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979Y1 -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979Y1
KR200383979Y1 KR20-2004-0023014U KR20040023014U KR200383979Y1 KR 200383979 Y1 KR200383979 Y1 KR 200383979Y1 KR 20040023014 U KR20040023014 U KR 20040023014U KR 200383979 Y1 KR200383979 Y1 KR 200383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work
working
rotary column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열
Original Assignee
(주)다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라기술 filed Critical (주)다라기술
Priority to KR20-2004-0023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66C23/3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with frameworks composed of telescop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선소 및 건설, 토목현장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대형 구조물의 고소 작업용 작업장치를 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은 작업장치의 중심축인 회전식기둥(1)과 회전식기둥(1)의 회전운동 및 축방향 운동을 위한 회전식기둥 슬라이딩장치(7)가 설치되어 있고 작업장치 전체 구조물을 지지하는 천정 상부에 거치되는 작업장치 하부 몸체(9), 회전식기둥(1)을 따라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붐 슬라이드장치(15)가 있고 이 붐 슬라이드장치(15)에 굴절식 붐(Boom)(5)과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4)이 붙어 있으며, 작업장치 몸체(13)와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4) 사이를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로 연결하여 인장력을 조절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된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에 있어서, 굴절식 붐(Boom)(5) 및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4)의 관절 운동에 의한 작업장치 바켓(3)의 끝단 위치제어 기능 외에, 회전식기둥(1)을 회전시킴에 따라 붐(Boom)(5)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작업 지점에 접근시키며 동시에 회전식기둥(1)에 부착된 붐 슬라이드장치(15)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여서 붐(Boom)(5)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며, 작업장치 몸체에 부착되어있는 인장력조절용 와이어윈치(8)와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4) 사이에 연결된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는 붐(Boom)(5)의 수직방향 지지력을 높혀서 붐(Boom)(5)의 안정된 움직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A ceiling based working device with multiple joint booms.}
본 고안은 조선소, 건축 및 토목현장 등의 대형 구조물 고소 작업에서 작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며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구조물의 천정부에 작업장치 몸체에 하향으로 수직하게 부착된 회전식기둥(1)에 의지하여 붐(Boom)(5)을 접어서 작업장치의 회전식기둥(1)과 붐(Boom)(5)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한 후, 작업장치의 하부 몸체(9)를 작업 구조물의 천정상부에 고정한 후 붐(Boom)(5)을 펴고,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의 인장력으로 펴진 붐(Boom)(5)과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4)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면서 붐(Boom)(5)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용 작업장치는 작업장 바닥에 작업장치 구동부와 지지부가 위치하고 있고 그 상부에 작업용 굴절식이나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을 설치하여 작동시키고 있다. 구조물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서 작업지점의 높이도 높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에 동원되는 고소작업용 작업장치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작업장치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제작가격이 비싸짐은 물론 붐(Boom)을 길게 늘려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끝단에서의 움직임이 커지며 또한 작업지점에서의 움직임 조정이 점점 어려워져서 작업성이 나빠짐과 작업자의 안전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작업장치의 구조가 커짐에 따라 한정된 작업장 바닥의 크기와 접근성 때문에 이러한 대형 작업장치 사용 자체가 불가능할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고소작업 장치를 투입할 수 없는 밀폐구역에서 작업시에 천정 상부에 마련된 장비투입용 개구부(14)로 본 고안의 작업장비를 투입함으로 기존의 