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730B1 - 배관용 플러그 - Google Patents

배관용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730B1
KR101926730B1 KR1020160120494A KR20160120494A KR101926730B1 KR 101926730 B1 KR101926730 B1 KR 101926730B1 KR 1020160120494 A KR1020160120494 A KR 1020160120494A KR 20160120494 A KR20160120494 A KR 20160120494A KR 101926730 B1 KR101926730 B1 KR 10192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acking
piping
stop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963A (ko
Inventor
최종력
Original Assignee
최종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력 filed Critical 최종력
Priority to KR102016012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 F16L55/1108Plug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관용 플러그가 개시된다. 상기 배관용 플러그는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 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관과 결합되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선단이 개방되되, 상기 마개부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에 상기 마개부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플러그{PIPE PLUG}
본 발명은 배관용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밀폐 성능이 향상되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배관용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주택 등의 건물을 신축하는 과정에서 수도 관로 또는 난방 관로의 설치 시, 관로에 누수 또는 폐색 지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사용 중인 수도 관로 또는 난방 관로에 누수가 발생하여 누수 지점을 찾기 위해 배관용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로 중 외부로 분기되어 노출된 지점을 배관용 플러그로 폐쇄하고, 관로에 용수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관로내의 수압을 측정함으로써, 누수 또는 소통 여부, 누수 지점 등을 검사하게 된다.
종래의 배관용 플러그는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며,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 및 배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배관용 플러그와 배관을 연결하는 마개(20)로 구성될 수 있다. 배관용 플러그는 임시적으로 관로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1회만 사용되고 폐기되기 때문에, 마개(20)의 선단만을 밀봉하고, 내부가 빈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배관용 플러그는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이로 인해, 내구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배관용 플러그의 결합 이후 수압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 마개(20)의 측면으로 수압이 집중됨으로써, 상기 측면 부위가 깨져 배관용 플러그가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한편, 종래의 배관용 플러그의 본체(10)에는 측면을 관통하는 통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통공(12)에 렌치 등을 삽입시켜 본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배관용 플러그를 손쉽게 관로에 결합시키거나, 관로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용 플러그는 통공(12) 부위가 파손되는 경우, 다른 부위가 멀쩡하더라도 배관용 플러그를 통째로 폐기하여야 하고, 특히, 관로와 결합 이후의 사용 과정에서 통공(12) 부위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배관용 플러그를 관로로부터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관용 플러그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낮은 제조 단가를 유지하면서도 내구성 및 밀폐 성능이 향상되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배관용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관용 플러그가 개시된다. 상기 배관용 플러그는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 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관과 결합되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선단이 개방되되, 상기 마개부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에 상기 마개부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부의 측면을 밀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킹부; 및 상기 마개부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마개부와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의 외면을 지지하는 패킹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 지지부의 양 단 중 적어도 하나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패킹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에 나사 결합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패킹 지지부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부의 양 단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패킹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부는 상기 목부의 내측에 소정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대칭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통공과 대응하는 형상의 함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공 및 상기 함몰홈은 다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부의 선단을 개방하되, 수압 측정 등을 위한 배관과의 결합 시 가장 많은 압력을 받게 되는 부위의 내측에 소정 이상의 두께의 밀폐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낮은 제조 단가를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이 보다 향상된 배관용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 측면의 통공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본체부 내측에 형성된 함몰홈을 이용하여 배관용 플러그를 배관과 결합하거나 배관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설치 및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비용상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 지지부의 양 단에 안착홈을 각각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2개의 패킹부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강한 밀폐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배관용 플러그의 제작을 위한 조립 시 패킹 지지부의 결합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 조립의 자동화 구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불량품 생성율을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의 종래의 배관용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플러그의 본체부 및 마개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플러그의 패킹 지지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플러그의 본체부 및 마개부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플러그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플러그의 본체부 및 마개부(단면)를 도시하고, 도 5는 패킹 지지부(단면)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관용 플러그(1000)는 본체부(100), 마개부(200), 패킹부(300) 및 패킹 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일 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측면에는 복수의 통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10)은, 바람직하게는, 2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의 통공(110)이 대향하는 본체부(100)의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공(110)을 통해 렌치(wrench)가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삽입된 렌치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배관용 플러그(1000)를 배관에 결합하거나, 배관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통공(110)은 렌치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소정의 