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277Y1 -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77Y1
KR200386277Y1 KR20-2005-0006616U KR20050006616U KR200386277Y1 KR 200386277 Y1 KR200386277 Y1 KR 200386277Y1 KR 20050006616 U KR20050006616 U KR 20050006616U KR 200386277 Y1 KR200386277 Y1 KR 200386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urrent
voice coil
coupled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예제
Original Assignee
조예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예제 filed Critical 조예제
Priority to KR20-2005-0006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에 사용되는 스피커에 이상 과전압이 유입되어 스피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직류전류를 스피커 유닛에 인가함에 있어 발생되는 보이스 코일의 풀림이나 뭉개지는 현상 또는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접합부위가 과열로 탄화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류전류의 유입을 차단하여 스피커의 손상을 방지키 위한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음방출공(10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고 외주부에는 절곡부(101)가 형성되어 있는 캡(10)과, 상기 캡(10) 외측으로 결합되어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외주부에는 상기 절곡부(101)를 감싸는 연장편(110)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삽입공(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114)의 외주부에는 안착턱(115)이 형성된 프레임(11)과, 상기 공간부(11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1)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13)과, 상기 삽입공(114)의 외주부에 형성된 안착턱(115)에 결합가능하도록 연장돌기(152)가 외주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중앙에 삽입홈(1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50)의 상단 외주부에는 걸림턱(151)이 형성되어 있는 요크(15)와, 상기 연장돌기(152)에 안착 결합되는 링형상의 자석(14)과, 상기 자석(14) 상부에는 저음영역시 평탄한 음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부직포(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삽입공(114)과 요크(15)의 걸림턱(151) 사이에 형성된 자기갭(160)에 구비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16)과, 상기 보이스 코일(16) 일측에 이상저주파나 직류전류를 차단키 위한 콘덴서(200)가 직렬로 연결된 스피커 유닛(1)으로 이루어진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는 비정상적인 직류전류가 스피커 유닛에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보이스 코일의 풀림이나 뭉개지는 현상 또는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접합부위가 과열로 탄화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류전류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서 스피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Apparatus to cut electric current of handphone speaker}
본 고안은 휴대폰에 사용되는 스피커에 이상 과전압이 유입되어 스피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직류전류를 스피커 유닛에 인가함에 있어 발생되는 보이스 코일의 풀림이나 뭉개지는 현상 또는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접합부위가 과열로 탄화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류전류의 유입을 차단하여 스피커의 손상을 방지키 위한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즉 핸드폰의 경우에는 음성 또는 벨소리 및 기타 음향의 송수신을 위한 스피커가 필수적으로 내장되어 있고 이와 같은 스피커는 핸드폰의 소형화 추세로 인하여 극소형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 스피커 유닛의 구성요소중 보이스 코일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즉, 상기 보이스 코일이 뭉개지거나 또는 풀어지는 현상 또는 진동판이 진동판과 보이스코일 접합부위 과열로 탄화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실험하기 위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전류 4V를 1분동안 진동판이 자석갭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인가하면 보이스코일이 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이스코일은 일반적으로 외주면에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의 외주면에는 본드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이 요크쪽으로 당겨지면 보이스코일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풀어져서 스피커의 손상을 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전류 4V를 1분동안 진동판이 자석갭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인가하면 보이스코일이 뭉개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류전류가 인가되면 보이스코일에 많은 열이 발생하면서 보이스코일 최외주면에 형성된 본드층이 녹은상태에서 자계의 영향으로 보이스 코일에 압축 또는 인장력이 생겨 뭉개지거나 풀리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즉, 스피커 유닛에 비정상적인 직류전류가 인가되어 발생하는 현상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현상의 발생으로 인하여 핸드폰의 손상 및 교체등등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나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 없어 업계에서는 현재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한 것으로서 직류전류를 스피커 유닛에 인가함에 있어 발생되는 보이스 코일의 풀림이나 뭉개지는 현상 또는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접합부위가 과열로 탄화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류전류의 유입을 차단하여 스피커의 손상을 방지키 위한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음방출공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고 외주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캡과, 상기 캡 외측으로 결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며 외주부에는 상기 절곡부를 감싸는 연장편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의 외주부에는 안착턱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프레임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과, 상기 삽입공의 외주부에 형성된 안착턱에 결합가능하도록 연장돌기가 외주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의 상단 외주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요크(15)와, 상기 연장돌기에 안착 결합되는 링형상의 자석과, 상기 자석 상부에는 저음영역시 평탄한 음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부직포와, 상기 프레임의 삽입공과 요크의 걸림턱 사이에 형성된 자기갭에 구비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 일측에 이상저주파나 직류전류를 차단키 위한 콘덴서가 직렬로 연결된 스피커 유닛으로 이루어진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의 분리된 상태도이며, 도 2a는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콘덴서가 프레임 일측 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콘덴서가 요크의 삽입홈 바닥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 내부 보이스 코일의 일측에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를 도시한 스피커 유닛의 내부 개략도이다.
지시부호 1은 스피커 유닛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피커 유닛(Speaker Unit)(1)의 구성요소는 음방출공(10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고 외주부에는 절곡부(101)가 형성되어 있는 캡(10)이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10)의 절곡부(101)에 체결되는 프레임(11)는 상기 절곡부(101)와 체결되도록 외주부에는 연장편(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110)이 절곡부(101)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됨으로서 자연스럽게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11)의 일측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피시비터미널이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삽입공(1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부에는 안착턱(11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공간부(11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1) 일측에 진동판(1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114) 내측으로는 요크(15)가 삽입 결합되는데 상기 요크(15)의 구성은 상기 안착턱(115)에 결합 가능하도록 연장돌기(152)가 외주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중앙에 삽입홈(1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50)의 상단 외주부에는 걸림턱(15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요크(15)의 양끝단에 형성된 연장돌기(152)에는 링형상의 자석(14)이 안착 결합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자석(14)의 상부에는 저음영역시 평탄한 음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부직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됨으로서 상기 프레임(11)의 삽입공(114)과 요크(15)의 걸림턱(151) 사이에 형성된 자기갭(160)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상기 자기갭(160)에는 보이스 코일(1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이스 코일(16) 일측에는 이상저주파나 직류전류를 차단키 위한 콘덴서(200)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보이스 코일(16)의 끝단부는 상기 진동판(13)에 접착처리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16)의 일측에는 직렬로 콘덴서(200)가 결합되는데 상기 콘덴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 외측 하단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15)의 삽입홈(150) 바닥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스피커 유닛(1)은 전화를 수신할 경우 링형상의 자석(14)에 N, S극이 형성되면서 자기갭(160)에 구비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16)이 진동하면서 공간부(111)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판(13)이 진동하고 이에 따라 음방출공(100)을 통해 음이 방출되는데 이때 공기 유출입을 적당하게 부직포(12)가 조절함으로서 음압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작용시 외부에서 비정상적인 직류전류가 유입되면 상기 보이스 코일(16) 일측에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200)가 이를 차단하여 보이스 코일(16)의 풀림이나 뭉개지는 현상등을 방지하여 스프커 유닛(1)을 외부 직류전류로 부터 보호하여 스피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는 비정상적인 직류전류가 스피커 유닛에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보이스 코일의 풀림이나 뭉개지는 현상 또는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접합부위가 과열로 탄화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류전류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서 스피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의 분리된 상태도,
도 2a는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콘덴서가 프레임 일측 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콘덴서가 요크의 삽입홈 바닥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 내부 보이스 코일의 일측에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를 도시한 스피커 유닛의 내부 개략도,
도 4a는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의 손상 확인 실험을 위하여 진동판이 자석갭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직류전류를 인가한 상태의 상태도,
도 4b는 본 고안인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유닛의 손상 확인 실험을 위하여 진동판이 자석갭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직류전류를 인가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피커 유닛 10 : 캡
11 : 프레임 12 : 부직포
13 : 진동판 14 : 자석
15 : 요크 16 : 보이스 코일
100 : 음방출공 101 : 절곡부
110 : 연장편 111 : 공간부
150 : 삽입홈 151 : 걸림턱
160 : 자기갭 200 : 콘덴서