작업용 발판(족장)설치 작업이 필요 없으며 그로인한 추가적인 후공정 작업이 필요 없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장치를 구조물의 천정부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고소부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또한 작업장치를 천정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장치 자중으로 인하여 작업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이 최소화 되도록 하였으며 회전식기둥(1)의 강성도를 높여서 회전식기둥(1)에 붙어있는 붐(Boon)(5)의 흔들림을 최소화 시켜주며 추가적으로 작업장치 몸체(13)와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4)을 연결하고 있는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를 사용하여 붐(Boom)(5)에 부가되는 하중을 덜어 줌으로써 구조물을 가볍게 하면서 바켓(3) 끝단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였다. 수직형 회전식기둥(1)을 따라 붐(Boom)(5)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붐(Boom)(5)의 작업면적을 최대화하였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작업을 할 때 붐(Boom)(5) 자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단지 회전식기둥(1)에 부착된 붐 슬라이드장치(15)를 단순히 상하로 움직임만으로 붐(Boom)(5) 조정이 쉽도록 하였고, 약간의 붐(Boom)(5) 위치 조정을 거친 후 회전식기둥(1)의 회전운동만으로 [도 8] 처럼 천정작업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은 대형 구조물을 작업하는데 있어서 고소에 위치한 넓은 작업지역에 대한 접근성을 극대화 시키며 장치의 안정된 움직임으로 인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최대한으로 높여주며 동시에 고소 작업에 있어서의 항상 문제점으로 되어있는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 핵심기술이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대형 구조물의 고소에 위치한 작업지역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작업장치를 대형 구조물 상부의 천정으로부터 설치하는 방식으로서 [도2] 와 같이 작업장치 몸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있는 회전식기둥(1) 및 회전식기둥에 붙어있는 다관절 붐(5)들을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접으며 또한 붐의 끝단에 붙어있는 바켓(3)도 접어서 대형 구조물의 협소한 천정부로부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고, 고소에 위치한 작업지역의 넓은 면적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장치 몸체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있는 회전식기둥(1)이 회전하며 또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회전식 기둥 내부에 설치되어있는 붐 슬라이드장치(15)에 다관절 붐(5)과 텔리스코프형 붐(4)이 붙어 있어서 작업장치를 효과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작업의 안정성과 편이성, 작업자의 안전성을 한층 더 높여주기 위하여 장치의 몸체와 작업용 붐 사이가 와이어(2)로 연결되어있어서 인장력을 인장력조절용 와이어윈치(8)로 조절해 줌으로써 장치의 견고성을 극대화 시킨 구성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의 핵심이다.
본 고안은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1] 과 [도9] 처럼 여러 구조로 구성되어있다.
구조물의 천정상부에 작업장치가 설치되어서 상부에 설치된 장비의 중앙을 통과하는 회전식기둥(1)은 작업장치 몸체(13)와 같이 연결되어 있어서 작업장치 몸체(13)가 구조물 천정의 상부에 고정된 장치고정용 고정장치(10)위에서 회전하게 되면 회전식기둥(1) 또한 같이 따라서 회전하게 되어 있다.
회전식기둥(1)은 [도1] 에서 보는 것처럼 작업장치의 중앙을 통과하는 회전식기둥(1)이 회전운동만 하는 구조와 [도21] 에서 보는 것처럼 작업장치의 중앙을 통과하는 회전식기둥(1)이 회전운동도 하고 회전식기둥 슬라이딩장치(7)에 의해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도1] 에서 붐(5)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하기위해서 회전식기둥(1)에 장착되어진 붐 슬라이드장치(15)에 의해서 회전식기둥(1)을 따라서 상하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21] 에서처럼 회전식기둥(1)이 작업장치의 중앙을 통과하며 작업장치에 장착된 회전식기둥 슬라이딩장치(7)에 의해서 회전식기둥(1)이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붐(5) 이동방식 중에서 붐 슬라이드장치(15)를 사용한 장치부터 설명하도록 한다.
[도1] 은 붐 슬라이딩 방식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작업장치를 작업구역의 천정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고정용 고정장치(10)가 작업장치의 하부 몸체(9) 아래에 부착 되어있고 하부 몸체(9)위에는 동력장치 및 유압장치 인장조절용 와이어 윈치등과 같은 중요구성 장치들이 장착되어진 작업장치 몸체(13)가 연결되어있다.
작업장치 몸체(13)중앙에는 회전식기둥(1)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회전식기둥(1)에는 붐(5)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붐 슬라이드장치(15)가 [도3] , [도4] , [도5] 에서처럼 회전식기둥(1)과 견고하게 밀착되어서 상하로 슬라이딩 되게 되어있다.
