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497Y1 -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 Google Patents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5497Y1 KR200385497Y1 KR20-2005-0006577U KR20050006577U KR200385497Y1 KR 200385497 Y1 KR200385497 Y1 KR 200385497Y1 KR 20050006577 U KR20050006577 U KR 20050006577U KR 200385497 Y1 KR200385497 Y1 KR 2003854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container
- stopper
- cover
- airt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 B65D45/34—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lever-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 B65D45/32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the clamping device being an annular member moved axially to clamp the closure by using radial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개봉과 밀봉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기밀성이 우수한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마개(100)는 용기의 개구부(210)를 감싸도록 삽입되어 기밀이 이루어지는 기밀부(110)와; 상기 기밀부(1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밀부(110)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하단에는 용기의 걸림턱(22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122)가 형성된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걸림부(120)와; 상기 걸림부(120)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커버부(130)와; 상기 걸림부(120)와 상기 커버부(130)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길도록 상기 걸림부(120)와 상기 커버부(130)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양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레버부(140)로 구성되어, 기밀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며, 용기의 개봉 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편리함이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의 개봉과 밀봉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기밀성이 우수한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료, 분말, 기타의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는 마개가 구비되며, 이러한 마개는 저장 용기의 용도 또는 저장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탄산 음료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유지해주어야만 하므로, 유통 과정 중에 마개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용량이 큰 용기의 경우에는 사용 후에 남은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으면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마개의 개봉 후에 밀봉이 가능한 형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코크 마개의 경우에는 기밀성이 좋으나 마개의 개봉이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이밖에도 주류나 약품 등의 경우에는 최초로 마개를 개봉한 후에 그 개봉 여부를 다른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왕관 형태의 주름이 형성된 스틸 재질의 병뚜껑의 경우에는 용기 내 압력이 높은 경우에도 기밀성이 우수하지만 한번 개봉한 후에는 병뚜껑의 형상이 변형되어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즉, 종래의 용기 마개는 용기에 보관하고자 하는 내용물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이 다르므로, 보관 내용물과 용기 형태에 따라 목적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마개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가지 내용물과 용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마개는 다른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에 동일하게 사용이 곤란하므로, 제품 개발자나 판매업자는 내용물과 용기에 적합한 형태의 마개를 다시 설계 및 제작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내에 일정 압력이 작용하는 내용물이더라도 충분한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밀성과 함께, 사용이 편리하며, 최초 개봉 시에 이를 다른 사용자도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한 형태의 마개 및 이 마개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마개는 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삽입되어 기밀이 이루어지는 기밀부와; 상기 기밀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밀부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하단에는 용기의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커버부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길도록 상기 걸림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양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레버부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용기는 개구부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용기몸체부와; 용기의 밀봉을 위해 개구부를 감싸도록 삽입되어 기밀이 이루어지는 마개로 구성되되, 상기 마개는, 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삽입되어 기밀이 이루어지는 기밀부와; 상기 기밀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밀부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커버부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길도록 상기 걸림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양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레버부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마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선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에 있어 힌지부의 바람직한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개가 구비된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개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실시예>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마개(100)는 기밀부(110), 걸림부(120), 커버부(130), 및 레버부(140)로 이루어진다.
기밀부(110)는 용기 몸체부(200)의 개구부(210)를 감싸도록 삽입되어 용기 내의 기밀을 유지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기밀부(110)는 개구부(210)에 삽입되어 개구부의 외측 면과 접촉하게 되는 외측 기밀부(111)와, 개구부(210)의 내측 면과 접촉하게 되는 내측 기밀부(112)와, 외측 기밀부(111) 및 내측 기밀부(112)와 연결되어 개구부(210)의 상부를 덮는 상부 기밀부(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기밀부(111)와 내측 기밀부(112) 사이의 간격은 개구부(210)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즉, 기밀부(110)는 개구부(210)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여 면접촉하게 되는 외측 기밀부(111) 및 내측 기밀부(112)에 의해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며 끼워 고정된 형태로써 용기 몸체부(200)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외측 기밀부(111)와 내측 기밀부(112) 사이의 상부 기밀부(113) 안쪽 면에는 개구부(210)의 단부와 접촉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기밀용 돌기(114)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밀용 돌기(114)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개구부(210)의 단부와 접촉 시에 압착되어 용기 내부의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걸림부(120)는 기밀부(110)와 연결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110)가 실질적으로 용기 몸체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120)는 기밀부(110)가 개구부(21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서 기밀부(110)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121a)되는 걸림 몸체부(121)와, 이 걸림 몸체부(121)의 하단에 용기 몸체부(200)의 걸림턱(22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22)로 이루어진다.
