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800Y1 - 교습구 - Google Patents

교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800Y1
KR200385800Y1 KR20-2005-0007474U KR20050007474U KR200385800Y1 KR 200385800 Y1 KR200385800 Y1 KR 200385800Y1 KR 20050007474 U KR20050007474 U KR 20050007474U KR 200385800 Y1 KR200385800 Y1 KR 200385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ing
plate
teaching tool
children
printed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20-2005-0007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9/0413Cuboid d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2009/0484Dice with pictures or fig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유희적 흥미를 주어 높은 학습력을 얻을 수 있게 한 교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주사위 모양의 육면체를 이루는 교습구 몸체를 형성하는 판재들의 양면에 교습용 인쇄물을 인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주사위 놀이를 통한 유희적 흥미를 줌으로써 높은 학습력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습구{Learning device}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들의 지능개발과 교습을 위한 교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유희적 흥미를 주어 높은 학습력을 얻을 수 있게 한 교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문자를 학습시킴에 있어서 단순히 책 또는 카드 등을 보여주고 읽어주며 유아나 어린이들이 익히도록 하는 주입식 교육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는 유아나 어린이들의 입장에서 보면 하기 싫은 학습을 억지로 암기해야 하는 부담감을 갖게 하고, 딱딱하고 지루한 재미없는 학습이 되어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학습 성취도 및 학습 의욕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주사위 놀이를 통한 유희적 흥미를 주어 높은 학습력을 얻을 수 있게 한 교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들의 지능개발과 교습을 위한 교습구에 있어서, 다수개의 판재들을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육면체를 이루게 형성한 교습구 몸체; 상기 판재들이 상호 접하는 부위에 상기 판재들을 서로 절곡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판재들의 어느 면을 이용하더라도 육면체의 교습구 몸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교습구 몸체를 절첩되게 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교습구 몸체를 형성시 상기 연결부로 절곡하게 연결된 상기 판재의 대면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판재들을 탈착되게 끼움 결합하는 끼움공들과 끼움돌기들로 이루어진 결합부; 및 상기 판재들의 양면에 인쇄된 교습용 인쇄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판재들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판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재들은 섬유지, 펠트(felt) 등의 부직포 또는 스폰지 폼과 같은 합성수지에 발포 합성수지를 일체로 접착한 것 중 어느 1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교습용 교습용 인쇄물을 글자로 표현하거나 그 인쇄물과 동일한 모양을 찾아 만질 수 있도록 마련된 형상물들이 더 구비되고, 이 형상물은 상기 교습구 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들의 지능개발과 교습을 위한 교습구에 있어서, 다수개의 판재들을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육면체를 이루게 형성한 교습구 몸체; 상기 교습구 몸체를 형성시 상기 판재의 대면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판재들을 탈착되게 끼움 결합하는 끼움공들과 끼움돌기들로 이루어진 결합부; 및 상기 판재들의 양면에 인쇄된 교습용 인쇄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판재들은 섬유지, 펠트(felt) 등의 부직포 또는 스폰지 폼과 같은 합성수지에 발포 합성수지를 일체로 접착한 것 중 어느 1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교습용 인쇄물을 글자로 표현하거나 그 인쇄물과 동일한 모양을 찾아 만질 수 있도록 마련된 형상물들이 더 구비되고, 이 형상물은 상기 교습구 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습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교습구를 그 일면을 개방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교습구를 전개한 상태를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습구는 다수개의 판재들(11)을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공간(12)을 갖는 육면체를 이루게 형성한 교습구 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판재들(11)은 열십자(十) 모양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교습구 몸체(10)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데(도3참조), 그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11a)를 통해 상호 절곡되어 상기 교습구 몸체(10)를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연결부(11a)는 상기 판재들(11)이 상호 접하는 부위에 상기 판재들(11)을 서로 절곡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상기 판재들(11)의 어느 면을 이용하더라도 육면체의 상기 교습구 몸체(10)를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교습구 몸체(10)를 절첩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때문에 상기 판재들(11)의 휴대 및 수납이 용이해진다.
상기 연결부(11a)는 상기 판재들(11)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판재(11)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판재들(11)은 섬유지, 펠트(felt) 등의 부직포 또는 스폰지 폼과 같은 합성수지에 발포 합성수지를 일체로 접착한 것 중 어느 1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안전하며, 제작을 간편하게 하여 제작비를 저렴하게 한다.