Claims (1)

  1. 음방출공(100)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고 외주부에는 절곡부(101)가 형성되어 있는 캡(10)과,
    상기 캡(10) 외측으로 결합되어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외주부에는 상기 절곡부(101)를 감싸는 연장편(110)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삽입공(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114)의 외주부에는 안착턱(115)이 형성된 프레임(11)과,
    상기 공간부(11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1)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13)과,
    상기 삽입공(114)의 외주부에 형성된 안착턱(115)에 결합가능하도록 연장돌기(152)가 외주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중앙에 삽입홈(1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50)의 상단 외주부에는 걸림턱(151)이 형성되어 있는 요크(15)와
    상기 연장돌기(152)에 안착 결합되는 링형상의 자석(14)과,
    상기 자석(14) 상부에는 저음영역시 평탄한 음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부직포(12)와,
    상기 프레임(11)의 삽입공(114)과 요크(15)의 걸림턱(151) 사이에 형성된 자기갭(160)에 구비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16)과,
    상기 보이스 코일(16) 일측에 이상저주파나 직류전류를 차단키 위한 콘덴서(200)가 직렬로 연결된 스피커 유닛(1)으로 이루어진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
KR20-2005-0006616U 2005-03-11 2005-03-11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 KR200386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16U KR200386277Y1 (ko) 2005-03-11 2005-03-11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16U KR200386277Y1 (ko) 2005-03-11 2005-03-11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77Y1 true KR200386277Y1 (ko) 2005-06-10

Family

ID=4929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616U KR200386277Y1 (ko) 2005-03-11 2005-03-11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120B1 (ko) 다기능 스피커
JP2008211733A (ja) スピーカ
JP3621062B2 (ja) 携帯電話用小型スピーカ
KR102167455B1 (ko) 골전도 스피커
KR200443212Y1 (ko) 이중코일구조를 갖는 골 전도 스피커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KR100419914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US20140029772A1 (en) Load-resisting structure of multifunctional vibration actuator
KR101760428B1 (ko) 초소형 스피커 및 그 조립방법
KR200386277Y1 (ko) 핸드폰용 스피커의 직류전류 차단장치
KR101032989B1 (ko) 초슬림형 스피커
KR200221515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 구조
KR100491644B1 (ko) 스피커
KR100432615B1 (ko) 타원형 스피커
KR100503006B1 (ko) 소형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JP2007243870A (ja) スピーカ
JP2006166151A (ja) ステレオ用スピーカ
US20110158452A1 (en) Microphone module with helmholtz resonance chamber
KR100685451B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KR200338060Y1 (ko) 보이스 코일이 결합된 피에조 세라믹 진동판을 이용한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구조
KR102021181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KR200323331Y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KR200276560Y1 (ko) 전자음향변환기
KR20042092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
CN107948802B (zh) 一种受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