용기 몸체부(200)의 걸림턱(220) 하단에는 보조 걸림턱(230)이 추가로 구성되어 걸림부(120) 및 커버부(130) 하단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마개(100)가 용기 몸체부(200)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러한 걸림부(120)는 용기의 개구부 외측으로 일정 반경 내에 다수가 구비되어 용기와 고정이 이루어진다.
즉, 각각의 걸림부(120-1, 120-2,...,120-n)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체가 개구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걸림부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걸림부를 조작하게 되는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각자가 독립하여 동작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인 동작관계는 작동 예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 걸림부의 숫자는 개구부의 크기와 함께 고정을 위한 고정력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또한, 도 1에는 각각의 걸림부가 동일한 길이(L)를 가지며, 또한 서로 등간격(G)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각 걸림부 모두가 동일한 길이일 필요는 없으며,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필요도 없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로서, 걸림부들 사이에 걸림부가 위치하지 않는 구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걸림부가 없는 구간에는 외측 기밀부(111) 외측으로 원통 형상의 커버부(130)만이 위치한다.
한편, 걸림부가 위치하지 않는 구간에는 외측 기밀부(111)와 커버부(130)를 연결하는 스트립 형태의 밴드(15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밴드 구조는 마개가 최초로 개봉 시에 기밀부(110)와 커버부(130) 사이에 상대적인 위치 변화가 발생하면서 밴드(150)가 절손되도록 하여 용기의 개봉 여부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하겠으나, 본 고안에서는 마개의 개봉 시에 외측 기밀부(111)와 커버부(130)가 상대적인 위치 변화가 발생하며, 따라서 기밀부(111)와 커버부(130)를 일정 길이로 연결하는 밴드(150)는 마개의 최초 개봉 시에 절손되며, 이러한 밴드(150)의 절손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용기가 이전에 개봉되었던 것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밴드(150)는 일정 크기 이상의 조작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절손될 필요가 있으므로, 소정의 두께의 스트립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으나, 그 형상이나 고정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걸림 몸체부(121)와 외측 기밀부(111)는 일체로 형성된 힌지 연결부(121a)를 가지며, 걸림 몸체부(121)가 회동 시에는 힌지 연결부(121a)가 탄성 변형되면서 회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걸림 몸체부와 외측 기밀부 사이의 힌지 연결의 다른 변형예로서 걸림 몸체부와 외측 기밀부를 서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회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면, 걸림 몸체부(121)에는 힌지용 돌기(121b)가 형성되며 외측 기밀부(111)에는 힌지용 돌기(121b)가 삽입 고정되도록 요홈(111a)이 형성되어, 힌지용 돌기(121b)가 요홈(111a) 내에 삽입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 몸체부(121)와 외측 기밀부(111)가 서로 끼워 조립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커버부(130)는 걸림부(120)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마개의 개봉 시에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게 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130)는 원통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있어 걸림부의 형상은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걸림부를 감싸는 구조이면 충분할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커버부(130)의 하단에는 걸림부(120)에 형성된 걸림돌기(122)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걸림부(120)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31)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131)는 마개(100)가 닫힌 상태에서 걸림부(120)의 걸림돌기(122)가 용기 몸체부(200)의 걸림턱(220)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레버부(140)는 걸림부(120)와 커버부(130)를 연결하며, 사용자가 커버부(130)를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력은 레버부(140)를 통해 걸림부(120)로 전달하여 마개의 개봉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레버부(140)는 걸림부(120)와 커버부(130)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길며, 걸림부(120)와 커버부(130)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양 단부가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레버부(140)는 커버부(130)가 상하 조작 시에 레버부(140)의 양 단부에서는 회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의 마개가 닫힌 상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에서는 레버부(140)가 외측 하방을 지향하도록 경사 형성되어 있으며, 마개 개봉 시에는 용기 몸체부(2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커버부(130)만을 위로 잡아당기게 되면 걸림부(120)의 걸림돌기(122)가 회전하여 걸림턱(220)에서 이탈되면서 개봉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 레버부의 경사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즉, 레버부의 경사 방향은 내측 하방을 지향하도록 경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커버부의 조작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걸림부의 걸림돌기가 용기 몸체부의 걸림턱에서 이탈되도록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제2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걸림부(120)와 커버부(130)를 힌지 연결하는 레버부(140)는 일체로 형성되어, 마개의 개봉 시에 레버부(140)의 양단 힌지부(141)에서는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레버부(1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레버부(140)의 