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328Y1 -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 Google Patents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328Y1
KR200384328Y1 KR20-2005-0003888U KR20050003888U KR200384328Y1 KR 200384328 Y1 KR200384328 Y1 KR 200384328Y1 KR 20050003888 U KR20050003888 U KR 20050003888U KR 200384328 Y1 KR200384328 Y1 KR 200384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body
wing
receiving groove
hinge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일
안승철
Original Assignee
정태일
안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일, 안승철 filed Critical 정태일
Priority to KR20-2005-0003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윙바디 차량의 윙부 하측에 형성된 측면플레이트 내측으로 절첩이 가능한 발판을 형성하여 윙바디 차량의 윙부를 개방하고 화물을 적재할 시 승탑자가 측면플레이트 측에서 쉽게 적재함에 승탑할 수 있는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적재함의 상측과 양측면을 덮을 수 있는 윙부의 하부 양측으로 일정길이로 분할된 측면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의 외측으로는 결합공을 형성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게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결합편을 형성한 삽입프레임과, 상기 삽입프레임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하단에 힌지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힌지에 연결대 하단이 축설되어 회동하여 절첩되도록 힌지연결하고 상기 연결대 상측으로는 내측에 손잡이공을 형성한 발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Foot Hold Structure of Wing Body Vehicle}
본 고안은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윙바디 차량의 윙부 하측에 형성된 측면플레이트 내측으로 절첩이 가능한 발판을 형성하여 윙바디 차량의 윙부를 개방하고 화물을 적재할 시 승탑자가 측면플레이트 측에서 쉽게 적재함에 승탑할 수 있는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차량으로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눈이나 비로부터 보호되고 화물운송시 화물이 적재함 밖으로 낙하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박스차량이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박스차량은 후방이 개폐되는 캐비닛형과 윙바디형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의 윙바디형 화물차량은 화물의 상하차 시간이 많이 단축되기 때문에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윙바디(wing body)는 트럭의 적재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적재함 양측면에 윙(wing)을 형성하고 상기 윙을 유압 및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나 감속모터, 가스식 쇽업쇼버, 스프링 등에 의해 들어올리므로써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윙바디 트럭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천정프레임, 2는 상부힌지, 3은 윙부, 4는 적재함, 5는 측면플레이트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윙바디 트럭은 상측 중앙의 전후방으로 천정프레임(1)을 형성하고 상기 천정프레임(1)의 상부에 다수의 상부힌지(2)가 고정설치되어 양측으로 상측과 양측면을 덮을 수 있는 윙부(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적재함(4)의 하부 양측으로는 일정길이로 분할된 측면플레이트(5)가 상기 적재함(4) 바닥과 다수의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윙바디 트럭에는 위부의 일측 또는 타측을 개방하고, 적재함의 상부에 구비된 측면플레이트를 별도로 개방하여 통상의 지게차에 의하여 화물을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윙바디 차량은 차량의 전높이(overall height) 즉 지면의 접지면에서 자동차의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가 높아 지면에서 적재함의 높이도 높아져 측면플레이트를 개방한 후 사용자가 적재함에 올라가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차량의 측면으로는 승하차를 하지 못하였으며 승하차를 하기 위해서는 배면을 개방한 후에 차량의 배면에 설치된 범퍼를 밟고 올라가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현재에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발판을 형성한다고 하여도 화물을 적재한 후 측면플레이트를 폐쇄하였을 경우 적재된 화물에 부딛히는 문제점이 있어 측면플레이트에 발판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윙바디 하측에 형성된 측면플레이트 내측으로 절첩이 가능한 발판을 형성하여 승탑자가 적재함에 오르기위하여 차량의 배면을 개방하지 않아도 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를 닫았을 경우에도 발판이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돌출되지 않아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재함의 상측과 양측면을 덮을 수 있는 윙부의 하부 양측으로 일정길이로 분할된 측면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의 외측으로는 결합공을 형성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결합편을 형성한 삽입프레임과, 상기 삽입프레임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하단에 힌지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힌지에 연결대 하단이 축설되어 회동하여 절첩되도록 힌지연결하고 상기 연결대 상측으로는 내측에 손잡이공을 형성한 발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탄성스프링편을 형성하여 발판부의 연결대에 탄성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프레임 내측으로 고리부를 형성하여 발판부의 상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수도 있는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는 상측 중앙의 전후방으로 천정프레임(1)을 형성하고 상기 천정프레임(1)의 상부에 다수의 상부힌지(2)가 고정설치되어 양측으로 상측과 양측면을 덮을 수 있는 윙부(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적재함(4)의 하부 양측으로는 일정길이로 분할된 측면플레이트(5)의 내측으로 수용부(10)를 형성한다.
이러한 수용부(10)는 측면플레이트(5) 내측으로 수용홈(11)을 형성하고 수용홈(11)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결합공(12)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11)의 형상은 사각 또는 다각의 형태 및 원형의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상기 수용부(10)의 수용홈(11)에 삽입되는 결합되도록 삽입프레임(20)을 형성한다.
상기의 삽입프레임(20)은 수용부(10)의 수용홈(11)과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삽입프레임(20) 외측으로는 결합편(2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삽입프레임(20)의 내측으로 발판구조의 몸체부(30)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부(30) 하단에는 하단에 힌지(31)를 형성한다.
이와같은 상기 몸체부(30)의 힌지(31)에 탑승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발판부(40)를 고정하되 상기 발판부(40)의 연결대(41) 하단이 몸체부(30)의 힌지(31)에 축설되어 회동하여 절첩되도록 상기 연결대(41) 상측으로는 내측에 손잡이공(42)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몸체부(30)의 내측으로 탄성스프링편(32)을 형성하여 발판부(40)의 연결대(41)에 탄성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발판부(40)가 접히거나 펼친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삽입프레임(20) 내측으로 고리부(22)를 형성하여 발판부(40)의 상측을 고정하므로써 고리부(22)의 회전으로 발판부(40)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측면플레이트(5)에 형성된 수용부(10)의 수용홈(11)에 몸체부(30)와 발판부(40)가 고정되어 있는 삽입프레임(20)을 리벳이나 나사(P)로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플레이트(5)를 펼쳐서 화물을 적재할 시 탑승자가 임의로 적재함에 올라갈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발팜부(40)에 형성된 손잡이공(42)을 잡고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대(41)의 하단을 누르고 있던 탄성스프링편(3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펼쳐지게 되어 상기 연결대(41)가 몸체부(30)에 받혀지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발판부(40)가 펼쳐지면 발판부(40)와 지면과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탑승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다.
이와같이 발판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하고 다시 측면플레이트(5)를 접을 경우에는 상기 발판부(40)를 들어올려 회전에 의해 접으면 탄성스프링편(32)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접혀지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편(32)의 탄성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힘을 가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스프링편(32)을 설치하지 않고 발판부(40)가 접혀지는 상측에 고리부(22)를 형성하여 발판부(40)를 접었을 경우 고리부(22)에 의해 고정되고 발판부(40)를 펼칠 경우에는 고리부(22)를 회전에 의해 발판부(40)의 걸침을 해제한 후 발판부(40)를 펼쳐서 사용하고 측면플레이트(5)를 접을 경우 발판부(40)를 고리부(22)로 고정하여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윙바디 하측에 형성된 측면플레이트 내측으로 절첩이 가능한 발판을 형성하여 승탑자가 적재함에 오르기위하여 차량의 배면을 개방하지 않아도 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를 닫았을 경우에도 발판이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돌출되지 않아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윙바디 차량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천정프레임 2 : 상부힌지
3 : 윙부 4 : 적재함
5 : 측면플레이트 10 : 수용부
11 : 수용홈 12 : 결합공
20 : 삽입프레임 21 : 결합편
22 : 고리부 30 : 몸체부
31 : 힌지 32 : 탄성스프링편
40 : 발판부 41 : 연결대
42 : 손잡이공

