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036U - 배관용 와셔플러그 - Google Patents

배관용 와셔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036U
KR20160004036U KR2020150008055U KR20150008055U KR20160004036U KR 20160004036 U KR20160004036 U KR 20160004036U KR 2020150008055 U KR2020150008055 U KR 2020150008055U KR 20150008055 U KR20150008055 U KR 20150008055U KR 20160004036 U KR20160004036 U KR 201600040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groove
ring
plug body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815Y1 (ko
Inventor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최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석 filed Critical 최우석
Publication of KR20160004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 F16L55/1108Plug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와셔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와셔와 오링을 플러그 몸체의 축부와 나사부에 끼운후 오링이 마모된 경우 플러그 몸체의 축부에서 오링을 분리하여 제거하기가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가 매우 간편하도록 된 배관용 와셔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관용 와셔플러그(1000)는, 수도관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배관작업을 완료한 후 배관 내부의 유체나 기체가 배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임시로 막아주는데 사용하도록 축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플러그 몸체(1100)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축부에 형성된 나사부로 끼워져 축부에 위치하면서 오링의 외주면을 지지함과 더불어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으로 위치한 오링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오링안착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축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와셔 형태의 홈와셔(1200)와, 상기 나사부로 끼워져 홈와셔의 오링안착홈에 외경과 일측면이 안착됨과 더불어 나사부에 내경이 밀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되는 오링(1300)을 포함하여, 상기 홈와셔를 플러그 몸체의 축부에서 나사부쪽으로 당기게 되면 오링이 홈와셔의 오링안착홈에 의해 가압되어 플러그 몸체의 축부와 나사부에서 쉽게 빠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와셔플러그{WASHER PLUG FOR PIPING}
본 고안은 배관용 와셔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배관작업을 완료한 후 배관 내부의 유체나 기체가 배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임시로 막아주는데 사용하도록 된 배관용 와셔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되는 건물은 물론 거의 모든 건물내에는 수도배관이 설치되는 것이며, 건물의 완공 전 또는 보수시 수도배관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수도꼭지가 설치되지 않은 개방상태인 배관 단부에 배관용 와셔플러그를 나사 결합하여 밀폐시킨 상태에서 배관내 수압을 측정하고 있다.
이때. 배관내의 수도물이 배관 단부에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배관용 와셔플러그의 주 기능인 바, 이 배관용 와셔플러그에 끼워진 패킹이 플러그몸체의 나사 체결력을 받아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디자인 제30-151344호 디자인의 명칭 "수도관 폐쇄 플러그"는, 나사부가 형성된 축부에 오링을 안착시키기 위한 환형홈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환형홈에 오링을 수용한 상태로 수도배관에 체결하게 되면 환형홈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 오링이 수도배관에 밀착되면서 누수를 차단하게 되므로, 배관내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등록디자인 제30-151344호는 환형홈과 나사부가 축방향으로 코어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어서, 환형홈과 나사부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사이클이 매우 길게 되는 결점이 있어서,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금형의 수명이 짧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디자인 제30-151344호는 오링이 끼워지는 환형홈이 형성된 곳에서 파단이 이루어져 작업에 큰 손실을 입히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 제20-0384877호 고안의 명칭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는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에 ㄷ자형의 패킹 삽입홈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배관 마개에 형성된 지지턱의 외주에 별도 제작한 홈와셔를 끼워 이 홈와셔의 선단이 패킹의 정상부를 지지하는 상태로 ㄷ자형 단면의 패킹 삽입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는 지지턱부위에 끼워진 홈와셔와 ㄷ자형 패킹 삽입홈에 삽입되는 패킹에 밀착되어 기밀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배관 마개의 제작이 용이하고, 배관 마개의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아 누수방지력이 우수하게 된다.
