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050Y1 -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050Y1
KR200385050Y1 KR20-2005-0005677U KR20050005677U KR200385050Y1 KR 200385050 Y1 KR200385050 Y1 KR 200385050Y1 KR 20050005677 U KR20050005677 U KR 20050005677U KR 200385050 Y1 KR200385050 Y1 KR 200385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nector
flat cable
flexible flat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기영
Original Assignee
코리아화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화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화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5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0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도체를 전성, 연성 및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재로 형성하여 도체를 초박막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종래에 사용된 구리재보다 원재료의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주로 사용되는 주석 도금시 도체간 쇼트를 발생시키는 위스커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커넥터와 연결되는 커넥터연결부를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여 커넥터의 연결부가 가변되어도 도체를 편리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개의 박막 와이어로 결합되어 컴퓨터 및 TV 등 전자기기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도록 커넥터에 체결되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에 있어서, 다수개의 박막 와이어로 배열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며,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도체와; 상기 도체가 절연되도록 상기 도체의 상하면에 래미네이팅된 합성수지재의 절연필름과;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도록 상기 절연필름의 양측단면에 밀착되는 보호테입;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use for aluminium conductor}
본 고안은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도체를 전성, 연성 및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재로 형성함으로써 도체를 초박막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된 구리재보다 원재료의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에 주로 사용되는 주석 도금시 도체간 쇼트를 발생시키는 위스커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또한, 커넥터와 연결되는 커넥터연결부를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여 커넥터의 연결부가 가변되어도 도체를 편리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이라 함은 박막의 도체가 평면으로 배열되어 양측에 접속구가 형성된 커넥터에 체결되는 것을 말하며, 최근 전자산업의 성장으로 컴퓨터, 캠코더, 자동차 등의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원형 케이블보다 공간이 대폭 감소되고, 설치가 편리하여 조립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플렛시블 플렛 케이블의 종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절연피복이 덮여있는 구리재질로 형성된 박막의 도체가 다수개 배열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양측에 피복을 벗겨내어 커넥터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렉시블 플렛 케이블은 도체가 구리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재료의 가격이 고가이며, 내식성이 약하여 별도의 도금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구리도체의 도금재료로 사용되던 주석과 납의 혼합물에서 환경규제로 인하여 납의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주석만으로 도금할 경우 도체간 쇼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침상결정을 갖는 위스커(Whisker)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체를 전성, 연성 및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재로 형성하여 도체를 초박막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원재료의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금공정이 불필요한 알루미늄 도체를 사용하여 도금 공정시 발생되는 위스커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은 다수개의 박막 와이어로 연결되어 컴퓨터 및 TV 등 전자기기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도록 커넥터에 체결되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에 있어서, 다수개의 박막 와이어로 배열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며,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도체와; 상기 도체가 절연되도록 상기 도체의 상하면에 래미네이팅된 합성수지재의 절연필름과;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도록 상기 절연필름의 양측단면에 밀착되는 보호테입;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의 양측단에는 커넥터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도록 상기 절연필름이 벗겨진 커넥터연결부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연결부는 절연필름의 일면 양측단에 형성되며, 일면 일측단과 타면 타측단에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보호테입의 내측에는 커넥터 연결이 용이토록 테입손잡이가 연결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이며, 도 4는 컨넥터연결부가 상하면에 대칭되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은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도체(10)와, 상기 도체(10)가 절연되도록 상하면에 래미내이팅된 절연필름(20)과, 상기 커넥터(1)에 삽입되도록 상기 절연필름(20)의 양측단면에 밀착되는 보호테입(3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도체(10)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배열되며, 전성과 연성 및 내식성이 커서 가공이 용이한 박막의 알루미늄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필름(2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체(10)에 래미네이팅되며, 상기 보호테입(30)은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절연필름(20)의 양측단면에 밀착되고, 상기 보호테입(30)의 내측에는 커넥터(1) 연결시 상기 플렛 케이블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테입손잡이(31)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도체(10)의 양측단에는 커넥터(1)에 전기신호의 전달이 용이토록 상기 절연필름(20)이 벗겨진 커넥터연결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연결부(11)는 절연필름(20)의 일면 양측단에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 일측단과 타면 타측단에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은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도체(10) 상하면에 상기 도체(10)가 절연되도록 절연필름(20)이 래미네이팅되며, 상기 절연필름(20)의 양측단면에는 커넥터(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보호테입(30)이 밀착된다.
즉, 상기 도체(10)는 다수개의 와이어로 배열되며, 전성과 연성 및 내식성이 큰 박막의 알루미늄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체(10)를 초박막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된 구리재보다 원재료의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구리재 사용시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던 주석도금으로 강도가 저하되는 침상결정을 갖는 위스커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체(10)는 전기가 직접 전달되는 커넥터(1)에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고,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1)에 연결함으로써 구리재보다 상대적으로 저항이 큰 알루미늄재를 사용하도라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필름(2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체(10)에 래미네이팅됨으로써 상기 도체(10)를 절연시키며, 상기 보호테입(30)은 상기 절연필름(20)의 양측단면에 소정 두께로 밀착되어 상기 플렛 케이블이 커넥터(1)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보호테입(30)의 내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테입손잡이(31)가 연결됨으로써 커넥터(1) 연결시 상기 플렛 케이블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체(10)의 양측단에는 커넥터(1)에 전기신호가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절연필름(20)이 벗겨진 커넥터연결부(1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렛 케이블을 커넥터(1)에 연결할 경우에 절연필름을 벗겨내지 않고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연결부(11)는 절연필름(20)의 일면 양측단에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필름(20)의 일면 일측단과 타면 타측단에 형성되어 커넥터(1)의 연결부가 가변되어도 도체(1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은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도체를 전성, 연성 및 내식성이 큰 알루미늄재로 형성함으로써 도체를 초박막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된 구리재보다 원재료의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도금공정이 불필요하여 위스커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절연필름의 양측단면에 소정 두께로 밀착되는 보호테입을 구비하여 플렛 케이블이 커넥터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커넥터와 연결되는 커넥터연결부를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여 커넥터의 연결부가 가변되어도 도체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도 4는 컨넥터연결부가 상하면에 대칭되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10 : 도체
11 : 커넥터연결부 20 : 절연필름
30 : 보호테입 31 : 테입손잡이

