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111Y1 -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111Y1
KR200384111Y1 KR20-2005-0004330U KR20050004330U KR200384111Y1 KR 200384111 Y1 KR200384111 Y1 KR 200384111Y1 KR 20050004330 U KR20050004330 U KR 20050004330U KR 200384111 Y1 KR200384111 Y1 KR 200384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wires
wire assembly
wir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태수
Original Assignee
남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수 filed Critical 남태수
Priority to KR20-2005-0004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공사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는 복수의 전선들 및 전선관을 포함한다. 전선들의 각각은 절연물질에 의해 피복되어 전기를 전달한다. 전선관은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를 갖고서, 전선들을 커버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전선을 포함하는 전선관을 배치시킴으로써, 전선을 전선관에 삽입하는 전선 삽입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그 결과 공사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ELECTRIC WIRE ASSEMBLY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건축공정의 비용 절감을 위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라브(slab)에는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들이 배선 공사에 의해 배치되며, 상기 전선들은 원통형상을 갖는 전선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최근에는 통신기술 발전에 따른 가정에서의 인터넷 사용을 위해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배선 공사가 필요로 하고 있다.
상기 벽체 또는 슬라브 내에 전선들이 배치하는 종래의 배선 공사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벽체 또는 슬라브 구축을 위한 철근 구조물에 상기 전선관을 배치하는 전선관 배치공정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철근 구조물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의 기간동안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벽체 양성공정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양생된 벽체 내에 설치된 상기 전선관에 상기 전선들을 삽입하는 전선 삽입공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전선관이 파손되거나 굽혀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선관이 파손되거나 심하게 굽혀지거나 이물질에 의해 전선관 내부가 막힐 경우, 상기 전선관에 상기 전선들을 삽입하는 전선 삽입공정이 더욱 어려워지고, 그 결과 재시공에 따른 추가적인 공사비 및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기존의 방식으로 배선 공사를 시행할 경우, 상기 전선들이 상기 전선관에 삽입될 때,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심각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경제성을 향상시키며, 전선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는 복수의 전선들 및 전선관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들의 각각은 절연물질에 의해 피복되어 전기를 전달한다. 상기 전선관은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를 갖고서, 상기 전선들을 커버한다.
이러한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에 의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전선들을 포함하는 전선관이 배치되므로써, 전선들을 전선관에 삽입하는 전선 삽입공정의 생략이 가능하여 공사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선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의 실시예>
도 1은 건축 공정 중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100)는 전기를 전송하는 전선(110) 및 상기 전선을 보호하는 전선관(120)을 포함한다.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100)는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라브 구축을 위한 철근 구조물(10)에 배치된다. 상기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100)가 상기 철근 구조물(10)에 배치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의 기간동안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벽체 양성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110)은 절연물질, 예를 들어 합성수지에 의해 피복되어 전기를 전달한다. 상기 전선(11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관(110) 내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전선(110)들로는 강한 교류전압을 전송하는 전압선, 유선으로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선, 외부 안테나와 연결되어 TV를 수신하기 위한 TV 수신선 및 인터넷을 위한 광 케이블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선관(120)은 상기 전선(110)을 에워쌈으로써, 상기 전선(110)을 외부의 콘크리트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전선관(120)은 일 예로, 사출 또는 압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성을 갖기 위해 내부에 첨가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선관(120)은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복수개의 전선(110)들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선관의 내부에는 절연물질등이 채워지지 않고 상기 전선(110)들이 유동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공간에 의해 상기 전선(110)들 중 전기적으로 불량이 발생한 전선(110)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는 교체작업이 가능해 진다.
상기 전선관(120)은 상기 전선관(120)이 꼬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2)는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전선관(120)의 외측에 원형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전선관(120)의 길이 방향, 즉 제1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돌출부(122)는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에 대하여 θ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2)의 경사진 각도( θ)는 10도 내지 20도 사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출부(122)의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 θ)가 20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전선관(120)이 꼬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상기 전선관(120)이 굴곡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 또한 발생한다.
상기 돌출부(122)가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외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122)와 돌출부(122)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소정의 깊이로 들어간 함입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함입부(122) 또한 상기 돌출부(122)와 동일하게 상기 전선관(1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2)의 단면과 상기 함입부(124)의 단면은 반원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다르게, 상기 돌출부(122)의 단면과 상기 함입부(124)의 단면은 아치 형상, 삼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함입부(124)의 단면은 평행한 일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110)들을 포함하는 전선관(120)을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전선(110)들을 상기 전선관(120)에 삽입하는 전선 삽입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그 결과 공사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110)들 중 전기적으로 불량이 발생한 전선(110)이 발생할 경우, 상기 불량 전선을 상기 전선관(12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교체할 수 있다.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의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선 어셈블리의 제조장치(200)는 보조선(20)을 이송하여 전선관(120)에 삽입 또는 제거시키는 이송부(210)와, 상기 보조선(2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0)와, 상기 전선관(120)을 상기 가이드부(220)에 고정시키는 연결부(230)와, 상기 보조선(20)에 의해 상기 전선관(120)으로 삽입된 복수의 전선(110)들을 절단하는 커터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210)는 상기 보조선(20)을 이송하여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하거나,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된 상기 보조선(20)을 상기 전선관(120)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이송부(210)는 일 예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roller)이다. 