함몰홈(120)이 마개부(200)의 내측 일 영역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120)은, 통공(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홈(120)은 통공(110)이 형성된 본체부(100) 부위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통공(110) 부위가 파손되더라도 본체부(100)의 개방된 일 단을 통해 렌치의 일 단을 함몰홈(120)에 삽입한 이후 렌치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배관용 플러그(1000)를 배관에 결합하거나, 배관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본체부(1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다각의 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등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마개부(200)는 본체부(100)의 다른 일 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배관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개부(200)의 외경이 본체부(100)보다 작도록 구성됨으로써, 마개부(200)와 본체부(100)와의 연결 부위에는 소정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턱은 패킹 지지부(400)의 결합 시, 패킹 지지부(400)의 일 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마개부(200)는 선단이 개방되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에 마개부(200)를 밀폐하는 밀폐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230)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마개부(200)의 내면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부(200)는 선단의 중심이 밀폐부(230)의 구비 위치까지 함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개부(200)는 머리부(210) 및 목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머리부(210)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210)에 형성된 이러한 나사산을 통해 마개부(200)가 배관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배관을 밀폐하게 된다.
목부(220)는 머리부(210)와 본체부(100)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패킹부(300) 및 패킹 지지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부(220)의 양 단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패킹부(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홈(22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222)은, 이하 상술되는 봐와 같이, 패킹 지지부(400)에 형성된 안착홈(410-1, 2)과 함께 패킹부(30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삽입홈(222)을 제외한 목부(220)의 나머지 부분은, 패킹 지지부(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외경이 머리부(210) 보다 크고 본체부(100) 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목부(220)의 내측에는 밀폐부(230)가 소정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230)는, 바람직하게, 머리부(210)와 인접 형성되는 삽입홈(222)의 위치 및 폭에 대응하는 위치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개부(200)의 선단을 개방하되, 수압 측정 등을 위한 배관과의 결합 시 가장 많은 압력을 받게 되는 부위(즉, 배관과 배관용 플러그(1000)의 측면 경계 부위)에 소정 이상의 두께의 밀폐부(230)를 형성시킴으로써, 낮은 제조 단가를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이 보다 향상된 배관용 플러그(10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패킹부(300)는 목부(220)의 외주면(특히, 삽입홈(22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배관과의 결합 시 마개부(200)의 측면을 밀봉할 수 있다. 패킹부(300)는, 바람직하게는, 환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높은 밀폐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패킹 지지부(400)는 마개부(200)에 결합되어 패킹부(300)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킹 지지부(400)는 마개부(200)에 끼워져 목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킹 지지부(400)는 환형으로 구현되며, 내경의 크기가 목부(22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 지지부(400)에는 양 단 중 적어도 하나의 내주면을 따라 패킹부(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410-1, 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410-1, 2) 중 적어도 하나는, 패킹 지지부(400)의 결합 시, 목부(220)에 형성된 삽입홈(222)에 대응하여 위치되며, 삽입홈(222)과 안착홈(410-1, 2) 사이의 공간 및/또는 목부(220)의 외주면과 안착홈(410-1, 2) 사이의 공간에 패킹부(300)를 수용하게 된다.
특히, 패킹 지지부(400)의 양 단에 각각 안착홈(410-1, 2)이 형성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2개의 패킹부(3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강한 밀폐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패킹 지지부(400의 일 단에만 안착홈(410-1, 2)이 형성되는 경우와 달리, 배관용 플러그(1000)의 제작을 위한 조립 시, 패킹 지지부(400)의 결합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 조립의 자동화를 보다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불량품 생성율을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플러그의 본체부 및 마개부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본체부 및 마개부의 사시도를, (b)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6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로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2 내지 도 5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두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관용 플러그의 마개부(600)에는 2개의 삽입홈(622-1, 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개부(600)를 구성하는 목부(620)의 양 단에 외주면을 따라 동일 또는 상이한 두께의 패킹부(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홈(622-1, 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개부(600)와 패킹 지지부(400)와의 결합 시, 패킹 지지부(400)의 양 단의 안착홈(410-1, 2)이 각각 삽입홈(622-1, 2)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됨으로써, 패킹부(300)를 수용하는 공간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2개의 패킹부(300)를 보다 안정적으로 마개부(600)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배관용 플러그의 밀폐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플러그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배관용 플러그(1000)는 누수 탐지를 위한 수압 측정 등의 필요 시, 배관(2000)에 임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배관용 플러그(1000)의 배관(2000)과의 결합 및 분리는 본체부(100)에 형성된 통공(110) 또는 함몰홈(12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통공(110)을 통해 본체부(100)를 관통하도록 렌치(3000)를 삽입하고, 렌치(30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관용 플러그(1000)를 배관에 결합시키거나, 배관에 결합된 배관용 플러그(100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개방된 일 단을 통해 렌치(3000)의 일 단을 함몰홈(120)에 삽입시켜 결합되도록 하고, 렌치(30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관용 플러그(1000)를 배관에 결합시키거나, 배관에 결합된 배관용 플러그(100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관용 플러그(1000)는 배관(2000)과의 결합 시, 밀폐부(230)가 압력이 집중되는 배관(2000)과 배관용 플러그(1000)의 측면 경계 부위에 위치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배관용 플러그(10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는 하나의 패킹부(300)만 이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목부(220)의 양 단에 2개의 패킹부(300)를 결합하여, 배관용 플러그(1000)의 밀폐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음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통공
120 함몰홈 200, 600 마개부
210 머리부 220, 620 목부
222, 622-1, 2 삽입홈 230 밀폐부
300 패킹부 400 패킹 지지부
410-1, 2 안착홈 1000 배관용 플러그
2000 배관 3000 렌치