그러나 제20-0384877호의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는 상세한 설명에서 홈와셔를 분리 자유롭게 끼워준다고 하였으나, 실제 조립상태에서 배관마개의 나사부를 통해 홈와셔를 축방향으로 끼우고 ㄷ자형의 패킹 삽입홈에 오링이 끼워지게 되면, 탄발력에 의해 오링이 ㄷ자형의 패킹 삽입홈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므로, 오링이 마모된 경우 쉽게 배관 마개의 패킹 삽입홈에서 오링을 분리하여 제거하기가 매우 곤란함은 물론, 이에 따라 홈와셔이 마모되거나 일부 파손된 경우에도 홈와셔를 쉽게 배관 마개에서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여 유지 및 보수에 매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제20-0384877호의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는 외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ㄷ자형 패킹 삽입홈이 형성된 곳의 축중심에 살빼기를 위해 중공의 상태로 성형하여 배관 마개를 큰 힘으로 체결시 ㄷ자형 패킹 삽입홈에서 파단이 이루어져 작업에 큰 손실을 입히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디자인 제30-151344호 디자인의 명칭 "수도관 폐쇄 플러그"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 제20-0384877호 고안의 명칭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홈와셔와 오링을 플러그 몸체의 나사부에 끼운 상태에서도 홈와셔와 오링을 플러그 몸체에서 축방향으로 와셔를 당기는 힘으로 간단히 오링과 홈와셔를 분리할 수 있어서, 오링이 마모된 경우 쉽게 플러그 몸체의 축부와 나사부에서 오링을 분리하여 제거하기가 용이함은 물론, 이에 따라 홈와셔가 마모되거나 일부 파손된 경우에도 홈와셔를 쉽게 플러그 몸체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가 매우 간편한 배관용 와셔플러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나사부가 형성된 축중심에 살빼기를 위해 중공의 상태로 성형하되 보강리브를 주어 플러그 몸체를 큰 힘으로 체결시 홈와셔와 오링이 끼워진 부위에서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서 작업이 능률이 오르게 되는 배관용 와셔플러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플러그 몸체와 홈와셔에 오링을 설치한 상태로 배관에 조립하게 되면 플러그 몸체와 홈와셔의 경계면 사이로 발생하는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와셔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된 배관용 와셔플러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관용 와셔플러그는, 수도관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배관작업을 완료한 후 배관 내부의 유체나 기체가 배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임시로 막아주는데 사용하도록 축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플러그 몸체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축부에 형성된 나사부로 끼워져 축부에 위치하면서 오링의 외주면을 지지함과 더불어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으로 위치한 오링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오링안착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축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와셔 형태의 홈와셔와, 상기 나사부로 끼워져 홈와셔의 오링안착홈에 외경과 일측면이 안착됨과 더불어 나사부에 내경이 밀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되는 오링을 포함하여, 상기 홈와셔를 플러그 몸체의 축부에서 나사부쪽으로 당기게 되면 오링이 홈와셔의 오링안착홈에 의해 가압되어 플러그 몸체의 축부와 나사부에서 쉽게 빠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홈와셔의 와셔외경과 상기 플러그 몸체의 축부와 연결되어 홈와셔와 밀착되는 와셔밀착부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몸체의 축방향 중심으로는 성형을 위해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부터 축중심으로 중공의 계단진 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와 나사부가 형성된 쪽의 중공 홈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홈와셔의 오링안착홈에 안착된 오링은, 상기 홈와셔의 측면으로 오링 높이가 직경의 10 ~20% 돌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관용 와셔플러그는, 수도관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배관작업을 완료한 후 배관 내부의 유체나 기체가 배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임시로 막아주는데 사용하도록 축부에 나사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축부에서 나사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축부직경보다 크게 확경되어 일정길이 형성된 단턱부를 갖춘 플러그 몸체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축부에 