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877Y1 -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 Google Patents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877Y1
KR200384877Y1 KR20-2004-0036285U KR20040036285U KR200384877Y1 KR 200384877 Y1 KR200384877 Y1 KR 200384877Y1 KR 20040036285 U KR20040036285 U KR 20040036285U KR 200384877 Y1 KR200384877 Y1 KR 200384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cking
insertion groove
stopp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국
Original Assignee
김흥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8109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84877(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국 filed Critical 김흥국
Priority to KR20-2004-0036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877Y1/ko
Priority to CNB2005101347513A priority patent/CN100554906C/zh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신축이나 보수시 벽체내에 배관된 수도관 내부에 작용되는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수도관 선단에 임시로 결합하여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링 프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가 연결되기 전 벽체에 노출 개방된 상태의 수도 배관단부를 임시로 막아 배관내에 작용되는 수압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배관 마개의 구조적 개량으로 그 사용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면서도 완벽한 누수방지에 의해 보다 정확한 수압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바,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1)에 ㄷ자형의 패킹 삽입홈(2)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배관 마개(1)에 형성된 지지턱(1a)의 외주에 별도 제작한 보강링(3)을 끼워 이 보강링(3)의 선단이 패킹(4)의 정상부를 지지하는 상태로 ㄷ자형 단면의 패킹 삽입홈(2)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PIPE PLUG FOR MEASURING WATER PRESSURE}
본 고안은 건물의 신축이나 보수시 벽체내에 배관된 수도관 내부에 작용되는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수도관 선단에 임시로 결합하여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링 프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가 연결되기 전 벽체에 노출 개방된 상태의 수도 배관단부를 임시로 막아 배관내에 작용되는 수압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마개의 구조적 개량으로 그 사용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면서도 완벽한 누수방지에 의해 보다 정확한 수압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신축되는 건물은 물론 거의 모든 건물내에는 수도배관이 설치되는 것이며, 건물의 완공 전 또는 보수시 수도배관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수도꼭지가 설치되지 않은 개방상태인 배관 단부에 배관 마개를 나사 결합하여 밀폐시킨 상태에서 배관내 수압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관내의 수도물이 배관단부에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배관 마개의 주 기능인 바, 이 배관 마개에 끼워진 패킹이 배관 마개의 나사 체결력을 받아 협지되면서 그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는 그 밀폐구조에 있어, 도 6에서와 같이 원형단면의 패킹(3)과 이를 가압하여 눌러주는 지지턱(1a)만으로 구성된 단순구조인 것과,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턱(1a)에 호형단면(弧形斷面)의 패킹 삽입홈(2)을 직접 요설하여 패킹(4)의 절반 이상이 삽입되게 함으로서 편중수압에 의해 패킹(4)이 외측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한 것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도 6의 경우엔 패킹(4)이 지지턱(1a)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가압 협지된 상태에서 패킹(4)을 위에서 지지하는 아무런 상측 협지구조가 마련되지 않은 것이어서 강한 수압이 패킹(4)에 작용하게 되면서 편중수압을 받게 되는 패킹(4)이 외측으로 늘어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렇게 늘어나려는 힘이 패킹(4)을 개방된 외측으로 작용되면서 벌어진 틈새로 누수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확실한 수압측정 결과를 얻을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된 도 7의 경우 패킹(4)이 지지턱(1a)에 호형단면의 삽입홈(2)을 직접 요설하여 이 삽입홈(2)내에 패킹(4)의 절반 이상이 삽입되게 함으로서 편중수압에 의해 패킹(4)이 외측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였지만, 패킹(4)의 둥근 외면과 호형 삽입홈(2)의 둥근 내면간의 접촉범위가 삽입홈(2)의 둥근 내면 전체에 걸처 넓게 확대 분포되면서 패킹(4)에 의한 밀폐력이 분산될 수 밖에 없어 전체적으로 그 밀접상태가 약하면서도 균일하지 못하게 되었고, 이렇게 완전하지 못한 밀접부에 강한 수압이 작용되면서 벌어지게 되는 틈새로 누수되었던 것이어서 이 또한 확실한 수압측정 결과를 얻을 수 없었던 것이다.