또한 상기 교습구 몸체(10)를 형성시 상기 연결부(11a)로 절곡하게 연결된 상기 판재(11)의 대면 단부에는 상기 판재들(11)을 탈착되게 끼움 결합하는 결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끼움공들(21)과 끼움돌기들(22)로 이루어져, 상기 판재들(11)이 상기 교습구 몸체(10)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시 서로 끼워져 안정된 상기 교습구 몸체(10)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 끼움돌기들(22)은 좌우 양측에 걸림 부위를 갖는 "T"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들(21)에 대한 끼움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판재들(11)의 양면에는 교습용 인쇄물(30)이 인쇄되어 있다. 상기 인쇄물(30)은 유아나 어린이들의 교습용으로 이용되는데, 그림, 문자 및 돗드 등으로 다양하게 인쇄되어 시각적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높은 학습 효과를 얻게 한다.
또한 상기 교습구 몸체(10)의 수납공간(12)에는 형상물(40)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형상물(40)은 상기 인쇄물(30)을 좀더 심도하게 교습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문자나 상기 인쇄물(30)과 동일한 모형으로 마련된다. 예컨대, 상기 인쇄물(30)이 사과 그림이면 상기 형상물(40)은 그 사과 그림에 해당하는 "사과"라는 문자 예컨대, 한글 및 영문을 만들 수 있게 하고, 그 사과 그림에 해당하는 모형을 직접 찾아 만질 수 있게 하여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좀더 심도있는 학습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형상물(40)이 상기 교습구 몸체(10)의 수납공간(12)에 수납되기 때문에 그 휴대 및 정리가 편리하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교습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교습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교습구(100)는 다수개의 판재들(111)을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공간(112)을 갖는 육면체를 이루게 형성한 교습구 몸체(110)와, 상기 교습구 몸체(110)를 형성시 상기 판재(111)의 대면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판재들(111)을 탈착되게 끼움 결합하는 끼움공들(121)과 끼움돌기들(121)로 이루어진 결합부(120)와, 상기 판재들(111)의 양면에 인쇄된 교습용 인쇄물(1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판재들(111)은 상기 제1실시예의 교습구처럼 연결부(11a)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고 서로 독립되게 각각 마련되어, 상기 교습구 몸체(110)의 형성시 상기 끼움공들(121)과 끼움돌기들(122)를 통해 상호 조립되어 육면체의 상기 교습구 몸체(110)를 형성하게 한다. 이 때문에 상기 인쇄물(30)의 배열이 다양하게 변화되어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상당한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한다.
이러한 상기 판재들(111)은 상기 제1실시예의 판재들(11)과 동일하게 섬유지, 펠트(felt) 등의 부직포 또는 스폰지 폼과 같은 합성수지에 발포 합성수지를 일체로 접착한 것 중 어느 1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안전하며, 제작을 간편하게 하여 제작비를 저렴하게 한다.
상기 인쇄물(130)은 상기 제1실시예의 인쇄물(30)과 동일하게 그림, 문자 및 돗드 등으로 다양하게 인쇄되어 시각적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높은 학습 효과를 얻게 한다.
또한 상기 교습구 몸체(110)의 수납공간(112)에는 형상물들(140)이 수납되어 있는데, 상기 제1실시예의 형상물들(40)과 동일하게 상기 인쇄물(130)을 좀더 심도하게 교습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문자나 상기 인쇄물(130)과 동일한 모형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형성물들(140)은 상기 제1실시예의 형상물들(40)과 동일 기능 및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제1및 제2실시예의 교습구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주사위 놀이를 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하게 한 것이다.
즉 유아나 어린이들이 상기 교습구 몸체(10,110)를 던지면 어떤 면이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호기심과 흥미를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한다. 상기 교습구 몸체(10,110)를 던지고 난 후 어떤 인쇄물(30,130)이 나왔는지 그 인쇄물(30,130)을 집중력 있게 주시하게 하여 주사위 놀이가 한참 진행되는 동안 유아나 어린이들 스스로 상기 인쇄물(30,130)을 인식하게 하는 학습 과정으로, 상기 교습구 몸체(10,110)에 인쇄된 상기 인쇄물(30,130)이 반복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상기 인쇄물(30,130)을 습득할 수 있게 하고, 이 때문에 높은 학습력을 얻게 한다.
따라서 고안에 따른 제1및 제2실시예의 교습구는 주사위 놀이를 통한 흥미 유발과 학습도와 학습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도록 한 아주 창의적인 교습구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1및 제2실시예의 교습구는 주사위 놀이 뿐안 아나라 상기 교습구 몸체(10,110)를 직접 펼치거나 조립하면서 다양한 학습 놀이를 해볼 수 있게 하여 창의력과 높은 학습력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주사위 놀이를 통한 유희적 흥미를 줌으로써 높은 학습력을 얻을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습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교습구를 그 일면을 개방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교습구를 전개한 상태를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교습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교습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교습구 몸체 11,111:판재
11a:연결부 12,112:수납공간
20,120:결합부 21,121:끼움공
22,122:끼움돌기 30,130:교습용 인쇄물
40,140:형상물