붐 슬라이드장치(15)에는 붐(5)이 연결되어 있으며 붐(5)은 [도2] , [도3] 처럼 상하로 굴절되며 붐(5)의 끝단부에는 텔리스코프형 붐(4)이 연결되어 있으며 텔리스코프형 붐(4)은 [도7] 처럼 내부에 텔리스코프형 붐의 슬라이딩 붐(6)이 신장됨으로써 작업 구역을 확장할 수 있다.
삭제
삭제
텔리스코프형 붐의 슬라이딩 붐(6)끝에는 작업용 바켓(3)이 연결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탑승하고 본 고안의 작업장치를 조정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도6] 을 보면 붐(5)을 수평으로 하고 텔리스코프형 붐(4)을 위로 올린 상태에서 천정 작업을 할 수 있으며 텔리스코프형 붐(4)을 아래쪽으로 내리면서 동시에 텔리스코프형 붐의 슬라이딩 붐(6)을 인출하면서 작업을 하면 천정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에 텔리스코프형 붐(4)의 각도가 변함에 따라서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의 장력이 변하게 되는데 이는 설정된 인장력의 범위를 넘어서면 자동으로 인장력을 조절하도록 [도21] 에 있는 인장력조절용 와이어 윈치(8)에 의해서 조절된다.
[도22] 에서 처럼 회전식기둥(1)의 하단부에 바닥과 회전식기둥(1)을 고정하기 위하여 바닥고정용 지그(17)를 장착한 다음 [도23] 처럼 지그고정용 다리(18)를 펼치면 회전식기둥(1)은 작업 구조물 천정 상부와 구조물 바닥사이에서 견고하게 지탱되어 흔들림이 없는 튼튼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설치나 해체 시에는 [도24] 처럼 지그고정용 다리(18)을 접어 올린다음 해체시키면 된다.
다음은 본 고안에서 두 번째 방식인 중심축 슬라이딩 방식을 설명한다.
[도9] 는 중심축 즉 회전식기둥(1)이 작업장치 몸체(13)을 통과해서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설명한 것이며 [도21] 의 회전식기둥 슬라이딩 장치(7)에 의해서 회전식기둥(1)이 [도18] 처럼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견고하게 밀착되어 있으며 체인이나 와이어에 의해서 지지되고 견인되게 되어 있다.
나머지 다른 구조는 붐 슬라이딩 방식과 같다.
[도10] 은 붐(5)을 접고 위로 올린 상태로 이며 작업장치의 보관시나 [도12] 처럼 작업을 하기위해서 구조물의 천정상부에 설치시의 모습이다.
[도11] 은 작업을 하기위해서 붐(5)을 접고 아래로 내린 상태도이며 [도13] 처럼 구조물의 천정 상부에 마련된 장비 투입용 개구부(14) 내부로 작업장치가 투입된 상태도이다.
[도14] 는 작업장치가 작업구역의 내부로 투입되고 나서 작업을 하기위하여 바켓(3)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15] 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 붐(5)을 펼쳐서 작업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도16] 처럼 붐(5)을 아래로 굴절시키면 바닥면의 작업도 할 수 있다.
[도17] 은 회전식기둥(1)을 위로 올린상태이며 벽면 작업시 [도18] 처럼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9] 처럼 회전식기둥(1)을 회전시키면서 작업할 경우 작업구역 내부가 원통일 경우 작업하기가 매우 쉬워진다.