또, 도 5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고안으로서 지지턱(1a)에 요입되는 삽입홈(2)을 ㄷ자형으로 구성하여 패킹(4)의 절반 이상이 이 삽입홈(2)에 삽입되게 함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편중수압에 의해 패킹(4)이 외측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 7에서와 같은 패킹(4)과 삽입홈(2)간에 넓게 형성되었던 접촉범위를 국부적인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개량함으로서 밀페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배관 마개(1)의 지지턱(1a)에 ㄷ자형의 삽입홈(2)을 작접 요설시키기 위한 성형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웠고, 여러 과정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어서 불량발생률이 높아지는 단점이 새롭게 발견되었던 것이며, 이에 따라 생산원가가 상승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특히, ㄷ자형 삽입홈(2)을 형성하고 있는 상측 지지부(2a)가 가장 취약한 부분이 될 수 밖에 없어 이 부분이 강한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경우가 있어 파손된 부위의 틈새로 누수가 될 수 밖에 없어 확실한 수압측정 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까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 부분이 파손된 배관 마개(1)는 그 전체를 못쓰게 됨으로서 이를 폐기 처분해야만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수반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고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확실한 누수방지 기능을 가지며, 이의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1)에 끼워져 가압력을 받게 되는 원형단면의 패킹(4)이 국부적인 점접촉으로 확실하게 밀접되도록 한 ㄷ자형 삽입홈(2)이 형성되게 하되, 지지턱(1a)에 직접 요설시키지 않는 구조로 개량시킨 것으로서,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1)에 ㄷ자형의 패킹 삽입홈(2)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배관 마개(1)에 형성된 지지턱(1a)의 외주에 별도 제작한 보강링(3)을 분리 자유롭게 끼워 이 보강링(3)의 선단이 패킹(4)의 정상부를 지지하는 상태로 ㄷ자형 단면의 패킹 삽입홈(2)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측정용 배관마개 인 것이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P는 벽체에 매설 배관된 수도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1)의 구성요부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2는 배관 마개(1)의 단면도, 도 3은 그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관 마개(1)를 수도관 개방선단에 나사 결합시키되, 먼저 배관 마개(1)의 지지턱(1a) 외주에 보강링(3)을 분리 자유롭게 삽입하여 상기 보강링(3)의 돌출 선단에 의해 패킹 삽입홈(2)이 ㄷ자형 단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상기 돌출된 선단이 패킹(4)의 정상부를 위에서 지지토록 구성한 것이어서 수도관(P)의 개방선단에 나사 결합시키는 배관 마개(1)의 체결력이 패킹(4)에 전달되면서 패킹(4)이 점차 가압되면서 타원형화 되어 패킹(4)과 패킹 삽입홈(2)간에 국부적인 집중 밀착부위가 형성되면서 강한 밀폐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패킹(4)이 강한 수압에 밀려 외측으로 늘어나려는 힘이 작용되더라도 보강링(3)에 의해 패킹(4)의 외측을 완벽하게 지지하여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패킹(4)이 배관내의 강한 수압에 충분히 대응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1)는 지지턱(1a)부위에 패킹 삽입홈(2)을 형성하되, 별도 제작하여 분리 자유롭게 삽입하는 보강링(3)에 의해 지지턱(1a)과 함께 ㄷ자형 패킹 삽입홈(2)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서,지지턱(1a)에 ㄷ자형의 패킹 삽입홈(2)을 직접 요설시키는 종래의 경우에서 감수해야만 했던 성형작업의 번거로움과 많은 작업공정에 따른 높은 불량발생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것이며, 특히 지지턱(1a)에 ㄷ자형의 패킹 삽입홈(2)을 직접 요설시켰던 경우에 ㄷ자형 삽입홈(2)을 형성하고 있는 상측 지지부(2a)가 가장 취약한 부분이 될 수 밖에 없었고, 결과적으로 이 취약부분이 강한 수압에 의해 파손됨으로서 파손된 부위의 틈새를 통한 누수는 물론, 파손된 배관 마개(1)자체를 모두 폐기 처분해야만 했던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고안은 그 성형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이를 사용함에 있어 뛰어난 누수방지력 유지와 함께 보강링(3)만의 간단한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서 매우 유용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본 고안 배관 마개의 분해 사시도.
도 2- 본 고안 배관 마개의 단면도.
도 3-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4- 본 고안의 구성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선출원 고안의 배관 마개 구성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종래 배관 마개의 구성요부 확대 단면도.
도 7- 종래 배관 마개의 다른 구성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관 마개 1a- 지지턱 2- 패킹 삽입홈
3- 보강링 4- 패킹