형성된 나사부쪽으로 끼워져 단턱부와 동일한 높이의 축방향으로 끼워지는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에 위치한 오링의 외주면과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구멍에서 계단지게 확경되어 오링안착홈이 형성된 와셔 형태의 홈와셔와, 상기 나사부로 끼워져 홈와셔의 오링안착홈에 외경과 일측면이 안착됨과 더불어 축부에 내경이 밀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단턱부의 외경과 홈와셔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경계면을 가압하게 되는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홈와셔의 외경면에는 축방향으로 슬롯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용 와셔플러그에 의하면, 홈와셔와 오링을 플러그 몸체의 축부와 나사부에 끼운 상태에서 실링이 용이하고, 오링과 홈와셔의 교환시 축방향으로 홈와셔를 뽑는 것만으로도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오링이 마모된 경우 플러그 몸체의 나사부에서 오링을 분리하여 교환하기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매우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배관용 와셔플러그에 의하면, 플러그 몸체의 나사와 회전력전달구멍은 사출성형시 금형의 상,하코어에 의해 형성시키고 내부홈은 슬라이드코어에 의해 2단금형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홈와셔도 별도의 2단금형으로 성형하여, 성형사이클이 짧고 금형의 트러블이 매우 적어서 생산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배관용 와셔플러그에 의하면, 나사부가 형성된 축중심에 보강리브를 형성함과 더불어 축부의 외주면에 오링을 내주면을 수용하도록 하는 환형홈을 형성하지 않아서, 플러그 몸체를 큰 힘으로 체결시 홈와셔와 오링이 끼워진 부위에서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서 작업이 능률이 오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배관용 와셔플러그에 의하면, 플러그 몸체와 홈와셔에 오링을 설치한 상태로 배관에 조립하게 되면 플러그 몸체와 홈와셔의 경계면 사이로 발생하는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와셔를 파지하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관용 와셔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관용 와셔플러그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저면도,
도 8은 도 7의 A - A선 단면도,
도 9는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관용 와셔플러그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플러그 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홈와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와셔플러그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와셔플러그(10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도관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배관작업을 완료한 후 배관 내부의 유체나 기체가 배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임시로 막아주는데 사용하도록 된 플러그 몸체(1100)와, 이 플러그 몸체의 축부(1110)에 형성된 나사부(1120)로 끼워져 오링의 외주면과 축부(1110)쪽의 측면을 지지하는 오링안착홈(1210)을 갖춤과 더불어 플러그 몸체(1100)의 와셔밀착부외경(1170)과 동일한 와셔외경(1230)으로 된 와셔형태의 홈와셔(1200)와, 상기 나사부(1120)로 끼워져 홈와셔(1200)와 나사부(1120)에 밀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되는 오링(1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오링(1300)이 홈와셔(1200)의 오링안착홈(1210)에 안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되면서 나사부(1120)가 체결되면서 오링(1300)과 수도관이나 배관등이 밀착될 때 오링(1300)이 방사방향으로 벌어지지 않으면서 실링이 되므로 밀착력이 우수하게 된다.
또 상기 홈와셔(1200)가 있는 곳까지 시멘트나 타일등이 부착된 경우에 홈와셔(1200)를 수도관등이 설치된 벽체나 타일등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몸체(1100)의 축부(1100)와 나사부(1120)의 외경은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와셔(1200)의 내경(1220)은 축부(1110)와 나사부(112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홈와셔(1200)는 오링(1300)의 외주면과 축부쪽 측면을 지지하는 오링안착홈(1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홈와셔(1200)를 플러그 몸체(1100)의 축부(1110)에서 나사부(1120)쪽으로 분리되게 당기게 되면 홈와셔(1200)의 오링안착홈(1210)이 오링(1300)의 일측면을 가압하면서 플러그 몸체(1100)의 축부(1110)와 나사부(1120)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쉽게 빠지게 된다.
