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836Y1 - 새들 분수전 - Google Patents

새들 분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836Y1
KR200383836Y1 KR20-2005-0003741U KR20050003741U KR200383836Y1 KR 200383836 Y1 KR200383836 Y1 KR 200383836Y1 KR 20050003741 U KR20050003741 U KR 20050003741U KR 200383836 Y1 KR200383836 Y1 KR 200383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untain
fixing nut
upper bracket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영호
Original Assignee
엄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호 filed Critical 엄영호
Priority to KR20-2005-0003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새들 분수전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수관동체 하부에 암나사관을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관에 외주면 전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수나사관의 상부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동체 하부로 노출된 수나사 관의 하부를 원수관 위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 브라켓트의 중앙부 구멍에 삽입관통시켜 분수관동체를 안착시키고, 상부 브라켓트의 저면으로 돌출된 수나사관에 외표면이 고무코팅 됨과 동시에 표면(또는 표리면)에 동심원상의 밀폐돌기가 1~다수개 돌출형성된 고정너트를 체결고정하여 분수관동체와 상부브라켓트를 조립고정시키며, 상기 고정너트 저면에 외주면 중앙에 밀폐용 환돌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누수방지링을 설치함으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분수관 동체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관을 통하여 "ㅏ"형 통수공을 가진 볼을 삽입 설치한 뒤, 테프론 패킹과 함께 수나사관을 체결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브라켓트에 조립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고, 또, 원수관에 설치시 원수관의 방향에 관계없이 분수관의 설치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설치장소의 특수성에 능히 대처할 수 있게 되며, 고정너트의 외주면이 고무코팅이 되어 있는 데다가 고정너트의 표면 또는 표리면에 밀폐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또, 누수방지링의 삽입부가 원수관에 삽입설치됨과 동시에 밀폐용 환돌부가 원수관의 표면과 상부브라켓트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이기에 확실한 밀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누수방지 효과가 매우 크며, 더불어 지진 등을 비롯하여 외부의 충격이 심하게 작용하더라도 고정너트 및 누수방지링이 이를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키게 되어 파손이나 변형을 예방하는 등의 제진효과 또한 뛰어난 새들분수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새들 분수전{saddle for water works}
본 고안은 새들분수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관에 새들분수전을 연결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분수관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 시공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제진효과 및 누수예방효과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새들 분수전은 원수관(10)에 결합시키는 상하부 브라켓(3)(3') 중 상부브라켓(3)의 상면 중앙부 단차구멍에 암나사부(101)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부(101)에 하부에 수나사부(1a')를 가진 분수관 동체(1a')를 체결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수관(10)과 상부 브라켓트(3) 사이에는 면적이 넓은 패킹(6a)을 설치고정하여 누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새들분수전은 구조적 특성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분수전은 분수전 동체(1a)가 상부 브라켓트(3)의 암나사부(101)에 바로 체결되는 구성이기에 원수관(10)의 방향에 관계없이 분수관(15)의 방향을 사용자가 임의 조절할 수 없음에 따라 설치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가 많았고, 누수발생의 염려가 컸으며, 지진이나 충격, 진동이 발생되면 상부 브라켓트(3)로부터 분수전 동체(1a)가 풀리게 되어 누수가 발생될 염려가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제진효과 및 누수방지효과가 뛰어나고, 시공시 분수관의 방향설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조립성이 뛰어난 새들분수전을 제공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에 의해 개폐작용되는 "ㅏ"형 통수공(11)을 가진 볼(12)이 내장 설치되고, 상부에는 캡(13)이 설치되며, 일측에 캡너트(14)를 이용하여 통상의 분수관(15)이 연결설치되고, 하부 내측에 암나사관(16)을 형성한 분수관동체(1)와,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수나사부(21)가 형성되고 상부가 분수관동체(1)의 암나사관(16)에 체결되도록 한 수나사관체(2)와,
원수관(1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원호상으로 만곡형성되어 양측에 체결구멍(31)이 형성되고 중앙 상하부에 안착턱(32)과 삽입요부(33) 및 관통구멍(34)이 형성된 상부 브라켓트(3)와, 원수관(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원호상으로 만곡형성되어 양측에 체결구멍(31)이 형성된 하부 브라켓트(3') 및 상기 상하부 브라켓트(3)(3')를 체결고정시키는 장볼트(35)와 너트(36),
상기 상부 브라켓트(3)의 관통구멍(34)을 통하여 수나사관체(2)의 하부를 상부 브라켓트(3)의 삽입요부(33)로 돌출시킨 뒤, 상부브라켓트(3)와 분수관동체(1)를 조립 고정시키도록 된 고정너트(4)와,
원수관(10)의 구멍(10')에 끼워지도록 하부에 삽입부(51)가 형성되고, 상부는 상부 브라켓트(3)의 삽입요부(33)에 끼워지도록 삽입부(5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부브라켓트(3)와 원수관(10)사이의 기밀유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밀폐용 환돌부(53)를 형성하여서 된 누수방지링(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너트(4)는 금속제로 형성된 본체(41)와, 상기 본체(41)를 감싸면서 누수방지의 작용을 하는 고무피복층(41')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41)의 표면(또는 표리면)에 한 줄 이상의 환형돌기(42)를, 그리고 외주면에 2~4개의 공구끼움홈(43)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무피복층(41')을 형성함으로서 고정너트(4)의 표면(또는 표리면)에 동심원상으로 한 줄이상의 밀폐돌부(42')가 형성되게 하였다.