중앙에서는 강성 지지되어 변형이 발생되어서는 안되며, 따라서 레버부(140)의 중앙부는 힌지부보다 두껍게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 4에서 걸림 몸체부의 힌지 구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로써, 레버부의 양단 힌지부를 걸림부 및 커버부에 각각 끼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작동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에 의해 용기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용기 몸체부(200)의 걸림턱(220)에는 걸림돌기(122)가 걸려 고정된 상태이며, 걸림돌기(122) 후단으로는 커버부(130)의 지지돌기(131)가 위치하여 걸림돌기(122)가 걸림턱(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가 용기로부터 개봉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마개 개봉 시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 용기를 잡은 후에 다른 한 손으로 커버부(130)를 잡고 위(화살표 F방향)로 잡아당기게 되며, 이때 커버부(130) 측과 연결된 레버부(140)가 외측으로 젖혀짐과 동시에 걸림 몸체부(121) 상단에 연결된 레버부(140)가 걸림 몸체부(121)를 안쪽으로 밀면서 용기 몸체부(200)의 걸림턱(220)에 걸렸던 걸림돌기(122)가 빠져 용기(20)의 개봉이 이루어진다.
한편, 레버부(140)의 길이는 걸림부(120)와 커버부(130) 사이의 거리보다 길므로, 커버부(130)가 상단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레버부(140)는 가동 반경이 협소하여 일정 각도까지는 압축되며(대략 레버부가 수평한 위치까지는), 레버부(140)가 완전히 젖혀진 상태에서는 다시 압축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완전 개봉 상태에서 마개(100)의 걸림부(120)는 벌어진 상태(도 6에 도시된 마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기밀부(110)와 커버부(130) 사이에 연결된 밴드(도 3참고)는 최초 마개의 개봉 시에는 기밀부(110)와 커버부(13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로 인하여 절손이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마개의 개봉 조작 중에 밴드의 절손 여부에 따라 조작력이 차이를 인지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마개의 개봉 중에 이러한 조작력의 차이로부터 마개가 최소한 한번 이상 이전에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용기에 마개를 닫는 과정은 마개(100)를 개구부(210)에 위치한 후에 커버부(130)를 밑으로 내려서 개봉 시의 반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마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개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 본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도록 하며,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기밀부(110), 걸림부(120), 커버부(130), 및 레버부(140)로 이루어진 마개(10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되, 커버부(130) 상단과 기밀부(110) 사이에는 절곡 형성된 다수의 보조커버부(16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커버부(160)는 내측 사잇각(θ)이 예각을 가지며 절곡된 형태로 기밀부(110)의 테두리와 커버부(130) 상단에 연결되며, 절곡부(161)에서는 접힘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조커버부(160)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하게 되는 각 걸림부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커버부(160)가 추가로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마개의 작동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고하면, 마개(100)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보조커버부(160)에 안쪽으로 힘(화살표 F 방향)을 가하게 되면, 보조커버부(160)는 안쪽으로 접히면서 보조커버부(160)의 하단과 연결된 커버부(130)에는 상단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커버부(160)가 안쪽으로 접히면서 커버부(130)는 위로 이동하게 되며 레버부(140)는 바깥으로 젖혀진다. 이와 같이 커버부(130)가 위로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이후의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로서, 제1실시예에서 언급하였듯이 레버부(340)의 경사 방향은 제1,2실시예와는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며, 커버부(330) 상단과 기밀부(310) 사이에는 절곡 형성된 다수의 보조커버부(36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커버부(360)는 내측 사잇각(θ)이 직각 또는 둔각을 가지며 절곡된 형태로 기밀부(310)의 테두리와 커버부(330) 상단에 연결되며, 절곡부(361)에서는 접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개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보조커버부(360)를 안으로 밀게 되면, 보조커버부(360)는 상하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보조커버부(360)의 하단과 연결된 커버부(330)는 하단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즉, 커버부(330)가 하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레버부(340)가 젖혀지면서 걸림부(320)가 회전하며, 걸림돌기가 용기 몸체부의 걸림턱에서 이탈되어 마개의 개봉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는 기밀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며, 용기의 개봉 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편리함이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에 있어 힌지부의 바람직한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개가 구비된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개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마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개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개 110 : 기밀부
111 : 외측 기밀부 112 : 내측 기밀부
113 : 상부 기밀부 120 : 걸림부
121 : 걸림 몸체부 122 : 걸림돌기
130 : 커버부 140 : 레버부
150 : 밴드 160 : 보조 커버부
200 : 용기 몸체부 210 : 개구부
220 : 걸림턱 230 : 보조 걸림턱
Claims (6)