[도20] 은 텔리스코프형 붐의 슬라이딩 붐(6)을 인출하여서 작업구역을 넓히는 효과가 있으며 구석진 곳의 작업과 먼 거리의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도21] 은 본 고안의 작업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동력장치(11)에 연결된 유압 장치(12)에 의해서 각각의 작동 부위에 동력을 공급하여 준다.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의 인장력을 조절해주기 위해서 인장력조절용 와이어 윈치(8)가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인장력을 조절하게 되어 있다.다음은 본 고안에서의 인장력조절을 위하여 회전식기둥(1)과 와이어가 이루는 각도를 감지하여 와이어 인장력을 조절하는 방법과 회전식기둥(1)과 붐(5)이 연결된 관절에 설치된 토크감지기(21)의 작동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도25] 은 본 고안의 작업장치에 설치된 와이어각도감지기(20) 와 토크감지기(21)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회전식기둥(1)과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가 이루는 각도를 감지하는 와이어각도감지기(20)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가 신호처리 및 와이어윈치 제어장치(19)로 보내져서 인장력조절용 와이어윈치(8)가 동작됨으로써 와이어의 인장력이 조절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회전식기둥(1)과 붐(5)이 연결된 관절에 설치된 토크감지기(21)를 통하여 얻어진 신호는 신호처리 및 와이어윈치 제어장치(19)로 보내져서 인장력조절용 와이어윈치(8)가 제어됨으로써 관절에서의 토크(Torque)크기가 안전한 수준이 유지되도록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의 인장력이 조절된다.[도26] 은 천정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에서 각 관절이나 슬라이드에서의 마찰을 무시하고 동시에 붐(5)과 텔리스코프형붐(4)의 크기와 무게가 비슷하다고 가정하고 이상화된 하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식기둥(1)에 연결된 붐(5)과 텔리스코프형 붐(4)의 무게를 집중하중(W12)으로 이상화하여 두개의 붐 사이에 작용하는 것으로 고려하였고 텔리스코프형붐의 슬라이딩붐(6)의 무게를 집중하중(W3)으로 이상화 하여 그 중간지점에 작용하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또 텔리스코프형붐의 슬라이딩붐(6) 끝단에 있는 바켓(3)과 작업도구 및 작업자의 무게는 끝단에 작용하는 하중(W4)으로 고려하며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에 걸리는 하중은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붐(5)이 회전식기둥(1)에 연결된 지점에서 작업용 붐 및 작업도구와 작업자들의 무게로 인하여 아래방향으로 향하는 하중들에 의한 회전 모멘트(Moment)와 평형을 이루도록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가 붐에 연결된 지점에서 수직 상부방향으로 당겨야 할 하중(Wv)은 아래와 같다.Wv = [L12/2 * W12 + (L12 + L3/2*COSΦ)*W3 + (L12 + L3 * COSΦ)*W4]/L12각도 ( Φ)는 텔리스코프형 붐의 슬라이딩 붐(6)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이다.본 고안에서와 같이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는 작업상태에 따라서 항상 회전식기둥(1)과 와이어 사이의 임의의 각도( θ)에 대하여 와이어의 방향으로 당겨야 할 하중(Ww)은 Ww = Wv / COSθ인장력조절용 와이어(2)가 Ww 크기의 인장력으로 끌어당긴다면 작업장치의 관절에는 하중이 거의 걸리지 않음으로 작업장치의 안전과 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각 관절에서의 움직임을 위한 기동력이 필요하게 됨으로 그 동력을 고려하여 인장력조절용 와이어윈치(8)의 기동력이 산출된다.인장력조절용 와이어윈치 기동력= (와이어인장력 Ww을 유지하기 위한 동력)- (붐(Boom)과 텔리스코프형붐 및 슬라이드형붐들이 연결된 각 관절 및 슬라이드들이 스스로 기동하기 위한 동력들의 합)[도27] 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도감지기(2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신호처리 및 와이어윈치 제어장치(19)에서 신호처리된 후 와이어윈치 제어장치를 통하여 인장력조절용 와이어윈치(8)가 작동되는 계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회전식기둥(1)에 연결되어있는 붐(5)의 관절점에 설치된 토크감지기(21)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신호처리 및 와이어윈치 제어장치(19)에서 신호처리된 후 와이어윈치 제어장치를 통하여 인장력 조절용 와이어윈치(8)가 작동되는 계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다음은 구조물 상부의 개구부(14)에 작업장치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도28] 은 구조물의 상부에 있는 장비투입용 개구부(14)의 주변에 설치되어있는 구조물에 부착된 고정장치(22)를 사용하여 천정설치식 다관절 작업장치를 상부로부터 투입 후, 작업장치 하부몸체(9)에 부착된 장치고정용 다리(18)를 