즉, 상기 홈와셔(1200)와 오링(1300)이 마모되거나 조그만 파손이 되어 미리 교환해야 하는 경우에 수도관이나 배관에서 플러그 몸체(1100)의 나사부(1120)를 풀고, 상기 홈와셔(1200)을 축방향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홈와셔(1200)의 오링안착홈(1200)이 오링(1300)을 축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나사부(1120)에서 쉽게 분리되게 되므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마모되어 변형되거나 파손된 오링(1300)의 교환이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가 매우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몸체(1100)의 나사부(1120)에 수전구를 체결할 때 오링(1300)이 종래와 같이 ㄷ자형 패킹 삽입홈에 끼워지지 않게 되므로 와셔(1300)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뒤틀리는 힘을 거의 받지 않게 하면서 축방향의 가압력만 주게 되므로 오링(1300)의 수명과 수밀압력이 높게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몸체(1100)의 축방향 중심으로는 성형을 위해 나사부(1120)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부터 축중심으로 중공의 계단진 홈(1130,1140)이 형성되되, 상기 축부와 나사부가 형성된 쪽의 중공 홈(1140)에는 보강리브(115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리브(1150)에 의해 상기 플러그 몸체(1100)의 축부(1110)와 나사부(1120)가 형성된 곳의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중공의 홈(1140)으로 보강리브(1150)가 형성되므로 상기 플러그 몸체(1100)를 큰 힘으로 회전력을 가해 체결시 와셔형태의 홈와셔(1200)와 오링(1300)이 끼워진 부위에서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서 누수에 의한 보수나 청소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능률이 오르게 된다.
또한 상기 홈와셔(1200)의 오링안착홈(1210)에 안착된 오링(1300)은 홈와셔(12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된 높이가 오링(1300)직경의 10 ~20%만 돌출되도록 오링안착홈(1210)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와셔형태의 상기 홈와셔(1200)의 오링안착홈(1210)에 안착되어 상부면으로 돌출된 규격 사이즈의 오링(1300;AN210)높이가 오링(1300)의 직경에 대해 10 ~ 20%만 돌출되도록 오링안착홈(1210)을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 몸체(1100)의 나사부(1120)를 배관에 체결하여 오링(1300)이 압축될 때 오링(1300)의 과도한 반발력에 의해 나사부(1120)의 나사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효과적인 수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 몸체(1100)에 형성된 나사부(1120)와 8각기둥의 형상으로 된 렌지부(1180)에 형성된 회전력전달구멍(1160)은 도시되지 않은 2단금형의 상하코어에 의해 성형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홈(1130,1140)과 보강리브(1150)는 도시되지 않은 2단금형의 슬라이드코어에 의해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홈와셔(1200)도 별도의 2단금형으로 성형하여, 상기 플러그 몸체(1100)와 홈와셔(1200)의 사출 성형사이클이 짧고 제품 성형시 금형의 트러블이 매우 적어서 생산성이 우수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와셔플러그(2000)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도관을 임시로 막아주는 플러그 몸체(2100)와, 이 플러그 몸체의 축부(2110)에 형성된 나사부(2120)로 끼워져 오링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오링안착홈(2210)을 갖춤과 더불어 외경은 플러그 몸체의 외경보다 더 큰 와셔 형태의 홈와셔(2200)와, 상기 나사부(2120)로 끼워져 홈와셔(2200)와 나사부(2120)에 밀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되는 오링(2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오링(2300)이 홈와셔(2200)의 오링안착홈(2210)에 안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되면서 나사부(2120)가 체결되면서 오링(2300)과 수도관이나 배관등이 밀착될 때 오링(2300)이 방사방향으로 벌어지지 않으면서 실링이 되므로 밀착력이 우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몸체(2100)의 축부(2110)와 나사부(2120)의 외경은 동일한 외주면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나사부(2120)의 직경이 작은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홈와셔(2200)의 내경(2220)은 축부(211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홈와셔(2200)를 플러그 몸체(2100)의 축부(2110)에서 나사부(2120)쪽으로 당기게 되면 홈와셔(2200)의 오링안착홈(2210)에 의해 외주면과 일측면이 바닥면을 지지하여 오링(2300)이 플러그 몸체(2100)의 축부(2110)와 나사부(2120)에서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빠지게 된다.