상기 이송부(210)는 복수개의 롤러들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 상하로 각각 두 개씩 네 개의 롤러들이 상기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200)의 몸체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롤러들이 상하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상기 보조선(20)을 이송함에 따라, 상기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200)는 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보조선(20)을 상기 전선관(120) 내로 이송하거나, 상기 전선관(120) 내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 개의 롤러들 중 상부에 배치된 두 개의 롤러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네 개의 롤러들 중 하부에 배치된 나머지 두 개의 롤러들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상기 보조선(20)을 상기 이송부(210) 또는 상기 전선관(120)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상기 보조선(20)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입구부(222) 및 출구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부(222)는 상기 보조선(20)을 상기 이송부(210)로 가이드한다. 상기 입구부(222)는 상기 보조선(20)이 상기 이송부(210)로 가이드할 때, 상기 보조선(20)이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출구부(224)는 상기 이송부(210)에 의해 이송된 상기 보조선(20)을 상기 전선관(120) 내로 가이드한다. 상기 출구부(224) 또한 상기 보조선(20)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조선(20)이 상기 전선관(120)에 잘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전선관(120)을 상기 가이드부(220)의 출구부(224)에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200)의 몸체로부터 상기 전선관(120)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30)의 일부는 상기 전선관(120)의 외측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전선관(120)을 상기 출구부(224)에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커터부(240)는 상기 전선관(120)을 사이로 상기 연결부(23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커터부(240)는 상기 보조선(20)에 의해 상기 전선관(120)으로 삽입된 복수의 전선(110)들을 절단한다. 즉, 상기 전선(110)들은 상기 보조선(20)에 의해 결속되어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된다. 상기 전선(110)들의 각각은 일반적으로 수납 롤러(30)에 의해 감겨서 두루마리 형태로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전선(110)들은 상기 커터부(240)에 의해 원하는 크기, 예를 들어 상기 전선관(120)의 길이와 비슷하게 절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200)에 의해 상기 보조선(20)이 가이드되어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 또는 상기 전선관(120) 내에서 제거됨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전선(110)들과 상기 전선관(120)이 일체화된 전선 어셈블리(100)를 제조할 수 있다.
<전선 어셈블리 제조방법의 실시예>
도 4a 내지 도 4f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전선관을 마련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 및 도 4c는 보조선을 전선관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d는 보조선의 일단부와 전선들을 서로 결속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e는 전선들을 전선관에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f는 전선관에 삽입된 전선들을 절단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우선 꼬임이 방지된 전선관(120)을 마련한다. 상기 전선관(120)은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관(120)이 꼬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2)는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전선관(120)의 외측에 원형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보조선(20)을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한다. 상기 보조선(20)은 일 예로,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200)의 이송부(210)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보조선(20)은 수작업에 의해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200)의 이송부(210)에 의해 상기 보조선(20)이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전선관(120)을 상기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200)의 연결부(230)에 고정시킨다. 상기 전선관(120)이 상기 연결부(23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전선관(120)과 상기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200)의 가이드부(22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선(20)은 일례로, 피아노선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된 보조선(20)의 일단부는 복수의 전선(210)들을 서로 결속한다. 상기 전선(110)들로는 전압선, 전화선, TV 수신선 등이 있다. 상기 전선(110)들의 각각은 수납 롤러(30)에 감겨져 두루마리 형태로 배치된다.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선(20)의 타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보조선(20)에 의해 결속된 상기 전선(110)들을 상기 전선관(120) 내에 삽입한다. 상기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200)의 이송부(210)는 상기 보조선(20)의 타단부를 자동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전선(110)들을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210)는 상기 보조선을 상기 전선관 내로 삽입할 때 회전하는 방향과 다르게 역으로 회전한다.
도 4f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관(120) 내로 삽입된 상기 전선(110)들을 절단한다. 또한 상기 보조선(20)에 의해 결속된 상기 전선(100)들을 상기 보조선(20)으로부터 결속을 해제시킨다. 상기 전선(110)들은 상기 전선관(12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크기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110)들은 예를 들어, 상기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200)의 커터부(240)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수납 롤러(30)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선(20)을 통하여 복수의 상기 전선(110)들을 한꺼번에 상기 전선관(120)에 삽입시킴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전선(110)들과 상기 전선관(120)이 일체화된 전선 어셈블리(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전선들을 포함하는 전선관을 배치시킴으로써, 전선들을 전선관에 삽입하는 전선 삽입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그 결과 공사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선관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전기적으로 불량이 발생한 전선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전선들을 포함하는 전선관을 배치시킴으로써, 배선 공사시 발생되는 전선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통신 기술 발전에 따른 가정에서의 인터넷 사용을 위해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을 갖는 배선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에 의해 보조선이 가이드되어 전선관 내로 삽입 또는 전선관 내에서 제거됨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전선들과 전선관이 일체화된 전선 어셈블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보조선을 통하여 복수개의 전선들을 한꺼번에 전선관에 삽입시킴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전선들과 전선관이 일체화된 전선 어셈블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건축 공정 중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근 20 : 보조선
30 : 수납 롤러 100 : 전선 어셈블리
110 : 전선 120 : 전선관
122 : 돌출부 124 : 함입부
200 : 전선 어셈블리 제조장치 210 : 이송부
220 : 가이드부 230 : 연결부
240 : 커터부