Claims (7)

  1. 유아나 어린이들의 지능개발과 교습을 위한 교습구에 있어서,
    다수개의 판재들을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육면체를 이루게 형성한 교습구 몸체;
    상기 판재들이 상호 접하는 부위에 상기 판재들을 서로 절곡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판재들의 어느 면을 이용하더라도 육면체의 교습구 몸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교습구 몸체를 절첩되게 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교습구 몸체를 형성시 상기 연결부로 절곡하게 연결된 상기 판재의 대면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판재들을 탈착되게 끼움 결합하는 끼움공들과 끼움돌기들로 이루어진 결합부; 및
    상기 판재들의 양면에 인쇄된 교습용 인쇄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판재들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판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들은 섬유지, 펠트(felt) 등의 부직포 또는 스폰지 폼과 같은 합성수지에 발포 합성수지를 일체로 접착한 것 중 어느 1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습용 교습용 인쇄물을 글자로 표현하거나 그 인쇄물과 동일한 모양을 찾아 만질 수 있도록 마련된 형상물들이 더 구비되고, 이 형상물은 상기 교습구 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됨을 특징을 하는 교습구.
  5. 유아나 어린이들의 지능개발과 교습을 위한 교습구에 있어서,
    다수개의 판재들을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육면체를 이루게 형성한 교습구 몸체;
    상기 교습구 몸체를 형성시 상기 판재의 대면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판재들을 탈착되게 끼움 결합하는 끼움공들과 끼움돌기들로 이루어진 결합부; 및
    상기 판재들의 양면에 인쇄된 교습용 인쇄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들은 섬유지, 펠트(felt) 등의 부직포 또는 스폰지 폼과 같은 합성수지에 발포 합성수지를 일체로 접착한 것 중 어느 1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습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습용 인쇄물을 글자로 표현하거나 그 인쇄물과 동일한 모양을 찾아 만질 수 있도록 마련된 형상물들이 더 구비되고, 이 형상물은 상기 교습구 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됨을 특징을 하는 교습구.
KR20-2005-0007474U 2005-03-19 2005-03-19 교습구 KR200385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74U KR200385800Y1 (ko) 2005-03-19 2005-03-19 교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474U KR200385800Y1 (ko) 2005-03-19 2005-03-19 교습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936A Division KR20060101073A (ko) 2005-03-19 2005-03-19 교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800Y1 true KR200385800Y1 (ko) 2005-06-02

Family

ID=4368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474U KR200385800Y1 (ko) 2005-03-19 2005-03-19 교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8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snick Playful learning and creative societies
JPH01500248A (ja) 遊びの趣向を備えた絵本
US5035666A (en) Blocks with platform, wheel and recesses
JP2015171392A (ja) 組み合わせ知育玩具
US1087207A (en) Designing apparatus.
KR100879263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블록 세트
KR20060101073A (ko) 교습구
KR200385800Y1 (ko) 교습구
Kim et al. A study to empower children to design movable tactile picture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KR200449274Y1 (ko) 유아용 학습 교구
KR100602590B1 (ko) 블록완구
KR101663076B1 (ko) 체험학습도구
KR100602589B1 (ko) 블록완구
KR20080044985A (ko) 블록 완구 세트
KR20100053006A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0263136Y1 (ko) 배경판이 구비된 종이접기용 놀이용구
KR102159881B1 (ko) 조립식 놀이용 교구
CN201784275U (zh) 一种泡泡书
KR200188721Y1 (ko) 입체형 그림그리기 학습완구
KR200454551Y1 (ko) 학습용 교구
KR200251871Y1 (ko) 학습교구
Judge Integrating computer technology with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KR20200132071A (ko) 사물 표현이 가능한 유아 교육용 블록 교구
KR960009382Y1 (ko) 완구가 결합된 유아용 시청각 교재
KR200379519Y1 (ko) 블록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