즉, 상기 홈와셔(2200)와 오링(2300)이 마모되거나 조그만 파손이 되어 미리 교환해야 하는 경우에 수도관이나 배관에서 플러그 몸체(2100)의 나사부(2120)를 풀고, 상기 홈와셔(2200)를 축방향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홈와셔(2200)의 오링안착홈(2210)에 의해 오링(2300)이 축방향으로 쉽게 분리되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마모되어 변형되거나 파손된 오링(2300)의 교환이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가 매우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몸체(2100)의 나사부(2120)에 수전구를 체결할 때 오링(2300)이 종래와 같이 ㄷ자형 패킹 삽입홈에 끼워지지 않게 되므로 와셔(2300)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뒤틀리는 힘을 거의 받지 않게 하면서 축방향의 가압력만 주게 되므로 오링(2300)의 수명과 수밀압력이 높게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몸체(2100)의 축방향 중심으로는 성형을 위해 나사부(2120)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부터 축중심으로 중공의 계단진 홈(2130,2140)이 형성되되, 상기 축부와 나사부가 형성된 쪽의 중공 홈(2140)에는 보강리브(215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리브(2150)에 의해 상기 플러그 몸체(2100)의 축부(2110)와 나사부(2120)가 형성된 곳의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중공의 홈(2140)으로 보강리브(2150)가 형성되므로 상기 플러그 몸체(2100)를 큰 힘으로 회전력을 가해 체결시 와셔형태의 홈와셔(2200)와 오링(2300)이 끼워진 부위에서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서 누수에 의한 보수나 청소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능률이 오르게 된다.
또한 상기 홈와셔(2200)의 오링안착홈(2210)에 안착된 오링(2300)은 홈와셔(22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된 높이가 오링(2300)직경의 10 ~20%만 돌출되도록 오링안착홈(2210)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와셔형태의 상기 홈와셔(2200)의 오링안착홈(2210)에 안착되어 상부면으로 돌출된 규격 사이즈의 오링(2300;AN210)높이가 오링(2300)의 직경에 대해 10 ~ 20%만 돌출되도록 오링안착홈(2210)을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 몸체(2100)의 나사부(2120)를 배관에 체결하여 오링(2300)이 압축될 때 오링(2300)의 과도한 반발력에 의해 나사부(2120)의 나사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효과적인 수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 몸체(2100)에 형성된 나사부(2120)와 회전력전달구멍(2160)은 도시되지 않은 2단금형의 상하코어에 의해 성형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홈(2130,2140)과 보강리브(2150)는 도시되지 않은 2단금형의 슬라이드코어에 의해 성형함과 더불어, 상기 홈와셔(2200)도 별도의 2단금형으로 성형하여, 상기 플러그 몸체(2100)와 홈와셔(2200)의 사출 성형사이클이 짧고 제품 성형시 금형의 트러블이 매우 적어서 생산성이 우수하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와셔플러그(3000)가 도시되어 있는 바, 수도관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배관작업을 완료한 후 배관 내부의 유체나 기체가 배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임시로 막아주는데 사용하도록 축부(3110)에 나사부(3120)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축부에서 나사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축부(3110)직경보다 크게 확경되어 일정길이 형성된 단턱부(3190)를 갖춘 플러그 몸체(3100)와, 상기 플러그 몸체(3100)의 축부(3110)에 형성된 나사부(3120)쪽으로 끼워져 단턱부(3190)와 동일한 높이의 축방향으로 끼워지는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3220)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3110)에 위치한 오링(3300)의 외주면과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구멍(3220)에서 계단지게 확경되어 오링안착홈(3230)이 형성된 와셔 형태의 홈와셔(3200)와, 상기 나사부(3120)로 끼워져 홈와셔(3200)의 오링안착홈(3230)에 외경과 일측면이 안착됨과 더불어 축부(3110)에 내경이 밀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단턱부(3190)의 외경과 홈와셔(3200)의 관통구멍(3220)으로 