Claims (3)

  1. 적재함(4)의 상측과 양측면을 덮을 수 있는 윙부(3)의 하부 양측으로 일정길이로 분할된 측면플레이트(5)의 내측으로 수용홈(11)을 형성하고 수용홈(11)의 외측으로는 결합공(12)을 형성한 수용부(10)와,
    상기 수용부(10)의 수용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홈(11)과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결합편(21)을 형성한 삽입프레임(20)과,
    상기 삽입프레임(20)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하단에 힌지(31)를 형성한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힌지(31)에 연결대(41) 하단이 축설되어 회동하여 절첩되도록 힌지연결하고 상기 연결대(41) 상측으로는 내측에 손잡이공(42)을 형성한 발판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내측으로 탄성스프링편(32)을 형성하여 발판부(40)의 연결대(41)에 탄성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프레임(20) 내측으로 고리부(22)를 형성하여 발판부(40)의 상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KR20-2005-0003888U 2005-02-14 2005-02-14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KR200384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88U KR200384328Y1 (ko) 2005-02-14 2005-02-14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888U KR200384328Y1 (ko) 2005-02-14 2005-02-14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328Y1 true KR200384328Y1 (ko) 2005-05-13

Family

ID=4368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888U KR200384328Y1 (ko) 2005-02-14 2005-02-14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3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654B1 (ko) 2013-05-27 2015-02-04 김학성 지게차 발판에 의한 개방공간 수평밀폐장치
KR200493251Y1 (ko) * 2019-08-30 2021-02-26 문정혜 차량용 보조 발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654B1 (ko) 2013-05-27 2015-02-04 김학성 지게차 발판에 의한 개방공간 수평밀폐장치
KR200493251Y1 (ko) * 2019-08-30 2021-02-26 문정혜 차량용 보조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1798B2 (en) Tailgate ladder
US6971478B2 (en) Tailgate ladder
CN107616102A (zh) 多功能宠物笼
US6322125B2 (en) Truck bed extension
CN106956723B (zh) 一种卡车及其货箱
US6158797A (en) Truck bed extension
KR200384328Y1 (ko) 윙바디 차량의 발판구조
KR100388094B1 (ko) 차량의 도어 유리 수납 고정장치
KR101804446B1 (ko) 특장차용 리프트 게이트
KR102081323B1 (ko) 특장차용 발판
KR102081326B1 (ko) 특장차용 발판
US10821912B1 (en) Foldable toolbox for a pickup truck bed
CN115946987A (zh) 锁具组件和托盘箱
US6419299B1 (en) Cargo space expanding device of vehicle
KR101466629B1 (ko)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101170511B1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수납장치
US20060033352A1 (en) Truck tailgate extension
KR100930546B1 (ko) 차량의 스텝장치
KR102103240B1 (ko) 사다리를 가지는 언더커버가 구비되는 건설장비
KR200425685Y1 (ko) 설치각이 가변되는 상/하차용 사다리
KR101973266B1 (ko) 수납공간 확장형 차량 루프박스
KR200490550Y1 (ko) 픽업 적재함 캠핑용 확장장치
KR101231320B1 (ko) 절첩식 컨테이너
KR100514248B1 (ko) 화물차용 플랩 개폐 장치
JPH03350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