Claims (4)

  1. 절연물질에 의해 피복되어 전기를 전달하는 복수의 전선들; 및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를 갖고서, 상기 전선들을 커버하는 전선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선관의 외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선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은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KR20-2005-0004330U 2005-02-17 2005-02-17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KR200384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30U KR200384111Y1 (ko) 2005-02-17 2005-02-17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30U KR200384111Y1 (ko) 2005-02-17 2005-02-17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958A Division KR100667094B1 (ko) 2005-02-17 2005-02-17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111Y1 true KR200384111Y1 (ko) 2005-05-11

Family

ID=4368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330U KR200384111Y1 (ko) 2005-02-17 2005-02-17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1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06Y1 (ko) * 2013-10-22 2014-1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심력과 상대회전운동을 이용한 플렉시블 전선관내 전선 삽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06Y1 (ko) * 2013-10-22 2014-1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심력과 상대회전운동을 이용한 플렉시블 전선관내 전선 삽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931B1 (ko) 광 섬유 케이블 소자 설치 방법 및 장치
JP5101065B2 (ja) 電力ケーブル
KR200384111Y1 (ko)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KR100667094B1 (ko)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1520287B1 (ko) 전선배선용 배관박스
JP4002248B2 (ja) ケーブル接続構造
KR20210127548A (ko) 덕트 일체형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WO2007112230A2 (en) Wire mold spacer, wire connection kit, wire fabrication method and wire
JP2011150166A (ja) ケーブル接続部、電力・光ファイバ複合ケーブル、およびケーブル接続方法
US7694909B1 (en) Method of winding a flexible core
KR200375691Y1 (ko) 플렉시블방수전선
JP2010271515A (ja) スロット型光ケーブル
JP2947785B1 (ja) 分岐型ケーブル
JP3022072B2 (ja) ケーブルダクトを止水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水止構造体
KR200444333Y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중성선 배열장치
KR200405966Y1 (ko) 단자함
JP200030643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05973B1 (ko) 금속외장재 일체형 직매케이블
KR102529538B1 (ko)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
JPS639961Y2 (ko)
KR200171287Y1 (ko) 호스릴용 호스정렬장치
KR0130125B1 (ko) 배선용 케이블의 시공방법
CN106992621B (zh) 绝缘骨架、定子和伺服电机
JP5121966B2 (ja) ケーブル用補助工具
WO2010110208A1 (ja) 螺旋状保護具及び螺旋状保護具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803

Effective date: 2007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