이루어지는 경계면을 가압하게 되는 오링(3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홈와셔(3200)를 플러그 몸체(3100)의 단턱부(3190)에서 나사부(3120)쪽으로 당기게 되면 오링(3300)이 홈와셔(3200)의 오링안착홈(3230)에 의해 가압되어 플러그 몸체(3100)의 축부(3110)와 단턱부(3190) 및 나사부(3120)에서 쉽게 빠지게 됨은 물론, 상기 플러그 몸체(3100)와 홈와셔(3200)에 오링(3300)을 설치한 상태로 배관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오링(3300)의 외경과 내경이 각각 홈와셔(3200)의 오링안착홈(3230)과 축부(3110)에 밀착됨과 더불어 상기 오링(3300)의 일측면인 도 13의 우측면이 상기 단턱부(3190)의 외경과 홈와셔(3200)의 관통구멍(3220)으로 이루어지는 경계면을 가압하게 되어 누수를 한층 견고하게 막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플러그 몸체(3100)와 홈와셔(3200)의 경계면 사이로 발생하는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링안착홈(3230)의 내경에서 홈와셔(3200)의 관통구멍(3220)으로 연결되는 계단진 모서리 즉, 도 12의 오링안착홈(3230)을 인출하는 위치가 오링과의 밀착과 홈와셔(3200)의 견고함을 위해 곡면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3130, 3140은 상기 플러그 몸체(3100)의 축방향 중심으로는 성형을 위해 나사부(3120)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부터 축중심으로 형성된 중공의 계단진 홈이고, 3150은 상기 축부와 나사부 및 단턱부가 형성된 쪽의 홈(31140)에 형성된 보강리브이며, 3160은 회전력전달구멍, 3170은 와셔밀착부외경, 3180은 8각기둥의 형상으로 된 렌지부이다.
그리고 상기 홈와셔(3200)의 외경면(3210)에는 축방향으로 슬롯홈(3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홈와셔(3200)의 외경면(3210)을 잡고 돌리기가 용이하여 홈와셔의 파지가 쉽고 조립이 간편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배관용 와셔플러그 1100: 플러그 몸체
1110: 축부 1120: 나사부
1130,1140: 홈 1150: 보강리브
1200: 홈와셔 1210: 오링안착홈
1220: 내경 1300: 오링
2000: 배관용 와셔플러그 2100: 플러그 몸체
2110: 축부 2120: 나사부
2130,2140: 홈 2150: 보강리브
2200: 홈와셔 2210: 오링안착홈
2220: 내경 2300: 오링
3000: 배관용 와셔플러그 3100: 플러그 몸체
3200: 홈와셔 3300: 오링

Claims (5)

  1. 수도관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배관작업을 완료한 후 배관 내부의 유체나 기체가 배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임시로 막아주는데 사용하도록 축부(1110,2110)에 나사부(1120,2120)가 형성된 플러그 몸체(1100,2100)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축부에 형성된 나사부로 끼워져 축부에 위치하면서 오링의 외주면을 지지함과 더불어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으로 위치한 오링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오링안착홈(1210,221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축부와 나사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1220,2220)이 형성된 와셔 형태의 홈와셔(1200,2200)와,
    상기 나사부로 끼워져 홈와셔의 오링안착홈에 외경과 일측면이 안착됨과 더불어 나사부에 내경이 밀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되는 오링(1300,2300)을 포함하여, 상기 홈와셔를 플러그 몸체의 축부에서 나사부쪽으로 당기게 되면 오링이 홈와셔의 오링안착홈에 의해 가압되어 플러그 몸체의 축부와 나사부에서 쉽게 빠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와셔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와셔(1200)의 와셔외경(1230)과 상기 플러그 몸체(1100)의 축부와 연결되어 홈와셔와 밀착되는 와셔밀착부외경(1170)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와셔플러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몸체의 축방향 중심으로는 성형을 위해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서부터 축중심으로 중공의 계단진 홈(1130,1140,2130,2140)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와 나사부가 형성된 쪽의 중공 홈에는 보강리브(1150,2150)가 형성되며,
    상기 홈와셔의 오링안착홈에 안착된 오링(1300,2300)은, 상기 홈와셔의 측면으로 오링 높이가 직경의 10 ~20% 돌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와셔플러그.