Claims (1)

  1.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1)에 ㄷ자형의 패킹 삽입홈(2)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배관 마개(1)에 형성된 지지턱(1a)의 외주에 별도 제작한 보강링(3)을 끼워 이 보강링(3)의 선단이 패킹(4)의 정상부를 지지하는 상태로 ㄷ자형 단면의 패킹 삽입홈(2)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KR20-2004-0036285U 2004-12-21 2004-12-21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KR200384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85U KR200384877Y1 (ko) 2004-12-21 2004-12-21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CNB2005101347513A CN100554906C (zh) 2004-12-21 2005-12-21 水压测定用导管塞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85U KR200384877Y1 (ko) 2004-12-21 2004-12-21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606A Division KR20050093732A (ko) 2005-08-11 2005-08-11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877Y1 true KR200384877Y1 (ko) 2005-05-24

Family

ID=3681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285U KR200384877Y1 (ko) 2004-12-21 2004-12-21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84877Y1 (ko)
CN (1) CN100554906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94Y1 (ko) 2008-09-26 2010-05-24 주식회사 미래산업 이중 배관 마개
KR20160004036U (ko) * 2015-05-14 2016-11-23 최우석 배관용 와셔플러그
KR101926730B1 (ko) * 2016-09-21 2018-12-07 최종력 배관용 플러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94Y1 (ko) 2008-09-26 2010-05-24 주식회사 미래산업 이중 배관 마개
KR20160004036U (ko) * 2015-05-14 2016-11-23 최우석 배관용 와셔플러그
KR200482815Y1 (ko) * 2015-05-14 2017-03-08 최우석 배관용 와셔플러그
KR101926730B1 (ko) * 2016-09-21 2018-12-07 최종력 배관용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0798A (zh) 2006-07-12
CN100554906C (zh)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7233A (en) Gasket means for pipe
KR100989990B1 (ko)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KR200384877Y1 (ko)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KR102300286B1 (ko) 주관 밀폐력이 향상된 분기관 연결장치
KR200354147Y1 (ko)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KR20110100068A (ko) 배관 파공 부분 보수용 포켓형 패킹
KR20050093732A (ko)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KR20100004275U (ko)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KR200448794Y1 (ko) 이중 배관 마개
KR101764316B1 (ko) 외압을 이용한 실시간 수밀성 점검이 가능한 이중지수 구조의 상수도용 강관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수밀성 점검방법
CN115076466A (zh) 一种外墙穿墙管道防渗水封堵装置及施工方法
JP2015175191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支持部の止水構造
KR20100005211U (ko)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CN204829047U (zh) 带有膨胀密封圈的胶管接头
JP3207390U (ja) コンクリート型枠支持部の止水構造
KR101407685B1 (ko)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0623390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030060561A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CN220060864U (zh) 一种防渗漏钢筋混凝土排水管
KR100694246B1 (ko) 맨홀의 지수단관과 지중매설관의 접속구조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CN220706588U (zh) 调节阀盖带压堵漏密封夹具
KR102102078B1 (ko) 플러그를 구비하는 부단수 차단 공법용 활정자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217

Effective date: 2009062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