Claims (8)

  1. 배관용 플러그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 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관과 결합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측면을 밀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킹부; 및
    상기 마개부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마개부와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의 외면을 지지하는 패킹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선단이 개방되되, 상기 마개부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에 상기 마개부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킹 지지부의 양 단에는 조립시 상하 방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내주면을 따라 상기 패킹부에 대응하는 동일 형상의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대칭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통공과 대응하는 형상의 함몰홈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 및 상기 함몰홈은 동일한 크기의 다각 형상으로 구성되는, 배관용 플러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에 나사 결합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패킹 지지부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부의 양 단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패킹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배관용 플러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목부의 내측에 소정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배관용 플러그.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20494A 2016-09-21 2016-09-21 배관용 플러그 KR10192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494A KR101926730B1 (ko) 2016-09-21 2016-09-21 배관용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494A KR101926730B1 (ko) 2016-09-21 2016-09-21 배관용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963A KR20180031963A (ko) 2018-03-29
KR101926730B1 true KR101926730B1 (ko) 2018-12-07

Family

ID=6190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494A KR101926730B1 (ko) 2016-09-21 2016-09-21 배관용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877Y1 (ko) * 2004-12-21 2005-05-24 김흥국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KR200448794Y1 (ko) * 2008-09-26 2010-05-24 주식회사 미래산업 이중 배관 마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877Y1 (ko) * 2004-12-21 2005-05-24 김흥국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KR200448794Y1 (ko) * 2008-09-26 2010-05-24 주식회사 미래산업 이중 배관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963A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4989A1 (en) Cable strain relief
KR100366129B1 (ko) 관 커플러
KR101926730B1 (ko) 배관용 플러그
JP5910832B2 (ja) ケーブル保持装置
KR101262667B1 (ko) 누수시험용 배관 마개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1338185B1 (ko) 수밀구조를 갖는 파이프 이음구
US9709205B2 (en) Press seal having a press body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CN104214464A (zh) 一种管道堵头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KR20140004509U (ko)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기구
KR200479605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63450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KR200473400Y1 (ko) 파이프와 연결관의 연결장치
KR101586171B1 (ko) 배관연결구
JP5033509B2 (ja) 差込式管継手
KR20160103701A (ko) 체크홀이 구비된 연결관
KR100926361B1 (ko) 관이음부재의 패킹 결합구조
CN205331698U (zh) 输气管溢流接头
KR200482815Y1 (ko) 배관용 와셔플러그
KR101831160B1 (ko) 수배관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KR200490515Y1 (ko) 튜브 피팅 장치
KR101441508B1 (ko) 패킹 삽입형 소켓관
KR100852008B1 (ko) 조인트 클립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시험용 엔드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