  4. 수도관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배관작업을 완료한 후 배관 내부의 유체나 기체가 배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임시로 막아주는데 사용하도록 축부(3110)에 나사부(3120)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축부에서 나사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축부(3110)직경보다 크게 확경되어 일정길이 형성된 단턱부(3190)를 갖춘 플러그 몸체(3100)와,
    상기 플러그 몸체(3100)의 축부(3110)에 형성된 나사부(3120)쪽으로 끼워져 단턱부(3190)와 동일한 높이의 축방향으로 끼워지는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3220)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3110)에 위치한 오링(3300)의 외주면과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구멍(3220)에서 계단지게 확경되어 오링안착홈(3230)이 형성된 와셔 형태의 홈와셔(3200)와,
    상기 나사부(3120)로 끼워져 홈와셔(3200)의 오링안착홈(3230)에 외경과 일측면이 안착됨과 더불어 축부(3110)에 내경이 밀착되어 방사방향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단턱부(3190)의 외경과 홈와셔(3200)의 관통구멍(3220)으로 이루어지는 경계면을 가압하게 되는 오링(3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와셔플러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홈와셔(3200)의 외경면(3210)에는 축방향으로 슬롯홈(3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와셔플러그.
KR2020150008055U 2015-05-14 2015-12-09 배관용 와셔플러그 KR2004828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113 2015-05-14
KR20150003113 2015-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36U true KR20160004036U (ko) 2016-11-23
KR200482815Y1 KR200482815Y1 (ko) 2017-03-08

Family

ID=5770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055U KR200482815Y1 (ko) 2015-05-14 2015-12-09 배관용 와셔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8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43U (ko) * 2017-12-08 2019-06-18 최종력 수도배관용 플러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069A (ja) * 1994-12-12 1996-06-25 K I Doriru:Kk 上水道管用開口先端部の仮止水栓
KR200384877Y1 (ko) * 2004-12-21 2005-05-24 김흥국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JP2008215389A (ja) * 2007-02-28 2008-09-18 Tokai Rubber Ind Ltd エア抜管継手
KR200448794Y1 (ko) * 2008-09-26 2010-05-24 주식회사 미래산업 이중 배관 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069A (ja) * 1994-12-12 1996-06-25 K I Doriru:Kk 上水道管用開口先端部の仮止水栓
KR200384877Y1 (ko) * 2004-12-21 2005-05-24 김흥국 수압측정용 배관 마개
JP2008215389A (ja) * 2007-02-28 2008-09-18 Tokai Rubber Ind Ltd エア抜管継手
KR200448794Y1 (ko) * 2008-09-26 2010-05-24 주식회사 미래산업 이중 배관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43U (ko) * 2017-12-08 2019-06-18 최종력 수도배관용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815Y1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51629U (zh) 一种自锁式快速接头
US6463957B2 (en) Connector having a locking member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2154692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그립링 손상방지장치
CN104032802A (zh) 卫生嵌装件、嵌装件系统和卫生配件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200478852Y1 (ko) 분배기용 멀티소켓
KR200482815Y1 (ko) 배관용 와셔플러그
KR200496835Y1 (ko) 수도배관용 플러그
KR200452369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JP2011190867A (ja) 逆止弁ユニット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KR200463683Y1 (ko) 냉온수 분배기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KR101852159B1 (ko) 파이프 조인트
EP3822533B1 (en) Housing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housing device
KR200349668Y1 (ko) 냉각호스 연결용 커플링
JP2011202809A (ja) 管継手
KR101073691B1 (ko) 허브형 밸브 구조
JP2008290029A (ja) 塗布装置
JP5033509B2 (ja) 差込式管継手
KR20090002233U (ko) 냉온수 분배기
JP5991607B1 (ja) 空気弁付きバルブ装置
KR200453982Y1 (ko) 수도꼭지용 어댑터
KR200408753Y1 (ko) 케이블관 밀폐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