상기 고정너트(4)의 표면(또는 표리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밀폐돌부(42')는 ""형, 또는 " ∩ "형, 또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돌출 형성하거나 , 또는 ""형, 또는 둥근나사모양으로 다수의 동심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새들분수전은, 분수관 동체(1)에 암나사관(16)을 형성하여 "ㅏ"형의 통수공(11)을 가진 볼(12)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볼(12)이 삽입된 뒤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통상의 테프론패킹(17)과 함께 수나사관체(2)의 상부를 체결 고정시킨 다음, 분수관 동체(1) 하부로 노출된 수나사관체(2) 하부를 상부브라켓트(3)의 관통구멍(34)에 삽입시키면 수나사관체(2)의 하단이 상부브라켓트(3)의 저면 삽입요부(33)로 돌출됨과 동시에 분수관동체(1)의 하단이 안착부(32)에 안착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삽입요부(33)를 통하여 수나사관체(2)에 고정너트(4)를 체결고정시키면 상부브라켓트(3)와 분수관동체(1)가 견고하게 조립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원수관(10)의 소정위치, 즉 분수관동체(1)를 조립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구멍(10')을 천공한 뒤, 상기 구멍(10')에 누수방지링(5)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51)를 끼운 다음, 누수방지링(51)의 상부에 상부브라켓트(3)의 삽입요부(33)를 맞춰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부브라켓트(3)와 하부브라켓트(3')를 장볼트(35)와 너트(36)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부브라켓트(3)에 분수관 동체(1)를 결합 고정시킬 때 매우 안정적이고도 신속간편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특징이 따른다.
한편, 본 고안에서 중요한 부분중 하나는 고정너트(4)와 누수방지링(5)인바, 상기 고정너트(4)는 금속제로 된 본체(41) 외부에 고무피복층(41')을 형성하되, 표면(또는 표리면)에 동심원상으로 하나 이상의 밀폐돌부(42')를 형성한 것이기에 수나사관체(2)에 체결시켜 상부브라켓트(3)와 분수관동체(1)를 결합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체결과 동시에 상기 밀폐돌부(42')가 상부브라켓트(3)의 삽입요부(33) 가장자리 천정부분에 밀착되게 되어 이부분을 통한 누수예방을 완전하게 할 수 있게 되며, 누수방지링(5)은 고무로 형성되어 하부에 원수관(10)의 구멍(10')에 삽입되는 삽입부(51)가 형성되고, 상부는 상부브라켓트의 삽입요부에 끼워지면서 고정너트 저면에 밀착되게 하는 삽입부(5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밀폐용환돌부(53)가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밀폐용환돌부(53)에 의해 상부브라켓트(3)와 원수관(10), 그리고 고정너트(4)와 원수관(10)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누수를 완전예방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지진이나 외부적 충격,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흡수가 용이하여 제진효과 또한 크게 발휘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4)는 외주면에 2~4개의 공구끼움홈(43)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브라켓트(3)의 삽입요부(33) 내에서도 원활하게 체결하거나 풀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너트(4)의 표면 또는 표리면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환형의 밀폐돌부(42')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돌출 높이 또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이러한 변형은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또, 상기 고정너트(4)의 본체 표면 또는 표리면에 환형돌기(42)를 형성하지 않아도 고정너트(4)의 제조과정에서 밀폐돌부(42')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또, 고정너트(4)를 형성함에 있어서, 금속제로 된 본체(41) 표면에만 고무피복층을 형성하여도 되기 때문에 이러한 변형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상부브라켓트(3)의 안착턱(32)과 분수관 동체(1) 하단 사이에 밀폐용 패킹(6)을 개재한 것으로, 상기 밀폐용 패킹(6)은 표리면이 평면인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되고, 또, 표면 또는 표리면에 밀폐효과를 더 높이기 위한 동심원상의 돌기를 하나 이상 다수개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4에서와 같이 밀폐용 패킹(6)을 안착턱(32)과 분수관동체(1)하단에 개재시키게 되면 지진이나 충격에도 파손은 물론 누수발생염려가 극소화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되어 신뢰성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상부브라켓트(3)의 중앙상부를 안착턱이 없는 평면 구성으로 형성하여도 되며,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밀폐용패킹(6)의 작용에 의해 제진효과를 비롯한 누수예방효과가 뛰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부브라켓트(3)의 중앙부에 안착턱(32)을 형성하거나 하지 않은 구성을 비롯하여 밀폐용패킹의 표리면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하지 않은 구성은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새들분수전을 원수관(10)에 조립 시공하는 과정에서, 분수관의 방향설정 및 전환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현장의 특수성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신속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되고, 고정너트(4)와 누수방지링(5)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지진이나 외부적 충격 진동 등에도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Claims (5)