구조물에 부착된 고정장치(22)에 밀착시킨 후, 바닥고정용 볼트너트(23)로서 견고하게 작업장치를 구조물 상부에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기존 작업장 바닥에 설치된 고소작업용 크레인이나 작업장치들은 붐(Boom)(5)과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의 슬라이딩 붐(Boom)(6)을 길게 늘여서 작업 구조물의 고소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작업장 바닥에 단단하게 고정해야하며 동시에 붐(Boom)이 길어짐에 따라서 붐(Boom)(5)에 가하지는 굽힘모멘트(Bending Moment)가 증가하며 동시에 자체중량이 커짐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구조물의 국부 변형이나 좌굴현상(Buckling)을 피하기 위하여는 중량 구조물이 될 수밖에 없으며 길게 뻗어진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의 슬라이딩 붐(Boom)(6) 끝단에서의 움직임은 커질 수밖에 없어서 안정적 작업이 어려워 질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가능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대형 작업구조물의 상부의 고소에 위치한 작업 지점의 접근을 비교적 가벼운 작업용 장치 구조로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서 기존 방식의 고소작업 장비로서 작업이 거의 불가능한 대형 구조물의 고소 작업이나 밀폐구역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작업장치 몸체에 강성이 큰 회전식기둥(1)을 설치하여 회전식기둥(1)에 부착된 붐(Boom)(5)이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작업장치 몸체와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4) 사이를 연결해 주는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를 설치하여 붐(Boom)을 길게 사용하더라도 회전식기둥(1)과 붐(Boom)(5)에 무리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막아서 바켓(3)을 안전하고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세밀한 작업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작업자의 안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연결된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의 지지력에 의하여 작업장치의 구조를 더욱 가볍게 만들 수 있어서 작고 가벼운 장치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붐(Boom)(5)은 수직방향으로 길에 늘어진 회전식기둥(1)에 따라서 움직이게 됨으로 인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작업 가능 면적이 증가되며 움직임도 붐(Boom)(5)의 복잡한 조정 없이 회전식 기둥(1)을 따라 단순한 수직 운동에 의하여 작업이 가능하다.
[도 1] : 붐 슬라이딩 방식의 작동상태도
[도 2] : 붐이 최상단부까지 슬라이딩되고 붐을 아래로 내린 상태도
[도 3]: 붐을 위로 접은 상태에서 위로 슬라이딩한 상태도
[도 4]: 붐을 위로 접은 상태에서 아래로 슬라이딩한 상태도
[도 5] : 수직벽면 작업시 붐 슬라이딩 장치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작업상태도
[도 6] : 천정작업시 작업상태도
[도 7] : 바닥 면 작업시 작업 상태도
[도 8] : 장치의 회전 상태도
[도 9] : 회전식기둥 슬라이딩 방식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0] : 회전식기둥 슬라이딩 방식장치의 붐을 접고 위로 올린 상태도
[도 11] : 회전식기둥 슬라이딩 방식장치의 붐을 접고 아래로 내린 상태도
[도 12] : 작업 구역에 설치한 상태도
[도 13] : 작업구역내부로 장비가 투입된 상태도
[도 14] : 작업구역내부로 장비가 투입된 후 바켓을 돌린 상태도
[도 15] : 붐을 펼친 상태도
[도 16] : 붐을 아래로 내린 상태도
[도 17] : 회전식기둥을 위로 올린 상태도
[도 18] : 붐을 고정하고 회전식기둥을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작업 상태도
[도 19] : 회전식기둥을 회전하는 상태도
[도 20] :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의 슬라이딩 붐(Boom)을 인출하는 작업 상태도
[도 21] : 장치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22] : 바닥고정용 지그를 회전식기둥에 부착하여 작업하는 상황도
[도 23] : 바닥고정용 지그의 지그고정용 다리가 펼쳐진 상태도
[도 24] : 바닥고정용 지그의 지그고정용 다리가 접어진 상태도
[도 25] : 감지기 및 제어장치
[도 26] : 본 고안 작업장치의 하중상태 표시도[도 27] : 와이어인장력 제어개념도[도 28] : 고소작업구조물상에 본 고안 작업장치의 고정방법
1 : 회전식기둥 2 : 인장력조절용 와이어 3 : 바켓(Bucket)
4 :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 5 : 붐(Boom)
6 :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의 슬라이딩 붐(Boom)
7 : 회전식기둥 슬라이딩장치 8 : 인장력조절용 와이어윈치 9 : 하부 몸체
10 : 장치고정용 고정장치 11 : 동력장치 12 : 유압장치 13 : 작업장치 몸체
