 고정볼트(300)의 끝단이 도어(110)의 외부로부터 투시창(113)과 외측패널(111)을 관통하여 내측패널(112)의 내면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400)을 투시창(113)과 대향된 도어(110)의 내측패널(112) 안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돌출된 고정볼트(300)의 끝단이 상기 프레임(400)의 결합공(410)에 관통되도록 한 다음 지지구 (310)와 너트(320)를 체결하므로서 프레임(400)에 결합된 안전봉(200)으로 도어 (110)의 투시창(113)을 보호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투시창(113)의 형상을 가지는 지지프레임(500)의 양단에 다수개의 안전봉(200)을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고정시킨 후 고정볼트(300)로 투시창(113)을 도어(110)의 외측패널 (111) 바깥면에 고정시키기 전에 고정볼트(300)를 지지프레임(500)의 사방에 형성된 설치공(510)에 먼저 관통시킨 다음 투시창(113)을 도어(110)의 외측패널(111) 바깥면에 고정시키므로서 안전봉(200)을 도어(110)의 투시창(113) 바깥쪽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와 같이 도어(110)의 투시창(113) 바깥쪽에 지지프레임(500)을 이용하여 파이프 형상의 안전봉(200)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투시창(113) 바깥쪽에 투시창(113)의 형상을 가지는 철판(600)을 고정시키되 상기 철판(600)에 횡방향으로 절결되는 다수개의 절결부(610)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후 상기 절결부(610)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구성하므로서, 상기 절결부(610)로 인하여 운전자가 후방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철판(600)으로 도어(110)의 투시창(113)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을 보호하는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도어와 양 측면부에 설치된 투시창의 내면에 안전봉을 설치함에 따라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이 투시창쪽으로 유동되더라도 적재물이 안전봉이 먼저 부딪치게 됨에 따라 안전봉에 의해 투시창이 안전하게 보호될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라 적재함의 덮개 내부에 안전봉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라 안전봉이 설치된 덮개의 내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의 도어 내면에 설치된 안전봉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 도어에 안전봉이 설치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b 는 도 4a 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5a 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 도어에 안전봉이 설치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5b 은 도 5a 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봉이 덮개의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의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안전봉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덮개 110 : 도어
113,123 : 투시창 120 : 측면부
200 : 안전봉

Claims (4)

  1. 픽업차량용 적재함에 설치되며, 후면쪽 도어와 양 측면부에 각각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100)의 도어(110)와 양 측면부(12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투시창(113, 123)의 안쪽 또는 바깥쪽 테두리(112b, 121) 중 어느 하나에 안전봉(200)을 리벳으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로 이루어진 상기 안전봉(200)이 상기 도어(110)를 구성하고 있는 외측패널(111)과 내측패널(112)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10)에 설치된 투시창(113)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400)에 다수개의 안전봉(200)을 설치한 후 투시창(113)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300)를 이용하여 도어(110)의 투시창(113) 안쪽에 상기 프레임(400)을 고정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도어(110)에 설치된 투시창(113)의 형상을 가지는 지지프레임(500)에 다수개의 안전봉(200)을 설치한 후 투시창(113)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300)를 이용하여 도어(110)의 투시창(113) 바깥쪽에 상기 지지프레임(500)을 고정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KR20-2005-0009232U 2005-04-04 2005-04-04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KR200386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32U KR200386940Y1 (ko) 2005-04-04 2005-04-04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32U KR200386940Y1 (ko) 2005-04-04 2005-04-04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180 Division 2004-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940Y1 true KR200386940Y1 (ko) 2005-06-16

Family

ID=4368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232U KR200386940Y1 (ko) 2005-04-04 2005-04-04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9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25B1 (ko) * 2007-07-27 2009-05-26 주식회사 시마스 화물자동차 적재함 덮개의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25B1 (ko) * 2007-07-27 2009-05-26 주식회사 시마스 화물자동차 적재함 덮개의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8833A (ko) 자동차 차체
JP6177772B2 (ja) 自動車のための側部保護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自動車
JP4533059B2 (ja) 自動車用ルーフラックマウンティング構造
KR200386939Y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의 덮개구조
KR200386940Y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의 안전봉 설치구조
JP2003118371A (ja) 車両のドアサッシュ構造
JP2006069279A (ja) 車体後部構造
KR200386941Y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가니쉬의 안전봉 설치구조
JP3807202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US10926815B2 (en) Pickup truck box deflector
KR0119414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JP5101056B2 (ja) ドアビーム支持構造
KR0133768B1 (ko) 자동차 전면기둥의 하부구조
KR200154256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JPS625397Y2 (ko)
JP3305201B2 (ja) 車両用はしごの取付け構造
KR100362412B1 (ko) 자동차의 루프 조립체
KR200370557Y1 (ko) 더블캡형 화물차의 적재대 커버
WO2021195690A1 (en) Vehicle body improvements
KR0140310Y1 (ko) 차체 바디 강성을 위한 선 루프의 루프 구조
WO2021004990A1 (en) An automobile accessory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9990028197U (ko) 자동차 에이 힌지 필러 로워부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38280U (ko) 자동차의 백 패널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