  1. 본 고안은 손잡이에 의해 개폐작용되는 "ㅏ"형 통수공(11)을 가진 볼(12)이 내장 설치되고, 상부에는 캡(13)이 설치되며, 일측에 캡너트(14)를 이용하여 통상의 분수관(15)이 연결설치되고, 하부 내측에 암나사관(16)을 형성한 분수관동체(1);와,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수나사부(21)가 형성되고 상부가 분수관동체(1)의 암나사관(16)에 체결되도록 한 수나사관체(2);와,
    원수관(1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원호상으로 만곡형성되어 양측에 체결구멍(31)이 형성되고 중앙 상하부에 안착턱(32)과 삽입요부(33) 및 관통구멍(34)이 형성된 상부 브라켓트(3)와, 원수관(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원호상으로 만곡형성되어 양측에 체결구멍(31)이 형성된 하부 브라켓트(3') 및 상기 상하부 브라켓트(3)(3')를 체결고정시키는 장볼트(35)와 너트(36);
    상기 상부 브라켓트(3)의 관통구멍(34)을 통하여 수나사관체(2)의 하부를 상부 브라켓트(3)의 삽입요부(33)로 돌출시킨 뒤, 상부브라켓트(3)와 분수관동체(1)를 조립고정시키도록 된 고정너트(4);와,
    원수관(10)의 구멍(10')에 끼워지도록 하부에 삽입부(51)가 형성되고, 상부는 상부 브라켓트(3)의 삽입요부(33)에 끼워지도록 삽입부(5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부브라켓트(3)와 원수관(10)사이의 기밀유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밀폐용 환돌부(53)를 형성하여서 된 누수방지링(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분수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4)는 금속제로 형성된 본체(41)와, 상기 본체(41)를 감싸면서 누수방지의 작용을 하는 고무피복층(41')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41)의 표면(또는 표리면)에 한 줄 또는 한줄이상 다수 줄의 환형돌기(42)를, 그리고 외주면에 2개 또는 3개나 4개의 공구끼움홈(43)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무피복층(41')을 형성함으로서 고정너트(4)의 표면(또는 표리면)에 동심원상으로 한 줄 또는 한줄이상 다수줄의 밀폐돌부(42')가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분수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4)에 형성된 밀폐돌부(42')는 ""형, 또는 " ∩ "형, 또는""형, 사다리꼴 모양, 둥근나사모양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분수전.
  4. 제 2항에 있어서,
    고정너트(4)의 고무피복부(41')은 본체(41)의 상부에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분수전.
  5.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브라켓트(3)의 안착턱(32)과 분수관 동체(1) 하단 사이에 밀폐용 패킹(6)을 개재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분수전.
KR20-2005-0003741U 2005-02-05 2005-02-05 새들 분수전 KR200383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41U KR200383836Y1 (ko) 2005-02-05 2005-02-05 새들 분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741U KR200383836Y1 (ko) 2005-02-05 2005-02-05 새들 분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836Y1 true KR200383836Y1 (ko) 2005-05-10

Family

ID=4368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741U KR200383836Y1 (ko) 2005-02-05 2005-02-05 새들 분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8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123B1 (ko) 2006-12-11 2008-06-04 주식회사 하이스텐 플랜지식 새들 분수전
KR100954524B1 (ko) 2008-06-03 2010-04-27 정우통신 주식회사 배관용 분기관 연결 커플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123B1 (ko) 2006-12-11 2008-06-04 주식회사 하이스텐 플랜지식 새들 분수전
KR100954524B1 (ko) 2008-06-03 2010-04-27 정우통신 주식회사 배관용 분기관 연결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969B2 (en) Toilet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RU201010462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клапанного штока с клапанной пробкой
KR200383836Y1 (ko) 새들 분수전
US20150097132A1 (en) Ball or half-ball valve with drain-proof mechanism
KR100858636B1 (ko)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JP3994408B2 (ja) 管継手
KR200449225Y1 (ko) 반도체 가스배관의 피팅 고정부재
KR200378956Y1 (ko) 새들 분수전
KR20120000778U (ko) 배관용 역화방지기
KR101840587B1 (ko) 파이프와 이음관을 연결하는 내진용 파이프 연결구
JP2001165367A (ja) 管継手の締付け表示装置
US5887913A (en) Pipe joint structure
JP4958691B2 (ja) ボール弁の固定構造
CN220956383U (zh) 一种使用内齿垫片的紧固件
CN204414101U (zh) 一种机械臂
JP4551759B2 (ja) 分岐管継ぎ手の構造
KR20120014261A (ko) 풀림방지 너트
CN213954570U (zh) 一种管道接头外罩装置
CN210799663U (zh) 一种无需工具旋紧的螺钉
JP2019128030A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固定方法
JP6039943B2 (ja) 埋設型ガス栓
CN211649470U (zh) 金属波纹管
WO2019142819A1 (ja) 共回り防止具
KR200366061Y1 (ko) 템퍼스위치 고정구
KR200209837Y1 (ko) 너트식 관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