Claims (5)

  1. 다수개의 박막 와이어로 결합되어 컴퓨터 및 TV 등 전자기기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도록 커넥터에 체결되는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에 있어서,
    다수개의 박막 와이어로 배열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며,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도체(10)와;
    상기 도체(10)가 절연되도록 상기 도체(10)의 상하면에 래미네이팅된 합성수지재의 절연필름(20)과;
    상기 커넥터(1)에 삽입되도록 상기 절연필름(20)의 양측단면에 밀착되는 보호테입(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10)의 양측단에는 커넥터(1)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도록 상기 절연필름(20)이 벗겨진 커넥터연결부(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연결부(11)는 절연필름(20)의 일면 양측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연결부(11)는 절연필름(20)의 일면 일측단과 타면 타측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테입(30)의 내측에는 커넥터(1)에 연결이 용이토록 테입손잡이(31)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KR20-2005-0005677U 2005-03-03 2005-03-03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KR200385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677U KR200385050Y1 (ko) 2005-03-03 2005-03-03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677U KR200385050Y1 (ko) 2005-03-03 2005-03-03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050Y1 true KR200385050Y1 (ko) 2005-05-24

Family

ID=4368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677U KR200385050Y1 (ko) 2005-03-03 2005-03-03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31B1 (ko) * 2014-06-20 2015-03-24 주식회사 영 신 단자의 방향이 서로 다른 커넥터 접속용 임피던스매칭 및 전자파 차폐 일체형 연성 다심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31B1 (ko) * 2014-06-20 2015-03-24 주식회사 영 신 단자의 방향이 서로 다른 커넥터 접속용 임피던스매칭 및 전자파 차폐 일체형 연성 다심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33693B (zh) 平行对线缆
US11289241B2 (en) Shielded flat cable
US8342892B2 (en) High conductivity energy-saving clamping device
KR100211485B1 (ko) 플렉시블 케이블에 전기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조립체
KR101213026B1 (ko) 케이블과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집속 구조체
TWI409985B (zh) 排線
WO2011076138A1 (zh) 连接器、电路板以及电路板连接结构
WO2020168670A1 (zh) 一种hdmi电缆
US8753144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insulating material with different dielectric constant
JP5765161B2 (ja) 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の特性評価機構及び特性評価方法
KR200385050Y1 (ko) 알루미늄 도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JP2010192287A (ja) 高速伝送用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高周波ケーブル端末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9155208B2 (en) Conductive connection structure for conductive wiring layer of flexible circuit board
JP2015002136A (ja) 接続部材および接続部材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9164039A (ja) 2芯平行ケーブル
JP2008300343A (ja) 信号伝送用ケーブル
KR101280590B1 (ko) 저전압 차분신호용 연성 평판 케이블
CN212303122U (zh) 一种性能稳定的ffc
KR100859907B1 (ko) 전선 연결 장치
JPH06314860A (ja) 可撓性回路基板
JP2003045240A (ja) シールドフラット電線
WO2015122431A1 (ja) 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表示装置
CN113838602A (zh) 电缆结构
JP5132505B2 (ja) 同軸ケーブル固定機構
CN211150129U (zh) 可挠式扁平电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