- 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삽입되어 기밀이 이루어지는 기밀부와;상기 기밀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밀부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하단에는 용기의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걸림부와;상기 걸림부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커버부와;상기 걸림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길도록 상기 걸림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양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레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걸림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밴드가 추가로 구성되어, 기밀부와 커버부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 시에는 상기 밴드가 절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상단과 상기 기밀부 사이에는 절곡 형성된 다수의 보조커버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 개구부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용기몸체부와;용기의 밀봉을 위해 개구부를 감싸도록 삽입되어 기밀이 이루어지는 마개로 구성되되,상기 마개는,용기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삽입되어 기밀이 이루어지는 기밀부와;상기 기밀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기밀부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걸림부와;상기 걸림부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커버부와;상기 걸림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길도록 상기 걸림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양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레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상단과 상기 기밀부 사이에는 절곡 형성된 다수의 보조커버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6577U KR200385497Y1 (ko) | 2005-03-11 | 2005-03-11 |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6577U KR200385497Y1 (ko) | 2005-03-11 | 2005-03-11 |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5497Y1 true KR200385497Y1 (ko) | 2005-05-27 |
Family
ID=4368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6577U KR200385497Y1 (ko) | 2005-03-11 | 2005-03-11 |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549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51009A2 (ko) | 2009-06-22 | 2010-12-29 | Chae Dong-Seuk |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
KR20170072890A (ko) * | 2014-10-21 | 2017-06-27 |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
KR102096794B1 (ko) * | 2019-11-18 | 2020-04-03 | 채동석 |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
-
2005
- 2005-03-11 KR KR20-2005-0006577U patent/KR2003854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51009A2 (ko) | 2009-06-22 | 2010-12-29 | Chae Dong-Seuk |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
KR20170072890A (ko) * | 2014-10-21 | 2017-06-27 |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
KR102196689B1 (ko) | 2014-10-21 | 2020-12-30 |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
KR102096794B1 (ko) * | 2019-11-18 | 2020-04-03 | 채동석 |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
WO2021101122A1 (ko) * | 2019-11-18 | 2021-05-27 | 채동석 |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
US11780655B2 (en) | 2019-11-18 | 2023-10-10 | Dong Seuk CHAE | Structure for one-touch opening/closing of cap and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67621B2 (en) |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
US8919595B2 (en) |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closure | |
JP2002173162A (ja) | 飲料用容器の栓体 | |
KR920008337B1 (ko) | 압력 개방식 뚜껑을 갖는 용기 | |
KR200385497Y1 (ko) |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 |
US7878354B2 (en) | One touch-type stopper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 |
WO2006107021A1 (ja) |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 |
KR100575259B1 (ko) | 원터치식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 |
JP4660261B2 (ja) | 容器のキャップ構造 | |
KR20200052622A (ko) | 캔 용기 | |
KR200390444Y1 (ko) | 2단 밀폐구조를 음료용기 뚜껑 | |
CN210654377U (zh) | 一种盖子 | |
KR200292087Y1 (ko) | 맥주캔 | |
KR200248975Y1 (ko) | 밀폐용기 | |
KR200331125Y1 (ko) | 원터치식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 |
US20110095023A1 (en) | Integrally formed attachment cap with lid opened by single push | |
JP3681237B2 (ja) | 簡易開閉式容器 | |
KR200235808Y1 (ko) | 오프너 | |
KR20040051677A (ko) | 캔용기 | |
KR200350849Y1 (ko) | 누수 방지용 캔뚜껑 | |
JP2022059628A (ja) | 容器 | |
KR200290889Y1 (ko) | 캔 개방구 구조 | |
KR200300118Y1 (ko) | 이중 밀봉 기능이 구비된 마개장치 | |
JP5220336B2 (ja) |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 |
JPH08301330A (ja) | キャ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