14 : 장비 투입용 개구부 15 : 붐 슬라이드장치 16 : 바닥용 구조물
17 : 바닥고정용 지그 18 : 지그고정용 다리
19 : 신호처리 및 와이어윈치 제어장치 20 : 각도감지기 21 : 토크감지기22 : 구조물에 부착된 고정장치 23 : 바닥고정용 볼트너트

Claims (11)

  1. 작업구조물 상부에 거꾸로 설치되는 작업장치로서 작업구조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회전식기둥(1)과, 회전식 기둥(1)에 부착되어 있는 붐(Boom)(5)과, 회전식기둥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작업장치 몸체(13)와, 작업장치 몸체(13)와 붐(Boom)(5) 또는 텔리스코프(Telescope)형 붐(Boom)(4)을 연결하여 주는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기둥(1)에 연결된 붐(Boom)(5)의 연결부인 붐 슬라이드장치(15)가 회전식기둥(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기둥(1)에 연결된 붐(Boom)(5)이 회전식기둥 슬라이딩 장치(7)로 인해 회전식기둥(1)이 상하운동을 함으로 붐(Boom)(5)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의 인장력조절용 와이어(2)에 인장력조절용 와이어윈치(8)가 연결되어 인장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기둥(1)의 하단부에 바닥고정용 지그(17)를 부착한 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04-0023014U 2004-08-05 2004-08-05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 KR200383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14U KR200383979Y1 (ko) 2004-08-05 2004-08-05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14U KR200383979Y1 (ko) 2004-08-05 2004-08-05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979Y1 true KR200383979Y1 (ko) 2005-05-11

Family

ID=4368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014U KR200383979Y1 (ko) 2004-08-05 2004-08-05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9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020B1 (ko) * 2010-12-03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도장 전처리 장치
KR101226021B1 (ko) * 2010-12-03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도장 전처리 장치
CN111910818A (zh) * 2020-07-20 2020-11-10 上海蓝天房屋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机场出发大厅大吊顶的安装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020B1 (ko) * 2010-12-03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도장 전처리 장치
KR101226021B1 (ko) * 2010-12-03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도장 전처리 장치
CN111910818A (zh) * 2020-07-20 2020-11-10 上海蓝天房屋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机场出发大厅大吊顶的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57969B (zh) 一种顶柱式吊装机
CN201707453U (zh) 一种隧道壁面雷达无损探测辅助装置
US4953720A (en) Crane and method for using crane
CN113646136A (zh) 缆索机器人
JP2007503369A (ja) 自給自足式液圧ユニットが配置された移動式クレーンブーム
KR200383979Y1 (ko) 천정 설치식 다관절형 작업장치
RU2271330C2 (ru) Кран с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й стрелой
US3148778A (en) Stiff leg derrick
CN206185355U (zh) 大高度范围用焊接辅助机械臂
CN202323771U (zh) 用于公路桥梁的安装维护系统
CN205367540U (zh) 一种防倾倒的塔吊
CN108356699A (zh) 一种打磨机支撑装置
CA1198691A (en) Jib assembly
JPH04333492A (ja) 高揚程クレーンの揚重部材位置決め取付装置
CN111591934A (zh) 一种臂架总成及拱架安装台车
CN221274989U (zh) 一种装配式建筑吊装设备
CN105329742A (zh) 施工升降机用便捷式吊杆及其施工升降机
CN219217353U (zh) 卷扬机支架
JPH07328963A (ja) 重量物用マニピュレータ装置および重量物用マニピュレータ設備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
JPH03267297A (ja) クレーンにおけるジブ支持ロッドの取付装置
CN114033140B (zh) 一种外伸双节旋转式外墙施工平台
CN212269384U (zh) 一种臂架总成及拱架安装台车
CN219492310U (zh) 一种拱、锚、喷一体化作业台车
JPS6127902Y2 (ko)
CN217921169U (zh) 一种建筑施工用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